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在南宗禪特徵性思想中培養的中國傳統思想考察

        장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2 불교문예연구 Vol.- No.20

        As we all know, as a par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he formation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 is more or less affected by the mainstream religion of China. Among them, as the most influential mainstream religion in China, Buddhism, especially the Southern Zen in Chinese Buddhism,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In a broad sense, Southern Zen refers to the general name of Chinese Zen sects after the Sixth Patriarch Huineng. It is the authentic Zen sect. Since Zen was introduced into China, it has absorbed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such as Confucianism and Taoism metaphysics, which are more inclusive of Chinese traditional ideology and culture. Therefore, Chinese Zen has a very strong vitality.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 methods and doctrines, Southern Zen advocates the "  self-directed epiphany ", emphasizing "self-sufficiency in nature". Everyone has Buddha nature, which is more suitable for the religious belief needs of the Chinese people. It has become an irreplaceable representative sect of Buddhism in the hearts of the Chinese people. In the long historical development and evolution, the Southern Zen, together with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thought, has shaped the Chinese people's character of "peace is the most precious", inspired the Chinese people's independent self of "Spontaneity and unconcerned", made up for the shortcomings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ffected the Chinese people's thought and aesthetics, and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Chinese society.Although Southern Zen has a certain foundation of believers, in the current Chinese society, Southern Zen is not paid attention to, and it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well developed, which is extremely unfavorable to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ese society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of strong spiritual beliefs, and Southern Zen is one of the indispensable spiritual forces.This paper innovatively places the Southern Zen in the traditional Chinese thought for investigation. Based on the spread and influence of Southern Zen in the traditional Chinese social thought, it analyzes the important role that Southern Zen can play in the traditional Chinese thought. Through the way of historical literature research, it seeks to use the characteristic concept of Southern Zen to enhance the connotation of traditional Chinese thought, and explores the path of rapid development of Southern Zen in the new era of China, Make it better serve the spiritual and cultural life of Chinese people. 중국 주류 종교는 중국 전통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중국 전통 문화 중의 일부분이기도 한다. 그 중에서 중국 가장 영향력이 큰 주류 종교 불교, 특히 중국 불교 중의 남종선(南宗禪)은 중국 전통사상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넓은 의미에서 보면 남종선은 6조혜능(六祖惠能) 이후 중국 선문 종파의 총칭이자 선문의 정종(正宗)이다. 선종이 중국에 전해진 후부터 유가사상과 도가현학 등 중국 본토의 전통사상을 흡수하고 중국 전통 사상문화에 대한 포용성이 강하므로 선종의 생명력이 매우 질기다. 수행 방식과 교의에서 말하자면 남종선은 '명심견성(明心見性,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하여 자기의 본성을 발견하다)'이라는 돈오(頓悟) 수행 방식을 고취하면서 본성으로 자족하(本性自足)고 사람마다 불성이 있는 것을 강조한다. 남종선은 중국 사회 민중의 종교적 신앙 요구에 더욱 적합하여 중국 민중들의 마음속에 대신할 수 없는 불교 대표적인 종파가 됐다. 오랜 역사 발전과 변천 속에서 남종선은 중국 전통문화, 사상과 함께 중국 민중의 '이화위귀(以和為貴, 화목을 으뜸으로 생각하다)'의 성격 특징을 형성시키고, 또한 중국인 마음속의 '수성초연(隨性超然, 편한대로 하는 초연)'한 독립적인 자아를 불러일으키고 중국 전통사상 중의 단점을 보완시키며 중국 민중의 사상과 심미에 영향을 주고 중국 사회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남종선은 어느 정도 대중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지만, 현재 중국 사회에서 남종선은 그다지 중시되지 않았고 그 사상적 특징도 잘 발휘되지 못한다는 것은 중국 전통사상과 문화에 매우 불리하다는 것을 뜻한다. 중국 사회의 급속한 발전은 강력한 정신 신앙의 뒷받침을 떠나서 살아날 수 없고 남종선은 그중에서 불가결한 정신력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창의적으로 남종선을 중국 전통사상에 놓고 고찰하고 중국 사회 전통사상에서 남종선의 전파와 영향에 입각하여 남종선이 중국 전통사상에서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해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행문헌 연구 방식을 통해 남종선의 이념 특색에 힘입어 중국 전통사상의 함의를 높이고, 남종선이 중국 신시대에서 급속히 발전할 경로를 모색하여 중국인의 정신문화생활에 더 잘 봉사할 수 있도록 연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국의 가정문화와 효사상

        姜坤 한국효학회 2015 효학연구 Vol.0 No.22

        본고는 가정문화와 효사상의 관계 측면에서 전통적인 효사상의 모습과 현대적인 효사상의 의미 그리고 존재하는 문제점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중국 전통가정제도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가정문화를 검토하였다. 다음 중국 전통 효사상과 중국 전통가정문화 속의 효사상을 깊이 분석해 보았다. 근대사회에 들어와 중국의 특수한 역사요인과 정책요인으로 인해 중국의 가정문화와 윤리사상이 많이 달라졌다. 본고는 이를 배경으로 현대가정문화 속의 효사상의 실상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전통가정문화와 전통적인 효사상을 재인식하는 것은 중국 현대적인 효사상 중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아주 바람직한 일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is paper, from the poi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ulture and filial ideas,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existing problems in traditional filial ideas and modern filial ideas.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d the forming process of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system and then discussed about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based on the survey. Thereafter, it gives a thorough analysis on filial ideas included in Chinese traditional filial ideas and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Since the modern times, beacause of the spe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reasons,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Chinese family culture and ethical thoughts. Grounded on that, this paper explores the real facts and situations of the filial ideas in Chinese modern family culture, and points out the existing problems in it. This paper also lays great emphasis on the re-recognition and restudy of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and traditional filial thoughts, which is really meaningful for the improvement on those problems in modern filial ideas.

      • KCI등재후보

        중국 근,현대 대학 변화의 사상적 기초

        김덕삼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0 中國學論叢 Vol.30 No.-

        本硏究意在探求中國近現代大學的變化及其思想的變化。爲此, 要把給中國大學的變化帶來影響的思想命名爲"思想的基礎", 倂把中國大學的主要變化分成了6個部分。還有, 以此爲基礎, 將具有最大影響的思想基礎分爲以儒家爲基礎的傳統思想, 外來思想以及社會主義思想。首先, 傳統思想是根據中國大學的繼承形態分成了自然繼承和按照中國大學的情況繼承的兩個部分。其次, 外來思想主要是分爲以敎會大學爲中心傳播的樣相和自由、民主、科學思想等。最後, 社會主義思想分爲建國前和建國後的兩個部分。通過本硏究可以了解中國的大學如何繼承自身的傳統, 其外來思想是如何引導中國大學的變化, 此外, 社會主義思想給中國的大學帶來了何種變化等問題。相信以此爲基礎, 將更準確的了解中國大學的今天和未來。

      • KCI등재

        중국 중고등 역사교과서에서 공자의 부활

        안지영 ( Ji Young Ah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42 No.4

        이 논문에서는 청 말에서 현재까지 중국의 정치적 변화와 교육과정 변화를 6시기로 구분하여 중국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중국의 대표 사상 가이자 아이콘인 공자와 유가사상 서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이를 살펴 보았다. 청말에서 중화민국시기, 남경국민당정부에 이르기까지 공자와 유가사상 은 정권유지를 위한 도덕·문화강령(綱領)이었다. 그러나 신 중국 성립 이후 중국의 역사교육과정 및 교과서는 사회주의 이념과 역사 유물주의적 관점 에 의해 새로 제정된다. 이에 따라 역사교육에서 공자와 유가사상은 비판 과 선택을 통해 중국 고대 위대한 학자이자 교육자로 재정립된다. 그러나 문화대혁명 사기 중국 전역에서 불기 시작한 비림비공운동의 시작으로 공 자는 반동의 근원으로 인식되고 전면 부정된다. 그러나 문화대혁명 이후 등소평을 지도자로 한 개혁개방 파 정권의 성립으로 인해 공자와 유가사상은 춘추시기 노자와 함께 중국 주요사상가이자 교육자로 재인식된다. 그러나 개혁개방으로 중국이 원치 않았던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와 서구식 가치관이 유입되었고 이는 젊은 세대에게는 사회주의 이념, 도덕적 가치관의 붕괴와 문화적 열등감을 가져왔다. 이에 중국정부는 기존의 사회주의 이념이라는 큰 틀을 유지하면서 붕괴되고 있는 국가이념과 가치관을 보강할 수 있는 자양분을 중국 전통사상에서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신 중국 성립 이후 줄곧 개혁과 비판의 대상이었던 공자와 유가사상마저 도 중국 스스로 가장 중국적인, 중국을 대표할 새로운 아이콘이자 전통 주류사상(主流思想)으로 수용되기에 이른다. 또한 현재 중국이 처한 대내적 환경과 구 소련의 붕괴로 사회주의 이념의 한계가 한층 분명해짐에 따라 중국은 역사교육을 통한 사상교육을 통해 차세대에게 중국식 이념의 틀 속에서 내적 문화적 응집력과 외적 진취성을 가질 수 있는 세계 문화종주국이자 초강대국으로 비상할 수 있는 대국이라는 자신감의 원동력을 공자와 유가사상에서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This research paper bas looked into how the descriptions of Confucius (551-479 BC), China`s most famous philosopher and icon, and Confucianism, his teachings, have changed in the Chines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n six periods from the end of Qing Dynasty to the present, divid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and subsequent curriculum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the nation. From the end of Qing Dynasty to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 Nanjing Nationalist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era, Confucius and Confucianism were mainly moral and cultural doctrines used as an instrument to maintain the regime. However,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 new China, the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of the country were revamped to reflect socialist ideals and historical materialism in them. In history education, Confucius and Confucianism were redefined as a great scholar and educator and his thoughts in ancient China through the processes of criticism and selection. However, along with the launch of "the Criticise Lin, Criticize Confucius Campaign" across the country at the time of the Cultural Revolution, Confucius was recognized as a reactionary and totally rejected. Yet with the emergence of Deng Xiaoping and his government calling for reform and opening after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Confucius reemerged as a major philosopher and educator of the country along with Laozi from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Reform and opening, however, have brought with them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and Western values much more than the Chinese government expected. The young generation of the country have suffered the collapse of socialist ideals and moral values in them along with some cultural inferiority. The Chinese government seeks to find ``nutritious elements,`` which will help them maintain the existing socialist ideals as the big fundamental framework and shore up the national ideology and values at a risk of being collapsed, from the traditional philosophies of China. As a result, Confucius and Confucianism, which were treated as subjects of reform and criticism all the way from the birth of a New China, are being accepted by China itself as a new national icon and the mainstream ideology that are most Chinese and that could represent China overseas. Also, as the limits of socialist ideologies have become clearer becaus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China is situated in at present and the collap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China is trying to inject the confidence that China is a cultural powerhouse, which can possess both internal rultura1 cohesiveness and an external progressive spirit within the Chinese ideological framework, and a big country that is merging as a superpower, into its next generation young people through philosophy education by way of history education.

      • KCI등재후보

        中國傳統哲學中的認識論思想

        조봉래 한국철학사연구회 2005 한국 철학논집 Vol.0 No.16

        본 논문은 중국의 전통철학 속에서 나타난 인식론들이 훗날 毛澤東의 독특한 ‘실천적 인식론 사상’의 형성되는 것과의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중국의 전통철학에서의 인식론은 이미 春秋戰國時代에 諸子百家들의 사상 속에서 인식의 근원이나, 인식의 가능성, 주체의 인식능력등에 관련된 문제에 대해 고찰한 흔적이 남아 있으며, 漢代의 董仲舒가 본격적으로 知와 行의 관계 정립을 최초로 시도한 이후 줄곧 수많은 학자들의 논쟁을 유발시켰고 이로 인해 인식과 실천의 관계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이 행해졌다. 잘 알려져 있듯이 毛澤東은 湖南省의 작은 산골마을에서 태어나 서당에서 사서오경을 읽으며 그의 첫 교육적 세례를 받게 되는데 이 때 흡수된 중국의 전통문화라는 배경이 實踐論에서 知와 行의 관계를 독특하게 재구성하고 특유의 ‘실천적 인식론 사상’을 정립하는데 일정한 기여를 했다고 본다. 實踐論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관점들, 예를 들면 ‘실천은 인식의 근원이다’라든지, ‘실천은 인식의 목적이다’ 혹은 ‘실천은 진리를 검증하는 유일한 표준이다’라는 관점들은 모두가 중국의 역대 사상가들이 논쟁을 벌였던 인식론에 관련한 문제들이다. 비단 실천과 인식의 관계문제 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관점에서 인식운동의 기본규율에 대한 생각 역시 중국 전통철학사에서 오래도록 존재하던 것이었다. 毛澤東사상의 형성과정을 마르크스주의의 ‘中國化’과정이라고 정의 한다면 바로 이 중국화 과정에서 중국 전통철학 사상의 영향은 다분히 큰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중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전통의 위상 변화: 문화정책과 미술시장을 중심으로

        김도연(Doyeon Kim) 현대미술사학회 2020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8

        전통이란 집단의 정체성을 상징하기에 국가 등 대부분의 집단에서는 전통을 존중하고 보호하고 있다. 이는 중국에서도 다르지 않기에 현대 중국의 많은 문화산업과 계획은 전통을 핵심 화두로 하여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 현대사의 과정 중에서 전통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이에 본고는 중국 현대미술사를 중심으로 하며 전통의 위상이 변화해 온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중국 현대미술계 안팎의 전통에 대한 가치인식과 태도를 정부정책과 미술시장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관방(官方)과 민간(民间)으로 나누어지는 중국미술의 두 가지 큰 영역을 대표한다. 문화혁명으로 인한 전통의 파괴와 이후 재건으로 이어지는 문화정책의 변화는 정치적인 필요에 의해 전통이 부정되고 이용되어 온 여정을 보여준다. 또한 미술시장의 변화는 해외에서 국내로 미술시장의 자본이 이동하는 과정과 그로 인한 영향을 드러낸다. 특히 2000년대 이후 민간과 관방의 영역은 서로 영향을 받으며 그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 Many groups and communities, including modern nation-states, strive to cherish and protect traditions that embody their identities. In line with this, many schemes and projects in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set their agenda around the main issue of Chinese tradition. However, the status of tradition has constantly changed in the course of recent history.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process of shifting national importance regarding tradition, focusing on contemporary Chinese Art history. In particular, it analyses how Chinese tradition is evaluated and perceived in two separate areas: government policies and the art market. This is because Chinese art is in general divided into two main sectors: government-led official art, and private art. The change in cultural policy from the Cultural Revolution to the restoration of tradition demonstrates the process in which tradition was once denied and then utilized according to political needs. It also studies the shift of capital flow from the foreign market to the domestic market, and its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art. Since the 2000s, the boundary between official and private has become less distinct, with the result that each influences the other.

      • KCI등재

        한국 문화콘텐츠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

        안창현(Ahn Chang-Hyu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본 논문은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의 중국 문화시장 진출 전략을 모색하는 글이다. 한류의 성공은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하는 동시에 자신감을 갖게 하였다. 그런데 최근 들어 중국문화콘텐츠 시장의 규모 확대와 함께 중국 업체들의 자체 제품 생산능력이 향상되고, 중국 정부의 자국 문화콘텐츠산업 육성과 보호를 위한 일련의 다양한 진흥과 규제정책으로 인해 새로운 중국문화시장 진출 전략이 요구되었다. 중국 문화시장 진출 전략은 크게 중국 사회?문화와 정부정책 교육을 통한 기획능력 강화 전략과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제작과 판매 전략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사회ㆍ문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감성체험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제품의 문화할인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총체적인 전략을 설정하는 기획단계에서 필수적인 고려요소이다. 이 때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할 문화적 정서는 중화사상이다. 사회문화로는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문화가 있다. 중국 문화산업은 국가 경제 발전계획의 틀 안에서 정책이 수립되고 진행되기 때문에 중국 정부의 문화산업 정책을 파악하면 시장의 변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중국정부의 강력한 규제 중심의 보호정책과 규제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때 기회가 발생한다.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제작과 판매 전략에서는 첫째, 공동의 이익추구인 네트워크 전략이 있다. 이 전략에는 우선 중국 특유의 꽌시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공동제작과 같은 합작전략 혹은 합자회사 설립을 통해 제작과 판매활동이 있다. 네트워크 전략은 중국인들의 고유한 문화정서와도 잘 맞아떨어지며, 우리기업들에게도 제작ㆍ유통 경비의 절감과 위험 분담이라는 장점이 있다. 우리가 단기간의 이익 추구보다 장기적인 공동의 이익 추구를 위해 중국의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는 다양한 영역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최상의 중국 문화시장 진출 전략이다. 둘째, 유통망 참여와 Testing-Bed 확보전략이다. 예를 들면 중국의 영화 유통망건설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한국형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같은 유통망을 건설한다면, 한국 영화가 상영될 수 있는 근거지 확보와 한국 영화의 중국 Testing-Bed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셋째, 중국문화 시장 주 타깃은 도시지역 거주자와과 청년계층이다. 넷째, 전자출판 인터넷TV, 핸드폰TV, 인터넷 문화콘텐츠 시장, 캐주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 등 새로운 중국 문화시장 개척 전략이다. 결론적으로 방대한 중국 시장에서 단독으로 마케팅을 전개하는 것은 한계가 뚜렷하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으며 실력을 갖춘 중국 현지 파트너를 찾아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이것은 기술, 마케팅, 비즈니스 모델 등 우리가 가지고 있는 노하우를 일정 부분 중국에 내놓아야 한다는 의미이며, 이익을 공유하는 전략이다. 한국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인적자원과 중국이 가지고 있는 시장과 마케팅 능력을 결합하여 상호 시너지 효과를 얻을 때 장기적인 신뢰관계가 구축되고 서로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한국과 중국은 서로가 필요로 하는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협력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

      • KCI등재

        劉師培의 『중국민약정의』 연구(下)

        노병렬(盧炳烈),천병돈(千炳敦)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7 No.-

        민약(혹은 사회계약)'은 중국 전통사상에서 찾아볼 수 없는 개념이다. 전제왕권 시대는 백성이 주인이 아니라, 통치자가 주인이다. 백성은 오로지 통치자가 잘 다스려주기만을 바랄 뿐이다. 따라서 중국 전통사상에는 '민약'이라는 개념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劉師培는 중국 전통사상에도 '民約의 의미'가 있다고 보고, 『중국민약정의』를 통해 그것을 검증했다. 劉師培는 양명의 良知를 인간의 '평등'과 '자유'라고 규정했다. 물론 이러한 규정이 옳다고 할 수 없지만, 良知를 서구의 평등·자유 개념과 연결시킨 것은 良知의 의미를 더욱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명이대방록』의 핵심은 국가를 한 개인의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주는 반드시 백성을 위해 국가를 통치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황종희의 사상은 루소와 통한다. 王夫之에 대해서는 '군주의 私天下'에 대한 경계를 반대하지 않았다. 다만 군주에 중점을 두고, 상대적으로 백성들의 권리 신장을 언급하지 않은 점에 대해 불만을 가졌다. 戴震은 '君爲臣綱이라는 理'를 근거로 제왕적 권위 질서에 무조건 복종을 강요하는 것을 반대했다. 宋代의 理學者들은 '存天理去人欲'이라 하여 人欲을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여겼다. 그래서 戴震은 '以理殺人'이라고 했다. 그래서 劉師培는 王夫之의 '욕망 속에 理가 있다'라는 주장을 긍정했다. 劉師培에 의하면 戴震이 말하는 욕망(欲)은 루소가 말한 義理다. 균등사상은 龔自珍의 탁월한 식견이다. 그러나 龔自珍은 군주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가졌다. 이처럼 상호 모순되는 정치사상에 대해 劉師培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그러면 龔自珍의 균등사상은 과연 진정한 '균등'인가? 다시 말하면 군주를 모든 사람이 균등하다는 것은 천부인권설을 주장한 루소에도 맞지 않고, 劉師培가 『중국민약정의』를 통해 찾고자 했던 전통사상 속에서의 '민주' 개념에도 맞지 않는다.

      • KCI등재

        從韓漢俗語看韓中傳統思想文化異同

        韓在均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2

        언어는 문화의 전달자이며, 문화에는 언어가 내포되어 있다. 한중 속담에는 각각 그 민족의 깊은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한중 양국은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해 있어 양국의 문화에는 많은 공통점이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한중 양국 민족의 역사의 발전, 지리적 환경 및 생활의 방식이 다름으로 인해, 사상문화 방면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사상문화의 차이점들은 특히 한중 양국의 속담에 잘 반영되어있다. 본 논문은 한중 속담에 반영된 한중 양국의 전통 사상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봄으로써 한중 양국인의 상대방 국가에 대한 언어문화의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한 한중 양국의 언어문화 교류를 촉진 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한중 양국의 사상문화가 반영된 속담을 통해 한중 양국의 사상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 하였다. 고찰 결과, 한중 양국 민족은 모두 情과 孝을 중시하였으나, 전통가정에서는 여자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중 양국 민족은 모두 선인의 경험과 위계질서를 중시하였으며, 긍정적인 사고를 숭상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 민족은 일반적으로 체면과 듣는 것을 중시하며, 개인주의적 관념을 지니고 있는 반면, 중국 민족은 실질을 중시하고, 중용을 지키며, 변증법적 관념을 지니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 试论‘课程思政’教育理念在韩语教学中的应用与探索

        崔美兰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22 중한언어문화연구 Vol.22 No.-

        본고는 새로운 역사시대 ‘과정선정(課程思政)’의 교육이념으로부터 중국 전통문화사상의 한국 전파근원에 대해 깊이 있게 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중국 각 대학교 한국어교과목에서의 중국 전통문화 요소를 체계적으로 담론하였다. 아울러 대학교 한국어교학에서 직면한 중한 문화적 차이를 인지하면서 어떻게 올바로 응용하고 탐색할 것인가라는 방향성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로부터 넓고 심오한 중국의 전통문화사상을 한층 더 높은 차원에로 발양해야 할 필요성과 절박성에 대해 논리적으로 심각하게 피력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중국 각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실제 교수실천에서 일정한 도움이 되리라 믿어마지 않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