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분야 국가직무체계 개발 연구

        박종성(Jong-Sung Park)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4

        이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에서 기초적으로 검토가 되어야 하는 직무체계 중 환경분야 직무체계 개발에 목적이 있다. 세부적인 연구목적은 환경분야의 직무분류와 직무수준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통용되는 용어를 중심으로 직무분류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직무는 배타적 으로 설계하였습니다. 직무분류시 전문가 집중토의를 통하여 세부직무를 분류하였습니다. 이러한 분류 결과를 살펴보면 환경 분야의 직무군은 크게 대분류 3개, 중분류는 12개, 이들 중분류를 다시 분류하면총 41개의 직무가 환경분야에서 요구되는 직무로서 도출되었다. 환경분야 직무수준은 해당 직무군 및 직무분야에서 전문 인력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성 정도를 고려하였다. 이에 따라 환경 분야의 전문 분야별 직무수준을 반영하여 6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환경 분야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크게 ‘환 경계획 및 평가’와 ‘환경 측정․분석’, ‘환경관리’, ‘환 경설계․시공’, ‘환경보건관리’, ‘환경자원관리’, ‘환경 경영 및 컨설팅’, ‘환경교육’으로 구분하여 직무수준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환경 분야 현장 전문가 및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 회를 통하여 각 직무별 정의와 직무별․수준별 수행기 준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alls in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kill system in environmental field. The jobs were classified by the commonly used terms in the field. Consequently there are three large groups, twelve middle groups which again narrow down to smaller jobs according to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each job in the group, and forty one jobs in total in the area. Six levels were identified for the definition of job level and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level by reflecting job levels by expertise.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field, job levels were also defined in accordance with each area such as ‘environment plan and assessment’, ‘measurement and analysis of environment’, ‘environment management’, ‘environment design and construction’, ‘environment health management’, ‘environment resources management’, ‘environment management and consulting’, and ‘environment education’. Based on these classification, the definitions of jobs and the standards of performances by jobs and levels were resulted in through a consultation consisting of experts in the environment industry and academy.

      • KCI등재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종업원-조직 간 사회적 교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노윤,설현도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employee perceptions of favorable job conditions affect affective commitment. The survey data are collected from 454employees in twelve organization, representing bank, distribution, gam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favorableness of job condition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ffective commitment. And intrinsic job condition exerted a significantly stronger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than the other job conditions. Second, intrinsic, extrinsic and social job conditions were related to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social job conditions had a weaker influence o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an the other job conditions. Third,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was found to influence affective commitment. Forth,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favorable job conditions and affective commitment. The effects of both intrinsic and social job conditions on affective commitment were partially mediated, and the effect of social job condition on affective commitment was fully mediated by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e results suggest that favorable job conditions can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strengthening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nd organization, and be important antecedent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is study makes two important contribution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 to explain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e mechanisms through that the favorableness of job conditions influences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is study helps managers to understand the role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formulat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affective commitment. Managers should foster favorable job conditions in term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o develop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the quality of employee-organization relationship determine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해 조사하는것이다. 454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직무환경의 호의성은 사회적 교환관계와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교환관계도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교환관계는 직무환경의 호의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교환관계는 내재적 직무환경과 사회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부분 매개하고, 외재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세 가지직무환경의 호의성 모두가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내재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교환관계에 대해서도 세가지 직무환경의 호의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종업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과정에서 사회적 교환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종업원-조직 간 사회적 교환관계형성에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가 이론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제공하는 함의를 논의한다.

      • KCI등재

        환경분야 국가직무체계 개발 연구

        박종성(Jong-Sung Park)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3

        이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에서 기초적으로 검토가 되어야 하는 직무체계 중 환경분야 직무체계 개발에 목적이 있다. 세부적인 연구목적은 환경분야의 직무분류와 직무수준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통용되는 용어를 중심으로 직무분류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직무는 배타적 으로 설계하였습니다. 직무분류시 전문가 집중토의를 통하여 세부직무를 분류하였습니다. 이러한 분류 결과를 살펴보면 환경 분야의 직무군은 크게 대분류 3개, 중분류는 12개, 이들 중분류를 다시 분류하면총 41개의 직무가 환경분야에서 요구되는 직무로서 도출되었다. 환경분야 직무수준은 해당 직무군 및 직무분야에서 전문 인력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성 정도를 고려하였다. 이에 따라 환경 분야의 전문 분야별 직무수준을 반영하여 6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환경 분야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크게 ‘환 경계획 및 평가’와 ‘환경 측정․분석’, ‘환경관리’, ‘환 경설계․시공’, ‘환경보건관리’, ‘환경자원관리’, ‘환경 경영 및 컨설팅’, ‘환경교육’으로 구분하여 직무수준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환경 분야 현장 전문가 및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 회를 통하여 각 직무별 정의와 직무별․수준별 수행기 준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alls in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kill system in environmental field. The jobs were classified by the commonly used terms in the field. Consequently there are three large groups, twelve middle groups which again narrow down to smaller jobs according to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each job in the group, and forty one jobs in total in the area. Six levels were identified for the definition of job level and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level by reflecting job levels by expertise.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field, job levels were also defined in accordance with each area such as ‘environment plan and assessment’, ‘measurement and analysis of environment’, ‘environment management’, ‘environment design and construction’, ‘environment health management’, ‘environment resources management’, ‘environment management and consulting’, and ‘environment education’. Based on these classification, the definitions of jobs and the standards of performances by jobs and levels were resulted in through a consultation consisting of experts in the environment industry and academy.

      • KCI등재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직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배인호(Bae In Ho),권영국(Kwon Young Guk),장동옥(Jang Dong Ok)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경북지역의 학교급식 조리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직무 외적요인인 직무환경과 내적요인의 자기효능감이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조리종사자들이 학교급식에 제공하는 유·무형적 서비스의 질 향상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환경 4개의 요인(인적환경, 물리적 작업환경, 업무전문성, 급여 관련)과 자기효능감 2개의 요인(자신감, 과업 도전감) 그리고 직무태도 요인(직무만족, 조직몰입)이 도출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직무환경은 급여 관련 요인을 제외한 인적환경, 물리적 작업환경, 업무전문성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직몰입에는 직무환경 요인 모두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과업 도전감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는 과업 도전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최적의 직무환경과 높은 자기효능감은 직무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를 증진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직무환경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직무태도와의 인과관계를 고찰함으로서 학교급식 조리종사원들의 근무환경 및 작업환경 개선과 더불어 직무향상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improvement of tangible/intangible service quality providing to school foodservice by verifying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job external factor) and self-efficacy(internal factor) on job attitude targeting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Gyeongbuk region.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tal four factors of job environment(human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work professionalism, wage relation), two factors of self-efficacy(confidence, task challenge), and two factors of job attitude(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drawn. I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first, job environment such as human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and work professionalism except for wage rel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hile all the job environment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self-efficacy like confidence and task challeng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hile task challenge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optimum job environment and high self-efficacy enhanced job attitude(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so provided implications on the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and job for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by considering causal relations between job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job attitude.

      • KCI등재

        미술작가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수민(Han, Soo-M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미술작가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표본 특성별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것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유의한 변수와 성과를 제시하였고, 연구설계와 실증분석으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표본 특성별 차이를 규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과 한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이 미술작가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Sobel 검정 결과도 매개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둘째, 표본 특성별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모두 작가로 데뷔한 기간, 연령, 장르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미술작가의 직무만족 연구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자기효능감이 미술작가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 결과는 어려운 창작환경에서 창작, 발표, 관객 더 나아가 판매까지 염두에 두고 활동하여야 하고 다양한 미디어도 고려하여야 하는 환경에서 창작하는 바탕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환경은 작가로 데뷔한 기간이 짧고 젊을수록 긍정적인식이 낮기 때문에 이들이 창작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셋째, 직무만족도 직무환경과 마찬가지로 작가로 데뷔한 기간이 짧고 젊을수록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젊은 층이 자기 일에 만족할 수 있도록 직무환경과 연결하여 만족도를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the artist"s job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job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significant variables and outcomeswere present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differences in sampl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research design and empirical analysis. Finall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nd suggestions and limitationswere presente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whether self-efficacy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s job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found, and the Sobel test prov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job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y sample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ly the period, age, and genre.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future job satisfaction studies of artists. First, the result of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s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is the basis for creating in an environment where creative, presentation, audience, and even sales are to be considered in a difficult creative environment. Second, the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as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devote themselves to creation, as the period of their debut as a writer is shorter and younger. Third, as job satisfaction is similar to the job environment, the shorter the debut period as a writer and the younger, the more negatively they perceive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atisfaction by connecting with the job environment so that young people can be satisfiedwith theirwork.

      • KCI등재

        피부미용사의 개인-환경적합성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혜인,하명희,허은주 대한미용학회 2017 대한미용학회지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stheticians’ person-environment fit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skin beauty businesses and implications meaningful to the management of those business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tilized a questionnaire for estheticians working in skin care shops. In this study, 224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Data were processed through descriptive and reliability analysis in accordance with SPSS 21.0 and, then, by confirmatory factor and path analysis by using AMO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factors of person-environment fit, person-organization fi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However, both person-supervisor fit and person-job fit significantly influenced that satisfac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if the skin beauty business allows its members to share tastes or interests, discuss organizational management or job goals together and make themselves a more professional practitioners with the help of periodic training or improved customer response manuals, estheticians’ job satisfaction will be able to increase.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한 피부미용사의 개인-환경적합성의 연구로 개인-직무적합성, 개인-조직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 하고자 하였으며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고찰하여 가설을 세 우고 이를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환경 적합성 중 개인-조직적합성은 직무만족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의 피 부미용사 근무자가 2~3명 정도 있는 소규모 사업장으로 개인 과 조직의 가치적합, 목표적합, 이미지적합, 분위기 적합의 개념 인 개인-조직적합성은 피부 관리실처럼 소규모 사업장에서 조 직에 대한 적합성은 직무만족으로 직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개인-환경 적합성 중 개인상사적합성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개인-환경 적합성 중 개인-직무적합성은 직무만족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직무적합성 은 경력과 조직특성 및 개인특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 다. 넷째,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음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만족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 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 는 편의 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개인조직 적합성의 경우 조직만족 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변수로 나타나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 해 대규모 피부 관리실을 포함하여 추후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 이다. 피부미용사의 개인 환경적합성에 관한 의미 있는 변수를 추가하여 연구하거나 근무지별, 근무 년 수에 따른 비교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대학 행정직원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천(qian Zhang)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23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개인-환경 적합성, 직무열의, 직업소명의식, 직무 소진상태,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관계를 파악하고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중국 지역의 여러 대학교를 중심으로 현재 재직 중인 남녀 행정직원 대상으로 303부 설문지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변수 간의 가설검증을 진행하기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개인-환경 적합성은 개인과 조직의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접근되는데 직장 생활을 하는 대학 행정직원의 입장에서는 업무환경 중에 대인관계, 조직, 그리고 직무 자체 등에 대한 적합성이 중요하다. 더불어 어떤 종류의 적합성이건 인식의 정도가 높은 경우, 직무, 조직 등에 있어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반면, 그 반대의 경우, 부정적인 태도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부분 매개함으로써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이어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직무소명의식은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소진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직무소진에 대한 영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job burnout, occupational identity, job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hinese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thusias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 A sample of 303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in SPSS 22.0. The concept of person-environment fit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management teachers who reside on campus, evaluating the teacher’s suitability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ganizations, and tasks is important.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if the degree of recognition is high in any kind of suitability, a positive attitude is formed toward the job and organization, and if it is low, a negative attitude takes form. In addition, job enthusiasm effectively influences the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on job burnout by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A sense of professionalism means that the effect on job burnout can be maximized by effectively controlling personal-environment fit and job burnout.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남기민(Ki Min Nam),권현숙(Hyun Sook Kwon)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8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을 독립변수로, 수급자 관점인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을 종속변수로,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2개월간 충청북도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 중 인적환경, 물리적 환경, 보상체계는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환경의 하위변수중 인적환경은 요양보호사의 자기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환경의 하위변수 중 인적환경, 물리적 환경, 업무전문성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은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환경의 하위변수 중 인적환경과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직무환경 중 인적환경 및 물리적 환경과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업무전문성과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간의 관계에 있어 직무만족의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들의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무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게을리 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on client-oriented tendency of care workers in facilities for the elderly focusing on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s mediators. We surveyed care workers working in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ocated in Chungcheongbuk-do for two-months from May to July, 2012 to collect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ed that the effects of human environment, reward system and physical environment of working environment on client-oriented tend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ed that the effect of human environment of working environment on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ed that the effects of human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and job expertise of working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t was founded that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on client-oriented tend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human environment and client-oriented tendency was founded. Also,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human environment or physical environment and client-oriented tendency was founded, a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job expertise and client-oriented tendency was founded. Therefore, the alternatives for the increas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through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안성은,육권인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1 사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원구성원의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원교육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395명)와 심층면 담(12명)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에서는 생리적 욕구가, 직무환경에서는 학생환경이, 직무만족에서는 직무자체 만족이, 직업정체성에서는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원구성원의 개인배경 에 따라 욕구수준, 직무환경, 직무만족, 직업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구성원의 직 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원장환경, 동료환경, 시설환경, 업무환경이고,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생리적 욕구, 애정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직무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원 차원에서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을 고려한 인사관리와 직무환경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학원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학원구성원 차원에서는 전문성 향상 및 사명감 제고를 통해 직업정체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hierarchy of needs and job environment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o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a result of this, it is intended to help strengthe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by enhanc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395 people) and in-depth interviews (12 people)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erarchy of needs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is high in physiological needs, job environment is high in student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is high in job itself, and professional identity is high in autonomy.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needs, working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such as position, monthly average income, and work experience of the private tutoring professions.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were the esteem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director environment, colleague environment, facility environ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job identity were physiological needs, social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at private tutoring level,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considering the level of needs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and improvement of the job environment. At the level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efforts to increase professional identity are needed by improving expertise and enhancing a sense of mission.

      • KCI등재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자의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이주은(Ju-En Lee),김준수(Jun-Su Kim)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4

        본 연구는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자의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공익형 참여 집단과 시장형 참여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 전주시 노인사회 활동지원사업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노인 500명을 설문조사 하였으며, 48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자의 개인-환경적합성이 높아질수록 직무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환경적합성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개인-환경적합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공익형 집단은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직무만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장형 집단은 개인-환경적합성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참여유형에 적합한 직무개발, 직무만족 향상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below as PEF) and job performance of the elderly social activity support project participants(below as ESASP),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type group and the market type group. To this end, 500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ESASP in Jeonju-si, Jeonbuk were surveyed, and data of 488 person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F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ESASP,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Second, the higher the PEF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ESASP, the higher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it was verified that job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ESASP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PEF on job performance.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F,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public type group and the market type group in the ESASP. It turns out that satisfaction is partially medi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market-type group, the mediating effect of PEF on job performance through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job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measures suitable for the type of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