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서의 독립운동과 한국문학 1-김사량의 조선의용군 문학

        정호웅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6 No.-

        이 논문은 조선의용군의 활동을 다룬 ‘조선의용군 문학’에 대한 연구 작업의 하나로서, 자신의 직접 체험을 바탕으로 창작한 수필과 희곡으로 구성된 ‘김사량의 조선의용군 문학’을 살핀 것이다. 태항산 망명 이전에 쓰인 김사량의 작품들, 조선의용군을 다룬 다른 작가들(김학철, 조선희, 송호근)의 작품들도 함께 검토하였다. 망명 이전 김사량 문학은 죄의식, 고독감, 자기모순 등의 여러 윤리적 문제와 치열하게 대결하며 길을 열고자 했지만 결국 철저한 긍정과 철저한 부정의 두 의미항이 구축하는 ‘긍정/부정’의 이분법에 갇히고 만다. 더구나 반외세주의를 내세우면서도 일본의 국책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자기모순에 봉착했다. 김사량은 이 같은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중국 망명을 결단하였다. 이 결단이 낳은 김사량의 조선의용군 문학을 이끄는 핵심 모티프는 ‘탈출’이다. 태항산중에서 생산된 김사량의 조선의용군 문학은, 일본에 대한 직접 비판의 문학이라는 점에서 그 전의문학과 전혀 다른 새로운 문학이지만, 마찬가지로 권력과 이념이 만들어낸 ‘긍정/부정’의 이분법에 갇혀 있다는 점, 절대의 확신이 이끄는 무갈등의 문학이라는 점에서 그 전의 문학과 근본 속성은 다르지 않다. 한편, <다시, 빛 속으로>의 서사를 이끄는 ‘새로운 탈출’의 모티프는김사량의 조선의용군 문학의 특성을 뚜렷이 드러내는 역광의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매우 큰의미를 갖는다. 조선의용군과 그 활동 공간이 모든 것 위에 군림하는 신성성의 존재로 전제되어 있다는점이 조선의용군 문학 일반을 특징짓는 핵심 특성이다. 조선의용군과 그 활동 공간을 에워싸고 있는 신성의 신화에서 벗어나는 데서 새로운 조선의용군 문학이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is part of a study on ‘The Korean Volunteer Army Literature’. I examined ‘ The Korean Volunteer Army Literature of Kim, Saryang’ consisting of essays and plays created based on his own hands-on experience. Prior to his defection, Kim, Saryang wanted to open the way by fiercely confronting ethical issues such as guilt, loneliness and self-defeating, but he ended up stuck in the dichotomy of the ‘positive/negative‘. Moreover, he is faced with self-deception that blindly follows Japan's national policy while advocating anti-foreign taxism. Kim decided to seek asylum in China to escape the crisis. The key motif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Literature of Kim. Kim's literature produced in Taehangsan Mountain is a new literature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his previous literature in that it is a literature of direct criticism of Japan, but its fundamental nature is no different from its previous literature in that it is also locked in a dichotomy of ‘positive/negative‘ and no-conflict created by power and ideology, led by absolute conviction. The motif of ‘New Escape‘ which leads <Return to Light(다시, 빛 속으로)>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 serves as a backlight that clear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Literature of Kim. The fact that The Korean Volunteer Army and its space of activities are based on the existence of sacredness over everything is a key characteristic that characterizes the general literature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Literature. A new literature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might be possible from breaking away from the sacredness.

      • KCI등재

        해방 후 (1945년 이후) 조선의용군의 정체성과 재만 조선인

        조양환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6

        The Korean Volunteers Army(KVA) is a tragic organization that has not been noticed by both North and South Koreans due to ideological conflicts after liberation, division of the South and North, and the abandonment of Yanan Faction in the North Korean regime. Many people think that the KVA continued to keep their enthusiasm for the national liberation of korea in the course of their transition to the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and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However, in the course of the transition to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fter the emancipation, the character of the KVA changed a lot, and at the end of 1946, their identity was completely changed. The KVA, who entered the Northeast area of China, acted with a different identity from the existing KVA. They were trying to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Koreans living in Manchuria while expanding their political influence. The efforts of the KVA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the future. At that time, the KVA was not 'a militant group for the liberation of the Korea', but 'a member of the Northeast region Korean representative group supporting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how the KVA's nature was changed during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Chinese Communist WParty into the Northeast region after liberation. 조선의용군은 해방 후 좌우이념 갈등과 남북분단, 더 나아가 북한정권에서의 연안파 축출로 인해서 남과 북 모두로부터 주목받지 못했던 비운의 조직이다. 해방 후 조선의용군이 중국인민해방군, 북한 인민군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그들이 조국 해방에 대한 열의를 지속 유지함으로써 그 명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졌다고 여겨졌었다. 그러나 해방 후 중국 동북지역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조선의용군의 성격이 많이 변화하였으며 1946년 말에는 조선의용군의 정체성이 완전히 변화되었다. 동북지역으로 진출한 조선의용군은 기존 조선의용군과는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활동하였다. 동북지역 조선의용군은 중국 동북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인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동시에 자신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시켜 나가려고 하였다. 이러한 조선의용군의 노력은 향후 ‘연변 조선족 자치주’ 형성에 매우 큰 역할을 하였다. 당시 조선의용군은 ‘조선해방을 위한 무장단체’가 아니었고 ‘중국공산당을 지원하는 동북지역 조선인 대표 단체’의 성격이 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설명하기 위해 해방 후 중국 공산당이 동북지역으로 세력을 확장 과정에서 조선의용군의 성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조선의용대(군)의 항일음악 창작과 문화활동

        김명섭(KIM Myung-seob)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7 No.-

        1938년 10월 10일 중국 湖北省 漢口에서 창립한 조선의용대는 일제 침공으로 廣西省 桂林(로 거점을 옮겨 항일전선에 참전하는 한편, 대중들에게 항일사상 교육과 문화선전을 위해 항일음악을 만들고 널리 보급하였다. 민족혁명당의 간부이며 조선의용대 교관인 尹世冑는 군사훈련을 받는 대원들의 사기를 돋우기 위해 <최후의 결전>이란 곡을 편곡하였는데, 이후 조선의용군와 한국광복군에도 널리 불리우는 항일음악의 상징곡이 되었다. 저명한 항일 문필활동가인 李斗山이 1939년 작사·작곡한 노래 <先鋒隊>는 광복군 군가집에 실리어 널리 보급되었다. 桂林에 주둔한 조선의용대 대본대는 중국 당·정·군 간부들은 물론 지역주민들을 위한 각종 문화선전 활동을 적극 펼쳤다. 문화선전대에서 준비한 가극 <아리랑>과 <조선의 딸> 공연은 중국인들에게 큰 호응을 받으며 감명을 주었다. 또한 일본군포로를 초청해 연 다과회와 중국 군관학교 졸업식 행사에서 불려진 <일본반전가>와 <전기가> 등의 노래공연은 중국 언론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桂林에서 重慶으로 근거지를 옮기는 과정에서 대원들은 역사적인 항일음악을 다수 창작하였다. 이두산의 장남 李貞浩는 1940년 2월 행진 광경을 담은 노래 <중국의 광활한 대지 위에>를 발표해 만주 일대와 북한지역에까지 널리 보급하였다. 중국 국·공 내전의 위협 속에 화북으로 진출한 조선의용군 화북지대는 태항산에서 항일전투를 치르는 한편, 항일군가를 만들어 보급시키는 ‘군중창작활동’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연안송>에 이어 <팔로군행진곡>을 작곡해 저명인사가 된 정율성은 조선의용군의 활동을 묘사하는 노래를 창작하였다. 대원 김학철과 이화림 등은 항일전투로 희생된 동지들을 추모하는 내용의 <조선의용군추도가>나 황무지 개간하면서 전통민요를 개사한 <미나리(타령)>·<호메가> 등 노동요를 창작하였다. 일제의 패망 직전, 정율성은 만주를 거쳐 압록강을 건너 조국으로 나아가려는 조선의 용군의 기상을 행진곡풍으로 묘사한 <조국 향해 나가자>를 작사·작곡해 항일전쟁의 기백을 널리 떨치었다. Founded on October 10, 1938 in Hankou, China, the Korean Volunteer Corps moved to Guirin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and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front, while making and distributing anti-Japanese song for anti-Japanese education and cultural propaganda. Youn-seju, an official of the ‘Korea National Revolutionary Party’(民族革命黨) and a military instructor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朝鮮 義勇隊), arranged the song “The Last Battle” to boost the morale of the military-trained members, and later became a symbol of anti-Japanese song. The song “Vanguard”, written and composed by Lee-dusan, a renowned anti-Japanese literary activist,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military songbook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光復軍). Headquarters of Korean Volunteer Corps in Guirin actively engaged in various cultural propaganda activities for Chinese party, government, and military officials as well as local residents. The performances of “Arirang” and “Daughter of choseon” prepared by the Cultural Propaganda group impressed the Chinese people. In addition, performances of songs such as “Japan Anti-War Song”, which were sung at the tea party and graduation ceremony of the Chinese military academy by inviting Japanese prisoners, were widely known through the Chinese media.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Guirin to Chongqing, the crew created a number of historical anti-Japanese song. Yi Du-san’s eldest son, Lee-jungho, released the song “On the Broad Land of China” in February 1940, which spread to Manchuria and North Korea. The Hwabuk area of Korean Volunteer Army’s, which entered Hwabuk amid the threat of China’s civil war, fought against Japan at Taihang Mountains, and was not lazy to create and distribute anti-Japanese military songs. Following Song of Yan’an, Jeong-Yulsong, who became a prominent figure by composing the March of Balujun Army(八路軍), created a song that describes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Volunteer Army’(朝鮮義勇軍). A small number of Kim Hakchoul and Lee Hwarim created labor songs such as “Requiem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and “Minari Taryeong”, “Homega”, which were reconstructed by recreating traditional folk songs in memory of comrades killed in the anti-Japanese war. Right before the collapse of Japan, Jeong Yul-seong wrote and composed “Let’s Go Towards Our Country,” which describes the spirit of the Korean Volunteer Army’s attempt to cross the Yalu River to his country through Manchuria, widely shaking the spirit of the anti-Japanese war.

      • KCI등재

        조선의용군과 한국광복군의 비교 연구

        김광재(Kim Kwang-Jae)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4

        본고는 1940년대 전반기 중국관내지역의 대표적인 무력단체인 조선의용군과 한국광복군의 인적구성, 상호인식, 대중자주성 등을 비교사적 관점에서 고찰한 논문이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후 중국관내지역의 한인독립운동진영은 본격적인 대일전을 수행하기 위한 국사단체를 조직하였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임시정부의 한국광복군과 팔로군지역의 조선의용군이었다. 광복군은 전민족의 대표를 자임하는 임시정부의 국군으로 창설되었고 의용군은 화북지방의 일개 지방단체를 표방하던 독립동맹 산하의 무장단체였다. 겉으로 상하관계로 보이는 이 둘의 관계는 초기 한때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경쟁적 관계에 있었다. 먼저 조선의용군의 구성원들은 김원봉이 양성한 성자군관학교 출신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낙양군관학교나 조선혁명간부학교 출신도 적지 않았다. 낙양군관학교 출신은 김구가 양성하였던 인물들로 후에 의용대의 북상에 가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김구의 추천으로 낙양군관학교를 다녔던 김학무는 이러한 인연으로 후에 임시정부와 독립동맹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수행하였다. 군관학교 출신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광복군도 비슷하다. 광복군 간부들은 주로 중국중앙군관학교, 군벌이 운영했던 군사학교 등 중국의 다양한 군사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의용군은 조직 특성상 무장선전활동과 적구공작을 중시하였다. 광복군은 무엇보다도 국민당정부의 倍都 중경의 이점을 잘 활용하였다. 특히 국제방송을 통한 선전활동은 연합국을 주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영국군, 미군과의 군사합작을 추진하였다. 인면전구공작 대라든가 OSS와의 군사합작은 의용군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것들이다. 처음 의용대는 북상후 화북지대를 결성하고 당분간 중경 대본부와 연락을 유지하면서 지시를 받았다. 그리고 의용군의 상부지도기구인 독립동맹도 임시정부를 중앙으로 봉대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하지만 1943년 이후 중공의 영향이 강화되고 그 대변자 무정이 실권을 장악하면서부터는 독립동맹 및 의용군은 오히려 임시정부를 많은 독립운동단체중의 하나를 평가절하 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임시정부나 광복군도 의용군을 ‘奸黨’(중공-필자)에 예속된 존재로 보는 한편 의용군을 광복군 제1지대로 파악하고 지휘대상으로 규정하였다. 광복군은 창설 후 중국국민정부의 정책에 의해 임시정부에서 분리되어 중국군에 예속되고 말았다. 때문에 전민족의 대표를 자임하는 임시정부로서는 광복군의 통수권을 찾아오는데 사활을 걸지 않을 수 없었다. 그 결과 광복군의 통수권을 회복한 임시정부의 자주성과 국제적 위상은 높아져 갔다. 이에 비해 의용군은 처음 독립동맹의 지휘를 받는 조직으로 출발했지만, 무정 등 중공의 입장을 대변하는 세력에 의해 독립동맹으로부터 분리되어 팔로군에 예속되었다. 독립운동의 전략과 관련하여 이러한 차이가 생겨나게 된 것은 각각 활동했던 국제적 환경이 달랐고, 그에 따른 국제역학관계나 항일전통도 달랐기 때문이었다.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amps in th Chinese mainland established a military organizations to continue resistance to the Japanese at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 1937. Two of the main groups were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supported by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Korean Volunteer Army based in the Korean Independence League. The former was established with the intention of being representative army for Koreans, while the other was a subsidiary military group of the Korean Independence League that was a mere local governing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mies was rather competitive except in the early stages contrary to the common view of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it was subsumed by the Chinese Army through the policy of the Chinese Government, the army having been separated from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national self-respect of Korea was damaged by the fact that the Chinese Army compelled their authority, the emphasis on the right of command,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moral education, such as the Principles of the People. Although the members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Korean Independence Army felt frustrated in a Sinocentric Chinese Government, the experience fostered a greater pride in Korea. As a result,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regained its prerogative of supreme command so that their self-respect and their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became elevated. The Korean Volunteer Army, however, was subordinate to 8th Route Army of the Chinese Communists. They also attempted to be independent, but this subordinate continued to Aug 15th 1945. There are several causes, but the atmosphere of Yanan that classism and internationalism were more important than nationalism had a great effect on their relationship. Furthermore, there was no conflict between them in a national point of view, because the Koreans in the 8th Route Army were already fully accommodated to the line of the Chinese Communists and Mao Ze Dong. Finally the main reason why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amps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is that each of them had different international circumstances and divergent histories of resistance to the Japanese.

      • KCI등재

        쓰마루 (司馬璐) 의 한국독립운동 지원과 『조선혁명사화』 저술

        염인호(Yeom, In-Ho) 한국사학사학회 202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42

        Tsumalu(司馬璐, 馬義) support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y joining the Kim Won-bong(金元鳳) camp in Chongqing(重慶) on two occasions. At some point before July 1940, Tsumaru, who came to Chongqing, worked as an editor of Korea Volunteer Corps(KVC, 朝鮮義勇隊) and actively published several articles in KVC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which supported the Going North China and Anti-Japanese Movement which was then the direction of KVC. Tsumaru, who left Chongqing shortly after the Wanan Incident(皖南事變) broke out in 1941, returned to Chongqin g at some point before October 1942, where he wrote Four Years of KVC Victory(朝鮮義勇隊勝利的四年) and The History of Korean Revolutionary Movement(朝鮮革命史話) which included Kim Won-bong s position. The History of Korean Revolutionary Movement denied the rul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臨時政府 法統), ruled out the Communist Party(共産黨) s independence movement, and essentially included the History of the March 1st Movement(3·1運動), the training of cadres(幹部養成), KVC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쓰마루(司馬璐, 馬義)는 두 차례에 걸쳐 충칭(重慶)의 김원봉 진영에 가담해서 한국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1940년 7월 이전 어느 시점에 충칭에 온 쓰마루는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편집자로 활동했는데 그해 하반기에 정력적으로 여러 글들을 『조선의용대』에 발표하였는데 거기에서는 당시 조선의용대 방향이었던 북상항일을 지지하는 내용을 담았다. 1941년 완난사변(皖南事變)이 발발한 얼마 후 충칭을 떠났던 쓰마루는 1942년 10월 이전의 어느 시점에 다시 충칭으로 돌아와서 여러 활동을 했는데 그런 가운데서 김원봉 진영의 입장을 담은 『조선의용대 승리의 4년(朝鮮義勇隊勝利的四年)』과 『조선혁명사화(朝鮮革命史話)』를 저술했다. 『조선혁명사화』에서는 임정법통론을 부인했고, 공산당의 독립운동을 배제시켰으며 3.1운동- 간부 양성-조선의용대- 임정으로 이어지는 역사상을 담았다.

      • KCI등재

        1945~1947년 북 · 중관계의 형성과 북 · 중혈맹의 근원

        김선호(Kim Seonho)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7

        해방 이후 북 · 중관계는 중국내전의 직접적인 영향 아래 형성되기 시작했다. 중국공산당은 국민당 군대가 동북지역을 점령하자, 북한 측에 교통로 · 후방기지 · 무기 · 군수물자를 제공해달라고 요청했고, 북한 정치세력은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북 · 중관계는 동북민주연군·중국공산당 동북국과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 북조선인민위원회의 공식적 계통을 통해 구축되었다. 중국공산당은 북 · 중관계를 공식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상설기구를 설치하였다. 동북국과 동북민주연군은 1946년 중반부터 조선주재 동북국판사처 · 동북국 도문판사처 · 북흥무역공사 등을 설치해 병력 · 전략물자의 이동, 전략물자의 구매, 무역거래 등을 추진했다. 이 같은 북 · 중 간 교류는 소련군사령부의 허가와 지원하에 진행되었다. 북 · 중관계는 비공식적 계통을 통해서도 형성되었다. 동북항일연군과 조선의용군의 조선인 간부들은 해방 후 동북지역에서 중국공산당의 당 · 정권기관 · 군대를 창설하고 고위간부로 활동했다. 또한 이들은 동북민주연군의 군사간부를 맡아 동북전쟁에 참전했다. 북 · 중관계 형성과정에는 동북 · 북한지역을 오가며 협력관계를 구축한 인물들도 크게 기여하였다. 해방 이후 북 · 중관계의 특징은 공식적 관계와 비공식적 관계가 혼재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북 · 중관계 형성에 기여한 동북 · 북한지역의 일부 간부는 해방 전 동북항일연군의 김일성 · 주보중부대에서 활동한 사람들이었다. 공식적 북 · 중관계는 해방전후 동북지역 · 북한지역 간부들의 비공식적 인적 관계를 통해 완성되었다. 1945~1947년 북 · 중관계는 공식 · 비공식 계통을 통해 형성되었고, 동북지역의 조선인 사회와 중국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동북지역으로 진출한 조선인 간부들은 당·정권기관 · 군대를 건설해 조선인들을 보호하고 조직함으로써 조선인 사회와 중국혁명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1946년 전후 북한 측의 지원은 초기 중국내전의 승패를 가르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또한 다수의 동북항일연군 · 조선의용군 간부들이 조선인들로 편성된 부대를 이끌고 중국내전에 참전해 중국혁명에 기여하였다. 결국 1945~1947년에 형성된 북 · 중관계는 북 · 중혈맹의 근원이자 국교수립의 기반이었다. Since liberation in 1945, North Korea-China relation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ongoing Chinese Civil War. From the outbreak of the civil wa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made requests of military aid to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leadership answered with substantive assistance. North Korea-China relations were constructed through the official channel between the North Korean People’s Committee and the CCP. The CCP established a permanent organization through which it managed the movement of both military forces as well as purchase of strategic goods from mid-1946. These North Korea-China relations developed under the sanctions of the Soviet Union’s military command. Further, North Korea-China relations were built through the unofficial channel. Both the Korean cadres in the Northeastern Anti-Japanese Union Army and the Korean Volunteer Army laid the groundwork for post-liberation hegemonic dominance of the CCP in Manchuria. These military forces also joined in the Chinese Civil War as military cadres of the Northeastern Democratic Union Army. The official North Korea-China relations were completed through informal personal relations between the Northeastern region and the North Korean leader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From 1945 to 1947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 were formed through formal and informal systems, and had a profound impact on Korean society and the Chinese Revolution in the northeast region. North Korea’s support for China around 1946 determined victory and defeat in the early Chinese civil war. After all, the North-Central relations formed in 1945-1947 were the origin of the North Korea-China blood alliance and were the basis for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 KCI등재

        金學武의 在中獨立運動과 좌파청년그룹

        崔起榮(Choi Ki-Yo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10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6

        김학무는 용정 은진중학을 마치고 김구 휘하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낙양군관학교와 남경 중앙대학에서 수학하였으며, 김구 특무대독립군의 성원이었다. 공산주의에 경도되어 있던 그는 혁명동지회에 참여하였으며, 1936년 김구 휘하에서 이탈하여 민족혁명당에 입당하였고,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난 뒤 성자분교에서 군사교육을 받았다. 이 전후 최창익등과 공산주의 단체인 조선청년전위동맹을 결성하여 주도적으로 활동하다가 김원봉 주도의 민족혁명당을 이탈하였다. 1938년 조선의용대에 참여한 이후 정치조장과 부대장으로 활동하며, 좌파청년그룹을 이끌었다. 조선의용대가 화북진출을 결정하자 김학무는 1941년 여름 태항산으로 북상하였고, 그 해 7월부터 조선의용대 화북지대의 정치지도원으로 활약하였다. 1942년 7월 화북조선독립동맹이 결성되고,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는 조선의용군 화북지대로 개편되었다. 그는 조선독립동맹의 중앙집행위원 겸 중앙상임위원에 선임되었는데, 전위동맹과 조선의용대의 주도적 위치에 있기 때문이었다. 또 조선독립동맹의 선전부장과 화북조선청년혁명학교의 교무주임 직도 수행하였다. 이 시기에 그는 교재로 한국근대사를 유물사관의 관점에서 정리한 『朝鮮近代革命運動史』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1943년 초부터 중국공산당이 독립동맹과 조선의용군을 장악하기 위하여 정풍운동을 전개하였다. 중국국민당과의 관련된 독립운동단체에 관여하였기 때문에 정풍운동에서 자유롭지 못하였던 그는, 민족통일전선운동의 관점에서 중경의 한국독립운동세력과의 연결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1943년 그가 중경에서 북상한 이후, 그의 행적은 묘연하다. 1943년 5월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의 이러한 행동을 조선독립동맹 측에서는 ‘변절’로 인식하여, 조선의용대나 조선독립동맹에서 차지하는 그의 위상에도 불구하고, 그의 죽음에 관한 기록이나 해방 이후의 논의가 전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Kim Hak-Moo graduated from Eunjin Middle School in Longjing, and then participated in an independence movement under Kim Goo. He studied in Luoyang Military Academy and National Central University in Nanking and was a member of the Counter Intelligence Corps for National Independence established by Kim Goo. He who had leaned toward communism participated in “Revolutionary Comrades Association”. He left the line of Kim Goo in 1936, and then participated in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He was bred to arms in Xingzi branch of the Central Military Academy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t that time he organized a communist body, Korea Youth Avant-garde Alliance with Choi Chang-Ik and others and led the organization, and then left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led by Kim Won-Bong. He participated in Korean Volunteer Corps in 1938. Playing an active part in Korean Volunteer Corps as a political team leader and a commander, he led the left youth group. As Korean Volunteer Corps decided to advance into Huabei region, he moved northward to Taihang Mountain in the summer of 1941 and played an active part in Huabei branch of Korean Volunteer Corps as a political leader from July, 1941. In July, 1942 Korean Independence Alliance in Huabei was formed and Huabei branch of Korean Volunteer Corps was reorganized as Huabei branch of Korean Volunteer Army. As he took a leading role in Avant-garde Alliance and Korean Volunteer Corps, he was named a member of central executive committee and also a member of central permanent committee of korean Independence Alliance. And also he performed the position of a propaganda manager of Korean Independence Alliance and the position of the chief of school affairs of Korean Youth Revolutionary School in Huabei. At this time he wrote History of Modern Korean Revolutionary Movement which was organized from the viewpoint of the materialistic conception of history on modern history of Korea. Chinese Communist Party started the rectification movement to seize Independence Alliance and Korean Volunteer Army from the beginning of 1943. As he was involved in bodies for independence movement related to Kuomintang, he who was not free from the rectification movement tried to connect himself to the group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Chungking in the viewpoint of the national unified front movement. After his moving northward from Chungking in 1943, his whereabouts were unknown. It is guessed that he was killed in the battle with Japanese soldiers in May, 1943. As Korean Independence Alliance considered his behaviors as betrayal, it seems, there were no record about his death and no discussion about him after Korea’s liberation in spite of his position in Korean Volunteer Corps and Korean Independence Alliance.

      • KCI등재

        기억속의 이주공간 -만주국하동(滿洲國河東)마을 연구(硏究)

        남영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5

        본 연구는 일본이 만주국에 설치한 안전농촌인 하동마을이 이주공간으로서 내포한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일본이 개척한 하동마을은 마을자체가 행정조직으로 이루어진 공간이었다. 조선인들은 새로운 파라다이스를 찾아 만주로 왔지만, 그들의 삶은 조선에서 동척에 의해 시달리던 상황과 다를 바 없었다. 일본이 조선인들을 ‘이등공민’이라고 내세운 것도허구에 지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하동마을 조선인 교육도 ‘대일본제국의 신민(臣民)이며 만주국의 국민’을 양성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였다. 식민공간이나 다를 바 없었던 하동마을은 개척촌 건설로 인해 조선인의 집주와 중국인들의 이산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인들의 불만을 증폭시켰다. 중국인 소작농들은 지주의 착취와 압박 그리고 조선인들의 등장으로 인해 이중의 경제적 압박에 시달렸다. 더불어 ‘이등 공민’이라는 조선인들의 우월감 또한 중국인들의 분노를 살 수 밖에 없었다. 중국인들과 조선인들의 갈등은 일제가 패망한 후 토비들이 조선인 마을을 습격하는 것으로 표출되었다. 하동마을 조선인들은 마을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무장했을 뿐 아니라, 토비들과 협상을 통해 마을의 평화를 유지하였다. 또한 북만주에 들어온 소련군에게 자신들의 안전을 맡기기도 했지만, 소련군 역시 일본을 대신해 공출을 거두고 부녀자를 겁탈하는 등 수탈자일 따름이었다. 하동마을을 지키고자 하는 조선인들의 의지는 조선의용군에 가담하는 조선인들의 행동을 통해 드러났다. 비록 조선인들이 조선의용군을 조선군대로 인식하고 가담했지만, 이는 마을을 지키려는 그들의 의지가 표출된 것이었다. 이후 중국공산당의 토지개혁으로 인해 토지를 분배 받은 정씨 일가를 비롯한 조선인들은 하동마을에서 조선인 또는 중국인으로 살아가게 되었다. 하동마을을 보존하려는 조선인들의 노력은 이 공간의 권력을 재배치하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d on the meaning that Hadong village in which Japan developed has. Hadong village Japan developed was an area that the village itself was consisted with its ow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Josun people came to Manju looking for new paradise, but their life was similar to the suffering life by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in Josun. The fact that Japan announced Josun people The second class citizen was fake, too. Not only that, the Josun people education in Hadong village was for making a subject of Japan and Manju state’s nation. In Hadong village as a colony area, Josun people immigrated in and Chinese dispersed for developing pioneer farm. this situation amplified Chineses’ complaint. Chinese tenant farming finacially suffered not only from landowner’s exploitation and pressure but also with appearance of Josun people. more than that, Josun people’s pride that they are The second class citizen also caused Chinese’s anger. The conflict between Chinese and Josun people was expressed by that banditries invade and attack Josun people’s village after Japan collapsed. Josun people in Hadong village protected their village by arming themselves and negotiating with banditries. they also asked the Soviet army to protect themselves, the army took food and raped women as stripper, too. The will to protect Hadong village is exposed by Josun people’s behavior joining Korean Volunteer Army. Even though Josun people perceived Korean Volunteer Army as Josun army and joined, it is showing their will to protect their village. later on, Josun people including Jung’s family who was distributed some lan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land renovation became to live in Hadong village as Josun people or Chinese people. Josun people’s effort to keep Hadong village was the driving force to rearrange the power of this area.

      • KCI등재

        중국에서 아리랑의 역사적 존재 양상― 「기쁨의 아리랑」에서 「새 아리랑」까지

        정우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storically clarify the role of Arirang and how it has been changed and recreated while Koreans in China form their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also used Arirang and local interviews that the researcher obtained during the field investigation to Yanji, Longjing, and Antu in Yanbian from June 18th to 25th in 2015. Although ‘ethnicity’ and ‘nationality’ were contradictory for Koreans in China, they imagined ethinicity and formed their own identity through Arirang which is the cultural mechanism. The history of China’s ethnic-Koreans’ Arirang can be divided into two classes. One originated from 〈Bonjo Arirang〉, which was the theme song of the movie 〈Arirang〉, and connected to historical sufferings like the separation and displacement of Korean ethnic groups, and their migration and settlement in China. The other one is 〈Arirang of Joy〉 which was created and sung by Korean Volunteers Army in the northern part of China before the independence of Korea. 〈Arirang of Joy〉 expresses the subjecthood of China’s ethnic-Koreans and their sense of reality during the period from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1945 to the establishment of Yanbian Autonomous Prefecture in the 1950s. 〈Arirang of Joy〉 reminds the narrative that they wandered around going through all the difficulties after leaving their hometown and homeland. Despite the sufferings and death threats, they did not lose the will to live and Entwurf towards the future, singing “We are going over Arirang Pass”. After they joined the revolutionary struggle, their ‘Pass of moan and death’ is changed to ‘Arirang Pass of joy and victory’. “The New World” that they dreamed of while singing 〈Arirang of Joy〉 is Joseon, which is symbolized by the national flag of Korea(Taegeukgi)-the national flower of Korea(Mugunghwa)-the whole land of Korea(three thousand li). However, verse 4 of 〈Arirang of Joy〉, which reminds of ‘Joseon’, was excluded from the lyrics when they get the land after land reform and establishe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s Korean people independently made new livelihoods in China, they created and performed 〈New Arirang〉 expressing their hope and ambition for independent life. 〈Arirang of Joy〉 and 〈New Arirang〉 shows that their sovereignty and identity as ethic-Koreans and national-Chinese, and their own characteristic are not simply given to them, but achieved through Koreans’ ‘tears of blood’, solidarity, revolutionary ideal, and dedicational struggle. By creating and handing down Arirang, they share historical experiences and memories as ‘Koreans’, and they try to create their own values as ‘China’s ethnic-Koreans’ and establish themselves as ‘constructive’ subject. 본 연구는 중국 내의 조선인들이 자신의 민족적,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아리랑이 어떤 역할을 했으며 어떤 변화와 관련하여 재창작되었는지 역사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시기는 연변조선족자치주 성립 직후까지 한정하였다. 기존의 문헌 자료를 근거로 2015년 6월 18일부터 25일까지 중국 연변 연길시, 용정시, 도문시, 안도현 일대에서 필자가 현지 답사하고 채록한 아리랑과 인터뷰 자료를 보충하였다. 중국의 조선인들은 ‘국적’과 ‘민족’이 길항하는 사이에서, 아리랑이라는 문화적 기제를 통해 민족을 상상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생성해 왔다. 중국 조선족 아리랑의 역사는 민족 정체성의 구성 및 정서체계에 영향을 주는 두 가지의 계열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그 기원을 1920년대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인 「본조아리랑」에 두고, 이후 조선 민족의 이산과 유랑, 중국으로의 이주와 정착이라는 역사적 고난과 연결되는 아리랑 계열이다. 또 하나는 광복 이전에 화북지역 조선의용군에 의해 만들어지고 불렸던 「기쁨의 아리랑」 계열로, 1945년 광복을 거쳐 1950년대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성립에 이르기까지 중국 조선족의 주체적인 역량과 현실 감각을 표현하고 있다. 「기쁨의 아리랑」은 고향과 고국을 떠나 온갖 어려움을 겪으면서 유랑하던 고난의 서사를 환기한다. 이런 고난과 죽음의 위협에도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는 생의 의지와 미래로의 企投를 멈추지 않았고 혁명투쟁의 대열에 합류하면서 ‘탄식과 죽음의 고개’가 ‘기쁨과 승리의 아리랑 고개’로 전환된다. 이들이 「기쁨의 아리랑」을 부르며 꿈꾸었던 “새 나라”는 바로 “태극기”-“무궁화”-“삼천리”로 표상되는 조선이었다. 그런데 광복 후에 토지개혁으로 땅을 획득하고 이어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과 함께 「기쁨의 아리랑」은 ‘조선’을 연상시키는 4절을 노랫말에서 배제하게 된다. 또한, 중국에서 조선 민족이 독자적으로 새 터전을 이루고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희망과 포부를 새로운 국면과 형식에 맞춰 「새 아리랑」으로 창작하여 공연하였다. 「기쁨의 아리랑」과 「새 아리랑」은 조선 민족이면서 중국 공민으로서의 주권과 주체성, 독자적 고유성이 편입되거나 주어진 것이 아니라, 조선인들의 ‘피눈물’과 연대, 혁명적 이상, 헌신적인 항쟁을 통해 쟁취한 것이었음을 보여준다. 중국에서 아리랑의 창작과 전승을 통해 ‘조선인’으로서 과거의 역사적 경험과 기억을 공유하고, 또한 ‘조선족’으로서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생성하며 ‘건설적’ 주체로서 자신을 정립하려는 기획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鄭成彦의 독립운동과 해방 이후 활동

        문미라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Jeong Seong-eon’s independence movement and his post-liberation activities. Although Jeong Seong-eon, an independent movement activist and North Korean politician, lived a remarkable life, he and his activitie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examined in the existing stud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 to understand Jeong Seong-eon’s activities and choices by focusing on his academic and peer networks in a more continuous sense. Jeong Seong-eon, born in 1912 in Myongchon, North Hamkyung province, attended Christian private schools including Eunjin Middle School in Yanbian, China. His schoolmates, Kim Hak-moo and Kim Yong-seop in Eunjin Middle School, became his comrades working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held by Jeong Seong-eon. Jeong Seong-eon dropped out of Eunjin Middle School and went to Nanjing, China in May 1933. He entered the Korean Special Group of Luoyang Military Academy and dropped out as well. Afterwards, Jeong Seong-eon joined Counter Intelligence Corps, which was mainly organized by Kim Koo-affiliated dropouts. In July 1935, he organized Revolutionary Comrades Association for the purpose independence and communism of Chosun. As part of the Revolutionary Comrades Association’s activities, Jeong Seong-eon went to Shanghai to smuggle to Russia, however, in October 1936, he was arrested there and sent to the prison for three years. After being released, Jeong Seong-eon moved to northeast China and worked with Lee Sang-jo from 1943 for the North Manchuria Special Committee of the Korean Independence Alliance. The major background for Jeong Seong-eon’s activities was his previous affiliation with Eunjin Middle School-Revolutionary Comrades Association where his peer network was established. Along with Lee Sang-jo, Jeong Seong-eon was involved in establishing the underground groups of the Korean Independence Alliance in North Manchuria, and then witnessed the liberation of Chosun. The North Manchuria Special Committee activities by Jeong Seong-eon and Lee Sang-jo in connection with the center of the Korean Independence Alliance served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into the Northeast region after the liberation. After the liberation, the North Manchuria Special Committee fostered young Chosun members, following the organization’s principle that the young Chosun members should play a pioneering role for the fulfillment of the Chosun revolution and reunification. The committee was committed to establishing armed Chosun forces in the Northern Manchurian region and training the Chosun leaders. During this period, Jeong Seong-eon participated in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rather than in military affairs. Jeong Seong-eon, who was involved in various projects in the Northern Manchuria, moved to North Korea around March and April 1948. After the migration to North Korea, although Jeong Seong-eon could be typically classified as the Yeon-yan group, he did not join the Chosun New Democratic Party centered on the Yeon-yan group but was active in the Korean Democratic Party. In the context of the double tasks of relieving the opposition of the Christian forces and restructuring the Korean Democratic Party toward communism after the spurge of Cho Mansik-affiliated nationalists, Jeong Seong-eon was the most necessary person for the Korean Democratic party in a sense that he had a Christian-friendly as well as solid communist belief. 이 글의 목적은 정성언의 독립운동과 그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해방 이후 활동을 조명하는 것이다. 정성언은 독립운동가이자 북한의 정치가로서 주목할 만한 삶을 살아 왔으나, 그간의 연구에서 그의 존재는 단편적으로만 알려져 왔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정성언의 학맥과 인적 관계망 등에 주목하여 그의 활동과 선택을 보다 계기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1912년 함경북도 명천군에서 태어난 정성언은 중국 연변지역에서 은진중학을 비롯한 기독교계 사립학교를 다니며 공부하였다. 은진중학교에서 만난 김학무, 김용섭 등은 이후 정성언이 전개한 독립운동의 동지가 되었다. 은진중학을 중퇴한 정성언은 1933년 5월 중국 남경으로 건너가 낙양군관학교에 입학했다가 중도 퇴교하였다. 이후 정성언은 김구 계열 중도 퇴교생들을 근간으로 조직된 김구특무대에서 활동하다가, 1935년 7월경 조선의 독립과 공산화를 목적으로 한 혁명동지회를 조직하였다. 정성언은 혁명동지회 활동의 일환으로 러시아로 밀항하고자 상해로 향했지만 그곳에서 체포되어 1936년 10월 징역 3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만주로 거처를 옮긴 정성언은 1943년경부터 이상조와 함께 조선독립동맹 북만특위에서 활동하였다. 이러한 정성언의 활동에는 은진중학-혁명동지회 출신이라는 점과 거기에서부터 형성한 인적 관계망이 결정적인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정성언은 이상조와 함께 북만주지방에서 조선독립동맹 지하조직을 건설하는 활동을 하다가 해방을 맞았다. 조선독립동맹 중앙과의 연계 속에서 진행된 정성언과 이상조의 북만특위 활동은 해방 이후 조선의용군의 만주지역 진출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해방 후 북만특위는 만주를 기지로 삼아 조선인 청년들을 양성하고, 이들로 하여금 조선혁명의 완수와 조국통일의 선봉에 서게 해야 한다는 운동노선에 따라 북만지역에 조선인 무장부대를 창건하고 조선인 간부를 양성하는 데 힘을 쏟았다. 이 시기 정성언은 군사 분야보다는 정치·사회 영역의 활동에 참여하였다. 북만지역에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던 정성언은 1948년 3~4월경 북한으로 넘어갔다. 정성언은 연안파로 분류될 수 있는 전형적인 인물이었지만, 연안파를 근간으로 만들어진 조선신민당에 가입하지 않고 조선민주당에서 활동하였다. 조만식 계열의 민족주의자가 축출 당한 이후 기독교 세력의 반발을 무마하면서도 조선민주당을 친공적으로 개편해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던 상황에서, 기독교 친화적이면서도 확실한 사회주의 성향을 가지고 독립운동을 전개해 온 정성언은 조선민주당에 가장 필요한 인물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