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남성의 제국 여성 회견기

        김도경(Kim, Do-kyoung)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8 No.-

        제국의 남성과 식민지의 남성, 제국의 여성과 식민지의 여성, 제국의 남성과 식민지 여성의 역학 관계는 비교적 명확하다. 그런데 식민지의 남성과 제국의 여성이 만나게 될 경우 식민 지배와 젠더의 역학이 첨예하게 부딪칠 수밖에 없다. 이 논의에서는 식민지 남성과 제국의 엘리트 여성의 조우가 식민지 남성 지식인의 내면에 어떤 흔적을 남겼는지를 텍스트를 통해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이 조우에서 발생하는 텍스트의 긴장과 충돌을 통해 식민지 조선에서의 식민 지배와 젠더의 역학 관계를 좀 더 섬세하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기진의 소설 「TRICK」과 이익상의 「부인운동자와 회견기」 를 살펴보았다. 김기진의 소설「TRICK」의 내지여선생 다나카는 “내지”여선생과 내지“여”선생의 사이를 부단히 진자운동하는 존재이다. 자신을 비롯한 조선인을 야만인으로 보는 식민자의 시선에 분개하던 광수는 작품 말미에서 자신을 대하는 다나카의 나긋한 태도를 통해 남성으로서의 권위를 회복하고 이로써 제국의 권력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된다. 이익상의 회견기에서는 식민 지배와 젠더 역학의 갈등과 긴장이 좀 더 복잡하게 드러난다. 이익상은 저명한 여성운동자인 스미이에 대한 은근한 선망을 드러내는 한편 여성운동자, 모던걸에 대한 호기심 어린 노골적인 시선을 노출하였다. 이 글 속에서 식민지의 남성 지식인과 제국의 여성 엘리트는 관찰의 주체와 대상, 질문의 주체와 대상이라는 위치를 오가며 시선과 응시를 반복적으로 교환하였다. 또한 김기진의 소설 제목 “트릭”은 식민지를 경영하는 제국의 트릭에 대한 은유이기도 하다. 소설에서는 이 트릭에 의해 조선인/일본인, 여성/남성이라는 두 개의 역학 관계가 비교적 말끔하게 정리되었지만, 이 갈등의 빌미를 완전히 소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식민지의 남성은 제국의 여성을 맞닥뜨려 가부장적 주체이자 식민 지배의 대상으로 분열된 자신의 내면을 봉합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또한 제국은 식민지를 경영하는 기간 내내 양자의 역학 관계를 조율하고 관리하는 작업을 반복할 수밖에 없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in empires and colonial men, women in empires and women in colonies, and men and women in empires, is relatively clear. However, if a woman from an empire meets a man from a colony, the dynamics of colonial rule and the gender are sharply oppose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to examine specifically what the encounter with colonial men and the elite women of the empire had left behind in the inner side of the colon male intellectuals through text written by male intellectua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was also intended to further clarify the dynamics of the Gender and colonial rule in colonial Joseon through the tension of text arising from this encounter. To that end, we looked at Kim Ki-jin"s novels, "TRICK" and "Lee Iksang`s “A record of talks with feminist” At the end of the novel, Kwangsu, angry at the eyes of the colonialists who saw him and other Koreans as barbarians, regained his authority as a man without regard for his wife`s power. In Lee Iksang"s interview, conflicts and tensions between colonial rule and gender mechanics are more complex. Lee iksang is veiled while the envy for a prominent women`s movement, women`s movement and was curious about the explicit attention to. In this article, male colonial intellectuals and female elites of the empire constantly re-position their positions by exchanging glances and glances with each other. Kim Ki-jin says, "Trick" is also a metaphor for the tricks of the colonial empire. In the novel, the two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Koreans/Japanese and women/men have been relatively well organized by the trick, but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dispel the conflict. Thus, the colonial man had to make strenuous efforts to meet the women of the empire and to seal his inner self, divided by patriarchal agents and colonial rule. The empire was also forced to coordinate their epidemiological relationships and manage the source of trouble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젠더-거버넌스의 가능성 탐색

        원숙연(Sook-Yeon Won),박진경(Jin-Kyung Park)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4

        성매매방지법의 제정과정을 대상으로 여성정책의 거버넌스를 분석하는 본 연구는 다음의 질문에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성매매방지법의 제정을 둘러싼 ‘거버넌스’ 구조는 어떠했는가? 그러한 구조에 영향을 미친 국내ㆍ외적 환경은 무엇인가? 성매매 방지법 제정을 둘러싼 거버넌스 구조를 형성한 행위자들간의 상호작용의 양태, 영향력 관계 및 강도는 어떠했는가? 성매매방지법의 제정을 둘러싼 거버넌스 구조가 소위 ‘젠더-거버넌스’의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어떤 함의를 갖는 것일까?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함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성매매방지법의 제정에 있어서 국내ㆍ외적인 환경적 요소가 젠더-거버넌스 작동의 촉발적 기제로 작용했다. 둘째, 성매매방지법의 제정을 둘러싼 젠더-거버넌스 구조는 여성단체의 영향력이 지배적인 ‘시민사회 중심의 거버넌스(civil society governance)’로 규정될 수 있다. 셋째, 여성단체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입법과정 전반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한 대표발의의원, 주무부처의 여성 장관 및 국회 여성위원회의 활동이 주효했다는 점에서 여성의 세력화(empowerment)가 젠더-거버넌스의 가능성을 제고시키는 중요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성매매 방지법의 제정과정에서 표면적으로 강한 저항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초기 국회법사위와 법무부의 저항은 여성의원의 적극적 활동, 여성단체의 전방위 압력과 합께 최고결정권자(대통령)의 정치적 지원을 배경으로 한 여성장관의 등장으로 완화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제정과정이 단기간에 끝났다는 점과 법안의 심사과정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여론의 무관심을 포함한-이 역설적이게도 저항의 가능성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제정과정의 저항의 완화가 통과이후 집행과정에서의 강한 저항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과 이러한 상황변화가 갖는 젠더-함의를 밝히는 것이 중요한 연구주제로 남는다. 한 마디로 성매매방지법을 둘러싼 젠더-거번넌스의 가능성은 환경적 요구와 여건의 변화에 대응한 행위주체들의 상황-적합적(contingent)선택에 기초한다. Paying attention to The Act on the Punishment Prostitution and Protection of Victims(APPPV), this article as a case study seeks to possibl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How was the 'governance' structure surrounding the APPPV? What were the contextual factors, either national or international, which influence to the 'governance' structure? What was the political dynamics for the APPPV? What were their implications for gender govern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are several implications for gender governance structure. First of al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textual factors such as the fire in Kunsan and taking a heavy toll of prostitutes, the general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ternational pressures against prostitution and so on acted as a strong facilitator for the APPPV. Secondly, in term; of the fact that NGOs for women issues played dominantly throughout the legislation process for the APPPV, it can be identified as the civil society centered governance. In a similar vein, the function of female femocrats such as ministers o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Ministry of Justice and female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was vital for legislation of the APPPV. It confirmed that gender empowerment was essential for effective gender governance. Fourthly, unlike prediction, legislation of the APPPV did not meet with severe resistances from related actors. Even if there were some oppositions to the APPPV from The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and Ministry of Justice in the early stage, they were mitigated by political supports from the President, femocrats, and women's NGOs. Ironically, indif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and medias towards the APPPV contributed to the lack of resistances. In a word, gender governance surrounding the APPPV was identified as contingent choices of related actors, which responded toward contextual pressures against prostitution.

      • KCI등재후보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여성 수용자의 해독과 일상적 실천에 관한 연구

        김명혜 ( Myoung Hye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2005년의 화제의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이 20-30대의 여성 수용자들에게 어떻게 해독되는지 그리고 일상적인 경험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 수용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드라마 텍스트에 대한 해독뿐만 아니라 심층면접자의 일상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미디어 텍스트와 수용자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의 수용자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이를 둘러싸고 있는 일상적 문화로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심층면접결과 여성 수용자들은 자신의 경험과 결부하여 드라마의 주인공에 대해 동일시, 비판적, 여성주의적, 분석적 위치에서 선별적인 해독을 하고 있었다. 한편 드라마 속에서 나타났던 계약연애, 성의식, 연하남/연상녀 커플, 그리고 결혼과 직업과 같은 이슈에 대한 여성수용자들의 해독과 일상적인 경험에서 우리 사회의 변화하는 젠더의식과 성의식을 엿볼 수 있었다. 우선 일회적이고 영원한 낭만적인 사랑에 대한 환상이 사라져가고 있으며 이는 계약연애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에서 알 수 있다. 한편 성의식도 매우 자유롭게 변화하고 있으면 이와 같은 변화는 혼전 성관계와 하룻밤 사랑 같은 이슈에 대해 미혼 여성들이 큰 거부감이 없다는 것에서 나타났다. 연하남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대다수였는데 이는 남녀관계의 젠더 역학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젠더 역학의 변화는 미혼 여성의 결혼과 직업관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에서도 알 수가 있는데 이들은 결혼보다도 직업적 성취를 우선적 과제로 놓고 있었다. 미혼 여성들은 경제적 자립을 평등한 남녀관계의 전제로 생각하고 있었다.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수용자의 해독과 일상적 경험을 통해 우리 문화 속의 젠더의식과 성의식이 변화하고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newly emerging structure of feeling of our society by looking for audience readings of the television drama <My lovely Samsoon>and their everyday practice. Twenty-three single females were chosen for deep-focus interviews. The researcher intended not only to secure the audiences` readings of drama text but also to get some pictures of how they related textual reading to their everyday experience. The interviewees took various interpretive positions to the protagonist of the drama according to their lived experience. Those interpretive positions were classified as identifying, critical, feminist, and analytic. The interviewees` interpretations and experiences of the issues shown in the drama, such as contracted romance, premarital sex, relationship with younger male partner, and marriage and career reflected that there were some changes in gender dynamics and sexual mores in our society.

      • KCI등재

        Why? Why Not? 조직 내 멘토 성(性)선택의 젠더역학

        원숙연(Won, Sook-Yeon) 한국여성연구소 2012 페미니즘 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조직에서 멘토링 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멘토와 멘티의 성별조합을 둘러싼 역학에 관심을 갖는다. 특히 멘토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멘토의 성(sex)에 대한 특별한 선호(選好:why) 또는 비호(非好: why not)가 존재하는지, 만일 그렇다면 멘토의 성에 대한 선호 또는 비호는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며, 그러한 선택의 역학에 작용하는 맥락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물음에 답을 찾는다. 멘토링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멘티는 멘토의 성(sex)을 고려할까? 남성멘토 또는 여성멘토에 대한 특별한 선호 또는 비호가 있는가? 그러한 선택의 과정에 작용하는 요소는 무엇이며 그것이 여성성과 남성성에 대한 젠더화된 고정관념이나 사회구조적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남녀공무원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의 개방형(open ended)질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녀 모두 동성(同性)멘토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공통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실제로 여성은 남성멘토에 대한 선호가 상당히 높은데 반해, 남성은 여성멘토에 대한 선호가 거의 없어, 양자 간의 현격한 차이가 나타난다. 또한, 여성이 갖는 여성멘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적지 않고 이는 남성멘토에 대한 선호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경우, 여성멘토에게는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경력개발은 남성멘토에게 기대하는 ‘멘토역할의 분리’가 나타나는데 반해, 남성은 남성멘토에게 경력개발과 심리적 지원 모두를 기대하는 ‘멘토역할 통합’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갖는 의미와 관련 맥락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gendered dynamics surrounding mentoing relationship, paying a special attention to subordinates’ preference for their mentors’ sex. In particular, the reasons why or why not choosing specific sex of mentors are addressed and their implications for gender structure and practices are discussed in depth. In doing so, this study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ether subordinates as potential mentees consider their mentors’ sex in building a mentoring relationship? Are there any specific preference for mentors’ sex and differences in substantiates’ sex in their preference for mentors’ sex? If so, what are the underlying structure and practices make the sex preferences and their differences by subordinates sex? To what extent are they associated with gender stereotypes and social structure as the macro context? In order to do so, data are collected by survey with public servants in the Korean government. The participants are asked to answer to open ended questions regarding their specific preference or reasons for choosing mentors’ sex. Data collected are analyzed by applying ground theory as the main methodology. Findings are the follow. First of all, same sex preference in building a mentoring is common, regardless of subordinates’ sex However, the extent of the preference is much stronger for male than female subordinates, Interestingly enough, female have relatively strong preference for male mentors, while male with preference for female mentors is much lesser. The gap in different sex preference is salient between male and female subordinates, confirming instrumental effectiveness of male mentors in public organizations. Also, it is hardly denied that there is strong influence of gender stereotypes and negative perception of female mentors in terms of their career development supports. In a similar vein, the is a gendered dichotomy of mentoring function between male mentors and their female counterparts. In concrete, female mentors are mainly expected providing emotional or psychological supports, whereas male mentors are expected providing career development as well as emotional or psychological supports. Their gendered implications for gender relations and equality in organizations are discussed in depth.

      • 탈식민 페미니즘과 외국문학 연구

        태혜숙(Heasook Tae)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2 人文 科學 Vol.24 No.-

        이 논문의 목적은 인문학의 주요 영역으로서 외국문학 연구와 관련하여 탈식민 페미니즘이 갖는 이론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그 작업을 위해 먼저 탈식민주의에 페미니즘의 문제의식이 결합되어온 과정을 살펴본다. 그 결합의 결과로 형성된 탈식민 페미니즘의 핵심은 상호교차하는 ‘인종-젠더-계급’의 역학과 서발턴(subaltern) 관점이라고 제시된다. 그러한 탈식민 페미니즘은 외국문학 연구를 어떻게 쇄신할 수 있을지 『제인 에어』다시 읽기의 예를 통하여 그 윤곽을 그려본다. 그 예를 기반으로 탈식민 페미니즘은 서발턴 인문학 연구에 필요한 인식론적 패러다임의 원천이라고 주장된다. This paper tries to illuminate the theoretical meanings of postcolonial femininism in relation with Foreign Literary Studies as a crucial area of Humanities. To do that, first, the developing process of Postcolonialim is summarized through the discussions of Frantz Fanon, Edward Said, and Homi Bhaba. Their ommission of gender and sometimes class being problematized, the desirable process of combining postcolonialism with feminism is examined through the theories of Gayatri Spivak developed in her In Other Worlds (1987). Thus, the heart of her postcolonial feminism is outlined as the dynamics of ‘race-gender-class’ and subaltern perspective. As a result of rereading Jane Eyre by operating the dynamics from the subaltern perspective of the colonial such as Jamaica, Madeira, and India represented in the novel, it is clarified that not only is the problematic of gender closely interconnected with those of class and race but also the colonial subaltern invisible are hovering over the empire. Furthermore, this result will open the possibility of making visible the new decolonial agencies from the subaltern colonial cultures denigrated for so long time. This refreshing Foreign Literary Studies through Race-Gender-Class Dynamic and Subaltern Perspective will also promote a kind of Subaltern Humanities.

      • KCI등재

        『버마 시절』과 아시아 여성의 재현

        태혜숙(Tae, Heasook)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4 젠더와 문화 Vol.7 No.2

        이 논문에서는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버마의 북부 하위지역 카우크타다를 다룬 『버마 시절』(1934)을 ‘인종과 젠더의 역학’에 따라 읽어본다. 그러한 읽기는 오웰의 반제국주의 입장에 내재된 남성중심성을 드러내는 가운데 ‘아시아 여성의 재현’이라는 문제틀을 부각한다. 이 문제틀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먼저 소설에 그려져 있는 버마의 자연과 문화를 살펴본다. 그 결과, 버마적인 것은 ‘야만적’인 것이자 위로를 주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주요 영국 및 버마 남녀 인물들을 그들의 인식 및 행위능력에 제국주의 이념과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상호 침투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특히 인종적으로 또 성적으로 약자인 버마 토착 여성들이 가장 부정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이 밝혀진다. 소설에서의 이러한 부정성과 한계를 넘어 민족주의 의식을 갖고 행동하는 버마 여성을 재현하고 있는 영화 <더 레이디>(2012)를 『버마 시절』과 함께 상호보충적으로 읽어보는 것은 ‘아시아 여성의 재현’이라는 문제틀의 이론적 유효성을 입증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d George Orwell’s first novel Burmese Days(1934) describing the colonial northern Burmese subregion life of Kyauktada through the dynamics of race and gender. These dynamics can reveal the men-centeredness of Orwell latent in his anti-imperialism and prompt us to propose ‘the representation of Asian women’ as a significant problematic. To operate that problematics, first, the nature and culture of Kyauktada are illuminated as both savage and comforting. Next, the interpenetrating aspects of imperial and patriarchal ideologies in the main British and Burmese characters" knowledge and agencies are critically examined. Because most Burmese women are located in racially and sexually minor positions, they tend to be represented in a doubly negative manner. Thus, the supplementary reading of Burmese Days with <The Lady> released in 2012 proves the theoretical effectivity of the problematics of ‘the representation of Asian women’ since the movie shows us a remarkable Burmese woman who has acted according to her faith and courage for Burmese nationalism and democracy together with other Burmese women, university students, monks, citizens, and private soldiers.

      • KCI등재

        백신애 문학과 이동, 재현, 젠더의 정치

        김미지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 어문론총 Vol.85 No.-

        It is often said that “the life of a wanderer” and “the heterogeneity of literary works” are two features of female writer Baek, Shin-Ae(1908~1939).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her life and literature and examin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m. Baek, Shin-Ae started her career as a writer with the short story titled “My Mother”(1929), which showed that it was impossible for her to move and write like male writers at that time. It is meaningful that the novel appeared after the author's well-known trip to Siberia (Russia). After a five-year gap, she restarted her life as a writer by publishing “Kkeoraei”(Korean-Russian)(1934) and published “A record of my travel to Siberia” before her death in 1939, which revealed that her travel could never be considered wandering or a free movement but was always an escape or smuggling. Self-consciousness of this impossibility of wandering drove her to write fiction and to overcome it through imagination. Her literary works overall showed ironic situations and characters, and the meaning of irony is creating contact zone in all of her texts. 작가 백신애의 삶과 문학은 흔히 ‘방랑자의 삶’과 ‘이질성의 문학’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글은 백신애 삶과 문학을 별개의 두 영역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이해하려는 목적으로 그녀의 방랑의 꿈과 문학하기(글쓰기)가 어떻게 내적 연관성을 갖는지 살핀 것이다. 백신애는 시베리아 방랑을 끝내고 「나의 어머니」로 데뷔한 뒤 5년의 공백 후에 「꺼래이」로 작가 생활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작고 직전에 시베리아 방랑을 회고한 「나의 시베리아 방랑기」를 발표한다. 「나의 어머니」는 여성의 이동과 글쓰기의 욕망이 ‘구보씨’로 대변되는 남성 지식인의 그것과 달리 젠더 질서 속에서 좌절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일찍이 시베리아로의 탈출의 경험을 통해 여성의 이동이 남성과 달리 자유로운 방랑일 수 없음을 깨달은 작가는 ‘문학하기’를 통해 불가능한 이동을 상상적으로 넘어서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탈주나 일탈에의 욕망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낯선 것들 사이의 만남과 연대의 장을 문학 속에서 마련하는 것이었다. 극빈의 삶을 그린 소설들뿐만 아니라 자전적 소설들 그리고 심지어 「광인수기」에 이르기까지 이 문학적 태도는 견지된다. 곧 백신애의 문학은 자기 자신 스스로 ‘접경지대’가 되는 것이었다.

      • KCI등재

        기생(寄生)과 공생(共生) 사이 : 구인회 도시소설과 겹쳐 읽은 김유정 소설

        김미지(Kim, Mi-Ji)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서른 편 남짓한 김유정의 소설들은 주로 농촌 배경 소설과 도시 배경 소설 양자로 구분되어 논의되곤 한다. 그러나 소설의 무대가 어디인가의 문제가 아닌 1930년대 자본주의적 삶의 구조에 대한 문제의식이라는 점에서 접근하면 김유정 소설세계는 통합적이고 연속적으로 읽힐 수 있다. 특히 김유정이 1930년대 문학 동인 ‘구인회’의 일원이었던 만큼 그의 소설들을 박태원 등이 쓴 도시소설과 함께 읽을 때 그들이 공유했던 시대감각과 문제의식을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김유정 소설의 핵심 소재인 들병이를 비롯한 농촌 유랑민이 도시로 유입되어 빈민층을 형성하게 되는 맥락에 주목했다. 즉 김유정 소설의 농촌 유랑민들을 박태원의 『천변풍경』 등에 등장하는 시골 출신 행랑어멈, 안잠자기, 깍정이(거지)의 전사(前史)로서 재조명한 것이다. 한편 김유정 소설에서 성을 파는 여성과 그녀에게 기생하는 남편이라는 들병이식의 생계 형태는 도시를 무대로 한 박태원과 이상의 작품들을 통해 유사하게 재연된다. 이 소설들은 경제주권을 가진 카페 여급과 그들에게 생계를 의탁하고 있는 인물들의 구도를 통해 농촌에서와는 달라진 여성노동의 위상, 도시에서 젠더 역학이 작동하는 방식을 드러낸다. 농촌에서 들병이에게 기생하는 그녀의 남편이 여성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며 폭력적이면서도 당당하게 기생(寄生)하는 양상과 달리, 도시의 룸펜들은 자신들의 무능을 수긍하고 그녀들에게 기생하는 대신 그녀들에 대한 소유권이나 목소리를 내세우지 않는 전략을 취한다. 이는 도시의 영원한 타자들이 상호 공존과 공생(共生)을 꿈꾸는 30년대적 방식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Kim Yu-jeong s literary works are mainly divided into rural and urban background novels. However, Kim Yu-jeong s novels can be read in an integrated and continuous manner, given that it is not a matter of where the background of novel is, but a question of the capitalist life structure of the 1930s. Most of all, Kim Yu-jeong was a member of the literary club “Guin-hoe” in the 1930s, therefore if we read his novels parallel with urban novels written by members of “Guin-hoe”, we can find the common sense of their times and perception they shared. To this end, this article noted the context in which rural wandering people, including Deulbyeong(a wandering woman selling sex), a key material of Kim Yu-jeong s novel, enter the city and become urban poor such as female servants and beggars, who appear in Park Tae-won s Scenes from Cheonggye stream. Meanwhile, the life of Deulbyeong and her husband (parasitic on her) similarly appear in Park Tae-won and Yi Sang s works. Their novels reveal how the status of women s labor changes, and how gender dynamics work in the city through the features and voices of cafe waitress with economic sovereignty and those who depend on them to make a living. Unlike Deulbyeong s parasitic husband, the unemployed (urban lumpen) admits his incompetence and take a strategy of not presenting ownership of them. This is one of the 1930s ways in which the eternal others of capitalist city imagine the dream of mutual coexistence.

      • KCI등재
      • KCI등재

        유교적 젠더 정체성의 다층적 구조

        박미해 ( Mee Hae Park ) 한국사회사학회 2008 사회와 역사 Vol.0 No.79

        조선중기 남성과 여성의 이상형, 종교적 역할, 사회적 실현 그리고 성에 대한인식을 통하여 젠더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한 이 논문이 시사하는 바는 남성성과여성성은 사회적 상황과 추구하는 이데올로기에 따라 변화되어 구성되어진 것이라는 점이다. 남성적이라고 여겨졌던 활동성과 적극성이 조선중기 여성에게 존재하였고, 여성적이라 여겨졌던 감성적인 면이 남성에게도 존재하였다. 조선중기 여성에게는 현명함이 강조된 자율성이 이상적이라고 생각되었으며 정신적 지주로 집안을 위한 적극적인 활동도 부분적으로나마 용인되었다. 여성은 때로 주체적 욕망을 드러내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의 양반부인에게는 성적 자유가 허용되지 않았다. 억압된 성은 부덕을 갖춘 유교적 여성상을 향한 또 다른 욕구로 대체되면서 양반여성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남성에게는 가문의 계승자로서의 성적 자유가 부여되었다. The dynamics of women’s desire and their subjectiviey in 16th century Korea were observed by the diary of Yangban family. It demonstrates that the Confucian ideology is not totally penetrated into yangban family, though, women’s sexual desire was suppressed. Their aspiration of self-realization was indirectly attained by their husband’s or son’s occupational attainment. In the process of pursuing Confucian figure of womenhood, women aimed to reach to be an ideal women. In the preparation of Confucian rite, the role of women was great for making clothing and cooking, though the women’s contribution was not revealed in the public area. Their domination is limited within the private hidden area, therefore, their subectivity was only possible in the absence of patriarchal power. This shows the limitation of women’s power and dominance in the mid-Choson which will be replaced by the strong paternal kinship system in late-Chos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