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손가족 정책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산물분석을 중심으로-

        박경애 ( Kyung Ae Park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8 아동복지연구 Vol.6 No.4

        우리 사회의 가족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는 가운데 급격한 사회의 변동으로 인하여 형성된 조손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조손가족의 조부모들은 손자녀를 돌보는 과정에서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및 심리적 부담에 직면하고 있으며, 손자녀들은 조부모들과의 의사소통의 부재, 정서적 불안, 학습부진, 대인관계의 어려움, 학교생활 부적응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조손가족의 동향, 특성, 욕구 및 문제, 정책적 지원현황을 살펴보고 산물분석을 바탕으로 조손가족 정책분석을 실시하여 앞으로 조손가족이 나아가야할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손가족의 조부모는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었으며, 조손가족 손자녀들은 조손가족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정서적, 발달적, 심리적 욕구 및 문제를 제기하고 있었다. 이로 인하여 조손가족은 기능적인 차원에서 빈곤문제와 세대 간 의사소통의 문제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손가족의 다양한 욕구에 대하여 정책적 지원이 소득보장, 의료보장 등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산물분석의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잔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할당의 차원에서는 자산조사를 기반으로 서비스 수혜자격이 선정되어 있어 보편적인 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있었으며, 급여의 차원에서는 현금급여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에 의존하고 있어서 재화, 서비스 및 증서 등 다양한 급여의 형태와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의 분리 위험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전달체계에서는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전달되고 있었으나 보다 질 높은 수준의 서비스가 전달되고, 조손가족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조손가 족의 복합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협력체계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조손가족을 위하여서는 보다 보편적이고 통합적인 정책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According as a great variety of families are appeared these days. Grandparents headed families are noticed in our society. Grandparents have experienced physical, econom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burden through caring grandchildren as well as grandchildren were faced with matter of communication, emotional anxiety, lack of learning ability, 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school maladaptation. This study aim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needs, actual condition of policy with Grandparents headed family. Also, I willing to analyse the policy contents of them and search for direction to that alternatives. It is as follows. First, Grandparents who raising their grandchildren were in physical, econom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crisis. Grandchildren experienced emotional, development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More ever, Grandparents headed families are confronted poverty and communication problem between generation. The government provide with diverse policy such as incomes policy, medical policy, housing policy and supportive caring system. Secondly, policy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was based on residual perspective limitedly. Definitely, allocation is based means test to choose the service eligibility. Also, government operated mostly cash that emphasize on rational choice of consumers. Thus, government prepare to various benefit style such as goods, service, and vouchers as well need to separate program between income policy and social service. Lastly, we need to establish network to cooperate in delivery systems. Therefor, policy with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s necessary to covert policy switch to comprehensive support and integrating systems.

      • KCI등재

        조손가족 연구의 최근 동향과 향후 기독교 상담의 방향 고찰 : 룻기의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박안나 ( Park Anna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1 복음과 상담 Vol.29 No.1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조손가족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조손가족을 위한 기독교 상담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0년 이후 조손가족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조손가족을 하나의 가족 유형으로 보는 관점으로 변화하면서 조손가족의‘가족기능을 강화하는 전문적 상담’을 강조한 것이 핵심이었다. 이에 따라 가정의 본질을 담고 있는 성경을 통해 가족기능을 이해하고자 가장(家長)의 부재로 남은 자들이 가족이 되어가는 룻기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가족 지속성’과‘돌봄을 통한 안식의 회복’을 통해 공동체와의 연합을 이루어가는 성경적 가족기능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손가족을 위한 기독교 상담은 조손가족이 이 두 가지 기능을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 그 방향이 된다. 먼저 조손가족 구성원, 특히 조부모가 손자녀를 맡는 결정은 가족의 지속성을 위해 이미 기여한 것임을 지지하며 가족을 재정의 하도록 돕고, 각 조손가족이 처한 상황에서 스스로 정한 회복을 위해 조(祖)와 손(孫)이 자발적인 돌봄을 하도록 그 고취와 실행을 구체적으로 돕는 가족상담의 사례개념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최신 조손가족 연구 동향을 통해 조손가족을 위한 가족상담의 본질과 성경적 가족기능 향상의 구체적 적용을 고찰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hristian counseling for grandparent-headed family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levant research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since 201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ies on grandparent-headed family since 2010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hat strengthens family functions” of grandparent-headed family was the core of the latest research trend and it came from the perspective of seeing them as A family type. According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mily function through the Bible containing the essence of the family, the book of Ruth was examined, and the biblical family function of “family continuity” and “restoration of rest through care” was derived. Therefore, Christian counseling for grandparentheaded family should be directed toward helping them regain these two functions. Specifically Christian counselors can encourage for their contribution to the continuity of the family, promote voluntary care and help them to unite with the community. And it is proposed to apply to case conceptual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nature of family counseling for grandparent-headed family and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improvement of biblical family function through the latest trends in the study of grandparent-headed family.

      • KCI등재

        조손가족 조부모 우울의 실태와 작용기제에 관한 연구

        최혜지(Hyu Ji Choi)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9 No.-

        이 연구는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심각하며, 조손가족 조부모로서의 경 험이 어떤 작용기제(mechanism)를 통해 조부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 정도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비조손가족 조부모의 우 울과 비교하였다. 둘째,`우울에 대한 무망감 이론` 과 우울을 비정시적 역할전이에 따른 스트레스 의 결과로 설명하는 `생의 사적 관점`을 근거로 조손가족 조부모의경험이 어떤 작용기제를 통해 우 울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차 자료를 이용한 사회조사 연구로 설계되었으며 분석 대상자는 조손가족 조부모 66명과 비조손가족 조부모 259명을 포함한 325명의 65세 이상 조부모들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기술분석, 교차분석, t-test, 일반선형모형분석,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조손가족 조부모는 평균 중등도 이상의 심각한 우울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정도는 비조손가족 조부모와 비교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형 귀속양식과 조손가족 조부모 경험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무망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망감 이론의 주장과 달리, 조손가족 조부모의 경험이 우울형 귀속양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무망감 형성을 유의미하게 중개(moderate)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조손가족 조부모의 경험은 조부모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손가족 조부모의 경험은 무망감 형성을 중개함으로써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항을 미치기보다, 생의 사적 관점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비정시적 역할로써 조부모의 우울에 직접 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ed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file of depression and the mechanism of depression among custodial grandparents.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driven from the hopelessness theory which insisted that depression resulted from hopelessness which was developed by an interaction between stress and attributable characteristics, as well as life course perspective which insisted that stress from off-time duty caused depression. The sample consisted of 259 non-custodial grandparents and 66 custodial grandparents. I employed general linear model,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d cross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 showed that becoming a custodial grandparent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rough hopelessness. However, the result confirmed that becoming a custodial grandparent directly effected on depression at a significant level. This study revealed that helping custodial grandparents through reducing the stress from off-time duty, which was raising grandchildren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mental health of custodial grandparents. This study would be valued in that it identified the intervention point for mental health of custodial grandparents.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서비스 컨설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조손가족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강미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1 경영컨설팅연구 Vol.11 No.2

        조부모와 손자·녀로 구성된 조손가족은 1990년대 중반 경제위기(IMF)를 기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가족의 탄생은 조부모 자녀의, 손·자녀 부모의 이혼, 경제적 파탄, 죽음 등 과 같은 부정적 이유에 근거하며, 조손가족 상당수가 빈곤 상태에 처해 있다. 따라서 조손가 족에게는 별도의 사회복지서비스가 필요하며, 현재의 사회복지서비스로는 조손가족의 욕구를 채워줄 수 없으므로 좀 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컨설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조손가족의 빈곤 실태를 규명하고 그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의 중요성과 사회복지서비스 컨설팅의 필요 성을 알아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손가족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조손가족의 실태를 조사하여 빈곤의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복지서비스의 중요성과 관련된 항 목을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얻어진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한 조손가족의 90%정도가 빈곤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손가 족은 제대로 된 사회복지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후된 지역에 거주하는 조손가족은 그 정도가 더 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서비스 필요성을 규명한 결과, 조손 가족은 연구에 사용된 항목 모두 지원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는 기존 국내의 조손가족 연구 중 상대적으로 조부모 대상 연구가 부족한 현시점에서 조손가족의 실태를 조사하고, 빈곤의 정도를 파악하며 사회복지서비스의 필요성의 규명을 시도하여 조손가족 대상 사회복지서비스 필요성의 근거를 제시한 것이다. 실무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가 빈곤한 조손가족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된다는 점을 제공하여 향후 이에 대한 정책 수립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손가족 조부모 우울의 실태와 작용기제에 관한 연구

        최혜지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ed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file of depression and the mechanism of depression among custodial grandparents.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driven from the hopelessness theory which insisted that depression resulted from hopelessness which was developed by an interaction between stress and attributable characteristics, as well as life course perspective which insisted that stress from off-time duty caused depression. The sample consisted of 259 non-custodial grandparents and 66 custodial grandparents. I employed general linear model,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d cross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 showed that becoming a custodial grandparent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rough hopelessness. However, the result confirmed that becoming a custodial grandparent directly effected on depression at a significant level. This study revealed that helping custodial grandparents through reducing the stress from off-time duty, which was raising grandchildren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mental health of custodial grandparents. This study would be valued in that it identified the intervention point for mental health of custodial grandparents. 본 연구는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심각하며, 조손가족 조부모로서의 경험이 어떤 작용기제(mechanism)을 통해 조부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 정도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비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과 비교하였다. 둘째, ‘우울에 대한 무망감 이론’과 우울을 비정시적 역할전이에 따른 스트레스의 결과로 설명하는 ‘생의 사적 관점’을 근거로 조손가족 조부모의 경험이 어떤 작용기제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이용한 사회조사 연구로 설계되었으며 분석 대상자는 조손가족 조부모 66명과 비조손가족 조부모 259명을 포함한 325명의 65세 이상 조부모들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기술분석, 교차분석, t-test, 일반선형모형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 분석결과, 조손가족 조부모는 평균 중등도 이상의 심각한 우울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정도는 비조손가족 조부모와 비교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형 귀속양식과 조손가족 조부모 경험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무망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망감 이론의 주장과 달리, 조손가족 조부모의 경험이 우울형 귀속양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무망감 형성을 유의미하게 중개(moderate)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조손가족 조부모의 경험은 조부모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손가족 조부모의 경험은 무망감 형성을 중개함으로써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 생의 사적 관점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비정시적 역할로써 조부모의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한다.

      • KCI등재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양육지원요구와 영국 사례를 토대로 한 정책적 개선방안

        김경호,소순창 한독사회과학회 201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1 No.2

        저소득층 조손가족은 많은 양육부담 속에서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정책적 지원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1970년대부터 조손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았던 영국은 다양한 조손가족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우리나라에 좋은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질적 연구는 우리나라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손자녀 양육경험과 양육지원요구를 탐색한 후 영국의 조손가족지원정책을 토대로 우리나라 조손가족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적 개선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조손가족은 생존과 직결된 생계비가 보장되지 않은 열악한 상황에서 손자녀를 양육하면서 신체적·정신적 건강의 악화, 보육과 교육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조손가족의 양육지원요구는 경제적 지원요구, 의료적 지원요구, 보육 및 교육 지원요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지원요구는 생계비 지원요구, 교육비 지원요구, 사례관리 지원요구였고, 의료적 지원요구는 손자녀 의료지원요구, 조부모 의료지원요구였으며, 보육 및 교육 지원요구는 보육 지원요구, 교육 지원요구, 정서적 지원요구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적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선적으로는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경제적 지원요구에 부응하는 독자적인 법령의 제정, 적극적인 사례 발굴과 지원이 가능한 행정시스템의 마련, 의료적 지원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적극적인 의료시스템과 의료비 부담 완화 등의 정책적 개선이 시급하다. 둘째, 보육 및 교육 지원요구를 반영하여 영국의Sure Start프로그램처럼 조손가족에게 보육, 가사, 학습 및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는 조손가족지원시스템을 확립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영국과 같은 포괄적 아동복지 및 노인복지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There has been a increase in the number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owever,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caregiving support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f previous study,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eeds of caregiving support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to identify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related policies, and to suggest policy tasks to improve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welfar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7 custodial grandmothers in urban and rural areas.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grandmothers reported economic needs such as living costs, educational costs, support by case management. hysical burnout, and emotional conflict surrounding the caregiving. Second, grandmothers complained of medical needs and the needs of childcare and education such as discipline, studying, emotional support.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tasks to improve grandparents- grandchildren families' welfare, such as enactment of the law for supporting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integrated case management, medical care system for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support of housework helpers, family counseling services, and mentoring program.

      • KCI등재후보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혜선(Hye Seon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0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8

        본 연구는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고흥군을 중심으로 자녀세대의 가족해체로 인해 자녀가 부재한 상태에서 조부모가 초등학생인 아동과 동거하며 아동의 일상생활을 1차적으로 보호하고 지도하고 있는 조손가족의 조부모와 손자녀 각 198쌍, 총 396명을 연구대상으로 조손가족 손자녀의 적응상태와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 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의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SPSS 10, AMOS 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손자녀의 현재 연령에 따라서 7세 아동이 12세 아동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우울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2가지 양육태도와 3가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한 결과, 양육태도만이 영향력을 끼치고 있었고 조부모의 양육태도는 권위/통제적이면서 애정/수용적이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다중회귀분석이 가실 수밖에 없는 다중공선 성의 문제를 극복하고, 변수들 사이의 종합적인 관계 양상을 파악하고자 경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사망으로 조부모의 양육을 받게 된 손자녀 집단에서 유의수준 01 수준에서 경로 모형이 성립되었다. 더 나아가 위의 경로 모형을 아동의 현재 연령(학년)과 양육기간에 따라서도 세분화화여 실시한 결과, 양육기간을 기준으로 7~8년 집단에서만 경로 모형이 받아들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손가족 손자녀의 적응이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조손가족 손자녀의 적응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다층적인 개입과 조부모의 개입의 중요성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손가족 손자녀의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학교와의 연계 프로그램 즉, 조부모들의 학교지원 프로그램과 학교의 조손가족지원 프로그램, 학령 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체험프로그램 등과 같은 서비스와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조손 가족 손자녀를 위한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how grandparent`s attitude to bring up, care stress had effects on grandchildren`s adjustment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To achieve this, this study conducted purposive sampling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in Gwangju, Suncheon, Yeosu, Gwangyang Goheung in cooperation with social welfare centers, dong offices, and public health centers. A research target was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whose children did not live with parents and were elementary students due to broken family and whose grandparent took care of and supervised the children`s daily life primarily. 198 grandparents and 198 grandchildren, total of 396, were selected and measured in grandparent`s attitude to bring up, care stress having effects on children`s adjustment . Technical statistics, t-test, F-test,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collected data using SPSS/PC 10.0, AMOSE 4.0 The results suggested that grandparent`s attitude to bringing up and grandparent`s care stress had effects on children`s adjustment. In particular, children were more depressed and aggressive when grandparent`s attitude to bringing up was authoritative, controlled, affectionate, and receptive, children were low in age. This study proposed that it was needed to develop programs which consider grandparent`s technique of bringing up, support group, and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school according to grandparent`s school support in order for children to develop children`s positive adjustment.

      • KCI등재

        발달단계 구분에 따른 조손가족 손자녀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 영향 요인

        이윤화(Lee, Yon-hwa)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9 No.-

        본 연구는 조손가족 손자녀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조손가족 손자녀의 발달단계 구분에 따라 그 영향요인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파악함으로써 조손가족 손자녀를 위한 구체적 지원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손가족 조부모와 손자녀 각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손가족 손자녀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손자녀의 자아존중감, 성인역 부담감, 사회적 낙인감, 형제수, 조손가족 기간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조손가족 손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사회적 낙인감, 성인역할부담감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조손가족 손 자녀의 발달단계를 구분하여 영향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아동기에 해당되는 조손가족 손자녀의 우울에는 성인역 부담감, 사회적 낙인감이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으나 청소년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낙인감이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어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도 아동에게는 자아존중감과 성인역 부담감이, 청소년에게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낙인감이 주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어 발달단계에 따른 영향요인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손가족 손자녀를 위한 지원서비스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in grandchildren from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and examines 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by analyzing a sample of 201 grandparent-grandchild pairs. The results obtained using SPSS/WIN 14.0 indicate that self-esteem, adult-role burdens, the perceived social stigma, the duration of the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arrangement, and the number of sibling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in grandchildren. Further, self-esteem, adult-role burdens, and the perceived social stigma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Fi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in grandchildren varied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 Th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attempting to provide social support for grandchildren from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 KCI등재

        조손가족의 위기문제와 기독교상담

        강경미 ( Kyung Mi K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5 No.-

        본 연구는 현대가족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는 조손가족의 문제를 기독교상담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모색으로 먼저 조손가족의 실태 및 현재 조손가족들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문제에 대해서 고찰했다. 먼저 조손가족의 형성은 손자녀부모의 이혼 및 재혼, 실종으로 인한 가족해체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연로한 조부모가 손자녀를 양육하게 되면서 경제적 빈곤문제를 위시해서 가족들의 정서적 문제, 조부모의 건강문제, 조부모와 손자녀의 세대차로 인한 심리적 갈등문제, 손자녀의 교육 및 양육문제 등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와 함께 조손가족 손자녀들의 심리사회적 적응문제도 심각해서 보호와 상담이 위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조손가족들의 생활이 조속히 안정되어 위기가 확대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상담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손가족에 대한 기독교상담 방안으로 위기개입과 함께 상담과정을 심리적 안정을 위한 지지적 상담단계, 문제파악을 위한 면담 및 평가단계, 문제해결 및 행동실행을 돕기 위한 단계, 지원체계 모색 및 확대단계, 위기해결 및 자신감 회복의 치유단계 5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로 고찰하였다. 앞으로 기독교상담 분야에서도 조손가족에 대한 많은 연구를 통해 영적 상담을 위한 성경적 연구와 함께 구체적인 상담방안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state of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along with the crises faced by them, which is the primary step in seeking a remedy to resolve the problem of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on the basis of Christian crisis counseling. As the composition of the modern family has been changing, the issue of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has emerged, which is mainly ascribed to family disorganization due to parents` divorce, remarriage, or disappearance. There is a variety of complicated problems with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ranging from economic difficulties of elderly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o such issues as psychological scars and emotional problems, grandparents` health problems, mental conflicts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caused by their generation gap, and grandchildren`s education and nurture. Moreover, the problem of grandchildren`s psychosocial adaptation is so serious that it is in urgent need of care and counseling. Positive support and counseling is required for stabilizing the life of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lest they suffer a crisis. In this vein, there should be counseling methods and techniques to be developed also in Christian crisis counseling for the spiritual care, through a number of studies on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 KCI등재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조손의 환경적응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황명진(Myung Jin Hwa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1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5

        본 연구는 가족해체와 전통적인 가족구조의 변화라는 시대적 추세 속에서 증가하고 있는 조손가구에 대한 연구이며, 조부모와 조손의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원자료는 대표성 있는 표본추출을 통해 전국적으로 조사한 실태조사 자료이고 본 연구는 이 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연구는 조부모의 양육경험과 학령기 조손의 가족, 학교 및 사회적응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원자료의 응답 대상가구 중 만 7세 이상의 조손가족만을 포함한 총 540가구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회귀분석결과 조손의 가족·학교·사회적응은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져, 조손가구 아동의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이 가족관계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조부모의 조손에 대한 양육스트레스는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양육만족도와 가족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부모나 조손 아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양육지원 대책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andchild`s adjustment and grandparent parenting stress on the satisfaction of Grandparent-headed family relationships. The secondary data, a national survey(the National Survey of Grandparent- grandchild Familie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Women and Family, was used for the analysis. A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justment of school-age children in family, school, and society, the researcher selected 540 households that consist of grandparent-headed families with a grandchild above the age of seven. Measurement instruments, originally from School Adjustment Scale and Family Environment Diagnose Scale, were modifi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analytical purpose. The results suggest that grandparent-headed family`s adjustment in family, school, & society have positive effects 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ch indicates that grandchild`s adjustment to the new environment enhances the overall family relationship. Grandparent`s parenting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parenting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were not associate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