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증 자궁내막증의 수술적 치료 후 체외수정의 결과

        양승헌 ( Seung Heon Yang ),김혜옥 ( Hye Ok Kim ),성나영 ( Na Young Sung ),안현숙 ( Hyun Suk Ahn ),추연실 ( Youn Sil Choo ),양광문 ( Kwang Moon Yang ),송인옥 ( In Ok Song ),궁미경 ( Mi Kyoung Koong ),강인수 ( Inn Soo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9

        목적: 중증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수술적 처치가 체외수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특히 난소 자궁내막증과 복막 자궁내막증 환자의 수술적 처치 후 체외수정시술의 척도들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1997년에서 2004년까지, 복강경검사로 중증 자궁내막증을 진단 받고 체외수정을 시행한 506주기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170주기는 수술받지 않았고, 336주기는 수술적 치료(151주기는 난소 자궁내막증, 185 주기는 복막 자궁내막증) 후 체외수정시술을 받았다. 대조군은 동일 기간 내에 난관요인에 의해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313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증의 수술적 처치를 한 그룹과 수술을 받지 않은 그룹에서, 채취된 난자 수(9.6 ± 7.3 vs. 11.2 ± 7.5 vs. 14.8 ± 7.0, P <0.0001) 와 이식된 배아 수(3.5 ± 1.4 vs. 3.5 ± 1.4 vs. 3.9±0.9, P = 0.001)가 유의하게 대조군 보다 낮았다. 하지만, 착상률(17.2% vs. 15.2% vs. 15.9%)과 임신율(36.9% vs. 35.9% vs. 39.6%), 태아생존율(32.1% vs. 28.2% vs. 29.7%)은 유사하였다. 수술받은 복막 자궁내막증 그룹의 체외수정에서는 채취된 난자 수(9.6 ± 7.9 vs. 9.8 ± 6.5), 이식된 배아수(3.4 ± 1.4 vs. 3.7 ± 1.3), 착상률 (15.5% vs. 18.0%), 임신율(34.6% vs. 39.7%), 태아생존율(29.2% vs. 35.8%)이 수술받은 난소 자궁내막증 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자궁내막증 환자는 과거의 수술적 치료 유무와 상관없이 체외수정시술 척도가 낮았으나, 임신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복막 자궁내막증 그룹은 난소 자궁내막증과 유사하게 낮은 체외수정시술 척도를 보였다. 따라서, 난소 자궁내막증 수술 여부와 관계없이 자궁내막증 자체만으로 체외수정시술 척도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in vitro fertilization (IVF) outcomes in advanced endometriosis with/without surgical treatment and to compare between cyst enucleation and surgically treated peritoneal lesions without endometrioma.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06 IVF cycles (345 patients) with stage III-IV endometriosis (170 cycles without surgical treatment, 336 cycles with the surgical treatment) between 1997 and 2004. Among the surgical treatment, 151 cycles were performed previously cyst enucleation with endometrioma and 185 cycles were performed only resection of peritoneal lesions without endometrioma enucleation. 313 cycles (246 patients) with the tubal factor infertility were used as controls. Results: In the endometriosis group with/without surgical treatment,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9.6±7.3 vs. 11.2 ± 7.5 vs. 14.8 ± 7.0, P < 0.0001) and the transferred embryos (3.5 ± 1.4 vs. 3.5 ± 1.4 vs. 3.9 ± 0.9, P = 0.00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s. But, implantation rates (17.2% vs. 15.2% vs. 15.9%), pregnancy rates (36.9% vs. 35.9% vs. 39.6%) and live birth rates (32.1% vs. 28.2% vs. 29.7%) were similar. Surgically treated peritoneal lesions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9.6 ± 7.9 vs. 9.8 ± 6.5), the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3.4 ± 1.4 vs. 3.7 ± 1.3), implantation rates (15.5% vs. 18.0%), pregnancy rates (34.6% vs. 39.7%) and live birth rates (29.2% vs. 35.8%) with cyst enucleation group. Conclusion: IVF parameters in th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re inferior to tubal factor infertility, but IVF outcomes are comparable. Surgically treated peritoneal lesions group without endometrioma enucleation shows IVF parameters as bad as cyst enucleation group. We might be considered endometriosis itself worse IVF parameters regardless previous cyst enucleation.

      • KCI등재

        자궁내막증 병변에서의 Cytokine mRNA의 발현 양상

        이택후(Taek Hoo Lee),김광수(Gwang Soo Kim),김일규(Il Gyu Kim),전상식(Sang Sik Chun),조영래(Young Lae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자궁내막증은 최근에 그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병인과 치료법이 확실하게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부인과 내분비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최근 들어서 자궁내막증 환자의 불임의 원인으로 cytokine이 밀접하게 관여됨이 밝혀지고 있고 자궁내막증의 병인으로 복강내로 역류된 월경혈에 의한 복강내의 국소적 염증에 대한 개체의 반응정도와 면역체계의 변화가 중요하게 인정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저자는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수 내에서의 cytokine의 정량측정과 골반내 자궁내막증 병변조직에서의 cytokine mRNA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의 병인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증 진단을 받고 복강경 혹은 개복 수술을 받은 30명의 환자에서 총 60개의 자궁내막증 병변이라고 의심되는 조직을 채취하여 이를 RT-PCR법을 이용하여 Cytokine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7례의 정상대조군과 23례의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수를 ELISA법을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시도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수내에서 IL-6와 IL-10의 농도는 자궁내막증의 임상적 중증도에 따라서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IFN-γ, TNF-α, IL-1β, 그리고 IL-5의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서 변화가 없었다. 모든 예의 심부 자궁내막증 병변조직과 표재성 자궁내막증 병변조직에서 IL-1β cytokine mRNA의 발현을 볼 수 있었다. IL-5와 IL-6은 표재성 병변 12개 중에서 각각 2개의 black lesion에서만 발현을 볼 수 있었으며 IL-10은 표재성 병변에서는 12개중 2개에서 그리고 심부성 병변에서는 8개중 1개의 조직에서만 발현되었다. IFN-γ는 표재성 병변에서는 전혀 발현이 없었으나 심부성 병변에서는 8개중 4개의 조직에서 발현이 되었으며 TNF-α는 표재성 병변에서는 red 및 black 병변에서 각각 1개의 조직에서만 발현이 되었으나 심부성 병변에서는 역시 8개중 4개의 조직에서 발현이 되었다. 결론: 표재성 병변이 골반강내에 착상하여 염증성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원인이 제공되면 IL-1β 혹은 TNF-α같은 염증성 cytokine이 분비가 되며 이로 인해 생성되는 단핵세포의 chemotactic factor에 의해 대식세포의 증가와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이어서 복강내에 IL-6 등의 cytokine이 증가되며 마지막으로 여러 가지 증가된 cytokine에 대한 반대 반응으로 IL-10이 증가됨을 추정할 수가 있겠으며 이러한 가정은 앞으로 cytokine을 이용한 치료적 응용의 기초적인 연구로서 중요한 의미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겠다. Objective: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is generally accepted that retrograde menstruation and alterations in the local pelvic immune environ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help elucidate what kind of role various cytokines might play in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Method: Concentrations of peritoneal fluid cytokines were compared in 7 women with normal pelvic finding and 23 women with endometriosis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The patterns of cytokine mRNA expression in 8 ovarian endometrioma and 12 superficial pelvic endometriosis lesions were investigat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mplification method. Result: Both IL-6 and IL-10 levels in peritoneal fluid specimens with endometriosis tended to be higher than norma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eritoneal fluid concentrations of IFN-γ, TNF-α, IL-1β, and IL-5 of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The levels of IL-6 and IL-1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severe endometriosis compared to women with mild endometriosis. IL-1β mRNA was expressed in all of 8 deep and 12 superficial endometriosis lesions. IL-5 and IL-6 mRNA were expressed in only two black lesions respectively, however, both were not expressed in the all deep lesions. Expressions of IL-10 mRNA occurred in one red and one black lesion while this was expressed in only one of the deep lesions. TNF-α mRNA was expressed in one red and one black lesion of 12 superficial lesions compared with four of the deep lesions. There was the difference between kinds of increased cytokines in the peritoneal fluid and those of expressed cytokines in the endometriotic lesions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he concept that local immunologic factors may be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and pathophysiology of endometriosis. The pattern of cytokine mRNA expression of endometriotic lesions would seem to indicate that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β and TNF-α are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r progression of endometriosis.

      • SCOPUS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강 액내 IL-6와 TNF-α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강정배,이영경,Kang, Jeong-Bae,Lee, Young-Kyeong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1

        목 적: 자궁내막증과 이로 인한 불임의 원인인 면역학적 인자 중 세포-매개성 면역계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자궁내막중이 없는 환자의 복강 액을 채취하여 면역 세포의 분포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IL-6와 TNF-${\alpha}$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증으로 육안적 또는 조직검사로 확진된 환자 또는 불임검사를 위해 진단적 복강경을 시행한 34명을 연구군으로 등록하였으며 본 연구 이전에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어떠한 치료도 받은 적이 없거나 복강경 시술이나 개복수술과정에서 자궁내막증 소견과 증상이 없는 환자 37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두 군의 복강 액을 추출한 다음 30분 이내에 $400g{\times}10$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 검사용기에 모아 밀봉한 후 $-70^{\circ}C$ 냉동실에 보관하여 IL-6와 TNF-${\alpha}$의 농도를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R & D Systems, Minnepolis, MN)로 측정하였다. 결 과: 1. 복강 액의 IL-6의 농도는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연구군에서는 $38.9{\pm}19.7pg/ml$으로 대조군의 $22.4{\pm}10.2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2), TNF-${\alpha}$의 농도도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20.6{\pm}8.6pg/ml$로 대조군의 $6.2{\pm}3.5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2. 자궁내막증여성의 생리주기별 농도에서 IL-6은 증식기보다 분비기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p=0.01), TNF-${\alpha}$는 차이가 없었다 (p>0.05). 3. IL-6은 가임여성보다 불임여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3), TNF-${\alpha}$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4. IL-6과 TNF-${\alpha}$ 모두 대조군과 자궁내막증 병기 I과 II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병기 III과 IV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결 론: 자궁내막증인 환자의 복강 액에서 IL-6와 TNF-${\alpha}$가 증가하여 자궁내막증의 생성과 유지, 증상발현에 관여하며 불임의 유발 요인으로 여겨지나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자궁내막증과 각종 cytokine과의 상호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infertile women. Methods: This study is prospective and case-control study in University hospital, enrolled thirty-four women with laparoscopic findings of minimal to severe endometriosis, and thirty-seven women with no visual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and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s in peritoneal fluid were determined using commercial ELIS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among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with infertile and fertile women, and then also compared according the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Results: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matched normal controls. Cyclic variations in IL-6 concentrations were seen in peritoneal fluid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he concentrations in the secretory ph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oliferative phase. The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among of infertile women than in fertile women.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and endometriosis stage III and IV was noted. Conclusion: Increased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in the peritoneal fluid may be relate to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 KCI등재

        자궁내막증 치료에 있어 복강경술의 효용성 - 심재성 자궁내막증을 중심으로 -

        박찬우(Chan Woo Park),박양서(Yang Suh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목적: 자궁내막증은 1985년 개정된 미국 불임학회의 임상분류 (rAFS,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에 의해 병변의 크기, 양상, 깊이, 자궁 부속기 유착 및 맹관의 폐쇄 정도에 따라 1기부터 4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Martin등에 의해 복막으로부터 병변의 깊이에 따라 표재성(superficial, <1mm), 중재성(intermediate, 2∼4mm), 심재성(deep, >5mm), 중심재성(very deep, >10mm)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심재성 자궁내막증은 호르몬 수용체가 결여되고 주위 조직과의 유착으로 약물의 침투가 불가능하여 반드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자궁내막증의 수술적 치료는 복강경술을 이용한 치료가 보편화 되고 있으나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경우 복강경술시 촉지가 불가능하여 병변의 깊이를 알기 어렵고, 심재성 자궁내막증 Type Ⅱ의 경우 직장이 맹관이나 자궁천골인대에 유착을 형성하여 해부학적 구조가 소실된 채 병변이 감추어 질 수 있으며, Type Ⅲ의 경우 병변이 골반저에 함몰되어 육안으로는 작은 병변으로 간과되어 볼완전한 수술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궁내막증의 치료에 있어 심재성 자궁내막증을 중심으로 복강경술과 개복술간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치료시 복강경술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1992년 3월부터 1997년 3월까지 병력과 내진 및 초음파 소견에서 자궁내막증이 의심되어 수술받은 116례중 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102례 가운데 심재성 자궁내막증 소견을 보인 30례 (복강경술 15례, 개복술 15례)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병력, 수술방법과 병기, Type에 따른 수술시간, 입원기간 등을 비교함으로써 자긍내막증 치료에 있어 복강경술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분류에 따른 수술시간은 TypeⅠ에서 복강경술시 148.5±21.2분, 개복술시 118.0±19.2분 소요되었으며, Type Ⅱ의 경우 각각 162.0±30.7분, 127.5±26.1분 소요되었고, Type Ⅲ에서는 각각 245.0±36.1분, 146.6±29.6분이 소요되어 병변의 Type이 진행될수록 수술시간이 길어졌으며 복강경술이 개복술에 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입원기간은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경우 복강경을 시행한 군은 5.7±1.8일, 개복술을 시행한 군은 10.0±2.3일로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복강경술시 개복술에 비해 수술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조직 손상이 적으며, 장운동 회복이 빠르고, 수술후 동통이 적어 조기회복이 가능하여 술자의 복강경술 술기에 따라 적절히 환자를 선택한다면 복강경술은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치료에 있어 유용한 수술법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aparoscopic surgery in the treatment of deep endomtriosis, we have studied 30 cases of deep endometriosis. Endometriosis is classified into superficial(<1mm), intermediate(2-4mm), deep(>5mm) and very deep(>10mm) endometriosis by the infiltration depth from the peritoneal surface. In the treatment of deep endometriosis, medical hormonal therapy is not effective, so surgical treatment is requir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urgiacal treatment ; hard lesion to excise, ditsorted pelvic anatomy after excision, easy to damage to ureter and uterine artery, and limitation for potentially morbid procedure to whom wants to conceive. Especially laparoscopic surgery in the treatment of deep endometriosis is very difficult because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depth by palpation. In deep endometriosis type II, the lesion is concealed due to rectal adhesion to cul de sac, uterosacral ligament and in type III, the lesion is regarded as a small lesion or missed due to invagination into pelvic floor. The authors compared the laparoscopic surgery with laparotom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aparoscopic surgery in the treatment of deep endomtriosis. Methods: Deep endometriosis, 30 cases out of 102 cases, which were histologically comfirmed as endometriosis were studied. The authors compared the laparoscopic surgery(15 cases) with laparotomy(15 case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deep endometriosis for operation procedure, operation time, hospital stay and symptoms improvement. Results: The mean operation time of laparoscopic surgeries in deep endometriosis was 178.7(±43.1)min while type I, II and III in deep endometriosis took 148.5(±21.2)min, 162.0(±30.7)min and 245.0(±36.1)min respectively and took a little more time than laparotomy. Mean hospital stay in laparoscopic surgeries was 5.7(±1.8)days and laparotomy took 10.0(±2.3)days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f patients are chosen adequately and operator's skills are satisfactory, laparoscopic surgery is very valuable in the treatment of deep endometriosis. More datas will be required to confirm the efficacy.

      • SCOPUSKCI등재

        자궁내막증이 있는 불임 여성에서 중등도에 따른 체외 수정의 결과 비교

        김혜옥,강인수,Kim, Hye Ok,Kang, Inn Soo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4

        목 적: 자궁내막증이 체외 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궁내막증의 체외 수정 결과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타에서 자궁내막증으로 체외 수정을 시술 받은 697명의 환자 (총 1,199주기)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638주기,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561주기였으며, 난관 요인을 가진 325명 (459주기)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제외 기준으로는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 basal FSH level이 20 mIU/ml 이상인 경우, 심각한 남성 요인의 경우를 제외하였다. 결 과: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난관 요인 보다 획득된 난자의 수 ($9.97{\pm}7.2$ vs. $13.4{\pm}7.9$ (p<0.0001)), 총 배아 수 ($6.5{\pm}4.8$ vs. $9.1{\pm}5.6$ (p<0.0001)), 양질의 배아 수 ($2.43{\pm}1.6$ vs. $2.74{\pm}1.7$ (p=0.01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중증의 자궁내막증의 임신율은 난관 요인과 유사하였다 (35.7 vs. 36.8 (%)).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 요인보다 불임 기간이 길었으며 ($55.4{\pm}25.7$ vs. $47.6{\pm}25.6$ vs. $44.4{\pm}30.9$ (개월) p<0.0001)), 수정률이 의미 있게 낮았으나 ($64.8{\pm}22.9$ vs. $69.9{\pm}22.5$ vs.$70.8{\pm}20.8$ (%) (p<0.0001)), 임신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1.1 vs. 35.7 vs. 36.8 (%)). 또한, 체외 수성 이전에 치료 받은 병력이 있던 경증과 중증의 자궁내막증 (363주기 vs. 470주기)은 경증의 자궁내막증에서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불임 기간이 길고 ($56.5{\pm}26.3$ vs. $46.9{\pm}25.8$ (개월), p<0.0001), 수정률이 낮았으며 ($64.7{\pm}23.3$ vs. $70.5{\pm}22.7$ (%), p=0.001),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29.2 vs. 36.2 (%), p=0.045, 23.9 vs. 31.5 (%), p=0.043). 결 론: 체외 수정 시 이전에 치료를 받았던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낮았고, 이는 현저한 수정률 감소와 긴 불임 기간이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장기간의 불임 기간을 가진 경증의 자궁내막증을 가진 불임 여성은 체외 수정을 좀 더 일찍 고려해 볼 수 있겠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impact of endometriosis on IVF-ET cycles and to compare IVF outcomes between stage I/II and stage III/IV endometriosis. Methods: We analyzed 697 patients (1,199 cycles) with endometriosis (stage I-II:638 cycles, stage III-IV: 561 cycles) and 325 pts (459 cycles) with tubal factor as controls between January 1994 and April 2004. Pts with endometriosis were diagnosed by laparoscopy and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were done in 353 cycles (55.3%) and 466 cycles (83.1%) of stage I-ll/stage III-IV endometriosis. Cycles with age>35 years or FSH>20 miU/mL or severe male factor infertility were excluded. Results: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9.97{\pm}7.2$ vs. $13.4{\pm}7.9$ (p<0.0001 )), total number of embryos ($6.5{\pm}4.8$ vs. $9.1{\pm}5.6$ (p<0.0001)), and good quality embryos ($2.43{\pm}1.6$ vs. $2.74{\pm}1.7$ (p=0.013)) significantly decreased in stage III-IV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But pregnancy rate of stage III-IV endometriosis was comparable with control (35.7% vs. 36.8%). Fertilization rate and number of total embryos were lower in stage I-II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64.8{\pm}22.9$ vs. $70.8{\pm}20.8$ (p<0.0001), $7.6{\pm}5.0$ vs. $9.1{\pm}5.6$ (p<0.0001)). In patients with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of endometriosis, pregnancy rate and live birth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tage I-II than in stage III-IV endometriosis (29.2 vs. 36.2 (%), p=0.045, 23.9 vs. 31.5 (%), p=0.04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but the duration of infertility was significantly longer ($56.5{\pm}26.3$ vs. $46.9{\pm}25.8$ (mon), p<0.0001) and fertilization rate was lower ($64.7{\pm}23.3$ vs. $70.5{\pm}22.7$ (%), p=0.001) in stage I-II than stage III-IV endometriosis. Conclusion: We suggest that IVF should be considered earlier in patients with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because of significantly decreased fertilization rates.

      • KCI등재

        한국인에서 자궁내막증 발생과 progestero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PROGINS) 및 estrogen receptor gene polymorphism과의 관계

        고희은 ( Hee Eun Ko ),황동희 ( Dong Hee Whang ),노지현 ( Ji Hyun Noh ),김용봉 ( Yong Bo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7

        목적: 자궁 내막증은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외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서 만성적인 골반통, 생리통, 성교통을 유발하며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진행성 질환이다. 오랜 기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자궁내막증의 병인에 대하여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지만 자궁내막증이 에스트로겐에 의존적인 질환이며 프로게스테론의 투여로 인하여 증상의 치료가 가능하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지 않다. 일부 유전적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자궁내막증과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유전자의 특정 다형성 부위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 (PROGINS) 양상과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의 PvuII 및 XbaI 다형성 양상을 분석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대조군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고안되었다. 연구 방법: 수술 및 병리조직 소견을 통하여 자궁내막증을 확진받은 100명의 환자와 건강검진을 시행 받은 일반 인구군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말초 혈액에서 DNA를 추출한 후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유전자 다형성 검사를 PCR-SSP (Sequence specific primer)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에스트로겐 수용체-alpha 유전자의 다형성을 PvuII 및 XbaI 두 가지 제한효소를 이용한 PCR-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한 후 자궁내막증 환자군과 건강대조군에 있어서 특정 유전자 다형성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X2 검정을 통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PROGINS 다형성 양상에서는 자궁내막증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1명에서만 T1/T2 이형접합자로 확인이 되었고 나머지 개체에서는 모두 T1/T1 동형접합자임이 확인되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 PvuII 다형성 분석에서는 자궁내막증군에서 (pp)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는 32명 (32%)으로 대조군의 50명 (45.5%)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Pp)와 (PP) 유전자형의 빈도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유전자의 빈도는 자궁내막증군에서 109 (54.5%), 대조군에서 142 (64.5%)이었고 (P)유전자의 빈도는 자궁내막증군에서 91 (45.5%), 대조군에서 78 (35.5%)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 XbaI 다형성 분석에서는 자궁내막증군과 대조군에 있어서 (xx), (Xx), (XX) 유전자형의 빈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x) 유전자와 (X) 유전자의 빈도에 있어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 자궁내막증 환자에 있어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의 PvuII 다형성이 중요한 병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자료는 자궁내막증의 병인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Endometriosis is defined as the presence of endometrial tissue outside the uterus, causing diverse progressive diseases such as infertility, pelvic pain, and dysmenorrhea. Although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pathogenesis and progression remain poorly understood, it is well established that endometriosis grows and regresses in an estrogen-dependent fashion and that administration of progestin can relieve the symptoms caused by endometriosis. Some genetic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strogen or progestero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and the susceptibility to endometriosi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the polymorphism of the progesterone receptor gene (PROGINS), PvuII and XbaI polymorphism of estrogen alpha receptor gene with endometriosis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100 women with surgically diagnosed and histologically confirmed endometriosis of stage III-IV were enrolled as a patient population and a total of 110 female control subjects undergoing health examination were enrolled as control population. Following isolation of genomic DNA from peripheral blood, polymerase chain reaction-sequence specific primer assays were performed for analyzing progestero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PROGIN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ssays were performed for analyzing estrogen alpha receptor gene PvuII and XbaI polymorphism. The X2-test was used to compare genotype distributions between endometriosis and controls. Results: Only one patient in each group was found to be T1/T2 heterozygote, and the rest of the subjects were all T1/T1 homozygotes. Analysis of PvuII has shown that the significantly lower number of patients had (pp) genotypes and (p) alleles in the endometriosis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2 (32%) vs. 50 (45.5%), P<0.05; 109 (54.5%) vs. 142 (64.5%), P<0.05,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enotype distribution or allele frequency in XbaI polymorphism between the endometriosi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vuII polymorphism of the estrogen receptor-alpha gen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for endometriosis in the Korean population.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자궁내막 및 이소성 자궁내막에서의 카텝신 B의 전령리보핵산 및 단백질의 발현

        이수정 ( Soo Jeong Lee ),김정훈 ( Chung Hoon Kim ),이영진 ( Young Jin Lee ),김지선 ( Ji Sun Kim ),구윤희 ( Yun Hee Koo ),이사라 ( Sa Ra Lee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강병훈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목적: 본 연구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를 매개로 단백분해효소로서의 활동성을 활성화시켜 자궁내막조직의 증식, 혈구흡착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카텝신 B의 mRNA와 단백질의 발현도를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자궁내막조직과 이소성 자궁내막조직, 대조군의 자궁내막조직에서 각각 측정,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자궁내막증의 발생기전에 있어 카텝신 B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해를 넓히고자 고안되었다. 연구 방법: 본 실험은 2004년 10월부터 2005년 9월 사이에,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환자들 중에서 최근 6개월 간 자궁내막증에 대한 어떠한 치료도 받은 적이 없는 여성들을 연구군으로,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들 중에서 같은 기간 동안에 자궁내막증 이외의 다른 양성 부인과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자궁내막종 내피 세포에서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을 얻었고, 동시에 정상위치의 자궁내막조직을 생검하였다. 각 자궁내막조직 내의 카텝신 B의 전령리보핵산의 발현정도는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검사하고 정량화하였다. 단백질 발현은 웨스턴블롯으로 검사하였다. 각 군 간의 카텝신 B mRNA 발현량의 비교 및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t-test와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자궁내막조직군 및 이소성 자궁내막조직군, 그리고 대조군에서 월경주기 별 카텝신 B의 mRNA 발현 정도는 세 군 모두 증식기와 분비기 중기 간의 카텝신 B mRNA 발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궁내막증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정상위치 자궁내막조직 내에서의 카텝신 B의 mRNA 발현량은 전체적으로 자궁내막증 환자에서의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고 (p=0.011), 월경주기 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증식기 자궁내막의 경우는 대조군과 자궁내막증 환자군 간에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분비기 중기의 비교에서는 자궁내막증 환자군에서의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p=0.018). 대조군과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자궁내막조직군과의 비교에서도 전체적으로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자궁내막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카텝신 B의 발현이 증가되어있었고 (p=0.038), 월경주기 별 카텝신 B mRNA 발현 비교에서는 증식기에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분비기 중기에서는 P값 0.070으로 경계성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는 수준에서 대조군에 비해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자궁내막에서 카텝신 B mRNA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다.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정상위치 및 이소성 자궁내막조직 간의 카텝신 B mRNA 발현 비교에서는 전체적으로 그리고 월경주기 별로 각각 비교하였을 때, 모든 비교에서 이소성 자궁 내막조직에서 카텝신 B의 mRNA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및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의 카텝신 B의 단백질 발현은 증식기 및 분비기 중기에서 모두 대조군에서보다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이러한 본 연구의 소견은 자궁내막조직에서 카텝신 B의 발현량은 월경주기와 상관없이 조절되고, 자궁내막증의 발생과 카텝신 B의 과발현은 관련성이 있으며, 특히 자궁내막증 환자의 경우 정상위치 자궁내막 그 자체가 병변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cathepsin B mRNA and Protein in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in normal endometrial tissues, to compare the expression respectively and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thepsin B expression and endometriosis. Methods: There were 34 women with endometriosis taken surgical treatment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from October 2004 to September 2005. All patients were pre-menopausal and not-pregnant, and had received neither hormones nor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GnRH-a) therapy for at least 6 months before surgical treatment. Control group consisted of 14 women who had undergone operative treatment for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or benign gynecologic conditions other than endometriosis during the same period at the same center.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both groups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 of study group were collected during the operations. We employed rea1 time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 time RT-PCR) to quantify cathepsin B mRNA of these tissues. And we performed western blot analysis to measure the quantity of cathepsin B protein. We compared the results using student`s t-test and Mann-Whitney U-test. Results: The expressions of cathepsin B mRNA and pro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endometrial tissues. The expression of cathepsin B mRNA of mid-secretory phase was less than proliferative phas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With marked expressions of cathepsin B in both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endometriosis, we might assume the association of cathepsin B with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In addition the eutopic endometrium in itself might play a role in the histogenesis of endometriosis.

      • KCI등재

        자궁절제술 환자의 자궁내막증 유병률

        김미연 ( Mi Yeon Kim ),최민혜 ( Min Hye Choi ),배진영 ( Jin Young Bae ),김미주 ( Mi Ju Kim ),조영래 ( Young Lae Cho ),박일수 ( Il Soo Park ),이윤순 ( Yoon Soo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0

        목적: 전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방식, 나이, 분만력, 비만도 및 병리학적 진단과 자궁내막증의 유병률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9년부터 2006년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복식 전자궁절제술, 질식 전자궁절제술, 복강경식 전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 기록 및 병리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나이(35세 미만, 35~45세, 45세 초과), 분만력(무분만력, 초산, 다산), 비만도(18.5 미만, 18.5~24.9, 25 초과) 및 진단과 자궁내막증의 유병률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진단 분류는 병리학적 진단을 바탕으로 하였다. 자궁내막증의 해부학적 부위와 수술 방법과의 관련성도 조사하였다. 통계는 SPSS version 12.0의 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다. 결과: 최근 7년간 본원에서 시행한 전자궁절제술은 총 4,830예였다. 이 중 자궁내막증은 125예(2.5%)에서 동반되었고, 수술별로 보면, 복식 전자궁절제술 2,260예 중 76예(3.3%), 질식 전자궁절제술 1,589예 중 31예(1.95%), 복강경식 전자궁절제술 981예 중 18예(1.83%)에서 동반되었다. 복식 전자궁절제술이나 질식 전자궁절제술보다는, 복강경식 전자궁절제술과 자궁내막증 유병률의 관련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자궁내막증을 해부학적 부위별로 살펴보면, 총 125예 중 난소 109예(87.2%), 자궁천골인대 7예(5.6 %), 복막 4예(3.2%), 더글라스와 3예(2.4%), 난소 오목(ovarian fossa)에서 3예(2.4%), 복벽, 직장벽, 질벽, 소장유착부위에서 각각 1예(0.8%)로 발견되었다. 나이, 분만력, 비만도, 병리학적 진단과 자궁내막증의 유병률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P>0.05). 결론: 대상군 중 자궁내막증의 유병률은 2.5%로 낮았으나, 복강경식 전자궁절제술에서 자궁내막증의 유병률이 더 높았다. 이는 자궁내막증이 의심되는 부위를 주의깊게 살펴보고 수술했기 때문이다. 복강경식 전자궁절제술의 확대 시야에서는, 다른 자궁절제술 방식보다 더욱 선명히 자궁내막증 의심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We investigated whether surgical methods, age, parity and obesity were correlated to endometriosis in patients who had hysterectomy. Methods: This research was surveyed and reviewed of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laparoscopic hysterectomy and vaginal hysterectomy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99 to 2006, based on clinical recordings and pathologic reports. Based on these data, we investigated whether age, parity, obesity and pathologic diagnosis were correlated to prevalence rate of endometriosis. Also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with anatomic lesion of endometriosis and surgical methods. SPSS version 12.0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as the statistical data. Results: The total 4,830 cases of hysterectomy were undergone. Out of these, endometriosis was found at 125 cases (2.5%). Among them, 76 cases of endometriosis were found at 2,260 cases of abdominal hysterectomy (3.3%). 31 cases of endometriosis were found at 1,589 cases of vaginal hysterectomy (1.95%), and 18 cases of endometriosis were found at 981 cases of laparoscopic hysterectomy (1.83%). The correlation with laparoscopic hysterectomy and endometriosis ha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rate (P<0.005). For anatomic site of endometriosis, 109 cases were found at ovary (87.2%), 7 cases were found at uterosacral ligament (5.6%), 4 cases were found at peritoneum (3.2%), 3 cases were found at cul-de-sac (2.4%), 3 cases were found at ovarian fossa (2.4%), 1 case was found at abdominal wall, rectal wall, vaginal wall and small intestine (0.8%), respectively. Age, parity, patologic diagnosis and obesity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evalence rate of endometriosis (P>0.05). Conclusion: Even the prevalence of endometriosis was low (2.5%) in total cases of hysterectomy, laparoscopic hysterectomy had more prevalence rate of endometriosis than other types of hysterectomy. because suspicious lesions were inspected carefully, Magnified laparoscopic view make us to identify suspicious endometriotic lesion more clearly than other type of hysterectomy.

      • KCI등재후보

        자궁내막증 여성에서 증가된 자궁내막용종의 빈도; 질환의 중증도와의 관련성

        장혜진,황경주,김미란,안상태,변재광,이은희,박진영,Chang, Hye Jin,Hwang, Kyung Joo,Kim, Mi Ran,Ahn, Sang Tae,Byun, Jae Guang,Lee, Eun Hee,Park, Jin Young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3

        목 적: 자궁내막증에서 발견되는 자궁내막용종의 발생빈도와 자궁내막증 질환의 중증도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불임, 심한 월경통, 난소종양 등을 주소로 복강경 수술이 필요했던 여성 6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강경 수술로 확인된 자궁내막증을 가진 434명과 자궁내막증이 없었던 197명의 여성에서 자궁내시경을 이용한 조직학적인 검사를 통해 자궁내막용종의 발생 빈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자궁내막증 질환의 중증도는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에 따라 나누었고, 그에 따른 자궁내막용종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자궁내막증을 가진 군 (434명)과 정상 대조군 (197명) 간에 나이, 불임기간, 호르몬 수치 등의 임상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자궁내막용종은 자궁내막증을 가진 여성에서는 274명 (63%)에서 관찰되었고,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조군에서는 58명 (29.8%)에서 관찰되었다(p=0.001). 자궁내막증 1기와 2기에서는 자궁내막용종이 동반된 경우가 각각 54.2%와 64.4% 이었으나, 자궁내막증 3기와 4기에서는 67.6%와 7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상 대조군에 비해 자궁내막용종의 동반 확률이 높았고, 자궁내막증 중증도에 따라 자궁내막용종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08). 결 론: 자궁내막증을 가진 여성에서 자궁내막용종을 동반할 확률이 정상인에 비해 높았고, 중증 자궁내막증일수록 동반되는 자궁내막용종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endometriosis and the incidence of endometrial polyp.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six hundred thirty-one women who had undergone laparoscopic operation due to infertility, severe dysmenorrhea or ovarian tumors. We divided two groups: 434 women with endometriosis (study group) and 197 women without the disease (control group). The presence of endometriosis was documented by diagnostic or therapeutic laparoscopic operation and the disease severity was scored according to revised The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We confirmed the endometrial polyps by pathologic examination after hysteroscopic polypectomy, and compared endometrial polyp incidence according to severity of endometriosi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regard to age, mean duration of infertility. Endometrial polyps were found in 274 women (63.0%) with endometriosis and in 58 controls (29.8%, p=0.0000). The incidence of endometrial polyp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tage of endometriosis. The incidence of endometrial polyps were 77/142 (54.2%), 58/90 (64.4%), 73/108 (67.6%, p<0.05), 66/94 (70.2%, p<0.05) in endometriosis stage I, II, III, and IV. There was a linear correlation between stage of endometriosis and endometrial polyps incidence (p=0.008). Conclusion: Endometriosis is accompanied by endometrial polyps. This resul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the endometriosis and incidence of endometrial polyps. It is the possible mechanism for low pregnancy rate in the severe endometriosis.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자궁내막의 Endoglin 발현 양상

        김성훈,채희동,김규래,김정훈,강병문,최영민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5

        목적 : 자궁내막증 환자와 자궁내막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환자의 자궁내막내 혈관 내피 세포의 맥관 형성 활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로서 병리조직검사상 자궁내막증이 확진된 환자 20명의 자궁적출 표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같은 시기에 자궁경부 상피내암으로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로서 수술 소견과 병리조직검사상 자궁내막증의 증거가 없는 환자 20명의 자궁적출 표본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모든 조직은 항-인간 endoglin 단일클론성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법에 의해서 염색되었고 저배율에서 endoglin 양성 반응을 가진 미세 혈관들이 밀집되어 있는 부위가 선택되어진 후 200배 배율에서 5 시야를 선정하여 endoglin에 염색된 미세혈관 수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기법은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p-value 0.05 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연구 결과 : 모든 생리 주기를 포함할 경우,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endoglin 발현을 나타내는 평균 혈관의 개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 주기별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분비기 말기의 경우에만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endoglin의 발현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궁내막증 환자의 endoglin 발현 양상을 자궁내막증 병기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자궁내막증 1, 2기와 3, 4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 내막에서 endoglin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이러한 증가는 주로 분비기 후기에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자궁내막증의 병인에 자궁 내막 자체의 맥관형성의 활성화가 주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