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민의 환경보건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미정,김정훈,이은주,김규상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risks perceived by Seoul citizens, opinions on environmental health risks, and the effects on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through a quantitative psychology method and to build a basic reference in establishing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for 6 days in August 2017 from 2,000 adult men and women aged 19 or older, who had lived in Seoul for more than 1 year. The present study referenced a psychometric paradigm study for the risk perception tool, identified 20 perceived risk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health, and measured 6 risk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added general perception and the needs of preventative policies, used factor analysis to reduce factors into two risk perception structures, and measured the size of their effects. Results: The average of Seoul citizens’ general perception about environmental health risks was calculated by age, gender, marital status and revealed that the risk they perceived as most hazardous was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regards to policy needs, the respondents said particulate matter needed policies mo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6 risk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into two attributes—dread risk and controllable risk—and four different types. Higher dread risk and lower controllable risk had a larger effect on both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Conclusions: A gender difference was observed in environmental health risks perceived by Seoul citizens, and general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varied depending on dread risk and controllable risk. When enforcing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it would be important to consider the above, identify priorities, and provide appropriate adjustments and interventions. 연구목적: 서울시민이 느끼는 위험인식과 환경보건위해에 대한 의견,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심리학적 방법에 따른 분석을 통해 환경보건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자료는 서울시에 1년 이상 거주한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8월 총 6일간의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되었다. 위험인식에 관한 도구는 심리측정패러다임 연구를 참고하여 환경보건분야로 한정한 20개의 위해요소를 도출하고 6개의 위험특성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위험인식과 예방 정책 필요성을 추가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위험인식 구조를 2개로 축소한 후 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20개 환경보건위해요인에 대한 일반적인 위험인식 순위를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 평균값 순으로 나열한 결과 방사능의 위험인식이 가장 높았고 정책 필요성 순위는 미세먼지가 가장 높았으며 항목마다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서울시민의 환경보건위해요인에 대한 서울시민의 일반적인 위험인식을 평균값에 따라 도출한 결과 방사능, 산업폐수, 환경호르몬 순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으로는 미세먼지,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폐수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6개의 위험특성은 위험에 대한 두려운 정도와 위험의 통제가능성 정도의 2개의 속성과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위험에 대한 두려운 정도가 높을수록, 위험에 대한 통제가능성이 낮을수록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서울시민이 체감하는 환경보건위해는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위험의 두려운 정도와 통제가능성 정도에 따라 일반적인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이 변화하였다. 환경보건정책 집행 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한 적절한 조정과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 행위에 대한 통합적 고찰 : 정서사건 이론을 기반으로

        김지연,우소현,김성재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3 대한보건연구 Vol.49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 행위를 무례함 행위자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의료현장의 무례함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정서사건이론(AET)을 기반으로 하여, 의료환경, 업무사건이나 상황, 무례함 행위자들의 기질, 정서반응, 업무태도, 행동의 6개의 범주로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방법: PubMED, CINAHL, PsycINFO, Web Of Science의 4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2년 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을 다룬 연구들을 검색하였다.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문제 명료화, 문헌검색 및 선정, 문헌 평가, 문헌 분석, 의미 기술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검색된 1,519의 논문 중 26편의 논문이 최종 자료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교대 및 야간근무, 과도한 업무량, 수직적인 문화 등과 같은 의료환경에서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중대한 위해를 주는 상황 하에, 자기중심적이고 나르시시즘과 같은 기질,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 타인에 대한 적대적 판단과 같은 태도가 언어적․비언어적․은밀한 형태의 무례함 행동을 야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통합적 연구결과 도출된 무례함 행위 발생과 관련된 의료환경, 업무사건, 기질, 정서, 태도, 행동에 대한 지식체는 의료환경에서의 무례함을 이해하는데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료종사자간 무례함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무례함 행위자에 초점을 둔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COVID-19에 대한 불안과 관련된 요인

        전희원,허민희,김영진,장하은,노진원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3

        Objectiv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COVID-19 anxiety in the COVID-19 pandemic by using nationwide representative data. Methods: Human biology, Healthcare Organization, Environment, Lifestyle factor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Lalonde Health Field Model. Descriptive analyse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provide this association considering complex sample design effects. Results: Rest during the onset of COVID-19 symptoms, smoking status, heavy drinking status, sex,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moderate or higher physical activity, unmet healthcare need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VID-19 anxiety. Conclusions: Health related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COVID-19 anxiety. In addition, people with socioeconomic vulnerabilities were even more vulnerable due to side effects of the COVID-19, resulting in more anxie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political support such as social protection programs to protect and promote the health of the public, that can guarantee household income to satisfy basic needs and maintain livelihood of those under the COVID-19.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대표성 있는 자료원을 활용하여 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COVID-19에 대한 불안과 관련성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COVID-19에 대한 불안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Lalonde's 건강결정요인 모형을 토대로 생물학적 요인, 보건의료조직요인, 환경요인, 생활습관요인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또한, 복합표본 설계 효과를 고려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하에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COVID-19 증상발현 시 자택휴식 가능 여부, 흡연 여부, 고위험 음주 여부, 성별, 연령, 결혼상태, 소득수준, 미충족의료 여부가 COVID-19에 대한 불안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건강행동과 COVID-19에 대한 불안은 관련이 있으나, 사회경제학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경우 COVID-19에 더욱 취약하며, 이에 대한 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취약계층의 기본적인 욕구충족 및 생계유지 및 가계소득을 보장할 수 있는 사회적 보호 프로그램 등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전자담배 유형별 관심도와 유튜브 동영상 내용 분석

        김하나,황정인,김한솔,노희경,강나은,조은별,유승현,조성일,황지은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3 대한보건연구 Vol.49 No.2

        Objective: YouTube is a popular social media platform among Koreans, and video-related electronic cigarettes (e-cigarettes) could be a gateway to the use of tobacco products. This study aimed to draw discussion for intervention by analyzing the interest about e-cigarettes and factors that induce the usage of e-cigarettes in YouTube videos by tobacco product type. Methods: We conducted trend analysis using search volume data to identify the interests by age and tobacco product type. Videos in YouTube were searched based on the period (2021.06-2022.06) and views and finally 49 videos were selecte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selected video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duce the usage of e-cigarettes. In addition, 3,210 comments were analyzed to check high-frequency words, co-occurrence word networks, user’s sentiment to confirm the opinion and attitude of YouTube users. Results: The relative search volume of e-cigarettes among 40s was the highest than the other age groups, and the search volume of heated tobacco products (HTPs) was higher than that of e-cigarettes. E-cigarettes-related videos had a longer average length, more views, more likes, and more comments than HTPs-related videos. Smoking scenes and tricks, availability, taste, place of purchase, and warning messages were mentioned a lot in the videos related to e-cigarettes. Smoking cessation aids were mentioned a lot in HTPs-related videos and most of the videos were classified as comparison and review types. There were differences in high-frequency words and odds ratios depending on the tobacco product type, and comments in the e-cigarettes-related videos used more positive words. Conclusion: Blind spots in social media should be addressed, and governments, businesses, and consumers should cooperate to prevent from using e-cigarettes. The regulatory strategy for e-cigarette should be based on types and tobacco control policies must be strengthened. 연구목적: 최근 전자담배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담배회사의 마케팅이 성행하고 있다. 유튜브는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소셜미디어 매체 중 하나이며 유튜브 속 동영상 콘텐츠는 전자담배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관문(gateway)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담배 유형별 관심도를 파악하고 유튜브 동영상 속 전자담배 사용을 조장하는 요소와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중재의 필요성과 논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자담배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자담배에 관한 관심도를 파악하기 위해 트렌드를 비교하였으며 유튜브 동영상의 내용분석을 통해 전자담배 사용 유인 요소를 파악하였다. 또한 동영상 내 댓글을 활용하여 고빈도 단어를 확인하고 동시출현 단어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을 실시하여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40대의 전자담배 검색량이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궐련형 전자담배의 검색량이 액상형 전자담배의 검색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액상형 전자담배 관련 동영상은 길이(10.55분), 시청 횟수(61082.15회), 좋아요 수(437.15개), 댓글 수(112.15개)의 평균이 모두 궐련형 전자담배 관련 동영상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궐련형 전자담배(n=22)에 비해 액상형 전자담배(n=27) 관련 동영상은 흡연 장면 및 묘기(81.5%), 이용 편의성(51.9%), 맛(81.5%), 구입 장소(18.5%), 건강 유해성(22.2%)에 대한 언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반면에 궐련형 전자담배는 금연 보조제(18.2%) 기능에 대한 언급이 많았고 비교 및 후기 유형(45.5%)으로 더 많이 분류되었다. 전자담배의 유형에 따라 고빈도 단어, 오즈비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액상형 전자담배 관련 동영상 내 댓글(13.1%)이 궐련형 전자담배 동영상 내 댓글(8.1%)보다 긍정적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 소셜미디어 내 전자담배 관련 모니터링이 되지 않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전자담배 사용 예방을 위해 정부를 포함한 사업체, 소비자 단체 등 다양한 주체가 협력해야 한다. 유형별로 전자담배 규제 전략을 계획해야 하며 담배 규제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의약품 안전관리 분야에서 실사용데이터 활용에 대한 관점을 탐구한 질적 연구

        박한희,정규원,신주영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3

        Objectives : Since the passage of the FDA’s 21st Century Cures Act, there has been a worldwide interest in real world data (RWD). We aimed to diagnose the present situation of RWD in Korea and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RWD utilization in the field of drug safety management. Methods : We conducted qualitative study using 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engaged in post-marketing and drug approval. Major themes were extracted by authors, which were used to gather results and draw conclusion. Results : Interviewees established positive perception of RWD. Judging from the results of interview, RWD is valuable as a way to supplement existing post marketing surveillance (PMS) syste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onsiderations when using RWD such as data source accessibility, workforce training, and data validation method.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approval system using RWD in Korea. 미국의 21세기 치유법안의 통과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실사용데이터(real world data, RWD) 및 실사용증거(real world evidence, RWE)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실사용데이터 활용을 긍정적인 시각과 함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사용데이터의 허가심사체계 반영과 관련하여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보건의료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관점을 파악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의약품 시판 후 안전관리 및 허가 분야에서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국내 실사용데이터 활용에 대해 토론을 진행하였다.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은 재심사제도가 가지는 증례수의 완고함, 고비용과 비교군의 부재 등의 어려움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답하였고, 희귀의약품 같은 PMS로는 안전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약에 대하여 실사용데이터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른 한편, 약물 감시에서 실사용데이터 활용 시 이상사례 발생빈도 확인의 어려움, 약물과 부작용의 인과관계 파악의 어려움 등의 우려되는 의견도 상당하여 순차적으로 적용시켜 보완한다면 활용가치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엿보였다. 실사용데이터 활용을 위한 고려해야 할 요소로 보건의료분야의 실사용데이터 자료원의 접근성, 데이터의 적합성 검증 등의 규제적 의사결정을 위한 거시적 차원의 노력과, 인력양성 등의 미시적 노력이 병행하여 국내 수요에 맞게 실사용데이터를 활용한 허가심사체계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염려의 관련성

        허민희,백세종,노진원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3 대한보건연구 Vol.49 No.1

        Purpos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concerns of COVID-19 infection by using the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collected under complex sample designs. Methods: The concern of COVID-19 infection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main dependent variable was health literacy. In this study,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wer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The relationships of health literacy with health concerns of COVID-19 infection were analyz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s a result, people with low health literacy were more likely to have health concerns of COVID-19 infection. And sex,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unmet medical needs, health screening, residential area, reliability of social environ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lth concerns of COVID-19 infection.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health literac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health concerns of COVID-19 infection. People with low health literacy would be more likely to have low resilience on infodemic situation, distorted perceptions and uncertainty about COVID-19, leading to increased concerns of COVID-19 infection. Therefore, policymakers should support to enhance capacity to improve health literacy and delivery of accurate health-related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2021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염려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종속변수는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염려, 독립변수는 건강정보 이해능력이며, Healthy People 2030의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재구성하여 통제변수를 고려하였다. 층화변수, 집락변수 및 개인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과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염려의 관련성 파악을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처리는 SAS 9.4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주요결과: 분석결과,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염려가 낮았다. 또한 성별, 연령, 혼인상태, 가구 월소득, 교육수준, 미충족 의료 여부, 건강검진 수검 여부, 거주지역, 사회환경에 대한 신뢰도가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염려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이 낮은 개인은 감염병의 실제 위험보다 더 많은 두려움에 노출된 정보전염병 상황에 낮은 회복 탄력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코로나19에 대해 왜곡된 인식과 불확실성이 증가하여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더 높은 염려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코로나19의 장기화 및 위드 코로나로 방역이 일상생활과 동조화된 상황에서 개인수준의 건강정보 이해능력 제고를 위한 역량 강화와 정부차원의 정확한 정보의 전달과 환경 조성에 대한 지원이 동시에 요구된다.

      • KCI등재

        장애인 환자 및 가족들에 의한 입원 이용 결정의 양상

        안병기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2

        We used the 2008-2015 Korea Health Panel Data. Of the total 2,058 cases of admission, 298 cases(14.5%) of admissions are made by the decision of patients or their families with disabilities.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admission decision by patients or their families with disabilities(ADPFD) is higher in the 18-44 years age group(OR:27.332) and 45-64 years of age group(OR:28.823) and 65 years old or older years of age group(OR:26.113) compared with the under 17 years age group. the ADPFD rate is higher in the patients admitted in hospital or clinics(1.980) and geriatric hospital or convalescent hospital(OR:12.785) than that of admitted in superior general hospitals. the ADPFD rate is higher in the patients admitted in 29-30 days(OR:8.108) and more than 31 days(OR:1.635) than that of admitted 13 days or less. In addition, The ADPFD rate is higher in the medical aid’s group(OR:4.499) and national merit reward beneficiaries and their family’s group(OR:3.836) compared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s group. Accordingly, various health care utilization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able disabled people who are admitted by pati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o use medical services in appropriate places. 연구 결과, 총 2,058명의 입원환자 중 14.5%인 298명이 장애인 환자 및 가족 등에 의해 입원하였다. 입원한 환자들은 17세 이하의 환자보다 18-44세 환자, 45-64세 환자, 65세 이상 환자가 각각 27.332배, 28.823배, 26.113배 많았고, 의료기관 종별유형에서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보다 병원 및 의원과 노인 및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각각 1.980배, 12.785배 많았으며, 재원 기간에서 13일 이하로 입원한 환자보다 29-30일 입원한 환자와 31일 이상 입원한 환자가 각각 8.108배, 1.635배 많았고, 진료비 지급유형에서 건강보험환자보다 의료급여환자와 국가 유공자 및 가족 특례 환자가 각각 4.499배, 3.836배 많았으며, 의료기관 선택 사유에서 다니던 병원이었기 때문에 입원한 환자보다 병원이 가까우므로 입원한 환자가 1.635배 많았다. 이에 따라, 장애인 환자 및 가족 등에 의해 입원된 장애인들이 적절한 곳에서 의료이용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보건의료 이용정책(입원기준 마련, 사전입원허가제 도입, 본인부담금 책정 일원화, 보건의료이용정보체계 개선, 덴마크와 스웨덴의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의료서비스체계 구축)들이 개발되어야겠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 인식 정도의 관련성: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이용하여

        기채은,이예진,노영민,노진원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4

        Purpos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community awareness not only because of individual satisfaction as a community member but also because of the quality of life. It is needed to study considering adolescents’ behavior patterns from a broader perspective, such as community awareness, not limited to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community awareness among adolescen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Method: This study used the fourth grade of the seventh year (2016)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urve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hich included 1,643 subjec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community awareness. Results: As a result, the variables that affect adolescents′ community awareness are gender, residence, economic level assessment of household, housing type, life satisfaction, cyber delinquency, peer attachment,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wareness of positive communities is important for adolescents preparing to establish themselves as healthy members of society.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not only in the family and school but also in the community itself so that adolescents can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the community. And these results suggest various programs that related to adolescent′s community awareness. 연구목적: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은 개인주의를 넘어 인간관계를 중시하고 의존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이에 청소년의 행동 양식을 가족 및 학교 환경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 환경까지 넓은 관점으로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 인식의 관계를 규명하여 청소년의 긍정적인 지역사회 인식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 초등학교 4학년 7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실시되었으며 총 1,6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역사회 인식 정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성별이 남성인 경우, 거주지가 비수도권인 경우, 주관적 경제수준평가가 잘 사는 편일수록, 주택 형태가 단독주택이거나 아파트인 경우, 또래 애착이 높을수록,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사이버 비행을 적게 할수록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긍정적인 지역사회 인식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이 되기 위해 준비하는 청소년들에게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청소년들이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이웃에 대한 소중함을 갖게 할 수 있도록 가정환경은 물론,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 자체에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지역주민들 사이의 정서적 유대감 및 상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전국 보건소 금연클리닉 신규등록자의 성별 금연 성공요인

        김진실,강수정,김대진,최인영,최병선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8 대한보건연구 Vol.44 No.1

        Objective : The study aimed to identify success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among smokers enrolled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at public health centers based on gender differences. Methods : A total of 677,254 smoker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from 250 public health centers for more than 6 months from July 18, 2013 to July 27, 2015 were examined. After classifying enrolled smokers into men and wome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ir smoking cessation rat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Results : The study variables of age, occupation, alcohol, past quit-trials, smoked cigarettes daily, nicotine dependence, confidence, motivation and readiness of smoking cessation, total number of visits for counseling, area, motive to register and use of supplemental agents were successful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to both genders. On the other hand, past disease, age of starting smoking, and duration of smoking were non-significant. In regard to education level, the level was a significant factor to men, while it wasn't to women. Conclusion : To efficiently manage smoking cessation clinics, different approaches should be required since enrollees had different success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based on gender. In particular, male smokers' smoking cessation rates were higher as getting older while females showed lower rates. Thus, it's necessary to promote younger female smokers to enroll the clinics, providing gender differentiated service types for smoking cessation. Also, total number of visits for counseling and use of supplemental agent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moking cessation rates. Therefor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motivating smokers to easily access the clinic services should be required.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남성등록자와 여성등록자의 금연성공요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보건소 금연사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3년 7월 18일부터 ~ 2015년 7월 27일까지 전국 250개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6개월 이상 서비스를받은 성인흡연자 677,254명을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금연 성공 여부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단변수 분석과 다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결과, 연령, 직업, 음주 횟수, 과거 금연시도 여부, 하루평균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금연 자신감, 금연 동기, 금연 준비, 총 상담횟수, 지역, 등록경로, 보조제 사용 여부가 남성과 여성의 공통적인 금연성공요인으로 나타났고, 질병력과흡연 시작연령, 흡연기간은 남성과 여성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교육수준은 남성에서 유의하였으나 여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금연클리닉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의 금연 성공 영향요인이 다른 만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남성은 연령이 높을 때 성공률이 높지만, 여성은 성공률이 낮으므로 젊은 여성의 등록율을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금연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또한, 금연보조제사용과 상담 횟수는 남성과 여성 모두 금연성공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연클리닉 서비스 이용 동기를 높일 수 있는 운영 방식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10-2018년 만성질환 유병 수에 대한 연령, 기간, 코호트, 소득 분석

        장국영,김기현,김청년,남지웅,송지수,노진원,유기봉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소득수준과 연령, 기간, 코호트에 따른 평균 만성질환 보유 수의 추세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인 및 국가 전체적으로 만성질환의 질병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제5기부터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평균 만성질환 보유 수의 건강불평등을 파악하고자 연령, 기간, 코호트와 더불어 소득수준을 모두 고려한 연령-기간-코호트-소득 분석(Age-Period-Cohort-Income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전체 대상자 72,751명 중 미성년자 및 결측치 19,559명을 제외한 총 53,192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연령효과는 연령대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기간효과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코호트 효과는 과거 코호트에 비해 최근 코호트로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소득효과 또한 저소득에 비해 고소득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결론: 연령-기간-코호트-소득(APCI) 분석결과, 만성질환 유병에 대한 각 효과의 추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령-기간-출생 코호트와 더불어 소득수준을 함께 고려한 최초의 연구로써 복합만성질환 및 평균 만성질환 보유 수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