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어촌 지역 성인 여성의 주관적 잇몸증상과 구강건강인식도와의 관련성 –태안군 지역을 중심으로–

        김은희,문선정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wareness and a variety of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in adult women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an or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that could help with oral disease prevention and oral care and maintenance. For this purpose,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duct a survey in adult women residing in Taean, South Chungcheong, which has numerous islands and various coastline types, Province from March to August 2021 and 567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An SPSS 25.0 Version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awarenes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oral health awareness by the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and the relations among the tooth-brushing, oral health, and scaling areas in terms of oral health awarenes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aged 20-29 and high school graduates; the married formed the highest percentage. Many of them were housewives; nonsmokers and nondrinkers formed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area of tooth-brushing,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m suggested gum disease prevention, tooth-brushing within three minutes after a meal, the importance of a tooth-brushing method, and the need of tongue-brushing as a good tooth-brushing method; in the area of oral health,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m suggested the need of regular oral examination, the need of oral hygiene products, and the need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indicated plaque and tartar as causes of gum disease. The majority of them indicated gingival bleeding, bad breath, gingival pain, tooth mobility, and gum swelling, an average level of food caught between teeth and tartar, and no sensitive tooth in terms of gingival symptoms. The better state of such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as gingival bleeding, tooth mobility, and tartar, the better oral health awareness in general.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on the tooth-brushing area, the better tooth mobility, the better awareness of the tooth-brushing area.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on the oral health area, the better state of gingival bleeding, gum swelling, and tartar, the better awareness of the oral health area.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on the scaling area, the better tooth mobility, the better awareness of the scaling are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oral health awareness in adult wom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oral health program aimed at making a plan for improving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with the objective of allowing adult women to have better awareness of general oral health, which is expected to subsequent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구강건강인식과 다양한 주관적 잇몸증상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구강병 예방과 구강관리 및 유지에 도움이 되는 구강건강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여러 개의 섬과 다양한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는 농어촌 지역인 충남 태안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56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Version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 구강건강인식도, 주관적 잇몸 증상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관적 잇몸증상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와 구강건강인식도의 칫솔질 영역, 구강건강 영역, 치석제거 영역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은 20-29세가 높았고,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높았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이 가장 높았다. 직업은 주부가 많았고, 흡연 및 음주여부는 아니오가 가장 많았다. 칫솔질 영역에서 올바른 칫솔질 방법으로 잇몸병 예방, 식사 후 3분 이내 칫솔질, 칫솔질 방법 중요, 혀솔질 필요에서 그렇다가 가장 높았고, 구강건강 영역에서는 정기적인 구강검진 필요, 구강위생용품 필요, 치태와 치석은 잇몸병의 원인, 구강보건교육 필요에서 그렇다가 가장 높았다. 주관적 잇몸 증상은 잇몸 출혈, 입 냄새, 잇몸 통증, 치아 동요, 잇몸 종창에서 그렇다가 높았고, 음식물 삽입, 치석 유무에서는 보통이 높았으며, 치아 시림 유무에서는 그렇지 않다가 높았다. 주관적 잇몸증상인 잇몸 출혈, 치아 동요, 치석 유무가 양호할수록 전체 구강건강인식이 높았다. 주관적 잇몸증상이 칫솔질 영역에 미치는 요인에서는 치아 동요가 양호할수록 칫솔질 영역의 인식이 높았다. 주관적 잇몸증상이 구강건강 영역에 미치는 요인에서는 잇몸 출혈, 잇몸 종창, 치석 유무가 양호할수록 구강건강 영역의 인식이 높았다. 주관적 잇몸증상이 치석제거 영역에 미치는 요인에서는 치아동요가 양호할수록 치석제거 영역의 인식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성인 여성의 주관적 잇몸증상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는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인 여성의 구강건강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관적 잇몸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방향의 구강보건사업이 필요하며, 이는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20대 여성의 주관적 체형인식이 식이다이어트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오은환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4

        Objectives: Women tend to think of themselves as obese, regardless of their objective level of obesity, which has a huge impact on their diet and mental heal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difference between objective obesity (BMI) and subjective body type perception affects diet and mental health, and whether subjective body type perception and dietary diet mediate to affect mental health. Methods: The research data were based on raw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the 6th and 3rd year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nd 3,772 women in their 20s out of 7,380 people who felt underweight or normal but obese,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extracting questions about subjective body type perception, diet and mental health. Result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subjects' subjective body type percep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obesity and their relationship to dietary die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373),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who felt underweight or normal but obese and their mental heal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16.5% higher depression and 16.5%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feel obese (p<0.01). In addition, the more dieted, the higher the feeling of depression by 7.2%,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Conclusions: In conclusion, many women in their 20s in Korea considered themselves obese despite their body type being low weight or normal, and many of them were on a dietary diet. They also found that most of them had adverse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or stress. 연구목적: 여성은 객관적인 비만 수준과 상관없이 스스로를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식단과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20대 여성들은 대학생활과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이성교제와 결혼에 대한 부담으로 외모에 대한 고민을 더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 비만(BMI)과 주관적 체형인식의 차이가 식이와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주관적 체형인식과 식이식이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조사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3차년도 원자료를 기초로 하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대 여성 7,380명 중 저체중 또는 정상이지만 비만으로 인식하는 3,63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체형인식, 식이요법, 정신건강에 대한 질문을 추출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식이 다이어트 여부에 관해서 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1,898명으로 전체의 86.1%를 차지하였고, 주관적 체형인식으로는 비만으로 느낀다고 응답한 사람이 2,291명으로 63.1%를 차지하였다. 우을감을 느낀다고 응답한 사람은 538명(16.3%)이었고, 스트레스를 인지하는 사람은 955명(29.0%)이었다. 주관적 체형인식과 식이식이 정신건강을 매개하고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주관적 체형인식과 비만과의 차이와 식이 다이어트 간의 관계에서는 0.019의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주관적 체형인식과 비만과의 차이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와 식이다이어트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는 모두 부의 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주관적 체형인식과 비만으로 느끼는 경우에는 정신건강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이요법을 하는 경우에도 정신건강이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우리나라의 20대 여성은 저체중이거나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식이요법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대부분이 우울증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도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사회 차원에서 외모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고,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체중 조절을 장려하여 왜곡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노인의 지역환경에 대한 인식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노인가구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김재희,김희연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0 GRI 연구논총 Vol.22 No.2

        이 연구는 노인의 지역환경에 대한 인식이 주관적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노인가구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2018년 경기도 지역주민복지욕구조사의 독거노인 4,686가구, 노인만거주3,684가구, 가족동거노인 3,583가구, 총 11,953가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지역환경에 대한 인식은 접근용이성, 안전· 쾌적성, 이웃관계 요인으로 구분하여 노인가구유형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신체건강과 주관적 정신건강은 모두 독거노인가구의 어려움 정도가 가장 크고, 노인만거주가구, 가족동거노인가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환경의 접근용이성과 안전·쾌적성은 가족동거노인가구, 노인만거주가구, 독거노인가구순으로, 그리고 이웃관계는 노인만거주가구, 가족동거노인가구, 독거노인가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가구유형별 지역환경에 대한 인식이 주관적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독거노인가구 집단에서는 접근용이성, 안전·쾌적성, 이웃관계 변인이 주관적 신체건강에, 그리고 이웃관계 변인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노인만거주가구 집단에서는 지역환경 인식 변인들이 모두 주관적 신체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이웃관계 변인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쳤다. 가족동거노인가구 집단에서도 지역환경 인식 변인들이 모두 주관적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안전·쾌적성과 이웃관계 변인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가구유형별 지역사회를 연계한 주관적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lderly’s community perception on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ree types of elderly households: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 (ESH), Elderly Household (EH), and Family with Elderly (FE). The 4,686 cases of ESH, 3,684 cases of EH, and 3,583 cases of FE from the 2018 Community Residents Survey data were used for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health variables are composed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difficulty, and the community perception factors include accessibility, safety/comfort, and neighbor factors. The main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difficulty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was the highest in ESH, followed by EH, and FE. Second, FE, followed by EH, and ESH shows the highest level of safety/comfort and community accessibility, whereas neighborship was the highest in EH, followed by FE and ESH. Third, the result of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all three community perception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the physical health of ESH, and only neighbor factor affects mental health. None of the three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hysical health of EH, whereas the impact of a neighbor factor on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 Similarly, the effect of all community perception factors was non-significant on the physical health of FE, however, the impact of safety/comfort, and neighbor relation on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ought to find community-based practice and policy measures tailored to each elderly household type in order to improve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 KCI등재

        당뇨병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관리행태와 EQ-5D index

        박충무,윤현서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11

        65세 이상 당뇨병 진단을 받은 노인들의 구강관리행태를 파악하고 삶의 질과 관련성을 확인하여 맞춤형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제 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9년)를 활용하여 65 세 이상으로 당뇨병진단을 받은 대상자 3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강검진율 22.2%, 치아손상 경험률 12.6%, 저 작불편호소률 37.6%, 치과 미치료 경험률 25.0%, 구강관리용품 사용 경험률 30.6%였고, 저작불편호소 경험이 있고 (p<.001) 치과 미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았다(p=.014). 저작불편호소 경험이 있고(p<.001) 치 과 미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낮았다(p=.001).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EQ5Dindex는 구강 검진을 하는 경우(p<.001)와 저작불편호소 경험이 없는 경우(p<.001)에 높게 나타났다. EQ5Dindex는 주관적 건강 수준 인식이 높고,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경우 양의상관관계를 보였고, 주관적 건강인식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수 준이 높은 경우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강검진 여부에서는 미치료 경험이 없는 경우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 다. 따라서 치주질환에 취약한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구강보건교육과 관리법을 제공하여 삶의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tri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to 65 years of age or older with diagnosed as diabetes through identifying oral care behavior and the relevance to quality of life. Three hundred fifty six subjects, diagnosed as diabetes, were analyzed, which was substracted from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2019). Results are as follows; 22.2% of the oral medical checkup rate, 12.6% of tooth damage experience rate, 37.6% of the discomfort of chewing rate, 25.0% of dental untreated rate, 30.6% of oral care product use rate. Cases of low subjective health level are in discomfort of chewing (p<.001) and dental untreated experience (p=.014). EQ5D index according to oral care behavior was high when oral examination (p<.001) is performed (p<.001) and when there is no experience of chewing discomfort. In addition, EQ5D index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s in case of high subjective health awareness level and dental untreated experience. Consequently, it might be considered that the way to promot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supply of customized oral health education and management for diabetic patients who are vulnerable to periodontal disease.

      • KCI등재

        청소년들의 체형인식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 및 정신건강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신성희,신우경,김유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to the nutrient intake and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by the residual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5th and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4) of the 2,961 total subjects(male 1,548, female 1,413, aged 12 to 19 years). The nutrient intake was collected by using the 24 hr recall method and mental health and BMI were collected by the health interview survey and physical examination research.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perception and BMI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ose with a distorted perception of their body type was the highest among adolescents with normal weight(p for trend, <.001). Especially, regarding the subjective body type, the proportion of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s as compared to that among males (p for trend, <.001). An analysis of nutrient intake status against the subjective perception showed that the group of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had the lowest scores on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nutritional adequacy ratio (NAR) and mean adequacy ratio (MAR) (p for trend, <.001). With respect to the daily intake of major nutrients,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consumed the lowest amounts of total energy (p for trend, <.01) and carbohydrate (p for trend,<.001). An analysis of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adolescents showed that those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had the highest levels of stress recognition and depression (p<0.01). In conclusion, the adolescentsʼ subjective perception is associated with their nutrient intake and mental health. Therefore, some educational programs are desirable to help the adolescents to have their desirable subjective perception an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type.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체형 인식에 따른 영양소 섭취 문제 및 정신건강 문제를 분석하였다. 제 5기, 6기 (2010-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되었으며, 만 12~18세의 청소년 3,834명을 추출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총 2,961명(남자 1,548명, 여자 1,41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영양조사 자료는 24시간 회상법을 통한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정신건강과 BMI는 건강설문조사와 검진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주관적 체형인식과 BMI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정상체중인 경우 체형을 왜곡되게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자신을 과체중 체형이라 인식하는 대상자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둘째, 대상자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영양소섭취상태를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과체중인식군이 영양질적지수, 영양소 적정비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셋째, 대상자의 주요 영양소에 대한 1일 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과체중인식군이 전체 에너지 섭취량, 탄수화물 섭취량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넷째, 대상자들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정신건강상태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 모두 과체중인식군에서 스트레스 인지율과 우울감 정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1).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의 주관적 체형 인식이 영양 섭취와 정신건강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바람직한 신체 이미지상를 갖고 자신의 체형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며 동시에 올바른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가정학교사회에서의 올바른 체형 인식과 관련된 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건강검진 수검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 관련 행위의 연관성

        김종성,조비룡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9

        Background: Self-perceived health is a good indicator of health statu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self-perceived health status has important role on one’s health behavior and public health education. Smoking, drinking, and obesity are well known risk factors for one’s health. But its effects o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re not known so well in Korea. This study was plan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obesity o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Methods: We enrolled a total of 6,040 Koreans, visited to one general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June, 2004through June, 2007.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including basic demographic variables, family history of cancers or cerobrovascular accidents, psycho-emotional factors such as stress, depression, anxiety, insomnia, and health behaviors including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were also obtained including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triglyceride, high-density lipoprotein (HDL), fasting blood sugar, and body mass index (BMI). Results: Older age, higher alcohol consumption, higher BMI, and regular exercis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elfperceived health status. Higher education status, higher score of stress,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insomnia, drug medication, operation history, and abnormal HDL status were associated with lower self-perceived health status. Smoking and metabolic syndrome had no relation with self-perceived health status. Conclusion: Drinking and higher BMI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elf-perceived health status, indicating discrepancies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medical advice. More strict education might be required for those risk factors. 연구배경: 건강의 척도 가운데 하나인 주관적 건강인식은 개인의 건강 행위 결정과 사회적 보건 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건강관념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흡연,음주, 비만은 객관적인 건강 위험인자로는 인정받고 있으나주관적 건강인식과의 연관성에 관한 국내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인식과관련이 있는 요인들을 관찰함으로써 이에 대한 흡연, 음주, 비만의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시행되었다. 방법: 2004년 6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서울의 한 종합병원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인식과 기본적 인구사회학적 변수, 가족력, 스트레스 및 관련 심리 정서적 변수,흡연, 음주, 비만, 운동 등을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검사실 소견으로서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에 해당되는허리둘레, 혈압, 중성지방, 고밀도지질, 혈당 수치를 수집하고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주관적 건강인식과다른 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연구 대상자는 6,040명으로, 다른 사람보다 건강하지 못하다고 답변한 군을 기준으로 연령, 음주량, 체질량지수가 높거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경우 다른 사람보다 건강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며, 교육수준이 높거나, 스트레스 양이 많거나 불안, 우울, 불면의 증상이 있는 경우, 처방 및비처방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고밀도지질이 낮은 경우, 다른 사람보다 건강하지 못하다고여기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흡연의 경우 주관적 건강인식에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음주, 비만, 흡연의 건강 위험 요인을 가진사람들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오히려 높거나 관련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어, 이에 대한 사회적 건강관념의 문제점을 시사하는 바, 추가적 연구를 통한 확인과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한국내 성인의 체형지수 및 주관적 체형인식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재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BSI (a Body Shape Index) and perceived body shape on SRH (Self-Rated Health) and QOL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adults aged 19 and over.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ABSI of the subjects by the third quartile (Q1-Q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poor SRH was 1.624 times (OR 1.624 95% CI: 1.352 to1.950) higher in the Q3 group than in the Q1 group. The prevalence of poor SR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perceived themselves as underweight and in those who perceived themselves as overweight than in those who defined their body weight as normal, by 1.459 times (OR: 1.459 95% CI: 1.242 to 1.714) and 2.041 times (OR: 2.041 95% CI: 1.755 to 2.37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BSI and QOL, but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ho perceived themselves as obese than in the group who perceived themselves as normal in body shape (B: -0.010 95% CI: -0.014 to –0.006). As a result of examining ABSI and perceived body shape on SRH and QOL, the ABSI Q3 group-obese body shape perception group had 2.967 times(OR: 2.967 95% CI: 1.996 to 4.411) higher poor SRH than the ABSI Q1 group-normal body shape perception group and QOL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B -0.014 95% CI -0.026 to -0.002). Considering that SRH and QOL are able to predict the present and future health status of the individual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it is necessary to closely observe individual body shape index and perception of subjective body shape. 이 연구는 19세 이상의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에 대한 체형지수(A body shape Index, ABSI) 및 주관적 체형인식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체형지수를 3분위(Q1-Q3)로 나누어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체형지수 Q1군에 비해 Q3군이 1.624배(OR 1.624 95% CI: 1.352-1.950) 주관적 건강상태의 부정적 위험도가 높았고 보통의 주관적 체형 인식을 가진 군에 비해 마른 편 및 비만체형으로 인식하고 있는 군에서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각각 1.459배(OR: 1.459 95% CI: 1.242-1.714), 2.041배(OR: 2.041 95% CI: 1.755-2.374) 부정적 위험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삶의 질과의 연관성에서는 체형지수에 따라서는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주관적 체형인식이 보통인 군에 비해 비만인 군에서 -0.01점(B: -0.010 95% CI: -0.014--0.006)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형지수와 주관적 체형인식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체형지수 Q1 그룹이면서 보통의 주관적 체형인식을 지닌 집단에 비해 Q3그룹이면서 주관적 체형인식이 비만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집단에서의 부정적 주관적 건강상태가 2.967배(OR: 2.967 95% CI: 1.996-4.411) 높았고 삶의 질 점수는 0.014점 (B -0.014 95% CI -0.026--0.002) 감소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지표가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개인의 건강에 대해 다차원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개인의 체형지수와 주관적 체형인식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노인의 계층인식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인식의 이중매개효과

        남석인 ( Nam Seok In ),이희정 ( Yi Hee Jung ),김성준 ( Kim Seong Jun ),김보경 ( Kim Bo Ky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2

        한국에서의 노인 자살은 심각한 사회문제이며, 노인 자살의 대표적인 원인은 경제적인 위기와 건강문제이다.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주관적 계층인식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인식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2012년 한국의료패널 조사대상자 중 주관적 계층인식,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인식과 자살충동 문항에 응답한 65세 이상의 노인 1916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를 위한 매크로 프로세스 2.1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참여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인식이 나쁠수록 자살 충동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주관적 계층인식은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인식의 이중매개 경로를 거쳐 자살 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관적 계층인식이 자살충동에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한국 노인의 자살충동이 갖는 심각성과 이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이 제시한 경로의 발생지점으로 분석된 노인의 계층인식과 이중매개의 각 단계별 경로에 위치한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인식에 대한 개입방안을 찾는 것은 궁극적으로 노인의 자살충동에 이르는 부정적 영향을 차단함으로써 가장 심각한 문제를 예방하는 의미를 갖게 된다. Elderly suicide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Koreans. Under this relationship, we investigated the double-mediating effects of stress and self-rated health. The sample, drawn from the Korea Health Panel (KHP) 2012, consisted of a total of 1916 older adults who responsed to our questions concerning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stress, self-rated health level and suicidal ideation. We used a macro for SPSS for analysis of double-mediating effects. Our analysis showed that higher stress level and lower subjective health level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suicidal ideatio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ffected suicidal ideation through the double-mediating path of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However, it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conomic support and stress-cop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suicide in the elderly.

      • KCI등재

        은퇴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원경혜,김영희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mediated effect of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their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Data used for analysis wa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conducted by Korea Welfare Panel Study(2013).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January 1, 2013 to December 31, 2013. Answers of 3,976 peopl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variables. SPSS21.0 were used as statistics program. showed that retiree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hether to own house, living expense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have an influ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alysis revealed that retirees'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path which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That retirees' health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proves that the better retirees'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re, the higher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is. In addition, that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proves that retirees'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raw higher path through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that retirees'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and provide data which is useful in preparing ways to improve retirees' health.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자의 건강, 경제, 가족관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2013)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를 역동적으로 파악하여 복지정책 수립 시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한 실태조사이다. 본 자료는 2013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전국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최종분석에 총3,976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빈도, 백분율을 통해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았고, 변인 간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21.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에 주관적 건강인식, 주택소유여부, 생활비, 가족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은퇴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주관적 건강인식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인다는 것은 은퇴자의 건강, 경제, 가족관계가 상승할수록 주관적 건강인식도 상승된다는 직접적인 경로와 함께 건강, 경제, 가족관계는 주관적 건강인식을 통해 더욱 상승된 경로를 이끌어 낸다는 것을 검증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 은퇴자의 건강, 경제, 가족관계가 주관적 건강인식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실증 분석했다는 점과 은퇴자의 건강상태를 유지, 완화 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정책적으로 마련하는 자료 제공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급성기 뇌병변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운동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학,김규민,이현실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 participation by subjective self-perceived health of people with subacute brain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4 people with brain disabilites of subacute using rehabilitation hospitals, health center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gymnasiums in large cities and small cities b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Act and the Judgment Sampling Method.. Survey tools were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questionnaires used in advanc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used were analyzed by applying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self-perceived health of people with subacute brain disabiliti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subacute brain disabilities, the exercise self-efficacy was found to represent a partial mediation model. In other words, self-perceived health also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to people with subacute brain disabilities, bu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partially affects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exercise self-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oluntary health promotion, secondary disability prevention, self-perceived health, social participation, and exercise self-efficacy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during the subacute period, and to explore the need and direction f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community health promotion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본 연구는 아급성기 뇌병변 장애인의 주관적건강인식이 사회참여의 관계에서 운동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과 판단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대도시와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지역 내 재활병원, 보건소, 장애인복지관, 장애인체육관을 이용 중인 아급성기 뇌병변 장애인 304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사용된 수집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t-tse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급성기 뇌병변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은 사회참여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아급성기 뇌병변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사회참여의 관계에서 운동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 모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아급성기 뇌병변 장애인에게 주관적 건강인식과 사회참여의 관계에 있어 주관적 건강인식도 영향을 미치지만 운동자기효능감을 통해 부분적으로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아급성기 시기의 재활과정에서 자발적인 건강증진과 2차 장애예방, 주관적 건강인식, 사회참여, 운동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포괄적(Comprehensive)이고 통합적(Intergrated)인 지역사회 건강증진체계 구축의 필요성과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