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반응시간에 따른 아질산화 반응조 내 질소 화합물 변화

        임지열,길경익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본 연구는 A 하수처리장 내 혐기 소화 상징액 그리고 농축조 상징액을 대상으로 반응시간에 따른 질소 화합물 성상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수처리장에서 질소 처리는 일반적으로 질산화 – 탈질의 생물학적 처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친환경·저에너지 형 기술이 주목받음에 따라 기존의 완전질산화 반응과 비교하여 경제적인 아질산화 반응 및 관련 연계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질산화 반응은 SRT 조절에 따른 nitrite oxidizing bacteria(NOB)의 wash-out 또는 free ammonia(FA)에 의한 저해 작용과 같은 인위적인 조작이 없으면, 자연적 안정적으로 유도되기 어려운 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약 300일에 걸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조 운전을 통하여 운전 SRT 별 반응시간에 따라 반응조 내 질소 화합물의 성상 변화를 분석하였다. 안정적인 아질산화 반응이 유도된 구간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감소함에 따라 아질산성 질소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완전질산화가 유도된 구간에서는 일정 반응 시간 암모니아성 질소가 감소함에 따라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가 증가하다 일정 시간 이 후 아질산성 질소가 감소하고 질산성 질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완전 질산화가 유도된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SRT로 인해 반응기 내 아질산성 질소로 전환되었던 질소 화합물이 다시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아질산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아질산화 반응이 유도 가능한 SRT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실 규모 운전 결과를 바탕을 도출된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실제 하수처리장에 아질산화 반응 도입 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활성화된 질산화균 주입에 의한 저온 질산화효율 향상

        임동일,김영희 한국도시환경학회 2018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8 No.4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lab scale bioreacto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itrification reaction according to operation condition (temperature, inhibitor (as Cl), activated nitrifying bacteria (ANB). etc) to improve nitrification efficiency at low temperature. Recovery rate of nitrification took about 4 days to reach the normal level by injected ANB after inhibition shock of CI injection at 20oC, when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NO2−-N+NO3−-N in the effluent. In the case of 10oC, recovery of nitrification rate took about 4 days to reach the level of half to the normal level and 7 days for complete recovery which took 3 days more than those at 20oC. At 10oC considering the winter season, the specific nitrification rate(SNR) of the from 1 day to 6 days after injected ANB according to its operation condition increased from 0.029 to 0.767 mgN/gSS/hr. The simulated SNR for the 8th day after the injected ANB at 10oC was 0.840, 3.625 mgN/gSS/hr, respectively as linear function and exponential function, expecting to exceed level of 2.592 mgN/gSS/hr at normal con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jection of ANB during low temperature operation has many effects for improving nitrification efficiency through this study. In future studies, if further studies are carried out the determination of ANB injection and the design of efficient ANB reactor considering the changes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by site,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nitrification efficiency in winter season. 본 연구에서는 Lab 규모의 생물반응장치를 제작하여 운전조건 변화(온도, 저해물질(Cl), 활성화된 질산화균 투입 등)가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저온 조건에서 질산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NO2−-N+NO3−-N 농도 실험에서 20oC의 경우 염소를 투입하여 질산화균을 사멸한 후 활성화된 질산화균을 투입하면, 정상수준까지 회복하는 데약 4일 정도 소요되었다. 10oC의 경우, 활성화된 질산화균을 투입하여 이전 상태로 회복 되는 데는 약 7일 정도 소요되어 20oC에 비하여 약 3일이 더 소요되었다. 비질산화속도 실험에서는 10oC 운전조건에서 활성화된 질산화균 투입 후 1일경과시 비질산화속도는 0029 mgN/gSS/hr에서 6일 경과시 0.767 mgN/gSS/hr까지 증가하였다. 선형 모형식과 지수함수 모형식에 의한8일 경과후의 비질산화속도는 각각 0.840, 3.625 mgN/gSS/hr로 예측되어 정상수준인 2.592 mgN/gSS/hr을 상회하는 것으로예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저온 운전시 활성화된 질산화균을 주입하면 질산화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효과가 있음을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현장별 운전특성을 고려한 ANB 투입량의 결정, 효율적인 ANB reactor의 설계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동절기 질산화효율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양돈폐수 공공처리장에서 질산화 및 탈질산화 효율향상을 위한 공정개선

        김병군 ( Byung-goon Kim ),김홍석 ( Hong-suck Kim ),서인석 ( In-seok Seo ),김연권 ( Youn-kwon Kim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8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C군 양돈폐수 공공처리장을 대상으로 질산화 반응 및 탈질산화 반응 저해 요인을 조사하고, 시설개선을 통해 방류수 질소제거 효율을 향상시켰다. 공정진단 결과, 호기조에서 질산화 반응으로 인해 pH가 7 이하인 4~5 정도로 유지되고 있어 생물학적 질산화 반응 및 기타 생물학적 기작이 적정하게 일어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질산화에 있어서 pH의 영향은 매우 크며, 통상 최적 pH범위는 7.2~8.0로 공공처리장의 공정을 개선하여 pH를 조절해 주었으며, pH 조절 전후의 방류수 총질소 농도변화는 pH를 조절해주기 전 평균 179 mg/L(118 mg/L~304 mg/L)에서 pH 조절 후 평균 62 mg/L로 안정적인 값을 보임으로 pH 조절을 통해 질소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nitrification & denitrification in "C" public swin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nd to improve the nitrogen removal efficiency by facility retrofitting. As the results of facility investigation, The pH of oxic tank is from 4 to 5. At the pH lower than pH 7, the inhibition of nitrification can be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pH control(pH 7), the average of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of effluent changed from 179 mg/L to 62 mg/L. From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pH control by 7 in oxic tank could increase the nitrogen removal efficiency.

      • 미세조류와 질산화 박테리아의 공배양시 접종 비율에 따른 하수처리능 평가

        최경진,주성진,이석민,장산,황선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대부분의 국내 하수처리장에서는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생물학적 고도처리를 시행하고 있다. 생물학적 질소 제거는 질산화와 탈질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 때 질산화 박테리아는 1 mol의 ammonium을 0.977 mol의 nitrate로 질산화하기 위해 1.83 mol의 산소를 필요로 한다. 한편, 미세조류는 빛 에너지를 이용한 광합성을 통해 성장하는데, 질소원으로 1 mol의 ammonium을 이용하여 광합성하는 경우 6.63 mol의 산소를, 1 mol의 nitrate를 이용하여 광합성하는 경우 8.63 mol의 산소를 생성한다. 이러한 미세조류와 질산화 박테리아를 공배양하게 되면, 이론적으로 질산화 박테리아가 필요로 하는 산소는 미세조류의 광합성을 통해 공급되며, 질산화를 통해 생성된 nitrate는 미세조류의 성장에 필요한 질소원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미세조류와 질산화 박테리아가 성장하면서 공통으로 이용하는 기질인 ammonium, phosphate는 제거속도의 향상도 기대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기물이 배제된 인공하수의 고도처리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질산화 박테리아와 미세조류의 접종 비율을 10:10 (w/w), 10:5 (w/w), 10:1 (w/w)로 다르게 공배양하여 실험하였다. 반응기는 2.5 L 용량의 원통형 반응기를 사용하였으며, working volume은 2 L로 하여 운전하였다. 폭기는 해 주지 않았으며, 박테리아와 미세조류의 침강을 막기 위해 세 조건 모두 150 rpm으로 교반해 주었다. 실험에 사용한 배지는 modified BBM 배지로, 초기농도 NH<sub>4</sub>-N 50 mg/L, NO<sub>3</sub>-N 50mg/L, PO<sub>4</sub>-P 15mg/L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미세조류의 비율이 높을수록 질소 제거량이 높았으며, 특히 nitrate의 제거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반면, 인 제거량의 경우에는 접종 비율에 따른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알칼리도 제어에 의한 SBR 반응조에서의 부분아질산화

        이창규(Chang Kyu Lee)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4

        혐기성 암모늄 산화공정 전처리로써 적절한 NO₂--N/NH₄+-N 반응비율에 맞는 유출수를 생성하기 위한 연구실 규모의 연속 회분식 반응기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부분아질산화 적용에 있어서 운전인자들을 이용하여 AOB를 활성화하고, 동시에 NOB 를 억제하는 다양한 전략이 있다. 하지만 적용된 인자들은 명확히 정의되지 않고 아질산 축적에 있어서 극복할 점이 있다. 본연구의 목적은 부분아질산화의 주 인자를 조사하여 안정적인 공정을 구축하는데 있다. 부분아질산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우세적인 인자인 온도, 중탄산알칼리도, pH를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의 결과로써 알맞은 알칼리도 비가 35℃와 상온 두가지온도범위에 안정적인 50% 부분아질산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질산화시 필요한 알칼리도를 50% 아질산화에 맞추어 주입하여질산화과정을 억제하는 것이다. 알칼리도 비는 pH 조절없이 50% 부분아질산화의 전략으로 제안한다. 유출수의 NO₂--N/NH₄+-N 비가 거의 100%에 다다랐을 때 중탄산알칼리도는 각각 6.8, 6.7이 되었다. PCR-DGGE의 미생물 분석 결과 암모늄산화균이 지배적인 질산화균임을 알 수 있었으며 NOB는 억제되어 활성을 잃은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major parameter of partial nitritation was investigated for the stable operation. In order to establish partial nitritation system, prevailing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BA (bicarbonate alkalinity) and pH were evaluated. As a result, it is inferred that appropriate bicarbonate alkalinity ratio (mg NaHCO₃·L-1/mg Inf. NH₄+-N·L-1) drives stable 50% partial nitritation at 32℃ and ambient temperature, respectively. Alkalinity ratio was proposed as new strategy for 50% partial nitritation without pH control in both temperature regimes. Because of the results, it was added amound of BA required only for 50% nitritation to inhibit nitratation. The effluent NO₂--N/NH₄+-N ratio reached almost 100% when initial bicarbonate alkalinity ratios (mg NaHCO₃·L-1/mg Inf. NH₄+-N·L-1) were 6.8 (R1) and 6.7 (R2), respectivel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results demonstrated that AOB was the dominant nitrifying bacteria and NOB was negligible after adopting process control.

      • KCI등재

        암모늄 이온 및 질산화균의 초기 농도가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김정훈(Kim Jung Hoon),김영주(Kim Young Ju),박흥석(Park Hung Suck)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6 No.4B

        본 연구는 생물학적 질산화 공정에서 암모늄 이온과 활성을 가진 질산화균의 초기 농도가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동역학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실험에 이용된 슬러지의 질산화균 농도는 미생물 호흡률 실험으로 측정하였는데, 배양된 슬러지 중 42.8%가 활성을 가진 질산화균으로 나타났다. 암모늄 이온과 질산화균의 초기 농도를 달리하여 N?/X? 비가 0.025~0.493의 조건에서 질산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암모늄 이온과 질산화균의 농도가 상이하더라도 N?/X? 비가 동일할 경우 암모늄 산화율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N?/X? 비와 비기질이용율의 관계는 Contois 형태의 관계식으로 표현되었으며, 최대 비암모늄산화율(q<SUB>Nmax</SUB>)은 4.32 gN/gVSS/day, 반 포화속도 상수(K<SUB>N</SUB>')는 0.013 gN/gVSS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effect of initial concentration of ammonium ion (N?) and active nitrifiers (X?) on nitrification was examined by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ammonium removal rate. The concentration of the active nitrifiers in the culture sludge, measured by the oxygen uptake rate (OUR), was found to be 42.8% of the culture sludg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different ratios of N?/X?, viz., 0.025 to 0.493.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the oxidation rate was similar under the same N?/X? ratio despite different initial concentration of ammonium ion (N?) and active nitrifiers (X?). Moreover, the Contois kinetic expression which includes biomass concentration, was found to describe the mechanism behind nitrification process. The ammonium oxidation rate (q<SUB>Nmax</SUB>) and half saturation constant per unit activated nitrifiers (K<SUB>N</SUB>') were theoretically determined using the Contois expression. These values were found to be 4.32 gN/gVSS/day and 0.013 gN/gVSS respectively.

      • KCI등재

        생물막 공정에서 염분함유 폐수의 질산화에 관한 연구

        최동혁,김기용,권중천,김태동 한국도시환경학회 2017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7 No.4

        Biologically advanced treatment process is widely used for high concentration wastewater treatment, and it has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removal of nutrients flowing into the water environment. However, the research for food wastewater, fish processing wastewater, landfill leachate and the like, their high salinity adversely affecting the biological treatment efficiency, has rarely been conduc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alinity on the nitrification of wastewater carrying high organic concentration using the Biofilter Process. Nitrification was not affected with low salinity concentration of 2,000~55,000 mg·NaCl/L, however, it was affected with salinity concentration of 80,000 mg·NaCl/L, resulting the reduction of nitrification rate to 11.4%. The initial neutral pH of the wastewater, including NaCl 30,000 mg/ L and TN 500 mg/L, dropped to 6 or less as nitrification went along and reduced to 50%. In the case of basic region, the pH of the reactor was maintained at about 7.0 despite the nitrification reaction and the nitrification rate was about 80% or more. In the acidic region, the pH of the reactor was greatly decreased and nitrification was hardly achieved. As the pH level during the operation period was adjusted to the neutral region, the nitrification efficiency was higher than 99%. It could be postulated that for the effective nitrification, the pH of influent water needed to be adjusted to neutral or higher and maintained during nitrification process. 생물학적 고도처리공법은 수계에 유입되는 영양물질 제거에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고농도의 염분으로 생물학적 처리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음식물폐수, 수산물가공폐수, 매립지 침출수 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Biofilter Process을 이용하여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폐수의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염분 농도, pH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염분 농도 2,000~55,000 mg·NaCl/L에서는 질산화가 염분의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염분 농도 80,000 mg·NaCl/L에서는 질산화율이 11.4%에 그쳐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NaCl 30,000 mg/L, T-N 500 mg/L의 조건하에서 질산화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중성영역의 경우 질산화 반응으로 인한 반응기의 pH가 약 6이하로 감소되고 질산화율이 약 50% 이하를 나타내었다. 염기성영역의 경우는질산화 반응에도 불구하고 반응기의 pH는 약 7.0으로 유지되고 질산화율이 약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산성영역의 경우에는 반응기의 pH가 크게 감소하고 질산화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운전기간 동안 pH를 중성영역으로 조절한 결과 질산화 효율이 99%이상으로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운전기간 동안에 중성이상의 pH로 유지하는 것이 질산화에 효과적인 것을 알았다.

      • 미세조류와 질산화 박테리아의 co-culture 우수성 평가

        최경진,황선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2

        기본적으로 박테리아는 유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산소를 소비하고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며, 미세조류는 빛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광합성 하는 과정에서 영양물질을 흡수하고, 산소를 생산한다. 이러한 미세조류와 박테리아를 혼합배양(co-culture)할 경우, 미세조류는 박테리아의 활성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박테리아는 미세조류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함으로써 서로 공생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와 박테리아의 공생관계를 하폐수처리에 적용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하폐수처리 공정 내에서 질소 제거에 있어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박테리아인 질산화 박테리아와 미세조류와의 co-culture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질산화 박테리아는 독립영양미생물로써, 유기물 대사는 하지 못하지만 하수처리에서 중요한 질소제거 관점에서 봤을 때, 미세조류의 NH4+ 및 NO3-의 섭취와 박테리아의 질산화에 따른 NH4+ 의 제거 및 NO3-의 생성에 의해 하수 내 질소의 상호 보완적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질산화 박테리아와 미세조류의 co-culture로 인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미세조류만 있는 조건과 질산화 박테리아만 있는 조건을 대조군(control)으로 설정하였다. 반응기는 2.5L 용량의 원통형 반응기를 사용하였으며, working volume은 2L로 하여 운전하였다. 폭기는 박테리아 단일조건에만 0.1 vvm으로 약하게 해주었으며, 슬러지와 미세조류의 침강을 막기 위해 세 조건 모두 150 rpm으로 교반해주었다. 실험에 사용한 배지는 modified BBM 배지로, 초기농도 NH4-N 50 mg/L, NO3-N 50 mg/L, PO4-P 15 mg/L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미세조류와 질산화 박테리아의 co-culture 조건이 미세조류 및 박테리아 단일조건과 비교하여 질소(NH4-N, NO3-N) 및 인 제거속도 모두 월등히 빠르게 나타났으며, 미세조류 성장속도 및 성장량 측면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A-39 : 미세조류와 질산화 박테리아의 co-culture 우수성 평가

        최경진,황선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기본적으로 박테리아는 유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산소를 소비하고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며, 미세조류는 빛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광합성 하는 과정에서 영양물질을 흡수하고, 산소를 생산한다. 이러한 미세조류와 박테리아를 혼합배양(co-culture)할 경우, 미세조류는 박테리아의 활성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박테리아는 미세조류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함으로써 서로 공생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와 박테리아의 공생관계를 하폐수처리에 적용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하폐수처리 공정 내에서 질소 제거에 있어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박테리아인 질산화 박테리아와 미세조류와의 co-culture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질산화 박테리아는 독립영양미생물로써, 유기물 대사는 하지 못하지만 하수처리에서 중요한 질소제거 관점에서 봤을 때, 미세조류의 NH4+ 및 NO3-의 섭취와 박테리아의 질산화에 따른 NH4+의 제거 및 NO3-의 생성에 의해 하수 내 질소의 상호 보완적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질산화 박테리아와 미세조류의 co-culture로 인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미세조류만 있는 조건과 질산화 박테리아만 있는 조건을 대조군(control)으로 설정하였다. 반응기는 2.5L 용량의 원통형 반응기를 사용하였으며, working volume은 2L로 하여 운전하였다. 폭기는 박테리아 단일조건에만 0.1 vvm으로 약하게 해주었으며, 슬러지와 미세조류의 침강을 막기 위해 세 조건 모두 150 rpm으로 교반해주었다. 실험에 사용한 배지는 modified BBM 배지로, 초기농도 NH4-N 50 mg/L, NO3-N 50 mg/L, PO4-P 15 mg/L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미세조류와 질산화 박테리아의 co-culture 조건이 미세조류 및 박테리아 단일조건과 비교하여 질소(NH4-N, NO3-N) 및 인 제거속도 모두 월등히 빠르게 나타났으며, 미세조류 성장속도 및 성장량 측면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HASP 공정의 동역학적 질산화와 탈질산화 효율 연구

        윤영한(Yoon Young Han),박재로(Park Jae Roh),안상우(An Sang Woo),지재성(Gee Jae Sung)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4B

        HASP공법은 표준활성슬러지공법 내 고도처리공법의 적용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본 논문은 동역학적실험을 위한 회분식 실험과 P시 하수종말처리장 내 설치한 10,000 ㎥/일 규모의 실증시설 내 실시간 운영데이터분석을 통하여 HASP 예비운전의 질소제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기 NH₄?-N 부하의 증가를 통한 비질산화율(SNR)과 비탈질화율(SDNR)의 영향과 HASP 예비운전의 실시간 운영데이타로 부터 포기/비포기 전환속도에 따른 질소제거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산화와 탈질산화 반응은 1차반응을 따르며, (2) 최대 SNR과 SDNR은 4.0308 ㎎N/gVSSㆍhr과 2.7852 ㎎N/gVSSㆍhr 관찰되었다. (3)실시간 운영데이타를 통한 질산화와 탈질화반응의 호기/무산소 전환속도는 질산화반응이 탈질화반응보다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탈질산화속도를 증가하는 것이 HASP 운영상 보다 높은 질소제거 효율을 갖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Hybrid Activated Sludge Process (HASP)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n activated sludge process for advanced nutrient treatment.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removal from the HASP was investigated through a kinetic study by batch-type experiment. On-line DB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nutrient removal performance in the field demonstration plant treating 10,000 ㎥ sewage per day in P city. This paper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creasing NH₄?-N load on the specific nitrification rate (SNR) and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SDNR) through the batch-type experiment and to estimate the net reaction time for the phase-transfer rate by the on-line DB analysis from the HASP manual mode operation. Experimental results include; (1) Both the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followed first-order kinetics. (2) The maximum SNR and SDNR were 4.0308 ㎎N/gVSSㆍhr and 2.7852 ㎎N/gVSSㆍhr, respectively. (3) Comparison the phase-transfer rates between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from the on-line DB analysis found that nitrification rate was higher than denitrification. It was concluded that increase in denitrification rate can enhance overall nitrogen removal rate in the HASP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