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설현장 중심의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 개선 연구

        장용구,이준우,전흥수,우제윤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추계

        국토해양부의 국토지반정보 DB구축사업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지반조사성과를 전산화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DB구축,시스템 보급, 센터 운영 등을 주요수행사업으로 '00년부터 현재까지 10년 이상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07년부터 「지반조사성과전 산화및활용에관한지침」이 국토해양부 훈령으로 제정 시행되면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지반조사성과에 대한 전산화는 건설사가 직접 입력·제출하고 있다. 지침 시행과 함께 국토해양부에서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한국건설기술연구원) 중심으로 지반정보 유통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지반정보 생산을 위한 지반정보 입력시스템, 검수·등록을 위한 검수등록시스템, 지반정보 유통을 위한 웹유통시스템으로 구성된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보급·활용 중인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에 대하여 지반정보 생산자 및 활용자들의 지속적인 개선요구사항들을 수렴하고 있으며, '11년도 사업을 통하여 사용자 중심의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으로 개선 및 추가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개선한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의 주요 연구내용을 소개한다.

      • KCI등재

        지반정보 분석 및 평가를 위한 웹기반 지리공간정보 시스템 개발

        이상훈 ( Sang Hoon Lee ),장용구 ( Yong Gu Ja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0 No.4

        지반정보DB는 NGIS 2단계 기본계획의 하나인 ‘지하지리정보’구축의 기초자료로써, 건설교통부가 2000년부터 전국토를 대상으로 구축하고 있다. 구축된 지반정보는 지층의 심도, 종류, 색 및 지하수위 등 지하의 상태정보 뿐만 아니라, 표준관입시험, 압축시험 등의 건설공사 설계업무에 적용 가능한 공학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시험 결과서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공학업무의 지반의 해석 및 설계에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반정보DB의 효과적인 활용지원을 위하여 웹기반의 지리공간정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지반정보DB에서 공간정보, 지층정보 및 공학 시험정보를 실시간으로 불러와 지반단면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해당 지반의 토공량, 지지력, 침하량을 산정하고, 연약지반, 액상화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웹 클라이언트를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통해 지반정보 DB를 건설공사의 계획 및 설계 등 실무 전반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base, foundation of undergrou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2nd NGIS plan, had been developing by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since 2000. This database contains not only soil condition, such as depth, type and color of layer, and ground water level, but also engineering properties used for foundation design and construction, for instance, standard penetration test, compression test.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his database for analyzing and designing geotechnical works, because report document is only offered.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web-base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for the effective uses. First, underground cross-section model is generated by location, layer,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base at the realtime process. Second, earth volume,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is calculated and potentials of soft ground, liquefaction are evaluated through pre-defined empirical formula. This process is operated by web-based client. We wish to strengthen the application capacity through this system in construction planning and design works.

      • KCI등재

        국내 지질 및 지반조사 자료 관리 현황에 대한 실용적 고찰

        장용구(Yonggu Jang),전흥수(Heungsoo Jeon),채덕호(Deokho Chae),조완제(Wanjei Ch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4

        최근 들어, 건설 시공의 정보화에 더불어 이를 이용한 원가 및 비용 절감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조물의 설계에서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지질 및 지반정보의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비교ㆍ분석하여 보다 나은 활용성을 가진 관리 시스템을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현재 지질 및 지반 정보는 한국 지질자원 연구원의 지질도 및 지질공학도 그 외 여러 가지 주제도, 한국광물공사의 국가광물자원지리정보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반정보 포털시스템의 시추정보, 서울특별시의 지반정보시스템, 해양조사원의 종합해양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수집 및 관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건설 시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하수 정보는 한국수자원공사의 국가지하수정보센터와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어촌지하수넷을 통하여 그 정보를 수집·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정부 출연 연구소에서 수집 및 관리되고 있는 지질 및 지반 정보의 종류를 소개하며, 미국, 일본,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관리 시스템과의 비교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형태의 자료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the cost reduction and savings during the construction activities with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and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ost savings during the construction, the development of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with high practical use becomes very important since the geologic and geotechnical data are required for the design of the various structures. Currently,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data are collected and distributed as a geological/geotechnical map or engineering geology map and map with other specific purpose through geoinfo system a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orea Mineral Resources GIS at Korea Mineral Resources Corporation, Geotechnical Information Portal System a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at the City of Seoul and the Ocean Data Integration Material System at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on the groundwater is monitored and collected via Integrated Ground Water Information Service a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nd Rural Groundwater net at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data collected from the above mentioned government organization are compared and the DB and distribution system with higher utiliz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comparisons with those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and Germany.

      • KCI등재

        지자체 지진방재 대책을 위한 지질과 지반정보관리 정책 제언

        임현지,송철우,하상민,김민철,손문 한국지구과학회 202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3 No.1

        Due to recent mid-scale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preparing new measures for earthquake hazard mitigation.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earthquake hazard assessment. Thus, related data have been collected and assimilated as DBs by various national organizations. However, several problems arise when local governments intend to use this information to establish earthquake hazard mitigation measures. In the case of the geological information, small-scale geological maps make it difficult to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whereas lithofacies and faults do not often match at the boundaries of large-scale geological maps. Significant geotechnical information is lost due to lack of digitalization. Present study proposes four policy plans for geological and ge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link industry-academictechnology fields to use the information that has already been or to be produced more efficiently and professionally. Second,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are required to be enacted and revised to accumulate a lot of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Third an expert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dicated department and expand budget support for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최근 들어 한반도에 중규모의 지진이 연속해서 발생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진방재 대책을새로이 마련하고 있다. 지진재해 분석에서 가장 핵심적인 정보는 지질과 지반정보로 여러 관계기관에서 관련자료를 수집하고 DB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이러한 정보들을 지자체의 지진방재 대책 수립에 이용하고자 할 때는 여러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지질정보의 경우, 소축척 지질도는 개략적으로 표현이 되어 세부적인 특징을 보여주기가 어렵고, 대축척 지질도는 도폭 간의 경계에서 암상이 불일치하거나 구조선의 연장이 불분명하다. 지반정보의 경우, 디지털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사장된 정보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진방재 대책의 기초단위인 지방자치단체 단계에서의 지질·지반정보관리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이미 생산되었거나 생산될 지질정보와 지반정보를보다 효율적이고 전문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산학연 기술연계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많은 지질과 지반정보가 축적될수 있도록 자치법규 제정 및 개정이 요구된다. 셋째, 지질·지반정보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전문가시스템 도입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효율적인 정보의 관리를 위하여 전담부서 신설과 예산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 댐 주변지역 광역적 지반 안정성 평가를 위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장범수,이사호,최위찬,최재원,오영철 한국공간정보학회 200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9 No.1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낙석, 지반침하 등으로 인한 지반붕괴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히 댐, 교량, 도로, 터널, 공단 등 국가 주요 시설물에 대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대한 지반 안정성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러한 평가에 근거에 대책마련을 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 및 검증 결과를 이용하여 주요 시설물인 전국 40개 댐 주변지역에 대해 지형, 지질, 토양, 임상, 토지 이용, 확률강우량도, 인공위성 영상 등 공간자료를 수집, 공간 DB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공간 DB를 검색 및 안정성 분석을 할 수 있는 공간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ArcView 3.2의 스크립트 언어인 Avenu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고 풀다운 메뉴 및 아이콘 메뉴방식을 사용하여 사용하기 쉽게 개발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안동댐 주변 지역의 광역적 지반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축된 DB 및 개발된 시스템은 광역적 지반 안정성 평가 및 관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지반 안정성 평가 결과는 댐 등 주요 시설물의 지반 안정성을 평가함으로서 재해예방 및 지반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Ground failure such as landslide, rock fall land subsidence by heavy rainfall have damaged to people and property. Especially, the damage to important facility such as dam, bridge, tunnel and industrial complex may be possible. Therefore the ground failure must be assessed and counter plan must be prepared. So,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for regional ground stability assessment. For this, the topographic, geologic, soil, forest, land use, rainfall frequency map, and satellite image near 40 dams were collected and constructed to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Avenue in ArcView 3.2 environment and consists of pull down menus and icons. For applica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regional ground stability was assessed in Andong dam. The assessment was ground failure susceptibility and possibility. The spatial information can be used for regional ground stability assessment,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hazard, and management of ground as basic data.

      • KCI등재

        액상화 평가를 위한 지층심도DB 구축 방안

        강병주,황범식,김한샘,조완제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9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0 No.3

        The liquefaction is a phenomenon that the effective stress becomes zero due to the rapidly accumulated excess pore water pressure when a strong load acts on the ground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n earthquake or pile driving, resulting in the loss of the shear strength of the ground. Since the Geongju and Pohang earthquake, liquefaction brought increasing domestic attention. This liquefaction can be assessed mainly through the semi-empirical procedures proposed by Seed and Idriss (1982) and the liquefaction risk based on the penetration resistance obtained from borehole DB and SPT. However,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 obtained by the in-situ tests or boring information fundamentally have an issue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target area.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construct a ground information database by classifying and reviewing the ground information required for liquefaction assessment, and tried to solve the representative problem of the soil layer that is subject to liquefaction evaluation by performing spatial interpolation using GIS. 액상화란 느슨한 사질토 지반에서 지진과 같은 큰 진동하중이 발생하여 과잉간극수압이 급격히 증가해 전단강도를 상실하는 현상으로 국내 포항에서 발생한 액상화 현상과 더불어 그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액상화 평가는 주로 Seed and Idriss(1982)가 제시한 반경험적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시추공 DB와 SPT에서 얻어진 관입저항력을 기초로 액상화 위험을 평가할 수 있지만 획득된 시추공 DB는 일정 구역을 대표하지 못하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액상화 평가의 필요한 지반정보를 분류 및 검토하여 지반정보의 DB구축방안을 모색하고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하여 공간보간을 수행해 액상화 평가 대상이 되는 지층의 대표성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지층의 두께를 정의하는 방안에 따라 세 가지 지층심도DB구축 방안을 제시하였고 교차검증을 통해 제시한 구축방안의 정밀도를 비교, 분석하여 액상화 평가에 적합한 지층심도DB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