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정원 안보수사권의 경로변화에 관한 연구

        채성준,이석환(토론자) 한국공공관리학회 2018 한국공공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2

        본 연구는 국가정보기관인 국정원이 1961년 창설된 이래 숱한 논란 속에서도 안보수사권을 보유하면서 국가안보의 파수꾼으로 기능해온 과정을 역사적 제도주의의 경로의존(path dependence)과 경로진화(path evolution)라는 관점에 입각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정원의 안보수사권(제도)이 지난 55년 간 어떻게 유지되어 왔는지 그리고 그 변화의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경로의존 모형에서 말하는 우연성(contingency)과 결정적 시기(critical junctures)를 계기로 경로가 시작되어 인권침해 소지(내부요인) 및 대내외 정세변화(외부요인)와 같은 외부적 충격(external shock)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인 제도개선(권한완화 등)과 같은 경로변화를 통해 이를 흡수하면서 그 근간을 유지한 채 장기간 존속(경로유지)해 오고 있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정원 수사권의 타 기관 이전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안보환경에서 보수세력의 지원을 바탕으로 강력한 정책옹호연합(advocacy coalition)이 형성되어 있어 완전한 경로전환이 발생할 지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국정원의 안보수사권이 내부 및 외부의 변화요인 속에서도 오랜 기간 경로유지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절적 균형(punctuated equilibrium)으로 대표되는 경로의존모형의 전형적인 사례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과도한 권한 제한 등 일부 기능의 변화가 있었을 뿐 그 정체성을 유지해 왔다는 점에서 경로진화 모형 중 가겹(layering)에 해당하는 형태로 표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경로진화 과정에서 보수세력을 중심으로 한 정책옹호연합이 형성되어 외부적 장벽인 정치적 비토세력의 폐지요구를 극복한데 따른 것이기도 하다. 최근 남북 간 화해무드 속에서 국정원의 안보수사권에 어떠한 경로전환이 일어날 지를 지켜 볼 필요가 있으며, 다만 어떠한 경우에도 국내외 정세 및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인권침해 요인 해소라는 국민적 요구에 맞춰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수준향상에 의한 경로통행시간의 안정화

        이청원 한국ITS학회 200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 No.1

        일반적으로 통행시간과 통행비용은 운전자들의 경로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 요소로 고려되는데, 만약 각 경로에 대한 실시간 정보가 없다면 운전자들은 자신의 선택가능경로 중에서 최적경로를 선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로 인한 결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해당 교통망의 경로통행시간진동 혹은 불균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제한된 경로통행시간정보로 운전자가 자신의 최적경로선택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은 대안경로 효용비교에 대한 투명성 이슈(transparency issue)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교통정보의 수준이 단계별로 높아져 감에 따라, 즉, 대안들의 효용이 보다 명확해져감에 따라 최적경로선택의 여지가 높아져가고 이는 대안경로들의 통행시간안정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률적으로 보여주고, 이를 사례연구를 통해서 입증해 보았다. 사례는 서울시 남산권 교통정보시스템을 선정하였으며, 실시간 통행시간정보의 강화가 운전자들의 경로선정 상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결국은 경로통행시간의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간 교통정보제공이 도시부 교통류 관리에 있어서 상당한 역할수행이 가능함을 확인해준 사례로 의미가 크며, 또한 실시간 교통정보의 제공수준에 따라서 운전자들이 차별화된 영향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데 가치가 있다. When drivers encounter multiple available routes, they may evaluate the utility of each route. Two important factors in the evaluation are travel time and travel cost. Without hewing the current travel time of each route, drivers' decisions are not necessarily optimum. It is called 'transparency issue' that drivers are blinded to choose the optimum route among the others because of the limited travel time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is, competing route travel times tend to fluctuate. This case study to utilize the data of Nams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confirms that this travel time fluctuation can be lessened as real time traffic information is provided.

      • KCI등재

        국가정보활동 기능의 경로변화에 관한 연구 : 경로의존과 경로진화를 통합한 모형 적용

        채성준 한국동북아학회 2015 한국동북아논총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ntinuity of maintenance in Function of Na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and change factors by analyzing transition process in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of South Korea from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in 1961 June to the current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within the framework of Path Dependence and Path Evolution. The analysis presents that the Function of Na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of South Korea was started with contingency and critical moment which the Model of Path Dependence suggests and has continued for a long time despite of a number of external shocks. Also, institutional conversion is less likely to appear with strong Policy Advocacy Coalition supported by the conservative force formed in the military ten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onsequentially, it is a typical case of the Model of Path Dependence represented by the Punctuated Equilibrium Model as the Function of Na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has had a long-term maintenance in spite of external and internal change factors. Moreover, it is also a Layering Type of the Path Evolution Model in that its identity has been continually maintained apart from partial changes in name, reorganization, and authority. It stems from outstanding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members from the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who are Path Operators, based on the support of Policy Advocacy Coalition and policy understanding with ruling power centered on the conservative force. In order for the established Function of Na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it is required to reduce discretionary power in Path Operators so as to actively response to intelligence environment changes. Furthermore, building up public trust by a bond of sympathy is needed rather than policy understanding with the ruling pow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정보기관이 1961년 6월 중앙정보부로 창설된 이래, 국가안전기획부를 거쳐 현재의 국가정보원에 이르기까지 변천해 온 과정을 역사적 제도주의에서의 경로의존(Path Dependence)과 경로진화(Path Evolution)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국가정보활동 기능(제도) 유지의 지속성과 변화요인을 규명하고 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국가정보활동 기능은 경로의존 모형에서 제시하는 우연성과 결정적 시기를 계기로 시작되어 수차의 외부적 충격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존속해 오고 있으며,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보수세력의 지원을 받아 강력한 정책옹호연합(Advocacy Coalition)을 형성하고 있어 향후에도 제도전환과 같은 전면적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전망되었다. 결과적으로 국가정보활동 기능이 내적·외적 변화요인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경로유지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지된 평형(Punctuated Equilibrium) 모형으로 대표되는 경로 의존성의 전형적 사례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명칭변경, 조직개편, 권한조정 등과 같은 부분적인 변화 외에는 그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로진화 모형 중 가겹(Layering) 형태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경로진화 과정에서 제도의 경로운영자인 국가정보기관 구성원들이 보수세력을 중심으로 한 정책옹호연합의 지원 및 집권세력과 정책이해의 공유를 기반으로 삼아 외부적 장벽인 정치적 비토에 대해 뛰어난 환경 적응성을 발휘한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국가정보활동 기능이 바로서기 위해서는 경로운영자의 재량권을 최대한 낮춰 정보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집권세력과의 정책이해 보다는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신뢰를 얻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경로정보의 중복을 제거한 XML 문서의 저장 및 질의처리 기법

        이혜자,정병수,김대호,이영구,Lee Hiye-Ja,Jeong Byeong-Soo,Kim Dae-Ho,Lee Young-K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2 No.5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XML 문서를 저장하고 그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기 위한 방법으로, 경로정보의 중복을 제거하면서 역 인덱스를 함께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XML 문서는 트리구조에 기반한 노드로 분해되어, 노드 타입에 따라, 루트에서 각 노드까지의 경로정보와 함께 관계형 테이블에 저장된다. 경로정보를 이용한 기존의 U 질의 기법들에서는 모든 엘리먼트 노드들에 대해 경로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정보의 양이 증가하여 질의 처리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제안 방법에서는 경로정보 중 가장 긴 단말 엘리먼트 노드까지의 경로인 단말 엘리먼트 경로(leaf element path)만 저장하고 내부 엘리먼트 노드까지의 경로인 내부 엘리먼트 경로들(internal element paths)은 저장하지 않는다. 단말 엘리먼트 경로만을 대상으로 하여 역 인덱스를 구성함에 따라, 기존의 역 인덱스 이용 기법에 비해 키워드별 포스팅 리스트(posting lists)의 수를 줄이게 된다. 제안 방법에서는 U 문서의 저장과 질의를 위하여 XML 문서에 대한 스키마 정보가 없어도 되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어떤 확장도 요구하지 않는다. 실험을 통해 제안 방법은 실험 범위 내에서 기존 기법들에 비해 좋은 성능을 보인다. This Paper Proposes an approach that removes the redundancy of Path information and uses an inverted index, as an efficient way to store a large volume of XML documents and to retrieve wanted information from there. An XML document is decomposed into nodes based on its tree structure, and stored in relational tables according to the node type, with path information from the root to each node. The existing methods using path information store data for all element paths, which cause retrieval performance to be decreased with increased data volume. Our approach stores only data for leaf element path excluding internal element paths. As the inverted index is made by the leaf element path only, the number of posting lists by key words become smaller than those of the existing methods. For the storage and retrieval of U data, our approach doesn't require the XML schema information of XML documents and any extension of relational database. We demonstrate the better performance of on approach than the existing approaches within the scope of our experiment.

      • 대용량 XML 데이터베이스에서 경로정보의 중복을 제거한 효율적인 질의 처리

        이혜자(Hiye-Ja Lee),정병수(Byeong-Soo Jeong),이영구(Young-Koo Lee) 한국정보과학회 데이터베이스 소사이어티 2005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1 No.3

        본 논문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대용량 XML 문서 집합에 대한 효율적인 저장 및 질의 처리 기법으로, 경로 정보의 중복을 제거하면서 역 인덱스를 함께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구조적인 특성을 갖는 XML 문서들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XML 문서의 내용뿐만 아니라 문서의 구조적 정보가 트리 구조에 기반하는 노드들로 분해되어, 노드 타입에 따라, 루트에서 각 노드까지의 경로 정보가 함께 관계형 테이블에 저장되어야 한다. 경로 정보를 이용한 기존의 XML 문서들의 저장 및 질의 처리 기법들에서는 모든 엘리먼트 노드들에 대해 경로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정보의 양이 증가하여 질의 처리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제안 방법에서는 경로 정보 중 가장 긴 단말 엘리먼트 노드까지의 경로인 단말 엘리먼트 경로(leaf element path)만을 저장하고 내부 엘리먼트 노드까지의 경로인 내부 엘리먼트 경로들(internal element path)은 단말 엘리먼트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경로 정보의 양을 줄이고 있다. 또한, 단말 엘리먼트 경로만을 대상으로 하여 역 인덱스를 구성함에 따라, 기존의 역 인덱스 이용 기법에 비해 키워드별 포스팅 리스트(posting lists)의 수를 줄이게 되어 인덱스를 이용한 질의 처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 방법들과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XPath 질의들에 대한 처리 성능을 측정하여 제안한 방법의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We propose an improved approach that stores and retrieve a large volume of XML documents in a relational database, while removing the redundancy of path information and using an inverted index for reduced path information. In order to store XML documents which have structural information, in a relational database, an XML document is decomposed into nodes based on its tree structure, and stored in relational tables according to the node type with path information from the root node to each node. The existing XML storage methods which use relational data model, usually store path information for every node type. Thus, they can increase storage overhead and decrease retrieval performance with the increased data volume. Our approach stores only data for leaf node path information in XML tree structure while finding out internal node path information from leaf node path information. In this manner, our approach can reduce data volume for a large amount of XML documents to a degree and also reduce the size of inverted index for the path information with the smaller number of posting lists by key words. We show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through several experiments that compare XPath query performance with the existing methods.

      • KCI등재

        교통정보 수신율 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경로선택과 학습과정

        도명식,석종수,채정환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지 Vol.22 No.5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들의 경로선택 행태에서 교통정보 수신율이 네트워크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각 경로의 주행조건에 대한 운전자의 학습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교통상황이 정상성 및 비정상성을 따르는 경우, 공공기관이 유입교통량의 대소에 의해 유도되는 정보의 수신율이 증가함으로써 운전자의 경로선택행동이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보의 역효과가 나타남을 밝혔다. 또한, 정보수신율이 최적비율 이하인 경우에는 총통행시간이 정보가 없이 오직 자신의 경험에만 의존하는 경우보다 감소하여 정보제공의 효과가 있었지만, 최적비율 이상으로 유도정보에 따라 경로선택을 하는 운전자가 많아지면 정보의 역효과가 발생함도 증명하였다. 나아가, 교통환경이 정상성을 따르는 경우에는 모든 운전자의 경로조건에 대한 학습과정과 이 경험을 축적함에 따라 어느 일정한 값으로 수렴해감을 알 수 있었다. 교통환경이 비정상성을 따르는 경우에는 주행조건에 대해 돌발적인 진동과 혼란상태가 발생하고 이 경우에도 무정보 환경보다는 어느정도의 비율로 유도정보가 주어지는 것이 네트워크 전체의 통행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정보의 효과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한 교통류 환경을 적용한 대규모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한 운전자의 경로선택과 학습행동에 대한 연구와 정보의 정도에 따른 운전자의 행동을 고려한 정보의 제공방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민간교통정보를 활용한 우회경로 정보제공 방안

        한대철,변상철,김종식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수도권의 경우 전국대비 12%의 면적에 인구 49.4%가 거주하고 있으며, 도로율이 전국대비 22.4%인 반 면 자동차 등록률이 44.5%로 상습 지정체가 심각한 수준이다. 상습 지정체로 인한 수도권 교통혼잡비용 이 전국대비 57%를 차지하고 있어 혼잡구간 관리가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간선도로의 밀도가 타 지역 에 비해 높아 다양한 선택경로가 존재하고 있어 교통혼잡 관리를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 양한 선택경로의 교통정보를 민간교통정보를 활용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구간이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우회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우회경로 정보제공을 위해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 서 운영하고 있는 ITS 운영구간 총 835.5km를 대상으로 우회가능 도로구간 선정 기준에 따라 우회도로 로 활용이 가능한 34개 구간을 선정하였다. 우회도로 구간을 선정한 후 우회경로의 수, 진행방향(직/좌/우) 인지성, 정보제공 유연성, 도로선형, 운 전자 인지성 등을 검토하여 교통정보제공 수단인 도로전광표지(VMS)의 형식을 검토하였다. 현재 민간교통정보를 활용하여 우회경로 안내를 위한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으며, 2016년 하반기 이후 본격적으로 다양한 우회경로를 제공하여 본선도로와 우회도로에 대한 정보제공을 통한 도로망의 효율적 인 이용으로 교통체증 완화 및 교통량 분산 유도 등 통행속도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선박 애드 혹 네트워크를 위한 부채꼴 탐색구역 경로배정 프로토콜

        손주영(Jooyoung Son)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5 No.6

        라디오 통신 등의 전통적인 해상통신기술은 단문정보 교환만이 가능한 전송품질을 제공한다. 전송품질의 단점을 극복한 해사위성(Inmarsat) 등을 통한 무선 채널은 경제적 부담으로 접근이 어렵다. 따라서 바다에서 항해, 조업하는 선박들은 육상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이 문제를 극복하는 새로운 기술적 핵심은 해상이동통신망을 단일 홉(Single Hop)에서 다중홉(Multi Hop)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선박과 선박, 선박과 연안(항구)간의 망을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MANET) 모델로 해석하고 새로운 선박 애드 혹 네트워크(SANET) 모델을 설계하였다. 항구와 항로 같은 정적인 지리정보를 활용하면서 육지의 이동단말기와는 크게 차별화되는 움직이는 선박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대응적으로(Reactive) 경로를 배정하는 부채꼴 탐색구역 경로배정 프로토콜(FSR)을 제안하였다. FSR(Fan-shaped Search Zone Routing)은 최단경로가 있을 수밖에 없는 지엽적 부채꼴 구역을 찾아내 획정하고 그 구역 안에서만 최단경로를 탐색하는 프로토콜이다. 기존의 지리 정보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경로배정 프로토콜인 LAR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첫째, FSR은 LAR을 비롯한 다른 지리정보기반 경로배정 프로토콜과 달리 경로배정을 하기 위해 제어 패킷(Beaconing Packet)을 발생시키지 않아 통신채널 품질저하를 전혀 초래하지 않는다. 둘째, FSR은 경로탐색구역의 경계선의 일부분을 전송경로로 확보하기 때문에 경로탐색성공률을 100% 보장한 반면 LAR은 약 64%의 성공률을 보였다. 셋째, 경로가 탐색된 경우에 한하여 그 경로의 최적성을 상호 비교한 결과 FSR이 LAR의 약 97%이었다. 종합적으로는 FSR이 LAR보다 약 50%의 성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Such conventional maritime communication technologies as radio have short some comings in their transmission quality. It can be overcome by wireless channels provided by satellites such as INMARSAT, which nevertheless suffer from the high cos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technology resolving the above problems, featuring in the establishment of maritime communication networks with multi-hop structures. The inter-vessel and ship-to-shore networks previously modeled after MANET are remodeled by SANET (Ship Ad Hoc Networks) in the present work. Fan-shaped Search Zone Routing (FSR) protocol also is presented, which utilizes not only static geographic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s of ports and the navigations of courses but als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hips in terms of mobile nodes. The FSR finds the fan-shaped search zone on which the shortest path is located. The performance of LAR protocol is compared with that of FSR in several ways. First, FSR does not make use of a type of control packets as beaconing data, resulting in a full utilization of the bandwidth of the wireless channels. Second, the delivery rate by the FSR is 100% for the fan-shaped search zone includes at least one route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nodes on its border line, where as that of LAR has been turned out to be 64%. Third, the optimality of routes searched by the FSR is on a 97% level. Of all, the FSR shows a better performance than LAR by about 50%.

      • KCI우수등재

        중앙집중형 도로교통정보시스템에서 다중경로탐색 알고리즘

        김태진,한민흥 대한교통학회 2001 대한교통학회지 Vol.19 No.6

        The centralized traffic information system is to gather and analyz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to receive traffic information request from user, and to send user processed traffic information such as a path finding. Position information, result of destination search, and other information. In the centralized traffic information system, a server received path-finding requests from many clients and must process clients requests in time. The algorithm of multiple path-finding is needed for a server to process clients request, effectively in time. For this reason, this paper presents a heuristic algorithm that decreases time to compute path-finding requests. This heuristic algorithm uses results of the neighbor nodes shortest path-finding that are computed periodically. Path-finding results of this multiple path finding algorithm to use results of neighbor nodes shortest path-finding are the same as a real optimal path in many cases, and are a little different from results of a real optimal path in non-optimal path. This algorithm is efficiently applied to the general topology and the hierarchical topology such as traffic network. The computation time of a path-finding request that uses results of a neighbor nodes shortest path-finding is 50 times faster than other algorithms such as one-to-one label-setting and label-correcting algorithms. Especially in non-optimal path, the average error rate is under 0.1 percent. 중앙집중형 도로교통정보시스템은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경로탐색, 위치정보, 목적지탐색 등의 정보를 전달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서버는 매우 많은 클라이언트로부터 경로탐색 요청을 받게 되며, 이 요청을 서버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다중경로탐색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경로탐색을 수행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연산된 이웃노드의 최단경로탐색 결과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경로탐색 수행시간을 감소시키는 휴리스틱(Heuristic)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이웃노드 최단경로탐색 결과를 이용한 다중경로탐색 알고리즘은 많은 경우에 최단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며, 최단이 아닌 경우에도 최단경로 값과 오차가 크지 않으면서도 연산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는 알고리즘이고, 도로교통과 같은 토폴로지(Topology) 형태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계층을 이루는 형태의 모델에서도 효율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이웃노드 최단경로탐색 결과를 이용한 다중경로탐색 알고리즘의 경로탐색시간은 다른 꼬리표설정 알고리즘과 꼬리표개선 알고리즘보다 50배 이상 빨랐으며, 경로탐색 결과가 최단이 아닌 경우 0.1%이하의 거리오차가 발생했다.

      • KCI등재

        Identification of Knowledge Driven Production Path through ICTs Industry as a Tool of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Management in Knowledge City

        Lee, Sang Ho(이상호),Leem, Yountaik(임윤택)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도시 행정 학보 Vol.28 No.2

        지식기반도시(KC)는 지식의 생성과 순환, 지식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지식기반경제(KBE)를 가능하게 한다. 지식기반경제(KBE)는 지식기반 기술, 인프라 및 서비스를 통해 투입의 생산적인 활용과 새로운 가치 사슬, 새로운 생산경로 사슬을 생산하는 등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지식기반경제(KBE)의 정보통신기술(IT/ICT)은 지식기반도시에서 지식의 생성, 공유, 관리의 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의 정보통신산업이 다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정보통신산업이 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데이터는 2000년과 2010년에 한국은행에서 출간한 투입-산출표를 사용하였으며, 산업 간의 구조적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투입-산출 모델과 구조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통신산업의 수요와 공급구조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다음과 같이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정보통신산업의 생산은 2000년 176조에서 2010년 339조로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평균 227%)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투입-산출계수는 농업 0.0008, 제조업 0.0005, 건설업 0.0016, 정보통신산업 0.0032, 서비스업 0.0041로 정보통신산업의 수요가 2010년 대비 2000년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승수분석에서 정보통신산업은 농업 0.0472, 제조업 0.3549, 건설업 0.0155, 정보통신산업 0.0156, 서비스업 0.1398 등으로 다른 산업들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투입-산출 승수는 제조업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건설업은 가장 작은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통신산업의 후방연계 경로 4개, 전방연계 경로 3개가 새로이 추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산업의 총 효과는 정보통신산업의 후방, 전방연쇄 효과 생산경로에서 각각 0.557, 0.079 증가했다. Knowledge city (KC) enables the knowledge economy (KBE) to foster the generation, circulation and use of knowledge. The KBE leads the industrial innovation through the knowledge based technologies, infrastructure and service, with “making more productive use of inputs, and with “creating new value chain and new production path chains. In a KB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T/IC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tool of creating, sharing and managing knowledge in KC.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knowledge driven production path through ICT as a tool of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management by analyzing the structural impact changes of IT/ICT industries on the other industries in Korea from 2000 to 2010. The data for analysis is the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00 and 2010. The input-output model and structural path analysis have been used for investigating structural impact changes. As a result, the demand and supply structure of IT/ICT industries were technically changed during 2000 and 2010. First, the production of IT/ICT industries steadily and significantly has increased around 227 percent (176 trillion →399 trillion) between 2000 and 2010. Second, according to input-output coefficient, the demand of IT/ICT industries in 2000 has increased than 2010’s (in agriculture industries: 0.0008, manufacture industries: 0.0005, construction industries: 0.0016, IT/ICT industries: 0.0032, services industries: 0.0041). Third, multiplier analysis showed that IT/ICT industries had a great influence on other industries (in agriculture industries: 0.0472, manufacture industries: 0.3549, construction industries: 0.0155, IT/ICT industries: 0.0156, services industries: 0.1398). While the input-output multiplier of manufacture industries increased the most, but construction increased by the least. Forth, four production paths newly occurred in the backward linkage production path of IT/ICT industries and three production paths were freshly added in the forward linkage production path of IT/ICT industries. The global effect has increased by 0.557 and 0.079 in terms of IT/ICT industries backward and forward linkage production path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