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접촉경계혼란과 대인관계 유능성 및 진로의사결정의 관계

        김현미 ( Hyeon Mi Kim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접촉경계혼란과 대인관계 유능성 및 진로의사결정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변량분석과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전북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생 300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적으로 270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접촉경계혼란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유능성과 진로의사결정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년별로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는 대인관계 유능성에서 인문계열과 예체능계열이 공학계열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접촉경계혼란의 하위 요인 연결성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요인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복합혼란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요인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접촉경계혼란의 하위요인인 내사와 연결성은 합리적 의사결정유형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투사와 복합혼란은 의존적 의사결정유형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접촉경계혼란의 하위요인인 내사, 연결성, 복합혼란은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접촉경계혼란의 모든 하위 요인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접촉경계혼란을 줄이기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심리적 지원을 해 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act boundary disturbance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in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For this purpos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university students in Jeonbuk. Finally, 270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tact boundary disturbances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by grad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jor fields was higher in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humanities and the arts than engineering.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nectivity of the contact boundary disturbances and the sub-factor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sub-factors of composite confus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Also, the intersubjectivity and connectivity of contact boundary disturbanc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ional decision-making styles, and the projection and complex confu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endent decision-making styles. Third, introjection, connectedness, composite confusion of contact boundary disturbances had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n addition, all sub-factors of contact boundary disturba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and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contact boundary disturbances and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because contact boundary disturbances affect college life adaptation. Besid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 게슈탈트 접촉경계진단검사의 요인구조: 임상집단을 중심으로

        김지원 ( Ji Won Kim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임상집단(우울증, 불안장애)을 대상으로 게슈탈트접촉경계진단검사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및 지방의 종합병원과 개인병원에서 우울증 및 불안장애 진단을 받은 입원, 외래 환자 184명의 게슈탈트접촉경계진단검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집단에서는 일반집단에서와는 달리 7요인 구조(50문항)가 확인되었다. 연구 의의는 게슈탈트 접촉경계진단검사의 내사, 투사, 반전, 편향, 융합, 자의식이라는 접촉경계혼란 개념과 연결성 개념이 임상집단(우울증, 불안장애)의 경험적 자료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는 임상집단에서는 일반집단에서와 달리 접촉경계혼란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경험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게슈탈트 접촉경계진단검사의 임상적 활용가치가 확인되었고, 추후 임상집단에서의 접촉경계혼란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치료계획과 치료효과를 검증하는 진단도구로서 게슈탈트 접촉경계진단검사를 활용한 연구를 제안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for factor analysis of Gestalt Contact Boundary Scale in clinical group(depressive mood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In study factor analysis ESEM(Explan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In contrast with normal group, in clinical group study 40 items of 7 factors were confirmed as validating factors, which was introjection, projection, confluence, retroflection, deflection, egotism and connectedness. In summary, the Gestalt Contact Boundary Scale was proved to be reliable in terms of construct validity. It demonstrate that contact boundary disturbance can be measured and Gestalt Contact Boundary Scale is useful and reliable instrument to measure clinical group(depressive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s contact disturbances.

      • KCI등재

        게슈탈트 접촉경계진단검사(단축형)의 준거타당도 연구 및 연결성 하위척도의 매개효과 검증

        김지양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6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of criterion validate of Gestalt Contact Boundary Scale(GCBS)-short version which means pathological disturbance in Gestalt therapy. To do this, the difference of GCBS-short version and Symptom Check List-90-Revision(SCL-90R) between clinical group(depressive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 and normal group were analyzed. Additio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o verify mediation effect of connectedness subsca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subscales (introjection, projection, retroflection, confluence, deflection, egotism) and mental health. As a result, the difference of GCBS-short between clinical group(depressive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 and normal group was significant. Besides, full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in path of introjection→connectedness→mental health, not significant in partial mediation effect. It was showed that the higher group in introjection needs interventions to improve connectedness for mental health. Mediation effect of connec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complex factors(retroflection, confluence, deflection, egotism) was significant. In summary, the Gestalt Contact Boundary Scale(short version) was proved to be reliable in terms of criterion validity. It demonstrate that contact boundary disturbance can be measured in normal group and clinical group as well. In a later study, the factor analysis of GCBS-short version of other clinical groups is suggested. Besides, the therapeutic factor study of Gestalt therapy using GCBS-short version version and the mediation effect study of connectedness is suggested. 본 연구는 게슈탈트치료에서 정신병리의 개념으로 정의하는 접촉경계혼란을 측정하기 위해 게슈탈트접촉경계진단 검사(단축형)의 준거타당도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일반집단과 임상집단(우울증, 불안장애)간 게슈탈트 접촉경계진단 검사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로 집단간 차이검증을 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사용하여 게슈탈트 접촉경계진단검사의 연결성 하위척도가 다른 하위척도(내사, 투사, 반전, 융합, 편향, 자의식)와 정신건강간의 매개변인으로써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집단과 일반집단 간 게슈탈트접촉경계진단검사의 총점과 하위척도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사→연결성→정신건강의 완전매개효과가 드러났으며, 부분매개모형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내사가 높은 내담자에게는 정신건강의 회복을 위해 연결성의 증진을 통한 개입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투사와 복합혼란(반전, 융합, 편향, 자의식)에 대해서는 연결성의 부분매개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임상집단(우울증, 불안장애)과 일반집단 간 게슈탈트 접촉경계진단검사(단축형)의 차이검증을 통해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공함으로써 검사 도구의 활용도를 높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여타 임상집단에 대한 게슈탈트 접촉경계진단검사의 요인구조 확인과 준거 타당도 연구가 제안되며, 게슈탈트접촉경계진단검사를 활용한 게슈탈트치료 요인에 대한 연구 및 연결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제안된다.

      • 복합외상경험자의 접촉 경계에 대한 분석적 자문화 기술지

        신지현 ( Jihyun Shin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복합외상 경험자의 경계없음을 게슈탈트 이론의 접촉 경계 혼란으로 보고, 상담과정을 통해 경계가 세워지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외상 경험자인 연구자의 상담 기록을 분석적 자문화 기술지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외상 경험은 죽은 것 같은 경험으로 ‘내’가 사라진 상태와 같기 때문에 접촉경계 혼란 문제를 가지게 한다. 둘째, 경계 회복을 위해 신체의 알아차림을 증진시킬 수 있는 안정화 기법이 필요하다. 셋째, 복합외상 경험자들과의 상담에서 상담자의 경계 유지를 통해 내담자가 경계를 배울 수 있다. 넷째, 게슈탈트 영성 치료는 복합외상 경험자의 접촉 경계에 의미 있는 회복 경험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외상 경험자의 경계를 접촉 경계 혼란으로 이해하고 경계 회복을 위해 상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viewed the lack of boundaries of a person who have experienced complex trauma as contact boundary confusion of the Gestalt theory and attempted to help understand how boundaries are established through the counseling process. To this end, the counseling records of the researcher who had experienced complex trauma were analyzed by applying analytical auto-ethnography.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lex trauma experience is like a state in which “I” has disappeared due to a death-like experience. This led to the problem of contact boundary confusion. Second, a stabilization technique that can improve the body’s perception is needed to restore boundaries. Third, when it comes to counseling with complex trauma experienced people, clients can learn boundaries through the counselor's maintenance of boundaries. Fourth, Gestalt spirituality treatment can be a meaningful recovery experience for the boundary contact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complex trauma.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studies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nderstood the boundaries of those who experienced complex trauma as contact boundary confusion and suggested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in counseling to restore boundaries.

      • KCI등재

        접촉경계 혼란, 대인관계 특성과 군적응의 관계

        김주희,이주희 한국임상심리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7 No.3

        본 연구는 개인의 접촉경계혼란 특성과 대인관계 특성이 군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우선적으로 이들 관계에서 접촉경계혼란과 대인관계 중 어떠한 특성들이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접촉경계혼란과 대인관계의 어떠한 특성들이 상호관련 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군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에 대한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현역 육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접촉경계 진단 검사지, 대인관계 문제척도, 군적응 척도, BDI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변인들 간의 상관 및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접촉경계 혼란 중 투사와 감각차단,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의 보복성, 냉담성, 회피성이 군적응과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우울과 정적인 상관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접촉경계혼란 중 투사와 감각차단이 군적응과 우울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를 매개로 간접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같은 결과와 모형이 의미하는 바와 함께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 되었다.

      • KCI등재

        게슈탈트 접촉경계혼란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황인숙,오윤선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2 복음과 상담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lternatives to Christian counseling applications through Christian counseling considerations on Gestalt contact boundary confusion.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introjection, projection, confluence, retroflection, egotism and deflection that cause awareness, contact, and contact boundary confusion in the repetitive cycle of formation and resolution of human organic life. Second,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symptoms and treatment methods through the biblical meaning of contact boundary confusion and the cases shown in the Bible. Third, in the spiritual realm, it was possible to consider Satan's interference, a factor that hinders awareness and contact with God. Fourth, it was possible to examine Gestalt counseling from a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and to express criticism and acceptance. The above research results prove that contact with God is close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s and society, transcending the I-boundary, as well as maintaining one's mental health and holistic change, by treating contact boundary confusion in Christian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게슈탈트 접촉경계혼란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을 통해 기독교 상담적용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연구의 결과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의 유기체적 삶의 형태 형성과 해소의 반복 순환 과정에서 나타난 알아차림 및 접촉과 접촉경계혼란을 유발하는 내사, 투사, 융합, 반전, 자의식, 편향의 심리적 기제를 살필 수 있었다. 둘째, 접촉경계혼란에 대한 성경적 의미와 성경에 나타난 사례를 통해 증상과 치료방법을 고찰 할 수 있었다. 셋째, 영적 영역에서 하나님에 대한 알아차림과 접촉을 방해하는 요인인 사단의 방해에 대해 고찰 할 수 있었다. 넷째, 게슈탈트 상담을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비판과 더불어 수용에 대해서 피력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접촉경계혼란을 기독교 상담학적으로 다룸으로써 하나님과의 접촉이 자신의 정신건강 유지와 전인적 변화뿐만 아니라 나-경계를 초월하여 타인 및 사회의 관계성에 밀접한 관련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비행 청소년의 우울과 접촉경계혼란 특성 및 대인관계 특성-여자 청소년을 중심으로-

        김주희 ( Joo-hee Kim ),김정규 ( Jungkyu Kim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 청소년의 우울과 접촉경계혼란 특성 및 대인관계 특성을 알아보고 일반 재학 청소년과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비행 청소년들의 부적응적 요인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자는 보호관찰기관에 보호 중인 50명의 여자 청소년과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67명에게 접촉경계혼란진단지와 대인관계 문제척도, 그리고 BDI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 재학 청소년과 보호기관에 보호 중인 비행 청소년 간에는 우울과 접촉경계혼란의 반전과 대인관계 문제의 보복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일반 재학생과 비행 청소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접촉경계혼란의 변수는 반전과 융합이었으며 대인관계에서는 지배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같은 결과가 의미하는 바와 함께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 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riables on the effect of juvenile delinquency treatment order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mood. Gestalt Contact Boundary Disturbance, and interpersonal issues. We have conducted a survey on 50 juvenile delinquents and 26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GCSQ-R(The revised Gestalt Contact Boundary Sttyles) and K-IIP(Development of The Dorean version of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etween those two groups of juvenile delinquents and the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on the depressive mood, retroflection(which is one of the emotional defense mechanisms in Gestalt Therapy), and vindictive interpersonal problems and 2) retroflection and confluence as in Gestalt Contact Boundary Issues and dominant interpersonal problems were the factors that affected depression.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정서·행동 문제 관심군 고등학생의 게슈탈트 접촉경계혼란 요인

        이재천,이선희,김명식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Gestalt contact boundaryconfusion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r the study, 58 inthe interest group and 66 in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that the Gestalt contact boundary confusion factor had a more negative effect on emotionalbehavior problems in the students in the interes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a factorcontact boundaries confusion, showed for retroflection, projection, and egotism in the interestgroup, and retroflection and projection i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interest group, retoflection was found to affect anxiety, projection to psychological burden, andegotism to poor self-control. Therefore, as part of a counseling stratergy for interest group, aGestalt counseling treatment approach is required. 본 연구는 정서·행동문제 관심군 고등학생의 게슈탈트 접촉경계혼란 차이 및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46명이 정서행동특성검사(AMPQ-Ⅲ)를 실시하였고, 이 결과에 따라 관심군 58명과 대조군 6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관심군 학생이 대조군 학생보다게슈탈트 접촉경계혼란 요인이 정서행동문제에 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접촉경계 혼란 요인으로 관심군의 경우 반전, 투사, 자의식 등이 대조군은 반전, 투사 등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관심군은 반전이 불안문제에, 투사는 심리적 부담에, 자의식은자기통제 부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관심군 고등학생을 위한 상담전략 일환으로 게슈탈트 상담치료 접근이 요구되며, 접촉경계혼란 기제중에서도 투사와 반전, 자의식 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내사와 투사, 심리적 증상과의 관계: 정신화의 매개효과

        박재우 ( Park Jae-woo ),이수진 ( Lee Su-jin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을 대상으로 게슈탈트 접촉경계혼란 하위유형인 내사와 투사, 심리적 증상과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만 20세∼만 39세 이하의 남녀 25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기술통계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내사는 신경증 증상과 정신병 증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투사는 신경증 증상과 정신병 증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화는 내사와 투사가 심리적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 매개하는 보호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rojection and projection on the psychological symptom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introjection and projection. A total of 250 men and women aged from 20 to 39 years ol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introjection did not directly affect on the neurotic symptoms and psychotic symptoms, while projection affected on both. It was confirmed that mentalization has protec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symptoms by partially mediating introjection and projection on the psychological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