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가족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및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분석

        박명신 ( Park Myeung S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가족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및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분석을 위해 대전·충남지역 4년제 대학교에서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자기결정성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가족탄력성과 진로결정수준사이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들의 진로결정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 제공과 취업교육 및 진로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 그리고 취업률 제고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We conducted a structural analysis on the family resil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and on career decision level of who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92 students at 4-year college, Daejeon, Chungna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in the following sentences. First, the family resilience of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courses for lifelong educato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courses for lifelong educato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Third, the self-determination of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courses for lifelong educato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Fourth, the confirmed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have meaningful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family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This suggests that it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o improve career decision level of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courses for lifelong educators family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vocational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and employment career.

      • KCI등재후보

        근거이론분석을 통한 진로전환결정요인, 새로운 진로선택과정 및 진로전환유형에 관한 연구: 관광산업 종사원을 중심으로

        최우성 ( Choi Woo-su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7 Tourism Research Vol.42 No.4

        진로전환은 자신의 직업결정행동의 의미를 재평가하며 자신의 이상적 직업을 찾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 산업체에 종사했던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2017년 5월까지 총 100명을 참여자 선정하여 첫째, 연령대별로 진로전환을 결정하게 된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였으며, 둘째, 진로전환을 한 사람들 중 성공한 사람과 실패한 사람의 진로전환유형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진로를 결정하고 선택하였는지, 진로선택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관광산업체에 종사했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진로전환을 결정하게 된 주요원인은 20, 30대의 경우 고용환경에 대한 불만족이었으며, 40대는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에 진로를 전환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료의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을 지속적으로 비교한 후 각 범주 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를 정형화하여 진로전환결정 유형을 구분한 결과 ‘진로전환성공형’, ‘대안발견형’, ‘경력활용형’, ‘자포자기형’의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들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진로전환성공형은 중재적 조건인 내적 및 외적 지지에 대해 강하게 인식한 사람들로 나타났으며, 대안발견형은 진로전환결정을 위기로 받아들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대처방식을 통해 창업에 성공한 사람들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활용형은 진로전환결정요인과 소진 등과 같은 맥락적 조건에 대해 약하게 인식하는 사람들이 내적 및 외적 지지와 같은 중재적 조건들에게 약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포자기형은 진로전환결정요인에 의해 높은 소진이나 직업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고 진로전환에 따라 경제적으로 어려우며, 자신감이 상실되면서 동시에 주변사람의 지지나 대처방식이 없는 사람들로 새로운 진로를 찾는 것을 포기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가 및 기업차원에서 다양한 진로전환과 관련된 프로그램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Career transition is equipped with academic significance as it is the process of discovering a person’s ideal occupation by reevaluating the meaning of his or her career determination behavior. Here, in this study, total 100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the employees who had engaged in tourism industry and studied from October, 2016 until May, 2017 firstly, to figure out the determinants of career transition by age, secondly, to examine the types of career transition in those who had succeeded or failed in career transition, and lastly, to investigate how they had decided on or chosen new career, that is, the process of career cho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the main and common reasons why those engaged in tourism industry decided on career transition, those in the 20’s and 30’s chose dissatisfaction about the environment of employment, and those in the 40’s decided on career transition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ir futur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hypothetic standardization and relation statements of materials continuously and then standardizing relations repetitively in each of the categories and dividing the types of determination in career transition, four types were drawn as follows: the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type’, ‘alternative discovery type’, ‘career use type’, and ‘self-despair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types, the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type includes those who recognize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the interventional condition, strongly. The alternative discovery type includes those who accept the determination of career transition as risk and succeed in startup through various coping methods by overcoming it. Also, the career use type includes those who recognize the determinants of career transition or contextual conditions like exhaustion subtly and perceive interventional conditions such as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vaguely, too. The self-despair type include those tend to experience much exhaustion or confusion in occupational identity on account of the determinants of career transition, face financial difficulties for career transition, lose confidence, and have no support from people around or coping methods. They often give up looking for new career.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programs and provide support for career transition multilaterally by the government and also enterprises.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과의사결정 상태와의 관계

        고홍월,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1

        The research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for the advisable decision-making process and strived to investigate career indecision variables. However, as revealed through Kim & Kim(1997), Jang(2003), Wanberg & Muchinsky(1992), considerable problematic decisions such as unadvisable decision-making process and non-concrete and/or unrealistic career goals have been made by many college students who declared that they have decided their future careers. Furthermore, some measurement limitations exist because mos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measurements depended on self-report methods. We defined the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as the advisable career decision-making state in terms of both content and process. In order to measure a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we developed a structured interview schedule and the rating criteria.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composed of decision-making contents and processes. Through 347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cided and the undecided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and between the decided-comfortable group and the decided-uncomfortable group. Analyz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of the 347 college students, it was clear that a premature decision-making phenomenon well exists in their career decis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maturely decided are as follows. ① They were unaware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② They were lack of related occupational information, ③ They were low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④ They had obscure career goals and plans, ⑤ They had biased career values. Through this resul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진로의사결정 영역의 연구는 주로 바람직한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이론연구 및 진로미결정의 원인을 파악하려는 경험연구에 주력해왔다. 국내·외에서 수행된 대학생 대상의 연구들에 의하면(김봉환·김계현, 1997; 장선철, 2003; Jones, 1989; Wanberg & Muchinsky, 1992 등) 의사결정의 과정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의사결정을 한 내용 역시 구체적이거나 현실적이지 못한 진로결정자가 상당수 있음을 보여준다.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측정도 자기보고식 검사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에 실제 결정상태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진로의사결정의 바람직하고 현명한 정도를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라고 정의하여 347명 3, 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구조화된 면담질문도구와 채점기준을 개발하였는데, 면담질문은 진로의사결정의 내용차원과 진로의사결정의 과정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 중에는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 매우 낮은 사람이 상당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로를 결정했다고 응답하는 결정자가 미결정자보다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진로결정자 중에서도 자신의 결정에 대해서 편안해하는 대학생의 성숙수준이 그렇지 못한 대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진로결정 성숙수준이 심하게 낮다고 판단되는 대학생 14명을 선발하여(결정자 중 5.7%) 특성을 분석해본 결과, 이들은 (1) 개인의 직업적 특성 이해 부족, (2) 관련 직업정보의 부족, (3) 진로준비행동의 부재, (4) 목표와 미래계획의 부재, (5) 편파적 직업가치 등 특성을 보인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실제적 의의를 분석하고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면담질문도구의 타당성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술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과에 나타난 자기결정 요소 분석

        박상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과 ‘나’ 단계에 나타난 자기결정 요소를 탐색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과의 각 단원과 제재들 속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결정 요소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진로와 직업과의 많은 단원과 제재들 속에는 자기결정 훈련 프로그램에 나타난 자기결정 요소와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다. 자기결정 요소와 활동은 선택 및 의사결정, 문제해결, 목표설정 및 성취기술 등이다.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과 교과목의 자기결정 요소를 살펴보면 진로와 직업 ‘나’ 단계 교과서 총 25개 단원 중 17개 단원의 46개 제재가 자기결정 구성요소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진로와 직업 ‘나’ 단계 교과서는 직업 생활, 직업 탐색, 직업 준비, 진로 설계 영역 순으로 자기결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이 진로와 직업 수업을 통해 자기결정기술을 습득해 나감으로써 학교 현장의 진로직업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어 가는데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과정과 개입요인 탐색

        임은미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ing the process of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mediating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interview data from 15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Participants responded interviews in writing, face to face interview, pre-post career indecision questionnaire over one semester. The data were analysed thru grounded the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re category of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process was “deciding based on success and support”. The college students's career decision process consisted of entrance into college, adjustment to college life, specifying desirable job,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olidifying career decision. The mediating factors in the process were conflicts about career choice between parents/teacher and students, pride in their major, environmental supports etc.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s are various according to individual conditions. While some students decided specific work place, others didn't decide their occupation. Participants had common experiences in that employment conditions were very poor and they were lack of confidence to get the job. But the students, who have mediating conditions in which there were possibilities to enter desirable occupation, ordered their everyday life focus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y prepared the strategies to meet job requirements and determined to succeed in getting job. The students, who perceived their entrance into the present major as success, willingly gave the school life positive meaning. And they did behaviors to preparing employment requirement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을 이해하고 진로결정과정에 개입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재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서면 면접과 대면 면접을 통해 진로결정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 진로결정과정의 핵심범주는 ‘성공과 지지를 바탕으로 결정해 나감’이었다. 성공은 대학입학에서의 성공감을 의미하고 지지는 진로결정 및 준비과정에서 경험하는 지속적인 환경적 지원을 의미한다.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은 입학, 학과적응, 희망직업 구체화,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공고화의 다섯 단계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과정에 대한 주요 개입요인은 부모와의 진로선택 갈등 여부, 소속 전공과 학과에 대한 자부심, 지속적인 환경적 지지 등이었다. 연구대상 대학생들은 취업여건이 매우 열악하다고 지각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한 맥락적 조건을, 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면에서 유사한 현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신의 결정에 의하여 입시 성공의 결과’로 입학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에 취업할 가능성이 있다고 여기면 당면 문제들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진로준비 중심의 생활을 하며 취업여건을 체계적으로 갖추어가면서 각오를 다졌다. 반면, 대학과 전공 선택에 대하여 부모와 갈등을 심하게 겪은 학생일수록 자신의 입학을 실패로 지각하고 학과에 대한 소속감과 자부심을 느끼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진로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 KCI등재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사례분석

        김효정,김봉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seeking young adults’ experiences about career determination processes during career counseling. Ten young adults were interviewed, who were in a job searching and received 4 to 7 (M=5.9) sessions of career counseling. The grounded theory (Strauss & Corbin, 1998) was employed to analyzed their interview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10 categories, 19 subcategories, and 62 conceptions. As a result, the central phenomenon was drawn a disorientation on career path in the paradigm. Given the paradigm model, interviewees were assumed to experience the five stages in a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more specifically, confusion & delay, realization & accept, upkeep & resistance, attempt & challenge, and choice & action. The current study contributed in understanding job-seeking young adults and their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through career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게 된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고용센터에서 직업상담을 받았던 24~35세의 남녀 청년 중, 자신의 진로를 결정한 10인이었으며, 상담회기는 평균 5.9회 이내였다. 연구방법은 근거이론적 방법(Strauss & Corbin, 1998)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10개의 상위범주, 19개의 하위범주, 6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둘째, 청년구직자들의 진로결정과정에 대하여 도출된 패러다임은 진로방향의 상실을 중심현상으로 하며, 반복되는 취업노력실패를 인과적 상황으로, 구직과정에서의 4가지 어려움을 맥락적 상황으로 하였다. 연구의 중심현상은 직업상담을 통한 인식변화경험을 중재조건으로 하고, 개인내적 변화와 구직행동변화를 작용/상호작용으로 하여, 진로결정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청년구직자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과정모형은 혼란과 유예, 인식과 수용, 유지와 저항, 시도와 도전, 선택과 실행의 다섯 단계로 나타났다. 넷째, 이야기윤곽을 통한 핵심범주는 진로인식의 변화와 새로운 도전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년구직자들이 실제로 구직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제시하고, 진로결정시에 직업상담을 통한 인식의 전환경험과 새로운 구직활동을 통해 진로결정을 이루어지는 과정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박명신 ( Park Myeung Sin ),한상훈 ( Han Sang H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대전·충남지역 4년제 대학교에서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사회적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지지뿐만 아니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진로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과 취업률 제고, 평생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security suppor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maturity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In order to acquire the certificate of lifelong education at the 4-year university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392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course for lifelong education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in the following sentences. First, the security support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has a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maturity. Seco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has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maturity. Thir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has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maturity. Four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ve meaningful mediation effects between the security support and career maturity. This find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security support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can create an effec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again creates a positive effects on career maturity. This suggests that it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security suppor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ative level of career education,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 and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articipants of the training course for lifelong educator.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과정에 영향을 주는 진로결정장애 분석

        박성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4 청소년상담연구 Vol.12 No.2

        The present study analyz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80 high school students. The t-test, analysis of path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2)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level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3) I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lack of information, career prejudice, lack of motivation, mental burden were effected to negatively career decision-making. (4)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lack of information, lack of motivation, mental burden were effected to negatively career decision-making, but career prejudice was effected to positively career decision-making.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진로결정장애를 분석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하여 대학진학의 진로결정을 앞두고 있는 고등학생 380명(일반계=221명, 실업계=159명)을 표집하여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 진로결정과정 및 진로결정장애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고, 고등학 교 계열에 따라 진로결정과정에 영향을 주는 진로결정장애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 및 인과관계 분석을 하였다. t-검증의 결과,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계 고등학생들은 바람직한 진로결정의 점수 가 높은 반면에, 실업계 고등학생들은 진로결정장애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경로 및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경우 진로결정장애 중 정보결여가 자기이해, 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계획에 매우 높은 부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편견 및 심적부담 역시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은 다소 낮 은 편이었다. 그러나 동기결여는 자기이해를 제외한 나머지 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계획에 높은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경우 진로결정장애 중 정보결여가 자기이해, 직업이 해, 진로탐색, 진로계획에 매우 높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기결여 및 심적부담도 역시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은 다소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진로편견은 일반계 고등학생들과는 정반대로 자기이 해, 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계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상담자의 진로결정과정-우연한 관계 경험을 중심으로-

        이혜은,김동일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6

        Happenstantial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people such as people's help, recommendations, encouragement, advice or information, and meeting with role models were the frequent factor in career decision process. Individuals are expected to be accompanied an intensive experiences that led them to decide the career in the career decision process through the happenstantial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people. To explore the aspect of happenstantial relationship experiences and the main factors of career decision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eoretical sampling method was used to recruited 18 participants who reported career decision making through an happenstantial relationship experience and the main procedure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conducted(Strauss & Corbin, 1998),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irst, through open coding process, 98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25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Second, The core category regarding career decision making of the counselor who experienced happenstantial relationship was ‘to be a counselor through serious introspection’, because the counselors were impressed by happenstantial encounter and were drawn to counseling. In particular, the roles of the subjective context of individuals such as experienced emotions, intuitive thinking, meaningfulness and interactions in relationships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rational choice in happenstantial relationship experience in career decision making.. Based on this result, substance theory about hypothetical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domains of personal, contextual, and behavioral aspects a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ground theory. At la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happenstantial relationship experience, the process and factors of career decision making from the happenstantial relationship experience to be a counselor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사람들의 도움, 추천, 격려, 조언이나 정보제공, 롤모델과의 만남 등 사람들과 관련된 우연한 관계 경험은 진로결정과정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우연요소이다. 개인은 사람들과의 우연한 관계 경험을 통해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진로를 결정하게 한 강렬한 체험이 수반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진로결정과정에서 체험한 우연한 관계 경험의 양상과 진로결정의 핵심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우연한 관계 경험을 통해 진로결정을 한 연구 대상자 18명을 선정하고 근거이론 방법(Strauss & Corbin, 1998)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개방 코딩을 통해 면담 자료를 개념화 및 범주화한 결과, 98개의 개념, 43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2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우연한 관계 경험을 만난 상담자의 진로결정과정에 대한 핵심 범주는 ‘우연한 만남에서 깊은 감명을 받고 상담에 끌려, 진지한 성찰을 통해 상담자가 되기로 함’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결정과정에서 우연한 관계 경험에서 합리적인 선택보다는 체험한 정서, 직관적 사고와 의미부여, 관계에서의 상호작용 등 개인의 주관적 맥락의 역할이 중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개인적 측면, 맥락적 측면, 행동적 측면의 가설적 관계에 대한 실체이론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연한 관계 경험의 개념 도출, 우연한 관계 경험에서 상담자로의 진로결정과정과 요인에 대해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기도 클러스터 교육과정 참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변화: 보건과목 중심

        양혜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2

        본 연구는 경기도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교육과정 참여 전 후 진로결정몰입, 진로결 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전후 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3개 고등 학교의 보건 클러스터에 참여한 2학년 고등학생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21년 3월 8일부터 2021년 12월 29일까지 진행되었고,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 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참여 전 보다 참여 후에 진로결정몰입(t=-9.01, p<.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t=-8.45, p<.001), 진로성숙도(t=-3.63, p=.002)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의 표준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to confirm changes in career choice commit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efore and afte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 in the Gyeonggi-do health cluster curriculum. The study was conducted on 47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health clusters of 3 high schools in Gyeonggi-do.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8, 2021 to December 29, 2021,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cluster curriculum improved their career choice commitment(t=-9.01, p<.001),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t=-8.45, p<.001), and career maturity(t=-3.63, p=<.002)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particip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tandardized program of the health cluster curriculum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of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