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의 일상생활 경험과 역사 지식 형성의 연관성 탐색

        문재경 한국역사교육학회 2013 역사교육연구 Vol.- No.18

        Meanwhile the composition of history consciousness of students in history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in school education. In this article, it was reviewed how everyday life experiences of students had been related with the composi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o do this, we reviewed daily lives of students and the meaning of the world of life. And then we analyzed everyday lives that became the foundation of their historical knowledge and reviewed their historical knowledge that students composed. Everyday life of students is made in the relationship with history, nature and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Additionally, the life composed in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 making is the world of holistic experience where value and faith are embedded. Students compose natural attitude and mutual subjectivity in everyday life and it becomes base to understand themselves as well as neighbors, colleagues and contemporary people. Additionally, historicity that students experience in everyday life becomes the base of historical thinking with mutual subjectivity and plays important role in the composition of historical knowledge. Students experience historicity in operation of awareness, everyday life and world of life. Historicity that students experience is just daily life and natural attitude, and it acts unconsciously. Historicity shows when life of the students change from simple to complicated and from individual to social, so to speak during the maturing process. It affects the present historical reasoning of students. Historical knowledge students compose in everyday life experience is private history, everyday life history and historical knowledge of world of life. Although this historical knowledge is somewhat different from public historical knowledge, it suggests that higher grade students as well as preschoolers and lower grade students can learn history utilizing everyday life experiences. 그동안 역사교육에서 학생의 역사지식 형성은 주로 학교교육 내에서 논의 되었다. 이 글에서는 학생의 일상생활 경험이 역사 지식 형성에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생의 일상생활과 그것에 바탕이 되는 생활세계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역사 지식 형성의 바탕이 되는 일상생활 경험들을 분석하고, 학생이 형성하는 역사 지식을 살펴보았다. 학생의 일상적인 생활은 학생이 관계맺고 있는 역사와 자연, 그리고 다양한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 같은 사회문화적인 관계맺기 속에서 형성된 학습자들의 삶은 가치와 신념이 내재되어 있는 총체적인 경험세계이다. 학생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적 태도와 상호주관성을 형성하는데, 이것은 자신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과 친구, 동시대인을 이해하는 바탕이 된다. 또한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역사성은 자연적 태도, 상호주관성과 더불어 역사적 사고의 바탕이 되며, 역사 지식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생은 일상생활 중 의식작용, 일상생활, 생활세계에서 역사성을 경험한다. 학생이 경험하는역사성은 학생 생활 속에서 일상이고, 자연적 태도이며, 무의식적으로 작용한다. 역사성은 학생의 생활이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개인적인 것에서 사회적인 것으로 변화, 성숙하는 과정속에서 드러나며, 학생의 현재 역사적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 학생이 일상생활 경험에서 형성하는 역사 지식은 사적 역사, 일상생활 역사, 생활세계 역사 지식이다. 비록 이들 역사 지식들이 공적 역사 지식과는 차이가 있지만 취학 전, 저학년 학생은 물론 일반 학생도 일상생활 경험을 활용하여 역사를 학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접근성과 장애유형을 중심으로 -

        박능후,구만서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접근성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유형별로 규명해 보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주거실태조사자료에 담긴 5,127명의 장애 인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에 입각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접근성 여부에 따라, 그리고 장애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 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외부장애인의 경우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 모두에서 접근성은 삶의 질 향상에 부분 매개효과를 구현하였다. 둘째, 내부 장애인의 경우 일상생활능력 은 접근성을 부분매개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으나, 일상생활환 경은 삶의 질에 대한 접근성의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료기관, 공공기관, 복지시설 등 일상생활 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나, 이에 대 한 접근성이 가지는 의미는 장애유형에 따라 상이함으로 접근성 을 제고하는 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장애유형별로 대처방안이 달 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ving environmen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via accessi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The data of 2009 housing survey for the disabled was analyz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external disabled peopl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ving environ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Second, for the internal disabled peopl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ving environment 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accessibility did not happen in this case. The results of analysis imply that the policy emphasis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For the external disabled people,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should be emphasized, while the medical cure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internal disabled people.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ADL and IADL of residential home and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박찬의,장정훈,이재형,Park, Chan-Eui,Chang, Chung-Hoon,Lee, Jae-Hyoung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6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8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정 거주노인과 시설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동작(ADL)과 도구적 일상생활동작(IADL)을 비교 분석하여 노인 돌봄에 관여하는 의료 종사자, 특히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업무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일상생활동작 및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검진은 한국형 일상생활동작 평가서와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평가서를 사용하여 거주 형태가 다른 두 노인 집단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과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수행 능력은 부부 동거, 자녀 수, 수입, 현재 앓고 있는 질병 및 나이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동작 중에는 한 가지 동작이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은 한 가지 동작을 제외한 모든 동작에서 수행 능력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부부가 함께 동거하는 노인이 홀로 사는 노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일상생활 활동이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형 일상생활동작 평가서와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평가서가 한국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을 평가하는데 보다 사용하기 좋았다. 노인을 돌보는 의료 종사자 특히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는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훈련을 시행한다면 일상생활동작 훈련에서는 목욕하기에 중점을 두고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훈련에서는 거의 모든 동작을 훈련 시켜야 할 것을 조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of residential home dwelling elderly and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In attempt to address medical professional caring the elderly, this comparative study examine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endence in the ADL and IADL in two samples of elderly people living in two different environments. Methods: The instrument of ADL and IADL widely used Katz ADL and IADL. Katz ADL and IADL was not a perfect fit for Korean. In concern with cultural factors Won developed K(Korean)-ADL and K-IADL scale reflecting Korean's own language expression and cultural factors in year of 2002. The assessment tool of this study was K-ADL and K-IADL. Differences of ADL and IADL were test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group t-test and x2 test for comparisons between the residential home dwelling elderly and the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Results: Comparison of assessment for K-ADL and K-IADL in two different dwelling types was significant. Performance of ADL and IADL depend upon their living environment such as social status, number of children, income, present illness as well as age group. This stud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formance in some activities of ADL and IADL between the elderly who live in their own home and live in home for the aged. Comparison of performance of ADL and IADL in different dwelling types revealed that only one item of ADL was significant but only one item of IADL was not significant. It means that IADL is more difficult activities in the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than the residential home dwelling elderly. The coupled elderly has more independent in some ADL and IADL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single elderly. Conclusion: Using K-ADL and K-IADL is more convenient for Korean elderly. Medical professional consider some factors like dwelling style, social status, existing diseases and disabilities in order to care the elderly and train him/he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well a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dical professional, especially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 emphasize the training items which are bathing of ADL and grooming, housework, preparing meals, laundry, traveling, public transportation, shopping, using telephone and taking medicine of IADL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사회문화교육방법으로서의 '일상생활' 분석

        장원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4

        최근 사회는 도구적 합리성을 강조하던 생산 패러다임으로부터 삶의 의미를 강조하는 생활세계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일상생활세계를 그 중심내용으로 하고 있는 사회문화교육에 많은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사회 변화에 따라 부각되고 있는 일상생활이 사회문화교육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이를 사회문화 교수학습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논의하고 있다. 일상생활은 이곳 그리고 지금이라는 시공간과 실천적 관심을 기반으로 행위자들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적 관례화를 통하여 형성된다. 이는 암묵적 측면에 기반 한 당연시된 삶의 세계이면서, 또한 특정 시공간에 처한 행위자의 서로 다른 실천적 관심들 간의 끝없는 상호작용이라는 역동적인 측면을 포함한다. 과도한 구조화는 끝없이 변화하는 행위자의 실천적 관심과 사회구조 간의 괴리를 낳는다. 그러나 이러한 괴리는 실천적 관심을 가진 일상인들 간의 왜곡되지 않은 합리적 담론을 통하여 일상생활을 재구성함으로서 극복될 수 있다. 이를 일상생활의 인간화라고 한다. 일상생활 분석을 통한 사회문화교육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수단으로서의 일상생활 분석이며, 두 번째는 목적으로서의 일상생활 분석이다. 전자는 우리의 일상생활을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하여 현행 사회문화교육이 의도하는 주요 개념과 기능 그리고 가치, 태도를 가르치는 방법이다. 후자는 일상생활 분석을 통하여 자신의 일상적 삶을 반성적으로 재조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상생활을 합리화, 인간화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그 자신의 사회문화적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 사회문화적 능력을 성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자신의 일상생활이 보다 인간화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Paradigm changes from production paradigm that emphasizes instrumental rationality, to life-world paradigm that emphasizes meanings of life. According to paradigm change, The socio-cultural education is being highlighted, because everyday life that is being emphasized recently, is a main content of it. This article discusses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and its teaching method in socio-cultural education. Every day life is founded on reciprocal typifications formed among laymen with pragmative motive in the specific time-space. It is taken-for-granted world that contained tacit aspects and dynamic world in that agent with pragmative motives interact among them. It contains aspects that can't be grasped by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contrary, theoretical perspective is a result of reflection on everyday life. Hyper-structuration of everyday life bears alienation between layman's pragmative motive and social structure. But, these alienation can be overcame through non-distorted rational discourse among laymen with pragmative motive. In socio-cultural education, analysis of everyday life can be performed in two ways. First, we analyse everyday life in order to teaches concept, skill and values contained in socio-cultural education. That is, everyday life can be used as teaching materials. Second, we analyse everyday life in order to makes everyday life itself rational or human. As result of these activities, s/he can achieves competence to take initiative in socio-cultural living and urn-welt will be fit to our life.

      • KCI등재

        지자체 행사 중 동료 가해와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계약상 보상 여부 —서울중앙지방법원 2019.10.24. 선고 2018가단5104934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최병규 한국경영법률학회 2020 經營法律 Vol.30 No.4

        The insurance system started from marine insurance like active insurance. However, over time, the importance of liability insurance, which transfers liability for others to insurance, has emerged. The liability insurance system has emerge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various types of accidents that have increased rapidly as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s urbanization progresses, liability insurance is growing rapidly as the human society is complicated, manufacturing activities including manufacturing industries are increasing, and individual awareness of rights is increased. At the core of auto insurance is the contents of liability insurance as personal or object compensation. Liability insurance varies widely. Among them, the insurance that compensates for the liability incurred in daily life is the daily life liability insurance. In general, package insurance such as comprehensive family life insurance often includes daily life liability insurance as a special contract. However, the Liability Insurance provides for various reasons for immunity. In some cases, the terms of the provisions stipulate that the responsibility for compensation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insured person's performance is not a liability. The interpretation of this provision is specifically problematic. In Korea, its use is relatively self-supporting. In other countries, however, daily liability insurance is widely used. Liability insurance belongs to non-life insurance. In case of non-life insurance, accidents caused by intentional or gross negligence are insurer's indemnity. In liability insurance, however, only the intention of the policyholder or the insured person is exempt from the liability because of its particularity and the need to protect the victim. In the case of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which was a problem in this article, the victim directly exercised his / her right to claim against the insured who had indemnified daily life insurance. However, in the terms of the indemnity insurance policy of the perpetrator, 'liability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insured person's performance' was defined as a responsibility not to compensate. There was an accident when a public official participated in a foot ball practice game included in an event schedule organized by a local government. In other words, when a civil servant was playing a foot ball at an event of a local government at work, the victim tried to head and shout “My,” and the victim was kicked. In such cases, it is difficult for the offender to admit intentional negligence. In addition, it is a case where a person accidentally plays a role in the footsteps at a workplace event, and it is regarded as 'compensation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insured person's performance', which is defined as a exemption ground in the relevant daily liability insurance policy. do. In this respect, the judgment of the Seoul Central Court is justified. In addition, it is hard to say that the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indemnity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performance of the insured person is exempt from the liability insurance of daily life is invalidated by the legal regulations of the agreement. The risks in the performance of the job are exempt from the risks of daily life, and the risks are not exempt from making the terms and conditions empty. The Daily Life Liability Insurance provides various indemnity terms. A dispute arises as to whether the reasons for immunity apply. More thorough research into the contents of the reasons for immunity and its implications in relation to daily liability insurance is necessary to seek legal stability in this field and to prevent disputes in advance. 보험제도는 해상보험이 화재보험처럼 적극보험으로부터 출발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타인에 대한 배상책임을 보험으로 전보하는 책임보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책임보험제도는 19세기말 도시화・산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급증하는 각종의 사고에 대한 대책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인간 사회가 복잡해지고, 제조업을 위시한 기업활동이 증가하며, 개인의 권리의식이 높아감에 따라 책임보험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자동차보험에서도 핵심에 속하는 것은 대인배상 또는 대물배상으로서 책임보험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책임보험의 내용은 매우 다양하다. 그 가운데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배상책임에 대하여 보상을 하는 보험이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이다. 보통 가정생활종합보험 등 패키지보험에서는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을 특약 등으로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에는 다양한 면책사유를 규정하고 있다. 그 가운데 약관에서 '피보험자의 직무수행에 직접 기인하는 배상책임'은 보상하지 않는 책임으로 규정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조항의 해석이 구체적으로 문제가 된다. 국내에서는 그 이용이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이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책임보험은 손해보험에 속한다. 손해보험의 경우 고의・중과실에 의한 사고는 보험자 면책사유로 되어 있다. 하지만 책임보험에서는 그 특수성과 피해자를 보호하여야 할 필요성 때문에 보험계약자나 피보험자의 고의만이 면책사유가 된다고 하여야 한다. 이글에서 문제가 된 서울중앙지방법원의 사건에서는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계약이 성립된 후, 보험자에 대하여 피해자가 직접청구권을 행사한 경우이다. 그런데 가해자의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약관에서는 '피보험자의 직무수행에 직접 기인하는 배상책임'은 보상하지 않는 책임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공무원이 소속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한 행사 일정에 포함된 족구 연습경기에 참여하다가 사고가 난 경우이었다. 즉 공무원이 직장에서 소속 지자체의 행사에서 족구를 하다가 피해자가 ‘마이’를 외치고 헤딩을 하려는데 순간적으로 가해자가 공을 걷어차려다가 피해자의 머리를 차서 다친 경우이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해자 측에게 고의・중과실을 인정하기는 어렵다고 하여야 한다. 그리고 직장 행사에서 족구를 하다가 통상적으로 있음직한 경위로 사고가 난 경우로서 결국 해당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약관에서 면책사유로 규정을 하고 있는 '피보험자의 직무수행에 직접 기인하는 배상책임'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서울중앙법원의 판시는 타당하다. 그리고 피보험자의 직무수행에 직접 기인하는 배상책임을 면책사유로 하고 있는 것이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에서 면책사유로 되어 있는 것이 약관의 규제 법리상 무효로 된다고 보기도 어렵다. 직무수행중의 위험은 일상생활에서의 위험과는 그 위험률의 정도가 달라 면책사유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해당 약관을 공허한 것으로 만드는 면책사유로 보기는 어렵다.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에는 다양한 면책약관을 규정하고 있다. 그 면책사유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다툼이 발생한다.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과 관련하여 면책사유의 내용과 그에의 해당여부에 대한 보다 정치한 연구가 진행되...

      • KCI등재

        시설노인의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오혜경 ( Hye Kyung Oh ),이수경 ( Su Kyung Lee ),석소현 ( Sohyune R Sok ),김귀분 ( Kwuy B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결과의 일반적 특성에서 74세 미만의 대상자가 36명(30.0%)인데 비해 75-84세 대상자가 66명(55.0%), 85세 이상의 대상자 또한 18명(15.0%)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서도 남자(28.3%)보다 여자(71.7%)가 많으며 결혼 상태에 있어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 보다 없는 경우가(85.0%)많았다. 이는 변영순과 윤희상(2004)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로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남자보다 여자의 평균수명이 길어 여자가 오래 산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2005년 통계청의 고령자통계와 일치하는 부분으로 노인인구의 고령화 내지 여성노인의 문제점 등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학력에서 초등학교 이하가 전체 대상자의 82.5%로 나타난 결과는 과거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의 실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의 건강상태를 대부분 나쁘다고 (54.1%) 생각하고 있는데, 이는 보건복지부(2004) 연구결과, 김은희(2004), 오경희(2002)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는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병원방문여부는 전혀 가지 않는 경우(46.7%)가 많았다. 이는 노인시설에서 비활동적인 생활로 인한 것으로 스스로를 불건강한 상태로 인지할 수도 있고, 또는 시설노인의 고령으로 인한 실제적인 불 건강 상태일 수도 있다. 특히 시설 특성상불 건강상태여도 치료를 위한 병원방문은 거의 비현실적임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시설노인 스스로자신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도록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도움대상에서는 가족 및 친척(57.5%)에 비해 이웃 및 기타(42.5%)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입소하여 생활하는 시설노인의 특성상 가족과 떨어져 지내게 되면서, 시설의 동료 및 직원으로부터 도움을 받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노인들의 활동특성에서는 종교활동(36.7%), 봉사활동(90.8%), 친구모임활동(84.2%), 노인학교, 노인정의 참여(91.7%)를 대부분의 노인들이 전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것은 노인들의 신체적 내지 환경적 특성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혹은 이동수단의 문제로 시설에서 벗어난 외부적인 활동은 거의 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설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노인들의 경우 특별히 하는 일 없이 무료하게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으로(서부덕, 2000; 장순자, 2001)이와 같은 생활의 무료함은 자존감 저하와 삶의 질을 떨어뜨려 일상생활능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독립적이고 활동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쉽게 참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여가활동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반면, 김은희(2004)의 노인대학을 다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봉사활동(42.98%), 친구모임(15.76%), 노인학교, 노인정(37.63%)으로 봉사활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활동에서 참여를 하고 있었다. 이는 대상자 대부분 학력이 고졸로 교육수준이 높고, 친구나 외부자 원과의 접촉이 원할 함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일상생활능력정도는 평균 2.83(0.85)점으로 약간 높게 확인되었으나, 이는 서혜림 등(1998)의 평균 4.32(0.77)보다 낮은 점수이며, 서부덕(2000)의 평균2.01(1.32)보다는 높은 점수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대상자가 재가 노인이 아니라 시설노인이므로 일상적인 생활 외에 개인적인 여가활동이나 기타 활동이 없어 무료함의 표출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 자기효능감 정도는 평균 2.79(0.63)로 보통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김은희(2004)의 연구에서 평균 2.94 보다 낮은 점수이다. 노인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 건강문제는 우울과 같은 심리적 변화를 초래하게 되며, 심리적 문제는 노인들이 갖게 되는 자기효능감 정도에 따라 차이난다. 따라서 자신의 집에서 부부나 아님 자녀들과 생활하지 못하고 시설에 혼자 외롭게 살아가야 하는 노인에게서 자기효능감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되며, 이를 상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연구결과 삶의 만족도 정도는 평균 1.81(0.42)로 이 역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이란 항상 선행요건으로 자기만족이 요구된다. 이는 자존감 및 자기효능감 등으로 자신을 유가치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때 비로소 만족한 삶을 인식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노인들은 일상생활능력이나 자기효능감에 높은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삶의 만족 또한 높게 인지하지 못함은 당연한 결과라 생각한다. 따라서 무료하게 일상을 살아가야 하는 노인들을 위한 적절한 여가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으로 이들의 삶에 활력소를 충원하여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감을 유도 할 수 있는 간호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상자의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일상생활능력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상생활능력이 좋은 노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도 높다는 서혜림 등(1998)의 연구결과와 자기효능 증진 프로그램과 삶의 질 관계를 본 오복자, 아은옥, 태양숙과 엄동춘(1997)의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 졌다는 연구와 유사하다. 또한 시력저하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천의영(2005)의 일상생활수 행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결과와 유사하여 본 연구를 지지해 주고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능력과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는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시설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인들 에게 일상생활능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모색이 요구된다.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및 활동특성 별 일상생활능력, 자기 효능감, 삶의 만족도의 차이검증에서 특징적으로, 건강상태와 활동특성 즉, 종교활동, 봉사활동, 친구모임활동이 일상생활 능력과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건강상태의 경우 일상생활능력과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시간의 무료함은 우울감과 자존감을 감소시켜 일상생활능력을 저하시키므로 대부분의 시간을 무료하게 보내는 시설노인(서부덕, 2000; 장순자, 2001)의 경우 잘 계획된 여가활동을 통해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켜줌으로서, 노인들의 독립적이고 활동적인 생활영위가 가능하여 삶의 만족도 향상이 가능하리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노인 스스로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지하는 경우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노인들에 비해 노인 자신의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일상생활에 자신감을 갖게 되어 일상생활능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일상생활능력의 증가와 원활한 역할 수행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며 더불어 삶의 만족도를 증가 시키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활동특성 중 종교 활동의 참여는 따른 활동 즉, 봉사활동이나 친구모임, 노인학교 노인정의 참여율에 비해 높은 것으로 이 모두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시설노인의 경우 대부분이 신체적 여건이 자유롭지 못하여 시설 밖의 활동보다 시설 내 활동을 참여하게 되는데 종교 활동의 경우 종교 단체에서 직접 방문하여 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노인시설 내노인 스스로 편안한 마음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및 여가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이 되어야 할 것이며, 노인이 참여할 수 있는 사회활동 또한 시설 안으로 끌어들이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봉사활동이나 친구 모임활동, 노인학교 노인정의 경우 사회적인 접촉이 필요로 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사회적인 활동의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족을 포함한 지역사회 구성원들과의 지지 자원과의 지속적인 교류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설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무엇보다도 그들의 잔존능력을 파악하고 유지시키면서 그들이 하고자하는 욕구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과 전문 인력에 의한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설에서는 노인을 단순히 보호하는 것에서 벗어나 노후 생활을 즐기고 남은여생을 보람되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examine the levels of AD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and the relations among the factors.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elders aged over 65 at nursing homes in 9 areas throughout the country. Measures were the physical function scale,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and LSI·Z.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PC11.0. Result: First, the mean levels of ADL,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were 2.83 (0.85), 2.79 (0.63), and 1.18 (0.42). Second, the relations among three factors we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hird, (1) The level of AD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 religious activity, volunteer activity, and friend meeting. (2) The level of self·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 source of help, religious activity, volunteer activity, friend meeting, and elderly school & senior center. (3)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 source of help, religious activity, volunteer activity, friend meeting, and elderly school & senior center. Conclusion: Conclusively, it is required to enhance ADL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improve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대전지역 노인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장기연,강정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 본 연구는 대전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과 삶의 질에 관련된 요소를 측정하여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 수준 및 삶의 질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재가 노인 500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 및 일상생활동작 능력 평가도구인 Barthel Index, Frenchy Activities Index와 SF-12에서 발췌한 삶의 질 관련 요소들로 구성되었으며, 일대일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결과 : 대전 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점수는 평균 96.05(표준편차 11.04)이었으며, 노인의 결혼 상태, 가족구성, 자녀유무, 직업유무에 따라 기본적 일상생활동작수행의 차이가 있었다(p<0.05).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점수는 평균 18.41(표준편차 10.28)로 노인의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가족구성, 자녀유무, 직업유무에 따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차이가 있었다(p<0.05).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기본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전 지역노인들의 기본적인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수준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수준을 알 수 있었고, 주관적 건강상태나, 생활만족도와 같은 삶의 질에 관련된 요소와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 간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노인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을 높일 수 있는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며, 노인들의 의존적인 문제를 보완하고 능동적이며 긍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is designed for gaining relationship between AD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by measuring the relating factors to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s in Daejeon city. Methods : For this investigation, we chose 500 of elderly who were over 65 old, and inhabited in Daejeon city. For the assessment of this study, Barthel Index, Frenchy Activities Index, and the factors of SF-12 which is related to quality of life were used. Results :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mean of BADL performance score of elderly in Daejeon was 96.05(SD 11.04)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BADL performance by marriage status, family organization and existence of off- spring and occupation(p<0.05). The mean of IADL performance score of elderly in Daejeon was 18.41(SD 10.28)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IADL performance by sex, age, educational status, family organization, and existence of off-spring and occupation (p<0.05). BADL and IADL performanc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elderly’s satisfactions of living and subjectivity of health status were high(p<0.05). Conclusion : For promoting elderly’s quality of life,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have a plan of intervention which prepared for the complement of elderly’s dependency problems and preserving their own life spontaneously and affirmatively.

      • KCI등재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의 조절효과 : 고령화연구패널(KLoSA) 조사 활용

        조승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9

        65세 이상 노인은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초고령 사 회에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유지/증진을 제언하 고자 한다. 특히 인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65세 이상 노인 4,372명의 자료 를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KLoSA)로부터 수집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 Process Macro(Model 1) 를 활용한 조절효과분석을 시행하였다. 노인의 39%는 경도의 인지기능 장애를 보였다.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은 6.4%,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은 16%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함께 저하되는 특징이 있었고, 연령 및 인지기능과 관련 있었다.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인지기능의 조절효과는 유 의하였다. 인지기능이 0점에서 23.729점 사이일 때 인지기능이 나쁠수록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은 좋지 못하였다. 인 지기능이 0점에서 26.103점 사이일 때 인지기능이 나쁠수록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은 좋지 못하였다. 기본적 일상생 활활동이 영향을 받는 경우는 인지기능이 경도의 인지손상인 경우이며, 인지기능이 정상 범주에 있더라도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은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The elderly are characterized by a decrease in basic/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s.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s of the elderly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uper-aged societ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ata from 4,372 elderly people were collected from the 8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on effect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Model 1) were performed. 39% of the elderly showed mild cognitive impairment. It was found that 6.4% of basic daily living activities and 16% of instrumental daily living activities experienced difficulties. It was characterized by a decrease in both basic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was related to age and cognitive fun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basic/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significant. When the cognitive function was between 0 and 23.729, the worse the cognitive function, the worse the basic activity of daily living. When the cognitive function was between 0 and 26.103, the worse the cognitive function, the worse the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When basic activity of daily living are affected, cognitive function is mild cognitive impairment. Even if cognitive function is in the normal ran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may be problems with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 KCI등재

        대학생의 일상생활 현상의 해석에 관한 연구

        김춘택(Kim, Choon-Ta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안동대 재학생의 일상생활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으며 드러나는 현상을 해석학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한 것이다. 1) 안동대 재학생의 일상생활은 어떠한가 2) 그들의 변신, 중요한 타자는 무엇이며 적응양식은 무엇인가 3) 그에 따른 일상생활의 사회과학적 함의는 무엇인가이다. 대학의 일상생활은 대학생활에 적응하면서 사후의 세계에 대해 나름대로 결론을 내리면서 생활하는 것이다. 대학생활에 중요한 타자들은 정보화시대에 자기가치관을 중심으로 교제하는 가족, 친구, 파트너 등이다. 적응전략은 취업준비하기, 자아정체감 형성하기, 지역문화 다시 발견하기, 새로운 희망발견하기 등이다. 안동대 재학생이 겪는 일상생활의 핵심주제는 ‘일상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생활세계의 현상을 재해석하여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 가는 적응력’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일상생활의 현상이 지니는 사회과학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은 르페브르(Lefebre)가 주장하는 또 다른 생동적임(the lived), 계기(moments)가 될 수 있다. 둘째, 안동지역대학생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유교, 식민지 독립운동, 사회주의, 자본주의는 미래의 세계화 속의 민족주체성과 민족공동체회복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셋째, 안동대학재학생들은 하이데거가 주장하는 세계-내-존재로서 실존의 폭을 세계로 확대하며 생활하고, 가다머의 주장대로 생활세계의 지평융합(Verschmelzungshorizont)을 확대함과 동시에, 프랑클이 주장하는 삶의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서 일상생활을 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contents of every day life of university student? 2. What is university student’s alternation, significant other and adaptation strategy? 3. What is social science’s implication? Every day life of Andong National university student is to live his everyday life adapting university activities and concluding his post mortem life. University student’s significant others are family, friends and partner with whom he correspond with self-value in information age. His adaptation strategy is to prepare job, to make his self-identity, to find local culture, and to find new hope. Core phenomenon subject in every day life of university student can be summed up as’ adaptability to live his life independently sustaining his every day life and reinterpreting various everyday life phenomena. Social scientific implication of everyday life phenomena is as followings. 1. Various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are Lefebre’s the lived and moments. 2. Confucianism, independence movement in colony age, socialism, capitalism Andong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in everyday life are the clue of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 unification in the future. 3. Andong university students live their life by enlarging width of world-in-existence into the world as Heidegger, enlarging horizon fusion(Verschmelzungs-horizont) of everyday life as Gadamer, and reinterpreting life’s implication as Frankl.

      • KCI등재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의 잠재유형 분석을 통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 및 지원 요구 탐색

        민자영(ja young min),김기룡(Ki Ryong Kim),황지현(Ju Hyun Hwang),주영하(Young-Ha Ju)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4 한국장애인복지학 Vol.63 No.-

        이 연구에서는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을 잠재유형으로 분류하고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 방법으로 중고령(40세 이상) 발달장애인과 청장년(40세 미만) 발달장애인의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에 대한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 잠재유형은 ‘높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53.3%)’, ‘낮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46.7%)’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청장년 발달장애인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 잠재유형은 ‘높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38.1%)’, ‘낮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33.1%)’, ‘중간 일상생활 능력 유형(28.8%)’으로 분류되었다. 중고령 발달장애인은 청장년 발달장애인보다 ‘낮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고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이 낮은 일상생활 능력을 갖고 있는 중고령 발달장애인이 청장년 발달장애인보다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instrumental activies of daily living(IADL) skill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latent types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support need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023 ‘Survey on the Work and Lif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nalyze the latent profile to determine the latent types of IADL of middle-aged and older (over 40 years old) and young (under 40 years ol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tent types of IADL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high daily living ability type (53.3%)’ and ‘low daily living ability type (46.7%).’ Second, the latent types of IADL for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classified into ‘high daily living ability type (38.1%)’, ‘low daily living ability type (33.1%)’, and ‘medium daily living ability type (28.8%)’.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a higher rate of 'low daily living ability type' than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d low IADL showed more skills in daily life than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suggests that you need help.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upport measures for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