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행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의 옥외집회 금지장소에 대한 헌법적 고찰 – 대통령 관저와 대통령 집무실의 해석을 중심으로 –

        김소연 한국헌법학회 2022 憲法學硏究 Vol.28 No.4

        In a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assemblies function as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and the realization of political expression in that they are a means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political communication. In relation to democracy, assemblies function as a supplement to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assemblies also function as a means of realizing pluralism in that they inform the majority of the opinions of the minority and reflect them within the national community. When interpreting assemblies as a connecting channel between the national will and the people's will, in order to effectively realize the freedom of assembly, assemblies must and should be held in the most efficient way to convey the will of the people. In this case, as the embodiment of the freedom of assembly, the selection of the meeting place is directly and closely related to the purpose of holding the assembly,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means that can deliver the purpose most effectively. The current 「Assembly and Demonstration Law」 considers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freedom of assembly within a democracy and the importance of choosing a meeting place in realizing freedom of assembly. Accordingly,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stipulates the contents of prohibited places in the form of permitted in principle and prohibited in exceptional cases.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stipulates a specific place as a place where gatherings are prohibited. However, it is intended to protect the freedom of assembly thickly by defining it as a relative prohibited place rather than an absolute prohibited place.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se prohibited places, the place where assembly is prohibited today is the ‘President’s Office’. Article 11 of the current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stipulates only the “President’s official residence” as a prohibited place for outdoor assembly, but not the President’s office. Accordingly, a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President’s office can be derived from the President’s official residence stipulated in Article 11, Paragraph 3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However, according to the literal interpretation and the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President’s official residence centering on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at the President’s office i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ident’s official residence. Although there is no provision for the Office of the President in the current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e interpretation that restricts the freedom of assembly near the President’s office is a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or a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due to sluggish legislative omission. Therefore, establishing a clear standard for judging illegality by stipulating which places are prohibited by law has a major meaning in realizing freedom of assembly. If Article 11 of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stipulates the President’s office along with the President’s official residence, this is to define both work space and non-work space for executive agencies. This type of regulation is also appropriate in that it has unity with the system of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for legislative and judicial institutions, which already stipulates work space and non-work space in harmony. In addition, if the President’s office, which is a work space, is separately stipulated, exceptions to the permission of assembly can be provided, such as the place for other work spaces stipulated in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Reasons for this can be considered as ‘when there is no concern about interfering with the President's work’ and ‘when there is no concern that it will spread to a large-scale assembly or demonstration’. 민주적 헌법국가에서 집회는 정치적 의사소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국민참여의 수단이라는 점에서 정치적 의사표현을 통한 민주주의의 실현으로 평가된다. 민주주의와의 관련성 속에서 집회는 대의제 민주주의의 보완책으로 기능하며, 소수자의 의견을 다수에게 알리고 이를 국가공동체 내에 반영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다원주의의 실현수단으로도 기능한다. 국가의사와 국민의사의 연결통로로서 집회를 해석할 때, 집회의 자유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국민의 의사를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집회를 개최할 수 있어야 하며, 개최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집회의 자유의 구체화로서 집회장소의 선택은 집회개최의 목적과 직접적이고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집회개최의 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이하 ‘집시법’)은 민주주의 내에서 집회의 자유가 갖는 헌법적 의의와 집회의 자유 실현에 있어서 집회장소의 선택이 갖는 중요성을 고려하여, 집회장소에 대한 원칙적 허용과 예외적 금지의 형태로 옥외집회 금지장소에 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집시법 제11조는 옥외집회 금지장소로 특정 장소를 규정하고 있지만, -해당 장소에서의 집회허용의 예외적 사유를 규정함으로써- 이를 절대적 금지장소가 아닌 상대적 금지장소로 규정하여 집회의 자유를 두텁게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옥외집회 금지장소의 해석과 관련하여 오늘날 새롭게 문제되고 있는 장소가 바로 ‘대통령 집무실’이다. 현행 집시법 제11조는 옥외집회 금지장소로 ‘대통령 관저’만을 규정할 뿐, 대통령 집무실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집시법 제11조 제3호에 규정된 대통령 관저로부터 해석적으로 대통령 집무실이 파생될 수 있는지가 문제되는데, 관저에 대한 문언적 해석과 집시법 제11조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 해석에 의하면, 대통령 관저의 범위 내에 대통령 집무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대통령 관저에 대한 이러한 해석의 문제는 집회의 자유의 내용인 집회장소 선택의 자유가 침해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현행 집시법에 대통령 집무실에 대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해석으로 대통령 집무실 인근의 집회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법률유보원칙 위반 또는 부진정입법부작위에 의한 기본권침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집회의 자유의 실현에 있어서는 옥외집회 금지장소인지를 법률에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위법성 판단에 대한 확실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운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현행 집시법 제11조는 이미 입법기관과 사법기관에 대한 옥외집회 금지장소로서 업무공간과 비업무공간을 호응시켜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집시법 제11조에 대통령 관저 외에 대통령 집무실이 별도로 규정된다면, 이는 집행기관을 둘러싼 옥외집회 금지장소에 대한 비업무공간과 업무공간에 대한 규정이 되어 집시법 제11조의 규정형식 및 체계와도 통일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업무공간인 대통령 집무실을 별도로 규정할 경우, 집시법 제11조에 규정된 다른 업무공간에 대한 장소처럼 집회허용의 예외사유를 두어야 할 것인데, 그 사유로는 ‘대통령의 업무를 방해할 우려가 없는 경우’와 ‘대규모 집회 또는 시위로 확산...

      • KCI등재

        집회·시위 현장에서의 채증촬영의 근거와 한계 : 경찰행정법적 시각을 중심으로

        김창휘 韓國土地公法學會 2011 土地公法硏究 Vol.55 No.-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holds a special meaning in the modern history of our country. Considering that fact that our democracy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from authoritative political military-power government through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ly adds to its importance. However, much has changed since then an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37-2), the freedom of assembly is limited for public safety measures, maintenance of order, and public welfare. Yet, considering the facts that the freedom of assembly paved the way for democracy and plays a huge role in development of democracy, It is without a doubt that the freedom of assembly should be thoroughly guaranteed by the government prior to any other fundamental human rights. Despite the political value of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we have witnessed its negative impact in reality, that is, the illegal and violent forms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It had a great negative impact on the basic human rights, safety guarantee of the nation, and social order. This report will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evidence photographing and/or filming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ions including the illegality and violence, and the necessity of basic legislative regulations, while guaranteeing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It deals with both the importance of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a democratic government and the protection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in evidence photographing. Above all else, the report emphasizes the vulnerability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in indiscriminate evidence photographing. The reason behind the necessity of evidence photographing in a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that it is indispensable to the police administration in preventing danger and maintaining public order. The task regulation (the office regulation) and authority regulation (the authorized regulation) must be classified and regulated. However, no authorized regulation for the evidence photographing in an assembly and demonstration can be found in the law and regulations relating to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erefore, the basic requirements of legal basis for the evidence photographing without substantive enactment must be considered. The principle of evidence photographing should limit the subject of evidence photographing to illegal and violent demonstrations and in a case of a real risk, it should be restricted as possible, observing the principle of the proportion. In addition, photo/film evidence should be discarded immediately except for the ones used for the danger prevention and criminal prosecution. Also, although the photo should not be of a certain individual, it would be proper to have a legal basis about it because it may cause the problem of revealing of identity. All photographing and filming should be public because secret photographing and filming is restricted for the rights of the irrelevant 3rd person and the right to decide for the self information of the person concerned. Along with the legal reasons for photography and filming, photography and filming method, management and termination of photography and film evidence, these contents should be the basis for the regulations. The evidence photographing and filming is certainly being used extensively in the present era and it will be used in various areas by the police administration in the futur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y devices and technology. This will bring about new discussions. I am expecting no more exhaustive arguments over this topic and a legislative solution for the prevention of overstraining evidence photographing in the near future. 우리나라의 현대사에 있어 집회·시위의 자유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권위주의적 군사정권에 있어서 민주주의는 집회·시위의 자유를 통하여 발전해 왔음을 고려할 때 그 의미는 더욱더 커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대상황이 변화한 오늘날에는 집회의 자유도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를 위하여 제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집회의 자유가 민주주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적 전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점이나 민주주의 발전에 있어 담당했던 역할을 고려할 때 집회의 자유가 어떤 다른 기본권보다도 철저하게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집회·시위의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더라도 그 이면의 부정적 상황의 발생, 즉 불법, 폭력이 난무하는 집회·시위의 현장을 우리는 경험하였다. 이른바 불법, 폭력집회가 좁게는 개인의 기본권, 나아가서는 국가의 안전보장, 사회질서에 매우 큰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되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집회·시위의 자유를 보장하되 그 현장에서 발생하는 불법, 폭력 등의 행위를 사진촬영하거나 비디오 촬영하는 등의 채증촬영 필요성 및 근거규정의 입법필요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즉 집회·시위가 지니는 민주국가에서의 기본권적 중요성과 함께 채증촬영을 통한 동 기본권의 억압적 측면과 타인의 기본권 보호적 측면을 검토하였다. 무엇보다도 무분별한 채증촬영의 기본권 침해성을 강조하였다. 집회·시위현장에서의 채증촬영이 필요한 이유는 위험예방 및 질서유지를 위한 것으로서 경찰의 고권적 경찰작용이며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임무규정(직무규정)과 권한규정(수권규정)은 구분되어 규율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집회·시위현장에서의 채증촬영을 위한 수권규정은 이른바 집회·시위와 관련한 법률에서 명시적 규정을 찾을 수 없다. 그러므로 명문 규정 없이 행해지는 채증촬영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기 위한 기본적 요건이 고려되어야 한다. 즉 채증촬영의 대상은 불법, 폭력시위를 원칙으로 하며 구체적 위험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가능하리라 보여 지며, 비례의 원칙을 준수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채증촬영된 촬영물은 위험예방 및 형사소추와 관련된 경우 등을 제외하고는 즉시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 진다. 그리고 조망촬영은 어느 특정 개인을 촬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와 같은 경우도 법적인 근거를 두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된다. 장기관찰, 비디오촬영 등과 같은 비밀촬영에 의한 정보수집방식은 당사자의 자기정보결정권에 대한 제약일 뿐 아니라 경찰책임과 관계없는 제3자의 기본권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내용을 기본으로 하여, 채증촬영이 가능한 사유, 촬영방식, 촬영자료의 관리 및 폐기에 관한 법적 근거 등이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등의 개정을 통하여 규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사진·비디오촬영을 통한 채증촬영은 현재도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고 앞으로도 촬영기기 및 촬영기술의 발달에 따라 경찰행정의 다양한 영역에서 그 활용범위를 넓혀갈 것이며 새로운 논의상황이 전개될 것이 확실하다고 보여 진다. 집회·시위 현장의 채증촬영과 관련된 더 이상의 소모적인 논쟁의 중단 및 무리한 채증촬영의 사전 방지 등을 위하여 입법적 해결책이 시급히 마련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집회의 자유 보장과 제한에 대한 헌법적 검토 ― 헌법재판소 결정에 나타난 집회의 자유 보장과 제한을 중심으로 ―

        이세주 ( Lee Se-joo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硏究 Vol.28 No.3

        헌법 제21조에서는 집회의 자유를 국민의 기본권으로 보장하고 있다. 기본권 주체인 개인이 자유롭고 평화로운 집회를 가질 권리는 보장된다. 즉 일정한 장소에서 타인과 자유롭게 접촉하고 모이며, 상호 의사를 자유롭게 교환 및 형성하고, 집단적인 형태로 공동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등 집회와 관련한 여러 주요 내용과 과정 등은 집회의 자유에 포함되며 보장된다. 집회는 다수인이 공동의 목적을 위하여 집단적 의사를 형성하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일정한 장소와 시간에 일시적인 모임이나 회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집회의 자유는 공동의 목적 혹은 관심사 등을 지닌 다수인이 일정한 장소에서 일시적인 집회를 통하여 집단 또는 모임 등을 자유롭게 이루는 것과 더불어, 집회를 통해 다수인이 공동으로 지니고 있는 다수 의사 혹은 집단적 의사를 자유롭게 교환 및 형성하고 다양한 형태로 표현하는 행위도 보호한다. 집회의 자유 보장이 다수인의 자유로운 집회와 공동의 집단적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행위를 보호한다는 의미와 더불어, 일정한 의사가 어느 정도 형성되기도 하는 과정이라는 특징도 갖는다. 즉 자유로운 집회를 통해 일반적으로 다수인이 집단적 의사를 표현하기도 하지만, 집회를 통해 일정한 의사가 형성되기도 하고, 자신의 의사를 구체적으로 형성하거나 수정하며 또는 다른 의사를 수용하거나 혹은 새로운 의사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에 자유롭고 평화적인 집회에 대해서 공공의 안녕질서와 다른 법익에 대한 위험이나 침해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주요내용과 구성요소 등은 집회의 자유 보장과 관련한 헌법재판소의 여러 주요 결정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헌법재판소는 집회의 자유의 기능 및 성질과 관련하여, 집회의 자유 보장은 특히 개인 인격발현 요소와 민주주의 구성요소를 강조하면서 집회의 자유가 지니고 있는 기능을 강조한다. 헌법 제21조 제2항에서는 집회의 자유가 허가를 통해 제한되는 것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자유롭고 평화로운 집회에 대한 허가제는 인정하지 않으며, 정당화 될 수 없다는 점을 헌법에서 직접 규정하고 있다. 이에 집회와 관련한 여러 주요 내용과 과정 그리고 집회의 형태와 형식 등을 제한하는 일체의 국가공권력이 허가의 내용과 방식이라면 이는 금지된다. 헌법재판소는 집회의 자유와 관련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국가공권력에 의해 침해 가능한 형태와 행위 등을 언급하면서, 집회의 자유 기본권의 실질적 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여러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강조하고 있다. In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das Thema uber die Gewehrleistung der Ver-sammlungsfreiheit in der Verfassung, vor allem Art. 21 Abs. 1 und Abs. 2 in der koreanischen Verfassung. Die meisten Verfassungstaaen regeln uber die Gewehrleistung der Versammlungsfreiheit als ein wichtiges Bestandteil in ihren Verfassung. Art. 21 in der koreanischen Verfassung regelt, erstens Alle Staatsburger genießen Redefreiheit und Pressefreiheit sowie Versammlungsfreiheit und Vereinigungsfreiheit, zweitens Ein Verbot oder eine Zensur von Rede und Presse und ein Verbot von Versammlungen und Vereinigungen finden nicht statt, drittens Die Ausstattung von Einrichtungen des Rundfunks und des Nachrichtenwesens und von Institutionen, die notwendig sind, um die Funktion der Zeitungen zu gewahrleisten, werden durch Gesetz bestimmt, und viertens Weder die Rede noch die Presse darf die Ehre oder die Rechte anderer verletzen oder die öffentliche Moral oder die soziale Ethik untergraben. Sollte die Rede oder die Presse die Ehre oder die Rechte anderer verletzen, kann fur den daraus entstandenen Schaden Ersatz verlangt werden. Fur die verfassungsrechtliche Untersuchung uber das Thema die Gewehrleistung der Versammlungsfreiheit spielen Art. 21 Art. 1, Art. 2 und Gesetz uber Versammlung und Demonstration bei uns in Korea eine entscheidende Rolle. Die Rechtssprechungen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 fuhren zu einer erheblichen und praktischen Starkung des Grundrechtsschutzes oder der Grundrechtsgewahrleistung. Fur die praktische Starkung zum Schutz der Versammlungsfreiheit spielt das Verfassungsgericht heute auch eine entscheidende Rolle. In der meisten Rechtsprechungen uber die Versammlungsfreiheit werden das Schutzberiech und die Bedeutung der Versammlungsfreiheit relativ effetivoll kon-kretsiert.

      • 집회시위문화정착을 위한 경찰권 행사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김진태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17 법무보호연구 Vol.3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itizens’ perceptions about the exercise of the police forc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e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variables affecting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dividing them into the freedom and security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the citizens’ legal attitude. For this purpose, selecting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the behaviors of participants in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e citizens’ awareness about the present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the police’s coping method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would reveal their impact on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make policy propos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Hypothesis 1]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on their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it turned out that their trust in the police affects their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Hypothesis 2]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behaviors of participants in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eir behaviors affect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Hypothesis 3]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citizens’ legal awarenes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ir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it turned out that their legal awarenes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affects their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Hypothesis 4]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police’s method of coping with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it turned out that the police’s method of coping with assembly and demonstration affects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본 연구는 집회시위문화 정착을 위한 경찰권행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 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을 집회시위의 자유와 보장, 시민의 법 태도로 구분하여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무엇인 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독립변수로는 경찰에 대한 신뢰, 집회시위 참가자의 행동, 현행 집시법에 대한 인식, 경찰의 대응방식을 선정하여 집 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 설1] 경찰에 대한 신뢰가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회귀분 석결과, 경찰에 대한 신뢰는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가설2] 집회시위 참가자의 행동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한 회귀분석결과, 집회시위 참가자의 행동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 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3] 집회시위에 관한 법률 인식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회귀분석결과, 집회시위에 관한 법률 인식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 설4] 집회시위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식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한 회귀분석결과, 집회시위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식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집시법의 한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석헌 한국경찰학회 2004 한국경찰학회보 Vol.6 No.2

        집시법의 법적용상의 한계, 운용상의 한계, 내용상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집시법 적용상의 개선방안으로는 촛불시위는 사이버공간에 집회내용을 처음으로 게시하는 것이 집회의 시발점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이버공간상의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든가 아니면 현행집시법에 사이버공간을 이용한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개정하여 사이버공간상의 집회 및 시위를 규제할 필요가 있고 3분의 1배의 경우 집시법에 이를 명문으로 규정하여 3보1배를 집회 및 시위로 인정하여 합법적인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기자회견은 참석자의 성향, 목적, 회견방식, 회견장에서의 행태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집시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집시법 운용상의 개선방안으로는 폭력이나 성추행등의 시비에 대비하여 시위진압기법 등을 개발해야 하고 집시법위반자에 대하여 사후에라도 미란다원칙을 고지해야 하고 경찰, 주최측, 국가인권위원회,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집회시위현장 합동참관제도를 마련하여 감시기능을 강화하고 질서유지선 위반자에 대해서는 엄격한 처벌을 해야 할 것이다. 여성,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들이 집회 및 시위를 할 경우에는 단계별, 유형별, 대상별 안전관리수칙을 마련하여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채증과정에 있어서도 주최측의 동의하에 전광판부착 방송차량 활용하여 준법분위기를 확산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집시법 내용상의 개선방안으로는 집시법상의 소음규제는 소음진동규제법상 소음과 구분해야 하고 학교주변지역이나 군사시설의 주변지역의 집회 및 시위의 제한과 관련하여 학교와 인접한 장소에서 집회 및 시위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학교시설과 군사시설로부터 50m이상의 거리를 두게 되면 집회신고자나 경찰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교통소통을 위한 제한과 관련하여 집회를 금지하는 도로를 규정하기 보다는 집회를 허용하는 도로를 규정하는 것이 법집행상의 효율성의 면에서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외교기관 주변 집회 제한과 관련하여 애매모호한 규정을 두고 있는데 헌법재판소의 결정취지를 살리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계정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집회 및 시위 자문위원회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인사를 배제하고 다른 지역의 인사를 참여시키는 방향으로 해야 할 것이다. There is limit in respect of law appliation, operation, contents in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To improve this, candlelight demonstration is supplemented assembly and demonstration contents connected with cyber space because case that achieve through cyber space is much and 3bo lbae is ready plan to legalize. It is desirable that press interview examines attendant' inclination, purpose, interview way, action in interview location etc., We must develop demonstration suppression technique preparing violence or sex assault and must notify miranda principle about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offender and must employ assembly and demonstration combination supervision system, and must play strict punishment about person who violate police line. Noise regulation must decide reasonable standard and keep fixed distance from school equipment or army installation and must prescribe road that permit rather than prescribe road that prohibit assembly for traffic flowing. Finally, assembly and demonstration advisory committee should be consisted of other area' persons to secure objectivity and fairness.

      • KCI등재

        집시법 제11조의 집회금지장소 규정에 관한 법리 재구성 - 헌법재판소 2022. 12. 22. 선고 2018헌바48, 2019헌가1(병합) 결정 -

        박원규 한국경찰법학회 2023 경찰법연구 Vol.21 No.1

        집시법 제11조의 집회금지장소는 헌법재판소의 몇 차례 위헌결정, 헌법불합치결정을 계기로 현재의 규정에 이르렀다. 과거 집시법 제11조는 해당 장소에서의 집회가 전적으로 금지되는 절대적 집회금지장소의 성격을 가졌으나, 현재는 대통령 관저, 국회의장 공관 등을 규정하는 제3호를 제외하고는 집회의 예외적 허용 가능성을 규정함으로써 상대적 집회금지장소로 그 성격이 변화하고 있다. 그런데 집시법 제11조는 1962년 집시법 제정 이후 주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 등을 반영하여 단편적으로 개정되어왔기 때문에 기본권 보장의 관점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 최근에는 대통령의 집무실과 주거공간이 분리됨으로써 집시법 제11조 제3호의 대통령 관저에 대한 해석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결정을 중심으로 집시법 제11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옥외집회와 시위의 금지장소 모두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법리(法理)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집시법상 집회금지장소의 단계별 규율체계에 근거하여, 법익침해에 대한 추상적 위험이 인정되는 경우에만 최소한의 범위에서 집시법상 집회금지장소를 설정하고, 개별 사안에서 집회가 개최되더라도 보호법익에 대한 구체적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예외규정을 통하여 폭넓게 집회를 허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현행 집시법 제11조는 대상기관의 기능이나 안녕에 대한 추상적 위험성이 인정되지 않는 장소에 대해서도 집회금지장소로 설정하고 있으며, 구체적 위험성이 없는 소규모 집회 등도 그 개최를 허용하지 않는 등 위헌적인 부분이 있어 개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최근 집회의 자유에 대한 헌법적 쟁점에 대한 연구

        이희훈 한국입법학회 2017 입법학연구 Vol.14 No.2

        야간 옥외 집회나 시위에 의해 지나치게 큰 소음이 유발되거나 야간의 집회·시위 및 복면 집회·시위에 의해 폭력 집회·시위로의 변질·확대로 인한 공적 안전과 질서의 침해 문제 등은 집시법 제2조 제4호와 제5호·제4조·제5조·제8조 제1항과 제5항·제13조·제14조·제16조·제17조·제18조·제20조 제1항 등에 의하여 해결하는 것이 헌법상 과잉금지의 원칙에 위반되지 않으면서 집회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해 줄 수 있기 때문에 2017년 1월 17일에 의안번호 제2005123호로 집시법 제10조를 삭제하거나 폐지하는 집시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찬성하지만, 복면 집회·시위를 금지하는 집시법 개정안들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그리고 2016년 11월 9일에 의안번호 제2003421호로 집시법 제12조에서 집회·시위시 교통소통을 위한 금지통고 제도를 삭제 또는 폐지하고 집회·시위시 교통소통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제한을 할 수 있게 하는 집시법 개정안은 현행 집시법 제12조보다 헌법상 집회의 자유가 최대한 보장된다는 점에서 찬성한다. 또한 집시법 제12조 제1항에서 주요 도시의 주요 도로의 범위를 향후 지나치게 광범위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축소하여 집회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해야 할 것이며, 형법 제185조는 일반 교통방해죄의 행위태양을 향후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개선을 하여 이로 인하여 집회·시위자가 부당하게 처벌받지 않도록 개선해야 할 것이다. To prevent and solve a problem that will too loud a noise occurs due to the night outdoor assembly and demonstration or that may infringe upon public safety and order by change and expand into violent assembly and demonstration due to the night outdoor assembly, demonstration and wearing mask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should be made not by the means of the prohibition of night outdoor assembly and demonstration by clause 10 in the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wearing mask of assembly or demonstration of the revised bill of this same law but by clause 2, 4, 5, 8, 13, 14, 16, 17, 18 and 1 of 20 of this same law to ensure maximum freedom of assembly. Therefore, I agree with the revised bill of this same law to deletion or abolition of article 10 like a revised bill of this same law of number 2005123 on January 17, 2017. But I oppose the several revised bills of this same law to the prohibition of wearing mask of assembly or demonstration. And, I agree with the revised bill of this same law to deletion or abolition of prohibition system for traffic flow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restriction of minimum requirement to traffic flow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to ensure maximum freedom of assembly in article 12 like a revised bill of this same law of number 2003421 on November 9, 2016 than article 12 of this same law. Besides, It should be appropriately reduced a range of a main roads of main cities not to be so wide in clause 1 of article 12 of this same law to ensure maximum freedom of assembly. And, it is desirable that promoter and participant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can't be punished unfairly by the form of behavior in article 185 of the penal code be revised in the future to be more specific and clear.

      • KCI등재

        집회의 자유와 입법자 및 경찰권

        김종철(Kim, Jongcheol) 한국헌법학회 2009 憲法學硏究 Vol.15 No.3

        정치적 소수자의 민주적 의사를 정치과정에 투입하는 집회의 자유는 입헌민주국가와 전체주의국가를 구별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는 기본적 인권이다. 입헌민주체제에서는 집회의 자유처럼 전체주의체제와 구별되는 징표가 되는 자유에 대해 최대한 친화적인 제도를 구축하고 운용하여야 한다. 헌법 제21조 제1항은 언론ㆍ출판의 자유와 함께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으며 그 제2항은 집회에 대한 허가제를 금지함으로써 그 어떤 입헌체제보다도 명확하게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는 원칙적 자세를 천명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본인식에 기초하고 집회의 자유의 관계권적 본질과 정치적 집회의 우월적 지위를 준거로 삼아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의 위헌성을 논증하고 집회의 자유의 제한에 관한 입법권과 경찰권의 한계를 구체적 사례를 들어 검토하고 있다. 특히 최근 헌법불합치결정을 받은 야간옥외집회금지규정의 위헌성, 신고제에 대한 형사처벌제도의 위헌성과 경찰권의 무분별한 집행의 문제점이 해소될 필요성이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Freedom of assembly is a fundamental liberty against which a country can be evaluated whether it belongs to a group of liberal democracy or that of totalitarian state. Although a totalitarian state can represent itself as a democratic state coupled with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e reality should not match the liberal democratic ideal because it does not hesitate to oppress people's political rights for totalitarian interests. Therefore, if a state identifies itself as a liberal democracy, it should protect political rights like freedom of assembly from abuses of governmental powers. The Constitution of Korea stipulates freedom of assembly along with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speech in Art. 21 (1) and prohibits permission for assembly in Art. 21(2). However, strong skepticism has been raised about the constitutionality of many provisions of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other criminal Acts since its enactment. Furthermore, Lee Myong Bak Government has taken a tough stance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s a part of its self-imposed ‘law and order’ policy and therefore recently increasing worries about the retreat of democracy in Korean society have been made. The author tries to criticize this recent political situation by stressing the nature and constitutional implications of freedom of assembly. The author's focus is given to its relational character as opposed to atomic character of other freedoms, the preferred position of political assembly compared to other assembly and the unique structure of freedom of assembly in human rights clauses in Korean Constitution. He also looks into what is called “poison clauses” of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which include mandatory notice system coupled with criminal sanction, prohibition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the night and so on. The author concludes that legislature and police should respect the constitution-makers' will to protect freedom of assembly enshrined in the Constitution as strictly as possible. Concrete proposals include the legislature's revision of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the direction of liberalization of poison clauses and police's rational and careful execution of the Act.

      • KCI등재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에 대한 연구

        이희훈(Lee, Hie Houn)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3

        먼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 제1호가 그 누구라도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의해 위헌으로 해산된 정당의 정강이나 당헌의 내용을 주장하기 위한 집회나 시위를 개최할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는 것과 동법 제5조 제1항 제2호가 통상적으로 수인할 수 없는 직접적인 위험을 초래할 것이 명백한 집회나 시위를 뜻한다는 것을 건전한 일반상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 규정들은 모두 명확성의 원칙에 반하지 않는 합헌적 규정이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관할경찰관서장이 공공의 안녕 질서에 직접적인 위험이 발생할 것이 명백한 집회나 시위일 때 비로소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 제2호를 적용하여 금지시킬 수 있다는 점과 동법 제8조 제4항과 동법 제9조 제1항에 의해 동법 제5조 제1항 제2호가 사전허가제로 변질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법 제5조 제1항 제2호는 헌법상 금지되는 사전허가제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또한 공공의 안녕 질서를 유지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기 위한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 제2호의 입법 목적은 정당하고, 동 규정에서 공공의 안녕 질서를 직접적으로 위협할 것이 명백한 집회나 시위의 개최를 금지하는 것은 이러한 입법 목적을 실현할 수 있게 기여하므로, 수단의 적합성 원칙에 합치된다. 그리고 동 규정에 해당하는 집회나 시위를 사전에 금지시켜 공공의 안녕 질서와 국민의 기본권이 크게 훼손되는 것을 보호하려는 것을 지나치게 과도한 제한으로 볼 수 없고, 관할경찰관서장이 동 규정에 해당하지 않는 집회나 시위를 위법하게 금지했을 때에는 법원의 소송을 통해 구제를 받을 수 있을 것이므로, 최소 침해의 원칙에 반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 규정에 의해 달성하려는 공공의 안녕 질서의 유지와 국민의 기본권 보호라는 법익은 동 규정에 의해 침해되는 집회의 자유라는 법익보다 크다고 할 것이므로, 법익 균형의 원칙에 반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유로 헌법재판소가 동 규정에 대해 합헌이라고 판시한 2010년 4월 29일의 2008헌바118결정은 타당하다. 이밖에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 제2호는 옥내집회에도 적용된다고 할 것이며, 관할경찰관서장이 과거에 동 규정에 해당되는 집회나 시위를 개최한 전력이 있는 자들에게 이를 이유로 현재에 개최하려는 집회나 시위를 금지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First of all, since any person with common sense can sufficiently predict that Number 1, Clause 1, Article 5 of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means that no person is allowed to hold assembly or demonstration to advocate the platform or constitution of a political party dissolved for violating the Constitution by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at Number 2, Clause 1, Article 5 of the same law means the assembly or demonstration which is clearly likely to cause a direct risk not normally acceptable, those provisions should be deemed constitutional not violating the void for vagueness doctrine. And, considering that the chief jurisdiction police officer can only prohibit an assembly or demonstration which is clearly likely to cause a direct risk to the public peace and order by applying Number 2, Clause 1, Article 5 of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also that Clause 4, Article 8 and Clause 1, Article 9 of the same law prevents the above-mentioned Number 2, Clause 1, Article 5 from being converted to a prior permission system, the Number 2, Clause 1, Article 5 should be deemed not a prior permission system prohibited by the Constitution. Also, since the legislative purpose of Number 2, Clause 1, Article 5 of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to protect basic rights of the citizens by maintaining the public peace and order is legitimate and since the same provision's prohibition of assembly or demonstration which is clearly likely to cause a direct risk to the public peace and order contributes to achieving such legislative purpose, that provision conforms to the principle of suitability of means. And, since protecting the public peace and order and basic rights of the citizens from serious damage by prohibiting in advance the assembly or demonstration falling under the above-mentioned provision can not be deemed as excessive restriction and since one can file a lawsuit in a court of law for relief measures if the chief jurisdiction police officer unlawfully prohibits the assembly or demonstration not falling under the same provision, that provision does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minimum infringement either. Therefore, as the benefit of maintaining the public peace and order and protecting basic rights of the citizens to be achieved by the above-mentioned provision exceeds the benefit of freedom of assembly harmed by the same provision, the principle of the balance of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is not violated, according to the author. For such reasons, the Constitutional Court's 2008Hunba118 decision of April 29, 2010 holding the same provision constitutional is correct. In addition, Number 2, Clause 1, Article 5 of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should be deemed to apply to indoor assemblies too and the chief jurisdiction police officer should not be allowed to prohibit those having ever held an assembly or demonstration falling under that provision from holding an assembly or demonstration in the present by reason of the past assembly or demonstration.

      • KCI등재

        집회 · 시위의 전제로서 ‘장소’개념에 대한 고찰 : 미국의 ‘공적 광장이론’과 새로운 공간전술에 대한 비판 논의를 중심으로

        권혜령(Kwon Hye-Ryou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10 공법학연구 Vol.11 No.3

        2008년의 촛불시위이후 서울광장 등 전국 도심에서 벌어지는 각종 집회를 규제해온 정부는 국민의 기본권인 집회의 자유를 보장할 헌법적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 다수의 사람이 공동의 의사를 표현하는 집회의 특성상 타인의 권리와의 상충을 제한할 필요성은 있으나 현행 집시법은 사전제한, 시간 · 장소 · 방식규제, 사후처벌 등의 규제장치로 집회 · 시위의 자유를 심각하게 제한하고 있다. 집회의 장소는 표현의 자유와 긴밀한 관련성을 가지고, 이 때문에 국가는 장소규제를 통해 효과적으로 반대와 이의를 억압한다. 미국의 ‘공적 광장이론’은 집회의 자유에서 장소의 중요성을 환기시켜주는데, 그 기본적 이론구성은 정부는 공물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행사할 수 있으나 시민의 표현의 자유를 위해 일정한 장소에서 정부의 소유권은 제한된다는 것이다. 미국 연방대법원이 발전시켜온 ‘공적 광장이론’은 1939년 Hague판결에서 공개적 장소에서 소통할 권리를 미국시민의 특권으로 보호한데서 시작되어, 1983년 Perry판결에서 각기 다른 심사기준이 적용되는 전통적 공적 광장, 제한적 공적 광장을 포함한 지정된 공적 광장, 비공적 광장으로 유형화되면서 확립되었다. 그러나, 이론이 처음 제시될 때부터 범주화의 논거가 불명확한 점, 중간적 범주의 광장의 개념이 모호한 점 등의 비판에 직면해왔다. 특히 공적 광장이 정부의 의도여하에 따라 창설된다는 점이 쟁점이 되었다. 1992년 ISKCON판결 등 최근의 판례에서는 공적 광장을 개방할지 여부에 대한 정부의 의도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또 한 가지 중요 쟁점은 지정된 공적 광장에 엄격심사기준을 적용함으로써, 또 특정 단체, 특정사람에게만 개방되는 제한적 공적 광장이라는 중간적 광장에는 합리성 심사가 적용됨으로써, 전자는 전통적 공적 광장과, 후자는 비공적 광장과 범주구분이 모호하게 된다는 점이다. 최근의 집회 · 시위에 대한 국지적 장소구획과 분할은 공적 광장이론의 한계를 더욱 분명히 드러내준다. 대통령의 방문장소, 대규모 정치행사장 부근, 공공기관 부근 등에 집회가 제한(또는 허용)되는 장소를 설정함으로써 반대와 이의의 목소리가 허용된 공간 이상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공간구획에 대해 법원은 대안적 소통 방법이 보장된 내용중립적 규제로 판단하고 있으나, 청취자의 시청각범위 밖에 존재하는 제한된 장소에 가두어진 항의는 사회에 위험하고 적대적인 것으로 이미지화된다. 결국 집회장소의 분할은 중립적 장소규제가 아니라 내용에 근거한, 더 나아가 특정 관점을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의견이 상호경쟁하는 사상의 자유시장을 왜곡시킨다. 푸코에 따르면, 공간을 제약하는 것은 공간내에서 개개인에 대한 포위와 조직을 통한 순응적(온건한) 신체의 창조에 있다. 공간전술의 목적은 다른 그룹에 대한 한 그룹의 권력의 유지에 있고, 공간전술은 권력이 대항권력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채택하는 정치적이고 목적적인 기술이다. 집회 · 시위에 대한 장소적 제한 또한 공간과 내적 긴밀성을 가져야 할 집회를 집회의 대상인 공간에서 소외시키고 그 결과 집회 · 시위의 전달능력은 극도로 약화된다. ‘공적 광장이론’은 장단점을 모두 내재한 이론으로서 집회의 자유를 촉진하기 위한 이론으로 수용하기 위해 더욱 분석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그 사회의 기본권 실현의 정도는 궁극적으로 사회구성원들의 기본권 획득의 의지와 행동에 달려있다. Since candle-demonstration of 2008, present government has regulated most of assembly in Seoul Square etc. Because characteristic of assembly is that many people express their's opinion, some restrictions is necessary to mediate conflicts with the rights of others. But current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seriously infringes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by prior restraint, time, place, and manner control, subsequent punishment. ‘Assembly Place’ is closely connected with freedom of expression, on this account government power suppresses effectively dissent and opposition by control of place. “Public Forum Doctrine” in the U. S. calls importance of assembly place. That government exercises complete ownership for public property, but on some place the ownership is restricted for freedom of expression is the structure of the theory. The theory developed in U. S. Supreme Court is originated from 1939, Hague v. CIO, and was categorized as traditional public forum, middle public forum(designated public forum and limited public forum), non public fora which was applied each different level of scrutiny in 1983, Perry case. However, from the start, the theory has been faced to criticism because of uncertainty of category basis, ambiguity of middle public forum. Public forum is created by intent of government is specially pointed out the theory's drawback. Applying strict scrutiny in designated forum and reasonableness standard in limited forum is another major issue. By applying so, categories of the former and traditional public forum becomes vague, the latter and nonpublic fora. Current local zoning and displacing tactics of assembly place clearly reveals flaws of the theory. Government prevents voices of dissent and objection from spreading beyond permissive space by establishing place assembly is limited(or allowed) in visit place of President, a large-scale political event place, neighborhood of public institution buildings. Courts judge this spatial zoning content-neutral control. But dissent confined in restricted area outside audio-visual range of listener is regarded as dangerous and hostile to society. Finally, zoning of assembly place is not content-neutral but content-based control, and furthermore, by inducing specific viewpoint, makes free market place of ideas distorted. Because public forum doctrine is the theory with all merits and demerits, to accept as theory for promotion of freedom of assembly, more analytical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But first of all, the realization of fundamental rights in a society depends on all members' will and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