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 智證王의 卽位와 智證王系의 成立

        嚴成鎔(Eom Sung Yo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6

        삼국사기 찬자는 지증왕이 ‘전왕의 무자’라는 비상적인 상황에서 즉위를 하였으나, 정변이나 군신들의 추대 형식을 빌리지 않았던 것으로 인식한 것 같다. 이런 인식은 후계자 없이 전왕이 훙거한 비상시에 지증왕의 즉위가 예정되어 있었던 사실에서 연유된 것으로 보인다. 지증왕의 비상시 즉위는 그의 갈문왕 취임, 갈문왕의 성격 변질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즉위 전 지증왕은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갈문왕 취임이 가능했고 또한 갈문왕에게 제한적으로나마 왕위계승권이 주어지도록 했다. 지증왕에게는 즉위 전에 맞이한 先妃와 즉위 후에 맞이한 後妃가 있었다. 사서에 지증왕비로 나와 있는 연제부인은 후비였고, 그 소생들이 중고기의 왕실을 독점하였다. 반면에 지증왕의 증손으로 『삼국사기』에 나와 있는 김후직과 新羅敬順王殿碑에 지증왕의 子로 나오는 眞宗은 先妃系의 인물로 이해된다. 법흥왕 형제와 진지왕 형제의 혼인 양상은 박씨족을 왕비족에서 탈락시켜 왕과 왕비 모두를 지증왕계에서 독점하려는 노력이 일찍부터 지속적으로 경주되어 왔음을 보여 준다. 이는 독존적 왕족의식의 생성과 강화과정으로서 왕권강화를 위한 노력이라 할 것이다. King Jijeung(智證王) succeeded to the throne under an eccentric background because the former king‘s descendants did not have any relationship with the throne. Kim Busik(金富軾), a writer and complier of Sam-kuk-sa-ki(三國史記), nevertheless, recognized that the accession of King Jijeung to the throne was not from a political coup or the endorsement from subjects. This seemed to be based on predetermination of the next king. The planned accession to the throne was strongly linked to the accession of Jijeung’s Galmunwang(葛文王) status and change of its property. Jidoro(至都盧), later King Jijeung, could wear a crown building royal power through political conflicts. In addition, he endowed the right of succession to Galmunwang status with a little limitation. Through this process, Jidoro could become a king of Silla. Jijeung had two queens; one before the accession and the other after it. Yeonje(延帝夫人) was the second wife, and her offspring dominated the royal. The offspring of the first wife were Kim Hujik(金后稷)-a great-grandchild of Jijeung-appeared in Sam-kuk-sa-ki and Jinjong(眞宗)– a son of Jijeung- from SillaGyeongsunwangjeonbi(新羅敬順王殿碑). The marriage between Ipjong-Galmunwang(立宗葛文王) and brothers of King Jinji(眞智王) clearly revealed the purpose of control over the royal power. This meant both a fail of clan of Park to be a queen and an earlier constant effort to this. Thus, the effort also intende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s an aspect of an exclusive attitude and process of it.

      • 新羅 智證王의 卽位過程에 대한 硏究

        박성천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2003 慶州文化硏究 Vol.6 No.-

        지증왕은 炤知王을 이어 집권한 이후에도 여전히 葛之王을 칭하고 있어 그의 執權에는 정치적인 사정이 있었다. 이는 소지왕 말년의 정국과 관련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소지왕의 捺已郡 행차 시 納女問題가 개입됨으로서 국왕의 지위와 관련된 문제와 이후 소지왕이 왕위를 이를 아들을 남겨 두지 못하고 죽은 정황과 관련된다. 이에 왕위계승문제를 두고서 정치세력들 사이에 더 한층 이해를 달리한 것으로 보인다. 왕위계승과 관련하여 당시의 중요한 정치세력으로는 내물직계의 王室勢力과 미사흔계를 중심으로 하는 炤知王母勢力 그리고 내숙이벌찬을 중심으로 하는 炤知王妃勢力들이 있었다. 이들의 정치적 向背는 지증왕의 집권과 무관하지 않았다. 지증왕의 執權基盤으로는 먼저 그의 家系가 바탕이 되었다. 지증왕의 가계는 葛文王직을 할아버지와 아버지 대에 걸쳐 역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증왕가계는 마립간기에 유력한 정치세력이 될 수 있었다. 한편 지증왕은 지지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發使三道'하여 牟梁部 朴氏族과의 혼인을 맺어 연대하였고 이 과정에서 다른 6部에 거주하는 세력들과도 정치적인 연대를 모색하여 그 지지세력을 강화했다. 또한 소지왕 사후에 소지왕비세력의 지지와 내물왕계에 속하는 異斯夫를 중심으로 하는 그의 가계의 지지를 받아 정치적인 세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지증왕은 소지왕대의 神宮설치에 관여할 수 있었고 이를 계기로 갈문왕에 임명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소지왕의 죽음에 따른 최대의 수혜자로서 집권 할 수 있었다. 지증왕은 집권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 개혁조치의 하나로서 殉葬制를 폐지하였다. 순장 폐지는 非禮, 舊俗, 不良이라는 사회 개혁적인 명분을 내세워 취해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가장 실질적인 순장제 폐지의 정치적인 이유는 내물직계의 정치적인 위상에 타격을 주기 위한 조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의 성공으로 지증왕은 집권 4년에 全 新羅를 아우를 수 있는 명실상부한 신라국왕의 지위에 오를 수 있었다고 보여 진다. 결국 순장제 페지는 葛文王을 칭하고 있었던 지증왕의 입장에서 執權을 보다 공고히 하고 國王으로 卽位하는데 하나의 정치적인 조치가 되었다. Even after succeeding to Kong So Ji(炤知王), King Chi Jung was represented by the title of Gal Mun Wang(葛文王) that was called until given an honorable title of King of Silla. So we can suppose that there were political situation and implications in his enthronement. It was nearly related with the problem of Nal Yi country(捺已郡). Because the problem of this was inserted into the visiting to Nal Yi country, the conflict of power was beginning in the influential groups with the different political interest about the status of King. And in this situation, after two months King So Ji had dead without formal successor. With this situation, we can suppose that there are three important political groups. They are the direct line of King Nae Mul(奈勿王), the queen dowager So Ji(炤知王母勢力) and the queen group including the line of Gi BO(炤知王妃勢力). And then, Each groups had no alternative to assert a legitimacy because King So Ji had dead without successor. And so, we can ,easily guess that the enthronement of King Chi Jung was related deeply with the political attitude of each groups. The power of King Chi Jung was first based on his paternal line. We can find two Gal Mun Wang in his paternal line. So, the group of King Chi Jung had become an influential power during Ma Lip Gan period. The other side, In oder to take hegemony-, King Chi Jung had dispatched his envoy into three district and connect to the Park clan in Mo Lyang Pu(牟梁部) with marrige. In this process fing Chi Jung had tried to get political union with Yuk Pu(六部) in another area, and he intensified his political background. And the group of I Sa Pu(異斯夫) closly taking blood ties the line of King Nae Mul, and the group of queen So Ji that had the right of successor to the throne after death of king So Ji. With supporting group and hs active move, King Chi Jung was able to enthrone with he bigger benefitor after death of King So Ji. And on this basis, King Chi Jung was designated to Gal Mun Wang in participa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God palace(神宮) during King So Ji. He also could taken the support from groups that was in influential position during Ma Lip Gan period. But his enthronement was nor perfect. So, King Chi Jung had taken one measure in oder to decrease the influence of anti group. That is the removal of human Sacrifice(旬葬) in the funeral of lord. This removal of human sacrifice was taken with title of social reform that human sacrifice was not fit to ritual, old fashioned and do harm to human society. As King Chi Jung was not direct line of royal family and not superior in the right of successor, He was doing well with the slogan of social reform. And his real political interest in the removal was oriented toward the group of Nae Mul Ma Lip Gan for commenting the king of Nae Mul Ma Lip Gan. He could denied the legitimacy of the Nae Mul line. It was his ultimate end for King Chi Jung to remove the human sacrifice. And application of removal had included also the central aristocracy and the leader of local area. And with the success, King Chi Jung was enthroned to the true king to control the whole Silla kingdom after 4 pears of enthronement.

      • KCI등재

        신라 지증왕의 王名과 그 성격

        김희만(Kim Heui M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6

        이 글에서는 신라 지증왕의 王名을 통해 당시 사회의 운영과 변화과정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신라사회에서 지증왕이 차지하는 비중은 마립간에서 왕호로, 상고사회에서 중고사회로 전환하는 시점에 있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여기서는 지증왕의 王名관련 자료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당시의 사회변화와 그 양상을 추구하여, 지증왕대 전후 王名의 추이와 성격을 규명해 보았다. 그 결과 지증왕의 王名은 이전의 王名과는 달리 유교적, 또는 漢化的표기로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신라사회의 國號와 王號의 변화, 그리고 諡號를 중심으로 불교적 색채와 유교적 정책의 대응 등이 찾아졌다. 이는 기왕의 연구 성과에서 언급된 것과 일면 유사해 보이지만, 그 변화과정을 세밀하게 살펴서 어떠한 시대적 상황이 연출되어 나타나게 되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In this thesis, through the Jijeungwang(智證王)’s King Name(王名), it was trying to look at the operation and evolution of society at the time, in Silla Dynasty. Jijeungwang proportion occupied by Silla in society was of interest early on in that at the time of switching from the King’s Official Name(王號), appeal to the community in Maripgan(麻立干) used society. In this article, King Name review the related materials Jijeungwang, and based on this social change and to pursue that aspect of time, I looked identify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Jijeungwang for around King Name. As a result Jijeungwang of King Name unlike previous King Name was changed to Confucianal(儒敎的), or Chinese(漢化的) ever mark, find the favor change National Name(國號) and the King of Silla society in this process, and Buddhist colors counterparts Confucianal policies. This was to investigate the similar to that mentioned in the study of already thesis, but investigate finer the process any change process is implied.

      • KCI등재

        연구논문 : 『삼국지(三國志)』 『위략(魏略)』의 “사라국(斯羅國)”과 『위서(魏書)』의 “사라(斯羅)” -6세기 초 나제동맹(羅濟同盟)의 향방과 관련하여-

        서영교 ( Young Kyo Seo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9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魏書』에 보이는 斯羅가 新羅임을 입증코자 했다. 이전에 斯羅를 新羅로 보는 것이 통설이었지만, 井上直樹가 斯羅가 新羅가 될 수 없는 결정적인 근거로 『魏略』의 (메소포타미아의) 斯羅國을 들고 나오면서 기존 견해가 흔들렸다. 하지만 井上의 근거는 문제가 있다. 130년 전 F. Hirth는 安息(파르티아)에 속하고 大秦(로마)과 접경한 것으로 기록된 斯羅國(Ssu-lo)을 메소포타니아(바그다드 부근)의 Seleucia로 보았다. 165년 Seleucia는 로마의 공격을 받아 폐허가 되어 사막 속에 버려졌다. John E. Hill은 斯羅를 Sura로 보았다. 그곳은 시리아지방 로마령 국경 군사도시였다. 두 설을 모두 무시할 수 없는 것은 『三國志』속에 입전된 『魏略』의 사라국이 安息國(파르티아 B.C.250-A.D.225) 속한 大秦(로마) 접경지대라는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502년·508년 斯羅國이 北魏에 사신을 파견했을 당시 Seleucia는 340년 전에 사라졌고, Sura는 로마(비잔틴)의 요새 도시가 되어 있었다. 『魏略』의 斯羅國 기록은 유효기한을 넘긴 정보이다. 다음으로 井上直樹가 언급한 『북사』 권4, 위본기 경명 3년(502) 조는 "그해 西域 27國이 함께 사신을 보내 조공했다"라고 하고 있다. 여기에 대칭되는 『위서』 권8, 世宗紀 明 三年(502) 是歲 조를 보면 당시 斯羅를 포함한 22개 나라들이 북위에 조공한 기록이 있다. 하지만 『북사』 서역전이 소개한 나라들 가운데 『위서』 502년 조에 보이는 것과 일치하는 나라는 疏勒, 悉萬斤, 南天竺, 朱居 등 4개 나라 밖에 없다. 『北史』의 저자가 자신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소국들은 모두 서역의 나라라고 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北史』 권94 신라전에서 "新羅를 또한 斯盧라고 부르기도 한다"라고 하고 있다. 『삼국사기』에도 같은 기록이 나오기 때문에 斯羅는 斯盧의 음사임이 확실하다. 503년(癸未年:지증왕 4) 9월 25일에 건립된 「영일냉수리신라비」의 첫줄을 보면 당시 신라인들은 스스로를 ``斯羅``라고 했다. 20여 년 후 백제가 신라를 양나라에 소개할 때도 ``斯羅``라고 했다. 斯羅의 북위 견사 직전인 500년 신라에서 지증이 권력을 잡자 백제 동성왕은 탄현에 목책을 세우고 신라의 침공에 대비했다. 이는 동성왕이 바라본 지증의 대외적 성향을 반영하는 것 같다.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입장도 바뀌었다. 소지왕대 지속적으로 신라를 공격하던 고구려가 지증왕 치세 15년간 한 번도 침공한 적이 없다. 502·508년 ``斯羅``의 북위 견사조공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당시 북위에는 효문제가 남겨 놓은 의례를 연구하는 학자 집단이 있었다. 495년에 효문제가 단행한 북위 왕실의 喪制 개혁이 있었다. 504년 4월 지증왕은 喪服法을 제정하여 반포하고 시행하게 했다. 이는 동왕자신과 그 친족 집단의 親疎 關係를 명확하게 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었다. 3년간의 空位 동안 사탁부 갈문왕으로 있었던 지증왕이 가장 의식을 한 것은 자신이 속한 왕실 친족 집단이었다. 즉위하자 방계였던 지증왕은 자신과 내물왕계 혈연 집단과의 관계를 새로 설정할 필요가 있었고, 친족의 범위를 좁히는 작업을 시작했을 것이다. 지증왕대 한화정책 시행은 신라의 북위 견사와 對고구려 관계개선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 싶다.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demonstrate that Silla dispatched an envoy to Northern Wei with Koguryo in 503 508. Ssu-lo(斯羅國) looks to Weilue(魏略) sure the third century Mesopotamian country. But Ssu-lo(斯羅) it looks at Weisue(魏書) to reflect the facts of the 6th century, when considering the ups and downs of the Mesopotamian country can not be seen as the same country. Weilue a record of information beyond the expiration date. Early 6th century, Silla was getting closer Goguryeo and Baekje away. The invasion of Goguryeo to the Silla stopped and, conversely, began to attack the Baekje, Silla had access to the Goguryeo, Silla is expected to participate in Goguryeo envoys dispatched to Nothern Wei(北魏).

      • KCI등재

        『三國志』 『魏略』의 ‘斯羅國’과 『魏書』의 ‘斯羅’ -6세기 초 羅濟同盟의 향방과 관련하여-

        서영교 호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9 No.-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demonstrate that Silla dispatched an envoy to Northern Wei with Koguryo in 503 508. Ssŭ-lo(斯羅國) looks to Weilue(魏略) sure the third century Mesopotamian country. But Ssŭ-lo(斯羅) it looks at Weisue(魏書) to reflect the facts of the 6th century, when considering the ups and downs of the Mesopotamian country can not be seen as the same country. Weilue a record of information beyond the expiration date. Early 6th century, Silla was getting closer Goguryeo and Baekje away. The invasion of Goguryeo to the Silla stopped and, conversely, began to attack the Baekje, Silla had access to the Goguryeo, Silla is expected to participate in Goguryeo envoys dispatched to Nothern Wei(北魏). 이 논문에서 필자는 『魏書』에 보이는 斯羅가 新羅임을 입증코자 했다. 이전에 斯羅를 新羅로 보는 것이 통설이었지만, 井上直樹가 斯羅가 新羅가 될 수 없는 결정적인 근거로 『魏略』의 (메소포타미아의) 斯羅國을 들고 나오면서 기존 견해가 흔들렸다. 하지만 井上의 근거는 문제가 있다. 130년 전 F. Hirth는 安息(파르티아)에 속하고 大秦(로마)과 접경한 것으로 기록된 斯羅國(Ssŭ-lo)을 메소포타니아(바그다드 부근)의 Seleucia로 보았다. 165년 Seleucia는 로마의 공격을 받아 폐허가 되어 사막 속에 버려졌다. John E. Hill은 斯羅를 Sura로 보았다. 그곳은 시리아지방 로마령 국경 군사도시였다. 두 설을 모두 무시할 수 없는 것은 『三國志』속에 입전된 『魏略』의 사라국이 安息國(파르티아 B.C.250-A.D.225) 속한 大秦(로마) 접경지대라는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502년ㆍ508년 斯羅國이 北魏에 사신을 파견했을 당시 Seleucia는 340년 전에 사라졌고, Sura는 로마(비잔틴)의 요새 도시가 되어 있었다. 『魏略』의 斯羅國 기록은 유효기한을 넘긴 정보이다. 다음으로 井上直樹가 언급한 『북사』 권4, 위본기 경명 3년(502) 조는 “그해 西域 27國이 함께 사신을 보내 조공했다”라고 하고 있다. 여기에 대칭되는 『위서』 권8, 世宗紀 明 三年(502) 是歲 조를 보면 당시 斯羅를 포함한 22개 나라들이 북위에 조공한 기록이 있다. 하지만 『북사』 서역전이 소개한 나라들 가운데 『위서』 502년 조에 보이는 것과 일치하는 나라는 疏勒, 悉萬斤, 南天竺, 朱居 등 4개 나라 밖에 없다. 『北史』의 저자가 자신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소국들은 모두 서역의 나라라고 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北史』 권94 신라전에서 “新羅를 또한 斯盧라고 부르기도 한다”라고 하고 있다. 『삼국사기』에도 같은 기록이 나오기 때문에 斯羅는 斯盧의 음사임이 확실하다. 503년(癸未年:지증왕 4) 9월 25일에 건립된 「영일냉수리신라비」의 첫줄을 보면 당시 신라인들은 스스로를 ‘斯羅’라고 했다. 20여 년 후 백제가 신라를 양나라에 소개할 때도 ‘斯羅’라고 했다. 斯羅의 북위 견사 직전인 500년 신라에서 지증이 권력을 잡자 백제 동성왕은 탄현에 목책을 세우고 신라의 침공에 대비했다. 이는 동성왕이 바라본 지증의 대외적 성향을 반영하는 것 같다.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입장도 바뀌었다. 소지왕대 지속적으로 신라를 공격하던 고구려가 지증왕 치세 15년간 한 번도 침공한 적이 없다. 502ㆍ508년 ‘斯羅’의 북위 견사조공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당시 북위에는 효문제가 남겨 놓은 의례를 연구하는 학자 집단이 있었다. 495년에 효문제가 단행한 북위 왕실의 喪制 개혁이 있었다. 504년 4월 지증왕은 喪服法을 제정하여 반포하고 시행하게 했다. 이는 동왕자신과 그 친족 집단의 親疎 關係를 명확하게 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었다. 3년간의 空位 동안 사탁부 갈문왕으로 있었던 지증왕이 가장 의식을 한 것은 자신이 속한 왕실 친족 집단이었다. 즉위하자 방계였던 지증왕은 자신과 내물왕계 혈연 집단과의 관계를 새로 설정할 필요가 있었고, 친족의 범위를 좁히는 작업을 시작했을 것이다. 지증왕대 한화정책 시행은 신라의 북위 견사와 對고구려 관계개선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 싶다.

      • KCI등재

        신라 지증왕대 喪服法과 一夫一妻制

        서영교(Seo, Young-Kyo) 효원사학회 2018 역사와 세계 Vol.- No.53

        고구려와 백제의 왕실에는 일부다처제의 혼인풍속이었다. 그러나 신라왕실에는 일부일처제의 혼속을 준수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고구려와 백제가 신라에 비해 강고한 왕실혈연집단의 지배를 받지 않았던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구려와 백제에는 왕가와 통혼권을 가진 다수의 귀족세력집단이 존재했지만 신라는 그렇지 않았다. 『북사』신라전에 “國王이 돌아가면 신라인들이 1년 상복을 입었다.” 라고 하는 규정이 보인다. 이는 504년 지증왕의 상복법 제정반포가 남긴 흔적으로 보인다. 또한 『북사』를 보면 신라에는 고구려나 백제에 없는 妻子喪 규정이 있다. 신라에서는 妻가 존중받았고, 그녀가 낳은 아들도 그러했다. 妻는 1인의 正妻이며, 아들은 그녀가 낳은 嫡子이다. 喪制와 숭배를 영속시키기 위해 아들을 생산하는 婚制는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내물왕 이전 시기에 重婚이 존재했으며, 왕자의 신분은 어머니의 신분에 의해 규정되는 出生의 문제이지 婚姻의 순서 문제는 아니었다. 그러다가 417년 눌지왕이 즉위하면서 왕위가 한 가문에 고정되고 변화가 생겨났다. 눌지와 형제(卜好․未斯欣) 집안 사이의 족내혼이 시작되었다. 눌지왕에서 지증왕대에 이르는 통치시기 동안 왕실가족 여자가 낳은 아들이 왕위를 계승했다. 이러한 족내혼 구조에서 신분과 결합된 일부일처제의 혼속이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 하나의 왕실 구성원들의 힘이 신라사회에서 확고한 우위를 확보하기 시작한 눌지왕대 이후 지속적으로 행해진 족내혼이 일부일처제의婚俗 생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고, 지증왕의 상복법 제정에 그것이 반영되어 반포되면서 신라사회에 확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복법제정으로 아버지의 喪에 적자들만이 喪主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첩의 자식들은 상례에서 배제되었던 만큼 대를 이을 자격도 가질 수 없었다. 제사를 상속받은 자는 거기에 딸린 지위와 재산도 상속받는다. 이는 진골귀족들의 수를 제한하는 장치가 되었다. 지증왕의 상복법 반포는 왕실에 갇혀있던 死王에 대한 숭배의 문을 신라사회를 향해 열게 했고, 왕실의 일부일처제 혼속을 저변으로 확대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일부일처제 혼속의 토대 위에 골품제가 세워지는 계기로 작용했다. Goguryeo and Baekje were part of polygamy. Monogamy was observed in Silla"s royal chambers. The difference is believed to hav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Goguryeo and Baekje were not ruled by the royal family, which were stronger than Silla. There were many aristocratic groups in Goguryeo and Baekje, but Silla was not, and marriages were held inside the royal family. According to Chinese records, Silla people wore a year of mourning when the King died. It was forced upon the Silla people by the king and was left by King Jijeung"s Funeral Law in April 504. There are no regulations on wives and children in the funeral laws of Goguryeo or Baekje. It exists only in Silla. In Silla, the wife was respected, and so was her birth son. There is a close association between a funeral system and a marriage system. Both that produces the son to perpetuate worship. Before King Naemul and King Silseong, where the throne was replaced by three blood families, monogamy was not present. Polygamy existed, and the prince"s status was not a matter of order. It was defined by his mother"s status. Then, in 417, King Nulji was crowned king, and the throne was fixed to Naemul royal family. The marriage of close relatives between Nulji and brothers royal family began. The son of a woman with three royal family blood flow was succeeded to the throne during the hundred year. In this structure, the marriage of monogamy, combined with status, appears to have been created.

      • KCI등재

        異斯夫의 가야 침공과 伴跛의 逆襲

        서영교(Seo, Young-kyo) 신라사학회 2017 新羅史學報 Vol.0 No.40

        《日本書紀》 繼體紀를 보면 514년 3월 伴跛(=대가야 이하생략)가 성을 쌓고 일본을 대비하고 신라를 대대적으로 약탈했다고 한다. 앞서 백제에게 영토를 침탈당해 왔던 伴跛가 신라에 대한 보복성 공격을 한 것은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았고, 해결될 수 없는 문제였다. 여러 가지 대안과 해석이 나왔다. 먼저 시기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 사건을 16년 내려 《일본서기》 권17, 계체기 23년(529) 3월 是月조에 보이는 가라(=伴跛)와 신라의 혼인동맹 파기 이후의 일로 보기도 했다. 그 후 두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그러한 일이 벌어졌다고 보는 것이다. 다음으로 연대는 그대로 두고 伴跛에게 공격당한 주체를 백제나 安羅로 바꾸는 것이다. 己汶, 帶沙를 영유하게 된 것은 백제임에도 불구하고 신라를 공격했다는 기술 내용은 믿을 수 없으며, 伴跛가 공격해야 할 세력은 신라가 백제가 되어야 한다거나, 또는 《日本書紀》 에서 安羅를 新羅로 잘못기록한 것으로 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신라가 백제에 동조했기 때문에 伴跛에게 보복을 당했다는 주장도 있었다. 513년 국제회의에서 신라가 伴跛의 기대를 저버리고 백제의 입장을 지지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 때문에 伴跛가 신라를 급습하여, 子女를 잡아들이고, 남아있는 것이 없을 정도로 村邑을 노략질 하고, 誅殺한 사람들이 헤아릴 수가 없을 정도의 잔혹행위를 했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물론 伴跛의 신라공격에 대한 의문 제시는 신빙할 수 없는 《일본서기》의 모습을 재삼 보여준다고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사료를 부정하는 것은 좋은 연구자세가 아니다. 아무리 모순되어 보인다고 하더라도 왜 그러한 형태의 기록이 존재하는지 고심해야 한다. 혁거세 8년(기원전 50)부터 21대 소지왕 22년(500)까지 총 59회의 신라에 대한 왜의 침공기록이 보인다. 그러나 500년 지증왕 즉위 이후 《삼국사기》신라 본기에서 왜침 기록은 갑자기 사라진다. 교묘하게도 이는 倭國 畿內 세력의 장기간 내분과 시기가 겹친다. 또한 같은 시기 고구려의 침공도 중단되었다. 신라의 입장에서 보면 가야로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왔다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이사부전에 보이는 지증왕대(500-514) 가야병탄 기록을 신빙할 수 있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지증왕 후반인 512년 경 이사부가 가야를 병탄하여 그 영토 일부를 차지했다. 그곳은 伴跛의 영토였다. 여기서 514년에 가서 伴跛가 新羅에 대한 처절한 보복을 감행한 이유가 설명이 된다. 512년 직전부터 백제가 서쪽에서 伴跛의 기문과 대사지역을 공략하여 伴跛의 주력이 서쪽에 묶이자, 지증왕이 이사부를 시켜 동쪽에서 그 영토를 침략했던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 대한 보복으로 514년 伴跛가 신라에 대한 잔인한 급습을 했던 것이다. 양국의 화합의 길은 514년 신라에 대한 伴跛의 급습만 존재했다면 이루어지지 않았다. 앞서 512년 경 신라가 伴跛를 침공했고, 그에 대한 반발로 伴跛가 보복을 하는, 서로 주고받은 역사가 있었기 522년 결혼동맹이 가능했다. There is a contradiction in the record of the Ban-pa attack on the Silla which is shown in the Nihonshoki. Have been questioning this Point for 100 years and Having come up with a lot of speculative view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strictly contrast it with the records of the Japanese scribes, the Nihonshoki and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Samguksagi and find the records symmetrical to each other. However,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the Silla attack on the Kaya recorded on the Samguksagi Isabu Electric is contrasted with the records of the Ban-pa attack on the Silla. In the year 512, the governor Isabu battled the Banpa and occupied part of the territory, and in 514, the Banpa tried to retaliate against Silla.

      • KCI등재후보

        6세기 초 신라 갈문왕의 지위변화

        양자량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26 No.-

        In this research paper,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and geomsuckmun(金石文)are examined to look the change of galmunwang’s status in the early 6th centurycaused by the royal authority of both King Jijeung and King Beopheung. Throughthe geomsuckmun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galmunwang had political influence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main issues of government at a councilof novel. Finally, as the royal authority weakened in the late King SoJi, JidoroGalmunwang came to the throne in the abnormal way with support of strong powers. However, since galmunwang did not have the right of succession, his justificationmight be weak. It will have to be understood in such a situation not to call theMaripgan(麻立干) on the nangsuribi in 503. In this way, to overcome own weakjustification and royal authority, King Jijeung carried out reformations of the strengthenand stability of royal authority after his enthronement. A 530’s was a period completed a centralized system in the King Beopheungera, dissolving Yukbu(六部) system. On the one hand, King Beopheung tried to weakengalmunwang's authority to prevent the King Jijeung’s precedent that took the throneas galmunwang. As the galmunwang’s status was weakened, it was the Sangdaedeung(上大等) to substitute for its role. King Beopheung established the sangdaedeung ashis political partner instead of galmunwang. And then, the galmunwang degeneratedas a honorary position, which is just given to royal families, and this position wasalso regarded as a nominal position that no longer has political influences. In short,before King Jijeung, the royal authority under the yukbu system was weak, so the kingregarded galmunwang as his partner who was based on the blood-relationship. On theother hand, after King Jijeung, the king engaged not galmunwang but the bureaucratizedsangdaedeung through reformations for strengthen royal authority by himself. 본 논문에서는 문헌사료와 금석문을 통해 6세기 초 신라의 지증왕․법흥왕대 왕권과 그에 따른 갈문왕의 지위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6세기 초 금석문을 통해 갈문왕은 귀족회의에서 주요 국정 현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마침내 소지왕 말기 왕권이 약화되자 지도로 갈문왕은 강대한 세력의 지지에 힘입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즉위한다. 그러나 갈문왕은 왕위계승권이 없었기 때문에 그 명분은 취약했을 것이다. 자신의 약한 명분과 약해진 왕권을살리기 위해 지증왕은 즉위 이후 왕권의 안정과 강화를 위한 개혁을 실시하게 된다. 530년대는 6부체제가 해체되고, 법흥왕대 집권화된 지배체제가 완성되어 가는 시기였다. 이는 왕권이 성장되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법흥왕은 갈문왕으로서 왕위에오른 지증왕의 전례를 견제하고자 갈문왕의 지위를 약화시키고자 하였다. 갈문왕의지위가 격하됨에 따라 그 역할을 대신 한 것이 바로 법흥왕 18년(531) 설치된 상대등이다. 법흥왕은 자신의 정치적 파트너로 갈문왕이 아닌 상대등을 설치하여 갈문왕은 더 이상 정치적으로 영향력을 가질 수 없는 유명무실한 위치, 왕족에게 주는 명예직화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를 정리하면 지증왕 이전에는 6부체제의 아래에서 왕권이 약했기 때문에 혈연관계에 있던 갈문왕을 동반자로 여겼다면, 지증왕 이후 스스로 왕권을 강력하게하기 위한 개혁을 통해 혈연관계로 있던 갈문왕이 아닌 관료화된 상대등을 동반자로서 두었던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6세기 초 신라 갈문왕의 지위변화

        양자량 ( Yang Ja Rya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에서는 문헌사료와 금석문을 통해 6세기 초 신라의 지증왕·법흥왕대 왕권과 그에 따른 갈문왕의 지위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6세기 초 금석문을 통해 갈문왕은 귀족회의에서 주요 국정 현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마침내 소지왕 말기 왕권이 약화되자 지도로 갈문왕은 강대한 세력의 지지에 힘입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즉위한다. 그러나 갈문왕은 왕위계승권이 없었기 때문에 그 명분은 취약했을 것이다. 자신의 약한 명분과 약해진 왕권을 살리기 위해 지증왕은 즉위 이후 왕권의 안정과 강화를 위한 개혁을 실시하게 된다. 530년대는 6부체제가 해체되고, 법흥왕대 집권화된 지배체제가 완성되어 가는 시기였다. 이는 왕권이 성장되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법흥왕은 갈문왕으로서 왕위에 오른 지증왕의 전례를 견제하고자 갈문왕의 지위를 약화시키고자 하였다. 갈문왕의 지위가 격하됨에 따라 그 역할을 대신 한 것이 바로 법흥왕 18년(531) 설치된 상대 등이다. 법흥왕은 자신의 정치적 파트너로 갈문왕이 아닌 상대등을 설치하여 갈문왕은 더 이상 정치적으로 영향력을 가질 수 없는 유명무실한 위치, 왕족에게 주는 명예직화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를 정리하면 지증왕 이전에는 6부체제의 아래에서 왕권이 약했기 때문에 혈연관계에 있던 갈문왕을 동반자로 여겼다면, 지증왕 이후 스스로 왕권을 강력하게하기 위한 개혁을 통해 혈연관계로 있던 갈문왕이 아닌 관료화된 상대등을 동반자로서 두었던 것이다. In this research paper,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and geomsuckmun(金石文) are examined to look the change of galmunwang’s status in the early 6th century caused by the royal authority of both King Jijeung and King Beopheung. Through the geomsuckmun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galmunwang had political influence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main issues of government at a council of novel. Finally, as the royal authority weakened in the late King SoJi, Jidoro Galmunwang came to the throne in the abnormal way with support of strong powers. However, since galmunwang did not have the right of succession, his justification might be weak. It will have to be understood in such a situation not to call the Maripgan(麻立干) on the nangsuribi in 503. In this way, to overcome own weak justification and royal authority, King Jijeung carried out reformations of the strengthen and stability of royal authority after his enthronement. A 530’s was a period completed a centralized system in the King Beopheung era, dissolving Yukbu(六部) system. On the one hand, King Beopheung tried to weaken galmunwang's authority to prevent the King Jijeung’s precedent that took the throne as galmunwang. As the galmunwang’s status was weakened, it was the Sangdaedeung (上大等) to substitute for its role. King Beopheung established the sangdaedeung as his political partner instead of galmunwang. And then, the galmunwang degenerated as a honorary position, which is just given to royal families, and this position was also regarded as a nominal position that no longer has political influences. In short, before King Jijeung, the royal authority under the yukbu system was weak, so the king regarded galmunwang as his partner who was based on the blood-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after King Jijeung, the king engaged not galmunwang but the bureaucratized sangdaedeung through reformations for strengthen royal authority by himself.

      • KCI등재

        「浦項 中城里新羅碑」의 新釋과 지증왕대 정치 개혁

        박남수(Park Nam-Soo)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0

        2009년 5월에는 「포항 중성리신라비」(이하 「중성리비」)가 발견되었으나, 비문의 난해함과 새로운 용어의 등장, 그리고 결정적인 판독의 오류로 인하여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점이 있었다. 이에 필자는 「중성리비」를 면밀하게 살핆으로써, 기왕에 「중성리비」를 특징짓는 지명으로 일컬었던 2개의 ‘牟旦伐’을 각각 ‘牟?伐’과 ‘至且代’로 판독하였다. 또한 ‘ ’의 석독 ‘奪’이 ‘等’의 오독임을 밝히고, ‘本牟子’를 ‘본래 牟子 지방의 … 였다’로, ‘爭人’을 직임으로, ‘金評’을 신라 6부 가운데 하나인 한지부의 전신 지명으로 각각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석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석문을 바탕으로 하여 신라 6세기 전반 율령비의 서식이 정비되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지증왕 즉위 초의 강력한 개혁정책의 기조를 살폈다. 이에 「중성리비」의 신사년을 ‘지증왕이 신사년에 즉위하였다’는 「삼국유사」의 或說에 상응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중성리비」 敎令 頒行의 투식이 「냉수리비」에서 매우 정비된 형태로 나타난 것이나, 「중성리비」ㆍ「냉수리비」와 같은 사안에 대한 처결이 있었던 것 등을, 지증왕 즉위 초년의 정치개혁과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고자 하는 모습으로 이해하였다. Even though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Mounument was discovered inMay, 2009, it is very difficult to figure out the precise meaning, due to difficult passages, appearance of new terms and decisive errors of decipherment. Whereupon,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StoneMonument, I decoded two ‘牟旦伐(Modanbul)’ as ‘牟?伐(Mochambul)’ and ‘至且代(ji-cha-dae)’ respectively which were the place names as the distinct features of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unument. In addition, I found out that ‘奪’(tal : 奪) as interpretation of ‘ ’(deung : ) was the misreading of ‘等(deung : 等)’ and suggest a new interpretation, translating the phrase ‘本牟子’ as ‘originally, was … of 牟子(Moja) district’ and reading ‘爭人(disputants)’ as one’s official duties and ‘金評(Geumpyung)’ as a former name of Hanjibu which was one of Silla 6 Bu. On the basis of these interpretations, I examined the processes which a format of a stone monument of a statute was organized in early the 6th century in Silla and keynotes of strong reformation policies right after the accession to the throne of King Jijeung(Jijeungwang). Therefore, I presumed that the year of xinsi(辛巳), depicted in Jungseongri Silla StoneMounument, corresponded to a theory recorded that 'King Jijeung ascended the throne in the year of xinsi' in Samguk Yusa. Additionally, the format of the distribution of king’s ordinance in ‘Jungseongri Silla StoneMounument’was highly refined in ‘Naengsuri StoneMonument’, and there were the decisions on the same case to that of ‘Jungseongri Silla Stone Mounument’ and ‘Naengsuri Stone Monument’, which I understand as the political reformation and policies to resolve the social conflicts at the beginning of the accession to the throne of King Jije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