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척호의 식생

        김인택,정선우,박정원 한국습지학회 2005 한국습지학회지 Vol.7 No.1

        본 조사는 2004년 4월 1일부터 2005년 2월 28일까지 10개월간 장척늪(경남 창녕군 대합면)에 대하여 서식환경, 대형수생식물분야를 기초조사한 것이다. 장척호의 관속식물상은 14과 17속 18종으로 조사되었고 이중 습생식물이 2과 2속 2종, 정수 성수생식물이 3과 5속 6종, 침수성수생식물이 1과 1속 1종, 부엽성수생식물이 5과 5속 5종, 부유성수생식물이 2과 3속 3종으로 나타났다. 생활형 내에서의 우점도는 연꽃과 마름, 갈대, 나도겨풀이 가장 높아 그 우점도는 5 정도이고, 붕어마름과 자라풀도 높게 나타났지만 저수지 일부분에 국한되어 분포하므로 그 우점도는 1 정도이다. 장척호의 식생은 5개 군락으로 조사되었고 수면부에는 거의 전 수면에 마름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변부를 따라서 자라풀이 흔히 혼생한다. 서쪽 수변부에는 갈풀군락이 형성되어 있고 남쪽 댐주변과 북쪽 마을주변에는 연꽃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동쪽 영산휴게소 인근 만곡지점에 는 갈대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변을 따라 물억새군락이 대상으로 산재분포한다. 나도겨풀군락(Leersia japonica Community)의 우점종인 나도겨풀의 건중량은 85.91g/㎡이고, 밀도는 1,730.40개/㎡이다. 마름군락(Trapa japonica Community)의 우점종인 마름의 건중량은 36.25g/㎡이고, 밀도는 15.20개/㎡ 이다. 연꽃군락(Nelumbo nucifera Community)의 우점종인 연꽃의 건중량은 30.59g/㎡이고, 밀도는 11.20개/㎡이다. 물억새군락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의 물억새는 건중량이 180.50g/㎡이고, 밀도는 124.80개/㎡로 나타났다.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의 우점종인 갈대의 건중량은 159.50g/㎡이고, 밀도는 60.00개/㎡이다. The flora and vegetation of Jang-cheok wetland (Gyeong-nam) was investigated from April 1. 2004 to Feburary 28. 2005. The vegetation plants collected from this area were 18 taxa : 18 species 17 genera 14 families. Hygrophtes were 2 species 2 genera 2 families. Emergent plants were 6 species 5 genera 6 families. Submersed plants were 1 species 1 genera 1 families. Floating-leaved plants were 5 species 5 genera 5 families. Free-floating plants were 2 species 3 genera 2 families. Dominance of life form was investigated Trapa japonica, Phragmites commnis, Leersia japonica by 5 dominance values and Hydrocharis dubia, Ceratophyllum dmersum were 1 dominance values. The community was investigated 5 communities : Leersia japonica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Nelumbo nucifera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Dominance species(Leersia japonica) of Leersia japonica community was investigated 1,89g/㎡(Dry weight) and 1,730ind./㎡(Density). Doninance species(Trapa japonica) of Trapa japonica community was investigated 36,25g/㎡(Dry weight) and 15.20ind./㎡(Density). Dominance species(Nelumbo nucifera) of Nelumbo nucifera community was investigated 30.59g/㎡(Dry weight) and 11.20ind./㎡(Density). Dominance species(Miscanthus sacchariflorus)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was investigated 180.50g/㎡(Dry weight) and 124.80ind./㎡(Density). Dominance species(Phragmites communis) of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was investigated 159.50g/㎡(Dry weight) and 60.00ind./ ㎡(Density). The predominant species of this area was investigated Trapa. Japonica and the other communities was only small area in the waterside area.

      • SCOPUSKCI등재

        정수식물의 내염성 및 NH$_4$^+$-N 흡수제거능 평가

        이충일,곽영세 한국생태학회 2000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3 No.1

        부들, 갈대, 줄, 물고랭이 등의 정수식물을 이용하여 5개월 동안 용기재배로 산업폐수 정화용 정수식물을 선발하였다. 전기전도도가 3.0 dS/m이고, NH₄/sup +/-N 농도가 130 ppm인 산업폐수를 관수하였을때 증발산량(ETc)이 감소하지 않는 정수식물은 부들과 줄로서 내염성이 강하였고, 갈대는 폐수처리에 의하여 배양액재배시 보다 증발산량이 30% 감소하였으나 증발산량의 절대치가 가장 높아 수분요구량이 매우 높은 식물로 판명되었다. 부들과 줄의 건물생산량은 증발산량의 경우에서와 같이 배양액 관수구보다 오히려 산업폐수 관수구에서 높았고, 갈대는 폐수처리에 의하여 건물생산량이 14%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4종식물중에 건물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물고랭이는 산업폐수를 관수하였을 때 건물생산량이 71.3% 감소하여 내염성과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에 대한 내성이 극히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줄과 갈대는 산업폐수 관수시에 총건물중과 조직내 질소 축적물이 부들이나 물고랭이 보다 훨씬 높아 단위면적당 질소 흡수제거량이 큰 정수식물로 판명되었다. Tolerances of aquatic plants (emergent plants) of cattail (Typha orientalis), water oats (Zizania latifolia), reed (Phragmites communis), and bulrush (Scirpus nipponicus) to salts and high NH₄/sup +/-N cone. of industrial wastewater were evaluated. Evapotranspiration of cattail and water oats plants was not affected when the wastewater containing 130 ppm NH₄/sup +/-N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of 3.0 dS/m was supplied for 5 months. Shoot and root dry wt. of cattail and water oats were rather increased by irrigation of the wastewater while the biomass production of bulrush was greatly reduced. Storage nitrogen concentration in tissues of water oats and reed plants were higher than those in cattail and bulrush. Thus, water oats and reed plants were found to be the better aquatic plants to use i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industrial wastewater of high salt and NH₄/sup +/-N.

      • KCI등재

        광주천 고수부지에 조성한 자유수면인공습지의 인 제거

        양홍모,Yang, Hong-Mo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1

        하천수를 정화하는 자유수면인공습지의 정수식물 성장기(4~9월)와 비성장기(1~3월과 10~12월)의 $PO_4-P$와 TP제거율을 비교 연구하였다. 실험 습지 시스템은 광주광역시를 흐르는 광주천 중류 고수부지에 2008년 조성되었으며, 길이 46m, 폭 5m 규모이다. 2008년 포트에서 2년 자란 부들(Typha angustifloria L.)과 줄(Zizania latifolia Turcz)을 시스템의 1/2씩 각각 식재하였다. 광주천의 물이 자연유하로 시스템에 유입되며, 처리수는 광주천으로 방류된다. 유입수의 양과 수심은 밸브와 위어(weir)로 조절할 수 있다. 유입수 및 유출수의 인 농도를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7~10일 간격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하루에 약 $710m^3$의 하천수가 시스템으로 유입되어, 체류시간은 약 1.5hr이었다. 조사기간 유입수와 유출수의 $PO_4-P$ 평균농도는 각각 0.144, 0.105mg/L이었으며, $PO_4-P$ 평균제거율은 28.1%였다. 유입수와 유출수의 TP평균농도는 각각 0.144, 0.105mg/L이었으며, TP 평균제거율은 20.7%를 보였다. t 검정결과, 정수식물 성장기의 $PO_4-P$ 제거율(31.448)이 비성장기 $PO_4-P$ 제거율(25.829)보다 높았으며(p<0.001), 정수식물 성장기의 TP 제거율(27.230)도 비성장기의 TP 제거율(14.856)보다 높게(p<0.001) 나타났다. 인공습지에서 인 제거는 잔재물-토양 층의 흡착, 입자성 인과 Ca, Fe, Al과 결합된 인산염의 침전, 그리고 정수식물의 흡수가 중요하다. 정수식물 성장기가 비성장기보다 $PO_4-P$와 TP의 제거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원인은 흡착과 침전에 의한 인 제거는 계절에 관계없이 일어나나, 정수식물의 흡수는 성수식물 성장기에만 일어나기 때문이다. Removal rates of $PO_4-P$ and TP in a free water surface wetland system were investigated. The system was established in 2008 on a floodplain in the middle reach of the Gwangju Stream flowing through Gwangju City. Its dimensions were 46 meters in length and 5 meters in width. Two year old Typha angustifloria L. growing in pots were planted on half of the area and Zizania latifolia Turcz on the other half in 2008. Stream water was funneled into the wetlands by gravity flow, and its effluent was discharged back into the stream. The influent volume was controlled by valves and water depth was adjusted by wires. Volume and water quality of inflow and outflow were analyzed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10. Inflow into the system averaged approximately $710m^3/day$ and hydraulic residence time was about 1.5 hours. Average influent and effluent $PO_4-P$ concentration were 0.144 and 0.103mg/L, respectively, and $PO_4-P$ abatement amounted to 28.6%. Influent and effluent TP concentration averaged 0.333 and 0.262mg/L, respectively, and TP retention reached to 20.7%.$PO_4-P$ removal rate(%) during plant growing season(31.448) was significantly high(p<0.001) when compared with that during plant non-growing season(25.829). TP abatement rate(%) during plant growing season(27.230) was also significantly high(p<0.001)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non-growing season(14.856). Major phosphorous removals in the system resulted from adsorption of phosphorous in the litter-soil layers; sedimentation of particulate phosphorous and Ca, Al, Fe bounded phosphates; and absorption of phosphorous by emergent plants. The adsorption and sedimentation occurred throughout the year, however, the absorption took place during plant growing season. This resulted in higher removals of $PO_4-P$ and TP during plant growing season.

      • KCI등재

        자생 수생식물 노랑꽃창포와 창포의 카드뮴 축적 및 내성

        이성춘(Sung Chun Lee),김완순(Wan Soon Kim) 한국원예학회 2011 원예과학기술지 Vol.29 No.5

        국내 자생 수생식물인 노랑꽃창포와 창포를 수질 내 카드뮴(Cd) 제거용 식물재료로 이용하고자 Cd 축적과 내성을 조사하였다. Cd 농도에 따른 치사율을 근거로 Cd에 대한 반수치사량(LD50)을 계산한 결과 노랑꽃창포는 78.5μM 창포는 47.6μM로 나타났다. Cd 스트레스에 대해 노랑꽃창포에서는 POD와 SOD 창포에서는 CAT와 SOD 폴리페놀이 활성화되었다. 노랑꽃창포에서는 폴리페놀이 측정되지 않았다. 노랑꽃창포와 창포 모두 Cd 처리 농도가 증가하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식물체 내 Cd 축적량이 증가하였고 두 종 모두 지상부보다는 지하부 축적량이 현저하게 많았다. 지상부에 축적된 Cd 함량은 노랑꽃창포 548.1mg·kg-1(지하부 축적 대비 82.1%) 창포 121.4mg·kg-1(지하부 축적 대비 13.7%)로 두 종 모두 Cd 고축적식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노랑꽃창포가 Cd 축적능력과 내성이 우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admium (Cd) accumulation and tolerance of Iris pseudacorus and Acorus calamus as aquatic plants native to Korea for Cd removal in water. In the range of Cd concentration from 10 μM to 130 μM the Cd lethal dose 50 (LD50) was 78.5 μM in I. pseudacorus and 47.6 μM in A. calamus. In I. pseudacorus superoxide dismutase and peroxidase as antioxidants were relatively effective against oxidative stress caused by Cd while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polyphenolics were effective in A. calamus. The polyphenolics known as typical antioxidants were not detected in I. pseudacorus. In both species the Cd accumulation in plants increased with the higher Cd concentration and the longer processing period. Also the absorbed Cd was accumulated mainly in the roots. The amount of Cd accumulated in the shoot part was maximally 548.1 mg·kg-1 (82.1% to Cd accumulated in the root part) in I. pseudacorus and 121.4 mg·kg-1 (13.7%) in A. calamus which implied that both species all were enough evaluated as Cd hyper-accumulators based on 0.01% or more Cd accumulation in the shoot. Especially I. pseudacorus showed outstanding ability to move well Cd into the shoots from the roots and high tolerance to Cd stress.

      • KCI등재

        Growth and Phys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ven Garden Perennials to Flooding

        Seung Won Han,Jae Soon Kim,Myung Il Jeong 한국화훼학회 2020 화훼연구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빗물정원과 같은 소규모 저류지공원 적합한 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수변 또는 척박지 녹화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초화류 7종을 대상으로 일정 수위를 항시 유지하는 저면 침수와 식물 기부가 물에 잠긴 상태로 3일간 간 침수처리를 반복하는 완전 침수 두 가지 수분 상황에서 식물의 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습지식물인 갈대는 침수처리에 의한 생장과 생리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억새와 리아트리스는 침수처리에 의해 광합성량은 저면관수 시 21.4%, 침수처리 시 60.4%로 낮아졌으나 수분이용효율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침수 내성종임을 알 수 있었다. 벌개미취와 해국은 침수처리에 의해 생장이 저조했고 광합성량은 82.7% 이상 감소하고 수분이용효율도 29.2% 증가하여 수분스트레스 상태였으나 이후 정상적인 관수에 의해 광합성량과 수분이용 효율이 회복되어 빗물정원 식물로 적합한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무늬쑥부 쟁이는 저면침수에서는 광합성효율은 낮아졌으나 수분이용효율은 차이가 없어 습지에 적합하나, 완전침수에서는 수분스트레스가 79.8%로 매우 높았고 침수 후 회복율도 낮아 완전침수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aim of selecting plants suitable rain gardens and smal reservoir parks where dry and wet spaces are repeatedly, this study examined growth characteristics of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Liatris spicata, Aster koraiensis, Aster spathulifolius, Aster ageratoides ‘Variegata’, and Carex maculate. This flooding experiment were examined under 2 moisture conditions: base flooding with a 30% water level maintained and over flooding where plants were repeatedly submerged for 3 days and non replenishment for 4days under water. M. sinensis and L. spicata showed a decrease in the amount of photosynthesis by 21.4% when being base flood and by 60.4% when being over flood, but i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water use efficiency, indicating that is a water stress tolerant species. A. spathulifolius and A. koraiensis showed poor growth when being submerged. During the period, the amount of photosynthesis decreased by over 82.7% and moisture use efficiency increased by 29.2%. They were under water stress but the amount of photosynthesis and water use efficiency were recovered later by normal watering, indicating that they are suitable for rain gardens. A. ageratoides showed a decrease in the amount of photosynthesis when being base flooded bu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moisture use efficiency. Their water stress when being over flooded was 79.8% very high and their recovery rate after being flooded was also low, which indicates that they are not suitable for over flood spaces.

      • KCI등재

        주남습지에 서식하는 잠자리와 주변환경과의 관계

        김지석,이수동,김동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1

        주남습지에 서식하는 잠자리와 서식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5년 5월과 7월에 20개 조사구를 대상으로잠자리 종과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정수식물 면적, 부유・부엽식물 면적, 수면 면적, 수생식물면적, 교목 피도, 주변 토지이용유형, 향을 조사하여 잠자리 종과 개체수, 다양성지수 등과의 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주남습지에서 확인된 잠자리는 총 6과 21종 757개체였다. 부유・부엽식물 면적과 수면면적은 잠자리군집 다양성에 영향을주었으며 특히 부유・부엽식물 면적은 종수, 수면면적은 우점도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면면적은 종다양성지수, 균재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변 토지이용유형 중 밭이나 과수원은 습지지역보다 평균 종수가 낮았으며, 향이나교목의 피도는 잠자리 군집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종별로 보면, 등검은실잠자리와 고추잠자리 등은 부유・부엽식물과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왕실잠자리와 산잠자리는 수면면적과 양의 상관관계였고, 아시아실잠자리와 연분홍실잠자리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최근 주남습지는 연군락이 증가하여 식물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잠자리 종 구성에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surveyed the species and population of dragonflies in 20 study sites in the Junam wetland in May and July 2015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agonflies and the inhabited environment. We measure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area of emergent plants, the area of floating and floating-leaved plants, the area of water surface, the area of water plants, and the nearby land-use type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to the dragonfly species, population, and diversity index. We found 757 dragonflies belonging to 21 species of 6 families. The area of floating and floating-leaved plants and the area of water surface affected the species diversity. The area of floating and floating-leaved plants and the area of surface water, in particular,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pecies richness and the dominance value, respectively. The area of water surface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s with Shannon’s diversity index and evenness. Among the type of surrounding land-uses, the dry fields and orchards showed significantly lower average species richness than wetlands. Among the species, Cercion calamorum and Crocothemis servilia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loating and floating-leaved plants. Cercion v-nigrum and Epophthalmia elega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rea of water surface, and Ischnura asiatica and Ceriagrion nipponicum were negatively correlated. The recent uncontrolled proliferation of lotus colony in the Junam wetland is likely to affect greatly the species composition of dragonflies which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lant species.

      • KCI등재

        옥수수에 대한 정수 슬러지(Alum sludge)의 시용효과와 AluminumOI 옥수수의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장기운(Ki Woon Chang),구자공(Ja Kong Koo),임재신(Jae Shin Lim),김영한(Young Han Kim) 유기성자원학회 1995 유기물자원화 Vol.3 No.1

        Effect of water treatment sludge(alum sludge)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Korea local corn(Zeas Mays L.) was evaluated and phytotoxicity of alum sludge on the growth of corn roots and plant height was tested. Alum sludge itself and composted alum sludge compost were applicated by 1500kg/ha in the plot respectìvely. For the fertìlity test , yield, chlorophyll content ‘ plant height of corn treated by alum sludge and composted alum sludge were better than that of control. No clear toxìxity of alum sludge was found. At the food chemical analyses of seed corn , no obvious component variation were evaluated either. Test of pH effect on phytotoxicity of alum sludge on corns showed that plant height and root growth of corns were inhibited at low pH 4 solution. Phytotoxìcity test of alum sludge extract which was extracted at various pH solutions, showed that growth and cations uptake inhibition were found the more serious the lower the pH. Plant height and root growth injury were serious at higher than lOOppm. A1 content solution. 본 실험은 옥수수에 대한 정수장 슬러지 (Alum 슬러지)의 시용효과와 다양한 pH별로 용출된 alum슬러지 추출물이 옥수수의 유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Alum슬러지와 부숙된 Alum슬러지 퇴비를 각각 1500kg/ha를 시용하여 옥수수를 재배한 결과 수량,엽록소함량초장 동의 평가에서 대조구에 비해서 비효가 인정되었으며,뚜렷한 비해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처리구별 옥수수의 종실에 대한 식품화학적 분석에서도 뚜렷한 성분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pH 에 대 한 옥수수 유식물의 생육은 pH4 미만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저해가 나타났으며 무기이온의 흡수는 pH4 이하에서 크게 장해를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alum슬러지의 추출물에서는 pH가 낮아지면서 지속적인 생육저해와 양이온 흡수저해가 나타났다. 또한 Aluminum함량이 100ppm 이하에서 극심한 생육저해가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우포늪 연안대에서 매자기의 화력학과 개체군 변화

        서혜란,박상용,오경환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3

        수생 정수식물인 매자기(Scirpus fluviatilis (Torr.) A. Gray)의 화력학과 개체군 변화를 규명하여 연안대 식생의 복원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서 2006년 3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매자기의 계절에 따른 생장 특성 및 부위별 생물량을 조사하고 화분 재배 실험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매자기는 우 포늪의 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 토평천 상하류 등에 고루 분포하는데, 특히 목포의 밀도가 높았다. 매자기의 생육이 왕성한 시기 중 5월 28일 조사에서 매자기의 분포 수심은 9~49㎝ 범위였는데, shoot 밀도는 수심 26~49㎝에서 높았고, ㎡당 shoot 밀도는 평균 119이며, 초장은 평균 122.3㎝이었다. 지하부의 괴경 밀도는 104.5개/0.25m2으로 생존 괴경은 84.2%이고 사망 괴경은 15.8%였다. 생존 괴경의 평균 생중량은 3.0g인데, 1~4g의 괴경이 57.9%로 가장 많았다. 생존 괴경 중 이미 발아한 괴경은 43.8%였으며, 새싹이 1개(29.0%)인 것이 가장 많았고, 7~9g 및 10g 이상의 괴경에서 발아율이 높았다. 재배 실험에서는 8월초에 shoot 밀도가 발아괴경과 휴면 괴경에서 각각 13.5 및 8.7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현지 조사에서는 매자기의 shoot 밀도가 태풍 피해 이전에는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태풍 '에위니아(Ewiniar)'로 인한 침수 후 모두 고사하였고 11월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초장은 재배 실험에서 100∼116㎝ 및 현지 조사에서 60∼170㎝까지 생장하였다. 생육기 말에 화분에서 재배한 매자기의 생물량 분배 비율은 발아 괴경을 식재한 화분에서 줄기 8.9%, 잎 6.6%, 화서 0%, 지하부 84.5% 등이고, 휴면 괴경을 식재한 화분에서는 줄기 7.1%, 잎 7.1%, 화서 0%, 지하부 85.8% 등으로서 모두 지하부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생육기 말에 화분 속의 괴경 수가 1.4∼4.1배 증가한 것으로 보아 매자기는 영양생식으로 주로 번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카드뮴에 의한 수생식물 창포의 생리적·구조적 장해

        이성춘,김완순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4

        국내 자생 수생식물인 창포의 중금속 카드뮴(Cd)에 대한 생리적·구조적 장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Cd 농도에 따른 생장률, 광합성, 뿌리활력의 생리적 반응과 잎과 뿌리 조직의 해부학적 상해 반응을 조사하였다. 잎이 5매 전개된 식물체를 대상으로 Cd 농도를 반치사농도 범위 이하 조건에서 0(control), 10, 25, 50μM로 15일간 처리하였다. Cd에 대한 생리적 장해는 10-25μM, 구조적 상해는 25-50 μM 범위에서 나타났다. 생리적 장해의 경우 지상부(광합성)는 10μM, 지하부(뿌리활력)는 25μM에서 발생하였다. 구조적 상해의 경우 지상부(엽육조직)와 지하부(뿌리조직) 모두 25μM에서 시작되었으나, Cd 농도가 증가할수록 엽육조직보다는 뿌리조직의 상해 정도가 현저하였다. Cd에 대한 창포의 생리적, 구조적 장해 반응을 고려할 때, Cd 오염지역에서 창포의 경관적 가치와 지속적인 생장을 유지할 수 있는 Cd 한계농도는 10μM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nd structural damages to cadmium (Cd) in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as a native aquatic species in Korea. In addition to the physiological responses such as plant growth, photosynthesis, and root activity, the structural damages in leaf and root tissues were observed through light and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y. The five-leaf plant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d concentrations 0, 10, 25, and 50 μM for 15 days. The plant damages to Cd were significant at 10-25 μM Cd physiologically and at 25-50 μM Cd structurally. The physiological damages in the shoot part (photosynthesis) started at 10 μM Cd whereas those in root part (root activity) were serious above 25 μM Cd.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al damages began at 25 μM Cd in the leaf and root tissues similarly, but the plant tissue destruction was more serious in the roots than in leaves. Based on the plant physiological and structural damages, 10 μM was assumed to be the limited concentration for sustainable growth and landscaping ability in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to Cd.

      • SCOPUSKCI등재

        시화지구 인공습지에서 갈대에 의한 질소 및 인 흡수

        노희명,최우정,이은주,윤석인,최영대 한국생태학회 200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5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easonal pattern of N and P uptake by reeds (Phragmites australis) planted in newly constructed Shihwa tidal freshwater marshes. Reed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wetland periodically from June 2000 to May 2002. Reed samples were analyzed for dry weight and content of N and P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salinity were also determined. Dry matter content of reed increased during the growing season but decreased in the fall and winter. However, this seasonal pattern was not so evident in the second year. In particular, throughout the measurement period, dry matter content of reed was lowest at a site showing high soil salinity. Regression analyses between dry matter content of reed and soil EC(1:5) suggested that dry matter content per unit square meter would decrease by 1.5 kg with every 1 dS m/sup -1/ increase in soil EC(1:5). The amount of N and P assimilated by reed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the fall and was lowest in the spring. Net decrease in N content from reed during the fall and next spring was calculated as 34.5 and 24.6 g m/sup -2/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respectively, while the corresponding P loss was 4.0 and 1.8 g m/sup -2/. Soil organic mailer content increased in the fall and winter, but decreased in the spring and summ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emoval of N and P by reed would be considerable during the growing season but the nutrients taken up by reeds would return as detritus to the marshes in the fall and win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fore, the harvest of the reed at the latter part of the growth would be recommended to prevent further water quality degradation. However, the long-term effects of reed harvest needs further study. 시화지구 인공습지에 식재된 정수식물인 갈대(Phragmites australis)의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갈대에 의한 질소 및 인 흡수 제거 양상과 갈대 생장과 관련된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습지 조성 초기에 갈대의 생장은 토양 염농도에 의해 저해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 유기물 함량은 갈대 비생육기 동안 고사체의 집적에 의해 증가하였지만, 서서히 분해되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갈대의 건물중과 질소 및 인 흡수량은 생장기인 여름과 가을에는 증가하였지만, 비생육기인 가을에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생장기 동안 갈대의 흡수에 의해 상당한 양의 질소와 인이 제거되었지만, 비생장기 동안 갈대 고사체의 형태로 토양에 환원되어 미생물의 분해에 의해 영양염류가 재방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공습지 조성의 목적인 수질 정화와 생태공원으로서의 기능을 위해서는 갈대를 생육기간 중에 수확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