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노년기 부부의 운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악력 궤적의 매개효과

        주수산나,전혜정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terdependence of Korean middle and old-aged coupl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exercise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grip strength trajectory. Data were drawn from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collected from 2006 to 2016. The sample included couples over 45 years of age in the first wave and participated in all six waves of the survey (Ncouple=1,997). There were three steps for analyses: correlation, parallel latent growth curve model, tests of indirect effects of the mediation paths. Covariates included in the models were husbands and wives’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 work status, chronic diseases, marital satisfaction, contact frequency with friends or neighbors) and couple’s household income. Results showed husbands’ and wives’ life satisfaction and grip strength were interdependent upon each other. Also, exercise participation of both husbands and wives was associated with both husbands’ and wives’ life satisfaction via the initial level of grip strength of husbands. Moreover, exercise participation of only husbands was associated with wives’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initial grip strength of husbands. These results suggest the aging processes of middle and old-aged couples need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gender dynamics and couple interdependence. 본 연구는 45세 이상 중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의 운동참여가 악력의 종단적 변화 궤적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남편과 아내의 상호의존성에 기반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단위의 자료수집을 실시한 한국고령화연구패널의 1차 (2006년)에서 6차(2016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1차년도에 45세 이상인 중노년기 부부 1,997쌍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남편과 아내 각각의 삶의 만족도이며, 매개변수는 남편과 아내 각각의 악력의 초기값과 변화량, 독립변수는 부부의 운동참여 이다. 분석과정은 상관분석, 평행잠재성장모형의 기초모형과 연구모형 분석, 매개경로에 관한 간접효과 검증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중노년기 부부인 남편과 아내는 동일 시점에서의 악력, 삶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행잠재성장모형의 기초모8형 분석결과에 따르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평균적으로 중노년기 남편과 아내의 악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악력의 초기값에 대해서는 부부인 남편과 아내의 상관성이 발견되었지만 악력의 종단적 변화량에 대해서는 상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모형 분석결과에서 발견된 유의한 직접효과들을 토대로 매개경로에 관한 간접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부의 운동참여가 남편의 악력 초기값을 매개로 남편의 삶의 만족도와 아내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개의 종단적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남편만 운동에 참여하는 것 역시 남편의 악력 초기값을 매개로 아내의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중노년기 부부의 노화 과정이 부부의 젠더관계와 상호의존성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는 것과 중노년기 부부의 운동참여를 증진시키고, 신체적 기능 감퇴를 예방하여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부부단위의 접근이 필요하다 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고령자의 노년기 일 희망 여부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이수정,김윤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factors of wishing to work in old age for the middle and old aged between the age of 55~74, For the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00 research subjects —200 subjects each in 55~59 years old category and 70~74 years old category and 400 subjects in 60~69 years old category— in June 2018 after a preliminary survey, and a total of 80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51.2% of the middle and old aged were working at present, and 49.9% had a wish to work until the old age, showing a fairly similar ratio. Second, the current working status and the future work wish of the middle and old ag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under the age of 70, in the case of a highly educated couple (high school graduates) with unmarried children plus third generation, the rate of the subjects currently working was high. Also, in the case of male below the age of 70, in the case of the highly educated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case of a couple with unmarried children, in the case of residing in a small- to medium size city, the subjects had a wish of working in old age. Third, in the case of male, the lower the age, the better the subjective economic level, and in the case of the currently working, the subjects had a wish to work in old age. 본 연구는 55세~74세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하여 노년기 일 희망 예측 요인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조사를 거쳐 2018년 6월 한 달 간 55~59세(200명), 60~69세(400명), 70~74세(200명) 총 82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805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된 연구결과, 첫째, 현재 일을 하고 있는 중·고령자는 전체의 51.2%였고, 노년기까지 일을 하고자 하는 비율은 49.9%로 상당히 유사한 비율이었다. 둘째, 중·고령자의 현재 일 상태와 향후 일 희망 모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70세 미만인 경우, 고졸 이상의 고학력자 부부+미혼자녀 및 3세대가족인 경우에 현재 일을 하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남자인 경우, 70세 미만인 경우, 고졸 이상의 고학력자인 경우, 부부+미혼자녀세대인 경우,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노년기에도 일을 희망하였다. 셋째, 남성인 경우, 나이가 적을수록, 주관적 경제수준이 좋을수록, 현재 일을 하고 있는 경우에 노년기에도 일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노년기 중도(中道) 뇌병변장애인의 지역사회 재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김미희 한국노인복지학회 2024 노인복지연구 Vol.79 No.1

        본 연구는 뇌졸중 치료를 받은 노년기 중도 뇌병변장애인이 지역사회로 돌아와서 재적응하는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유의적 표집(purposive sampling) 을 통해 14명의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주제 분석 결과 노년기 뇌졸중을 치료하고 지역사회로의 돌아온 뒤의 재적응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 12개의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노년기 중도 뇌병변장애인은 노화와장애라는 이중의 역경을 겪으며 자신이 원래 살던 지역사회에 돌아와서 노년기 노화와자아통합, 장애수용, 임파워먼트의 과정을 역동적으로 겪으면서 재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 재적응에 가족과 주변의 사회지지체계, 자조모임의 지원, 지역사회기관의 서비스 지원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중도뇌병변장애인이 효과적으로 지역사회에 돌아와서 일상생활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통합돌봄이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구축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by which old people with brain lesions in old age who have undergone stroke treatment return to the community and re-adapt. This study recruited 14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intensive sampling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4 concepts, 12 subcategories, and 6 categori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adaptation experience after treating stroke in old age and returning to the community.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brain lesions in old age undergo the dual adversity of aging and disability, and return to the community where they originally lived and re-adapt through the processes of self-integration, empowerment, and disability acceptance dynamical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 system of families and surroundings, support for self-help groups, and service support from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are effective in re-adaptation to the community. This study discussed that community integrated care should be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established in order for old people with brain lesions to effectively return to the community and continue their daily life.

      • KCI등재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

        백옥미(Ok Mi Bai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4

        본 연구는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고찰하고 나아가 중년기에서 노년기에 걸쳐 경험하는 대표적 생애전이 사건인 은퇴와 사별의 경험이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 패널조사자료를 활용, 2차 분석을 실시했으며 1차와 3차에 응답을 유지한 7,46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분석하고 중·노년기 생애주기요인인 은퇴여부와 사별 여부가 이 두 요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방식의 다중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1차년도 우울증상 및 은퇴 및 사별 여부 요인이 각각 3차년도 인지기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 났다. 또한 우울증상과 은퇴여부 간 그리고 우울증상과 사별여부 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1차년도 인지기능, 연령, 학력수준, 성별이 3차년도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노년기에 한정해 우울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분석하였던 것에서 임상적으로 의미를 지니는 시기인 중년층을 포함하여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전국 규모의 대규모 종단 자료를 활용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기존에 논의가 미흡했던 중·노년기 생애주기요인인 은퇴와 사별 요인이 우울증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기능 악화를 초래하는 기제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and 2) the interaction effects of retirement and bereavement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the analysis for the research questions was performed by hierarchical multiful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ve symptoms, retirement factor and bereavement factor at time 1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3. Also, The findings indic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retirement factor and bereavement factor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Among the controls,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1, age, education level, sex were related to the later cognitive functioning longitud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 for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ㆍ노년기의 봉사활동이 행복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박준성(Park, Junseong),정태연(Jung, Taeyun)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중ㆍ노년기 사람들의 봉사활동이 행복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과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과 수도권을 비롯한 전 지역의 기업 및 단체 등에서 중ㆍ노년기에 해당하는 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봉사활동 인식이 높은 중ㆍ노년기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행복, 삶의 의미, 자기조절 그리고 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둘째, 봉사활동과 행복 및 삶의 의미 그리고 매개변인들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봉사활동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과 효능감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넷째, 봉사활동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자기조절과 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ㆍ노년기 사람들의 봉사활동이 행복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과 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on relations between volunteering and happiness & meaning of life in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A total of 588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f volunteering, happiness, meaning of life,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ose participants who scored high on volunteering were also high in terms of happiness, meaning of life,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Further,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exercised mediating effects on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volunteering and happiness & meaning of life. Finally, these finding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ir implications for happiness and meaning of life in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and also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중노년기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과 가족관계 만족도: 부부체계의 상호의존성을 중심으로

        조규영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4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은 다세대 가족관계의 연결고리로 작용하는 동시에, 중노년기 부부체계에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오는활동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손자녀 돌봄자가 경험하는 부부관계의 상호의존성을 다룬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노년기부부의 손자녀 돌봄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호의존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2차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을사용하여, 조부모 1,309쌍(중년기 조부모 563쌍, 노년기 조부모 746쌍)을 대상으로 자기 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중년기 조부모의 경우, 손자녀 돌봄과 가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부의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즉, 중년기 조부는 손자녀 돌봄 참여가높을수록 자신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아졌다. 반면, 노년기 조부모의 경우, 손자녀 돌봄과 가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모의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즉, 노년기 조모의 손자녀 돌봄 참여가 높을수록 조부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낮아졌다. 본 연구는 성별 및 연령대에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다세대 가족관계에서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과 중노년기 부부관계에 대한 복잡한 상호의존성에 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안정신(An, Jeong-Shin)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2

        본 연구는 18세 이상의 자녀를 둔 1,882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전생애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인기의 발달, 그리고 중노년기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심리사회 발달적 관점과 생애과정 발달적 관점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회상된 성인기 이전 부모자녀관계가 성인기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성인기 전후의 경험들이 중노년기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성인기 이전에 부모로부터 호의적인 양육을 받았다고 회상할수록 성인기에 더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갖고, 생산감도 더 많이 발달되며, 중노년기의 심리적 복지감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기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생산감이 많이 발달하였고 심리적 복지감도 높았다. 마지막으로, 생산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복지감도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기 이전에 부모로부터 받았다고 회상하는 양육방식이 중년기 이후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은 성인기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었다. 따라서 성인기 이전의 부모로부터 호의적인 양육을 받지 못했어도 성인기에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거나 높은 생산감을 발전시킨 경우는 높은 심리적 복지감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성인기 이전 경험들이 지속적으로 성인기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주며 그 영향력이 현재의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는 성인기 경험들에 의해 변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ulthood, and individual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to later lif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from 1,882 parents who have at least one child over 18 years old. Findings indicated that receiving more affectionate parenting in childhood was associated with greater generativity development, more positive parental experiences with one's own children, and better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to later adulthood. In addition, the effects of received parenting in childhood on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midlife were partially mediated by parental experiences with adult children and generativity develop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experiences with parents in childhood continuously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ulthood through their impact on concurrent family experiences. However, early influences can be redirected through adult experiences too.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promoting volunteer work for older adults, as well as for practitioners who work with families and individuals who are having problem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중노년기의 낙상두려움이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지나(Han, Jina)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2

        본 연구는 장애과정모델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중노년기에 낙상두려움이 위험요인 혹은 악화요인으로써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고령화패널조사를 통해 수집된 2차 자료(2006년, 2008년, 2010년)를 이용하여 종단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낙상두려움은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ADL/IADL장애를 통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낙상두려움 이 악화요인으로써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중노년기에 신체질환의 경험과 함께 낙상두려움을 가진 경우에는 ADL/IADL장애발생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낙상두려움은 장애과정에서 있어서 위험요인이자, 악화요인으로써도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노년기의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낙상두려움 관련한 적극적인 개입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fear of falling, ADL/IAD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ased on the disablement process model. The panel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were used to test whether fear of falling affects disablement process as a risk factor and an exacerbator.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reported fear of falling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DL/IAD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nd fear of falling influenced depressive symptoms through increasing the risk of ADL/IADL disability. In addition, fear of falling exacerbate the risk of ADL/IADL disabili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had chronic illnes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ar of falling is not only risk factor but also excerbator in predicting ADL/IAD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prospectively.

      • KCI등재

        중ㆍ노년기 사람들의 생활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

        박준성(Junseong Park),정태연(Taeyun Ju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1

        본 연구는 중ㆍ노년기 사람들의 생활스트레스와 행복 간의 관계에 낙관성, 자기조절 그리고 신앙심이 미치는 중재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ㆍ노년기에 해당하는 개신교인 148명과 비종교인 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생활스트레스, 낙관성, 신앙심 그리고 행복에서 개신교인이 비종교인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았지만, 자기조절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개신교인과 비종교인 모두에게 생활스트레스와 행복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종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개신교인의 경우, 낙관성, 자기조절 그리고 신앙심이 이 둘간의 관계에 유의미한 중재효과를 보였지만, 비종교인의 경우에는 낙관성에서만 유의미한 중재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ㆍ노년기 사람들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교와 관련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self-regulation, and religiosity to life-stress on happiness between Protestants and non-believers in middle-age. Total of 233 participants - 148 Protestants and 85 non-believers -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f life-stress, optimism, self-regulation, religiosity, and happiness.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indicators between two groups, in first result, indicated that Protestants had more life-stress, optimism, religiosity, and happiness than non-believers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Second result indicated the happiness of either Protestants or non-believers explained negatively by life-stress. On the other hand, happiness was explained positively by optimism, self-regulation, and religiosity of Protestants played a moderating role. But in non-believers, show by optimism played a moderating role. Final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relevant result, and their implications for happiness on middle-ag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ggested. (Korean J Str Res 2011;19:31∼3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