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핵심어휘 연구

        김종인 ( Kim Jong-in ),한경임 ( Han Kyung-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유아와 장애유아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핵심어휘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들은 만 3세와 만 5세 일반 유아 90명과 장애유아 8명으로 총 98명이었다.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유치원/어린이집 상황, 지역사회 상황, 가정 상황에서 어휘를 수집하였으며,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어린이집 상황에서 어휘를 수집하였다. 어휘를 수집하기 위한 도구로 보이스레코더(음성녹음기)를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어휘를 전사한 후 빈도와 비율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모두 어떤 상황에서든 사용하는 핵심어휘는 각 유아들이 사용하는 전체 어휘에서 각각 80% 이상으로 나타나 연령, 상황에 상관없이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어휘는 핵심어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유아의 유치원/어린이집 상황, 지역사회 상황, 가정 상황의 세 상황 전체에서 사용하는 핵심어휘는248개이고, 세 상황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핵심어휘는 136개였다. 장애유아가 어리인집 상황에서 사용하는 핵심어휘는 229개였다. 셋째, 품사별로 어휘를 정리해 본 결과 일반유아는 동사, 명사, 대명사, 부사, 조사의 순으로 많이 사용하였지만 장애유아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 조사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모두 고빈도 어휘는 기능어였다. 결론: AAC 중재와 도구 개발에 핵심어휘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유아들이 사용하는 고빈도 핵심어휘는 기능어가 많으므로 향후 AAC 중재와 도구 개발에는 담화 중심의 어휘가 반영되도록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ore vocabulariy of preschool children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ntervention.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90 preschool children aged 3 and 5 years and 8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vocabulary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as collected from the context of kindergarten/day-care center, local community and home. The vocabular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collected in their day-care center. Voice recorder was used and all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Results: First, core vocabulary used by children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were over 80% of total words they used. Second, in cas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three contexts, total core vocabulary was 248 words and the common core vocabulary was 136 words. In ca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re vocabulary was 229 words in day-care center. Third, in cas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high frequency core vocabulary was verb-noun-pronoun-adverb-postposition but in ca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was noun-verb-adjective-adverb-interjection-postpositio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core vocabulary for AAC intervention. Because high frequency core vocabulary include function word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function words based on conversation for AAC intervention.

      • KCI등재후보

        분야별 일반어휘, 학문어휘 및 기타어휘 비율 비교 분석 - 경영학, 생물학, 영어교육학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정소우 ( Chung So-woo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硏究 Vol.36 No.-

        이 논문은 한국어모국어자와 영어모국어자가 영어로 작성한 경영학, 생물학, 영어교육학 연구 논문에 나타난 일반어휘, 학문어휘 및 기타어휘의 사용양상을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모국어자가 영어로 작성한 경영학 논문 60편, 영어교육학 논문 60편과 영어모국어자가 영어로 작성한 경영한 논문 60편, 영어교육학 논문 60편에 사용된 일반어휘, 학문어휘, 기타어휘의 사용 양상을 살펴본다. 또한 이 240개 논문에서 추출된 어휘 사용 양상을 정소우의 생물학 영어 논문 어휘 분석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영어로 작성된 논문에 사용된 일반어휘, 학문어휘, 기타어휘 사용 비율은 저자의 모국어보다는 학문분야와 더 큰 연관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료별로 사용된 일반어휘 수와 학문어휘 수의 합이 전체 어휘 대비 90%를 넘는 자료는 하나도 없었다. 그러므로 에이브럴 콕스헤드와 마이클 스텁스 등의 학자들이 제안하듯이 대학교재나 연구 논문을 편하게 읽기 위해 필요한 90% 이상의 어휘 지식을 갖추기 위해서는 일반어휘와 학문어휘에 속하지 않는 기타어휘를 어휘 학습 목록에 추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총어휘 대비 일반어휘와 학문어휘의 사용 비율이 약 86% 정도에 가까웠던 경영학 논문 자료와 영어교육 논문 자료에 비하여, 생물학 논문 자료에서는 그 비율이 약 67% ~ 74%에 불과하여, 학습 어휘 목록이 전공별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se patterns of West(1953)`s General Service words and Coxhead(2000)`s Academic words in research papers on Business Administration, Biology, and English Education, written in English by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ext coverages of the General Service List words in research papers on Business Administration, Biology, and English education by Korean native speakers were about 73.43%, 59.78%, and 75.84%, respectively, while those by English native speakers were around 70.35%,, 64.38%, and 75.93%, respectively. They revealed that the text coverage ratios of Academic words in research papers on Business Administration, Biology, and English education by Koreans were about 13.82%, 8.46%, and 11.47%, respectively, while those by English native speakers were some 13.50%, 9.56%, and 11.25%,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text coverages of the GSL words and AWL words in research papers are more related with the researchers` fields of study rather than their mother tongues. They also implied that Coxhead`s AWL might be more useful for students and professionals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an for those of Biology or English Education.

      • KCI등재

        코퍼스를 이용한 루마니아어 기초어휘의 의미망 구축과 활용 방안 연구

        엄태현(Tae Hyun Ou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0 No.1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루마니아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계량적 연구를 통해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이를 통해 얻어진 기초어휘들의 의미망 구성 및 의미 기술방법을 연구하여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휘는 핵심 부분인 ‘기초어휘’와 그 외의 ‘일반어휘’로 나누어질 수 있다 각 언어별로 기초어휘를 규정하는 기준은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빈도수, 역사성 등에서 대부분 비슷한 특정을 보이고 있다 기초어휘를 연구하는 장점 가운데 하나는 ‘어휘’라는 요소가 유동성이 크기 때문에 그 본질을 파악하기 어려운 면이 있는데, 기초어휘는 높은 빈도수와 장고한 역사를 가진 어휘의 핵심부분으로써 어휘의 본질적인 측면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다. 루마니아에서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는 이미 19세기 중반에 시작되 었으며 20세기 중반에는 그 구체적인 목록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이 목록이 만들어질 당시의 연구방법에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빈도 수 확인 작업이 생략되어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서 발전한 컴퓨터를 이용한 대용량 자료처리 기술의 도움으로 기초어휘를 조사하기 위하여 코퍼스 분석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의 기초어휘 목록과 비교 분석하여 그 목록을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기초어휘 목록에서 활용도가 높은 어휘를 대상으로 어휘의 의미망을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어휘 의미망 구축의 방법으로는 어휘 의미를 구성하는 가지는 두 가지 큰 축이라고 할 수 있는,계열적 의미와 통합적 의미를 중심으로 의미를 분석하고 기술하는 방안을 찾아보았다. 계열적인 의미에서는 상-하위어 관계, 반의어 관계,유의어 관계, 동일 외연관계를 살펴보았고 통합적인의미에서는 어휘가 담화내에서 사용될 때 맺어지는 연어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초어휘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어휘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하이퍼링크(hyperlink)와 의미적 클러스터(semantic cluster) 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제안 하였다. 기초어휘의 수는 적지만 그 중요성은 일반어휘에 비해서 대단히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 런 점은 외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부분인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기초어휘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다의성은 그 어휘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데 장벽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establishing Romanian basic vocabulary and designing semantic network of this vocabulary for preparing educational materials of Romanian as a foreign language. Generally, vocabulary of a language is consist of essential part, which is called as 'basic vocabulary' and the rest of the basic vocabulary. Every language has their own criteria of stipulating the basic vocabulary and try to research this part of vocabulary in diverse ways. Basic words usually have long history, stabilized status and high frequency. So one of the most important advantages of researching this basic vocabulary is the that basic vocabulary can reveal a clear and substantial physiognomy of lexical aspects of a language which is hard to be shown due to the flexibility of a vocabulary.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Romanian basic vocabulary is high percent of Latin origin words. Researches on basic vocabulary of Romanian language begun at the middle of 19th century and at the middle of 20th century a concrete list of basic vocabulary has been completed. But when the word list was completed researches on frequencies based on corpus data -which is very important work in confirming the word status as a basic vocabulary- were omitted. So in this research I tried to compare the ready made basic vocabulary list of 20 th century with a new list of vocabulary sorted by the frequency of words by using computer based analysis on corpus. I revised and reconstructed the list by adding some high frequency rate words with important meanings. Even if the number of words listed in basic vocabulary is small, the importance of these words could not be ignored. So concentration on basic words in learning vocabulary could be considered as a very efficient way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Especially this will be useful for a language like Romanian which is not used on international level. Not being an international language means barriers in contacts with the language. For this purpose in this research, I tried to design and find out the way of describing the systematic meanings of basic vocabulary. For this I used the concepts of meanings which could be explained in two axes of relation: syntagmatic relation and syntactic relation. In syntagmatic relation I tried to explain ways of describing in parts like hypernym-hyponym, antonym, synonym, same category of extension, from syntactic relation I tried to explain the collocational relations from a discours. Finally, I tried to make suggestions of this data useful for making language education material.

      • KCI등재

        ‘누구의’ 심리어휘부인가

        안소진(An So jin)(安昭珍) 형태론 2017 형태론 Vol.19 No.2

        심리어휘부는 실제 기억의 장소로 상정된다. 심리어휘부를 실재하는 어휘부로 상정하면 ‘이는 누구의 어휘부인가, 어떤 방식으로 심리어휘부에 대한 일반적인 진술을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본고는 개인들의 특징을 관찰한 뒤 이를 바탕으로 개인이 속한 모집단의 특징을 말하는 방식, 통계적 절차를 따른 추론의 결과로써 어휘부에 대해 논의하는 방식이 심리어휘부 연구의 자료와 방법론으로 유용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표본의 적절성이 통계적 일반화의 타당성을 결정하기 때문에 심리어휘부 연구에서도 연구 목적에 따른 대표성 있는 표본 구성이 중요하지만, 설명적 연구이자 현재로서는 일종의 탐색적 연구인 심리어휘부 연구에서는 비확률표집도 잠정적으로 활용 가능하다고 보았다. Two central issues surrounding mental lexicon are the questions of what an appropriate data collecting procedure is and how the features of mental lexicon ought to be revealed. An inductive generalization that proceeds from sample data from individuals to a conclusion about the mental lexicon is suggested as an effective measure which can reveal the features of mental lexicon. Non-probability sampling approaches can be used for mental lexicon research as exploratory research even though they are subject to a high risk of selection bias.

      • KCI등재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실태와 체계화 방안 -고용허가제하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김명광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0 No.-

        I suggest how to build up an efficient vocabularies' education system for foreign workers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who should learn vocabularies related to basic living life, general job duties, and special job functions, etc within very short period. In chapter 2, This paper critically looks at how the language education of foreign workers under the existing EPS is currently implemented. The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under EPS consists of education centered on public institutions and TOPIK education centers. Education centered on public institution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education prior to enter korea, one post to enter korea, and training education by foreign workforce assistance.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the content of the prior education is similar to that of post on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vel of vocabular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nd in terms of related statutes, process of complaints of grievances, occupational safety and basic job functions, the difficulty of them is raised suddenly that make the deterioration of education of it. Vocabularies education on Education Learning is comprised of priv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or self-paced learning. Vocabularies' education of EPS-TOPIK is implemented byPriv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or self-paced learning. The test provides a reference that learners can learn what to study as much as how much they study that meas, the feature of wash-back effect.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of it. the first, while the level of TOPIK is the level of threshold, the content requires higher levels of quality and higherquality, The second, in the case of standard textbooks, job tasks of the general or the specific to their workplace are comprised of too high a vocabularies. The third, although the distinction between the general test and the special tests should be differentiated, there are many similarities. The fourth, considering the length of time for a test period of approximately 1-3 months, there is a great deal to be learned. Section 3 discusses vocabulary courses that need to be learn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is paper systemically plan educational processes for foreign workers with limited time, with the similar to methodologies to formulate a plan to provide effective vocabularies's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with limited time limits. 이 글은 현행 고용허가제 하 외국인 근로자들의 어휘 교육의 실 태와 문제점을 살펴본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들은 단기간에 ‘기초 생활과 일반 직무 그리고 특수 직무’ 등과 관련된 어휘를 공부해야 하는 특수성 을 갖고 있어서 효율적이고도 체계적인 어휘 교육이 필요하다. 2절에서 는 기존 고용허가제 하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어휘 교육이 현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현행 고용허가제 하 외국인 근로자 교육은 공공 기관 중심의 교육과 EPS-TOPIK 중심의 교 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 중심의 어휘 교육의 경우 입국 전 사전 취 업 교육, 입국 후 취업 교육, 사후 외국인력 지원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 다. 그런데 ‘입국 전, 입국 후’ 취업 교육이 그 내용과 수준에 있어서 유 사하며, 각 단계별 어휘 교육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채 어휘 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관계법령, 고충상담절차, 산업안전보건, 기초기능’ 등의 용어의 경우 난이도가 갑자기 높아져서 학습자들의 학습 부담이 가중될 염려가 있다. 다음에 현행 EPS-TOPIK 중심의 어휘 교육에도 문 제가 있는데, 우선 EPS-TOPIK의 수준이 초급이지만 그 내용이 중 ․고급 이상의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 표준교재의 경우도 일반 직무, 특수 직무 관련 내용이 지나치게 높은 어휘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 일반 시험 과 특별 시험의 차별화되어야 하지만 그 내용이 유사하다는 점, 그리고 대략 1-3개월 정도의 시험 대비 교육 기간을 고려해볼 때, 그 학습량이 매우 많다는 점 등이 있다. 3절에서는 짧은 시간 많은 어휘를 학습해야 하는 어휘 교육 방안을 논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근로자들 에 대한 어휘 교육의 효율성과 체계화가 필요한데, 이 절을 통하여 그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코퍼스를 이용한 루마니아어 기초어휘의 의미망 구축과 활용 방안 연구

        엄태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establishing Romanian basic vocabulary and designing semantic network of this vocabulary for preparing educational materials of Romanian as a foreign language. Generally, vocabulary of a language is consist of essential part, which is called as ‘basic vocabulary’ and the rest of the basic vocabulary. Every language has their own criteria of stipulating the basic vocabulary and try to research this part of vocabulary in diverse ways. Basic words usually have long history, stabilized status and high frequency. So one of the most important advantages of researching this basic vocabulary is the that basic vocabulary can reveal a clear and substantial physiognomy of lexical aspects of a language which is hard to be shown due to the flexibility of a vocabulary.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Romanian basic vocabulary is high percent of Latin origin words. Researches on basic vocabulary of Romanian language begun at the middle of 19th century and at the middle of 20th century a concrete list of basic vocabulary has been completed. But when the word list was completed researches on frequencies based on corpus data -which is very important work in confirming the word status as a basic vocabulary- were omitted. So in this research I tried to compare the ready made basic vocabulary list of 20 th century with a new list of vocabulary sorted by the frequency of words by using computer based analysis on corpus. I revised and reconstructed the list by adding some high frequency rate words with important meanings. Even if the number of words listed in basic vocabulary is small, the importance of these words could not be ignored. So concentration on basic words in learning vocabulary could be considered as a very efficient way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Especially this will be useful for a language like Romanian which is not used on international level. Not being an international language means barriers in contacts with the language. For this purpose in this research, I tried to design and find out the way of describing the systematic meanings of basic vocabulary. For this I used the concepts of meanings which could be explained in two axes of relation: syntagmatic relation and syntactic relation. In syntagmatic relation I tried to explain ways of describing in parts like hypernym-hyponym, antonym, synonym, same category of extension, from syntactic relation I tried to explain the collocational relations from a discours. Finally, I tried to make suggestions of this data useful for making language education material.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루마니아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계량적 연구를 통해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이를 통해 얻어진 기초어휘들의 의미망 구성 및 의미 기술방법을 연구하여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휘는 핵심 부분인 ‘기초어휘’와 그 외의 ‘일반어휘’로 나누어질 수 있다. 각 언어별로 기초어휘를 규정하는 기준은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빈도수, 역사성 등에서 대부분 비슷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기초어휘를 연구하는 장점 가운데 하나는 ‘어휘’라는 요소가 유동성이 크기 때문에 그 본질을 파악하기 어려운 면이 있는데, 기초어휘는 높은 빈도수와 장고한 역사를 가진 어휘의 핵심부분으로써 어휘의 본질적인 측면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다. 루마니아에서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는 이미 19세기 중반에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중반에는 그 구체적인 목록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이 목록이 만들어질 당시의 연구방법에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빈도수 확인 작업이 생략되어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서 발전한 컴퓨터를 이용한 대용량 자료처리 기술의 도움으로 기초어휘를 조사하기 위하여 코퍼스 분석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의 기초어휘 목록과 비교 분석하여 그 목록을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기초어휘 목록에서 활용도가 높은 어휘를 대상으로 어휘의 의미망을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어휘 의미망 구축의 방법으로는 어휘 의미를 구성하는 가지는 두 가지 큰 축이라고 할 수 있는, 계열적 의미와 통합적 의미를 중심으로 의미를 분석하고 기술하는 방안을 찾아보았다. 계열적인 의미에서는 상-하위어 관계, 반의어 관계, 유의어 관계, 동일 외연관계를 살펴보았고 통합적인의미에서는 어휘가 담화내에서 사용될 때 맺어지는 연어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초어휘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어휘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하이퍼링크(hyperlink)와 의미적 클러스터(semantic cluster)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제안 하였다. 기초어휘의 수는 적지만 그 중요성은 일반어휘에 비해서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점은 외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부분인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기초어휘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다의성은 그 어휘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데 장벽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KCI등재

        그림이름대기 과제와 자발화분석에서의 어휘다양도 분석을 통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명사 및 동사 표현어휘력 비교

        윤지연,장한영,박성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연령 5세인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명사 및 동사 표현어휘력을 비교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두 아동그룹의 그림이름대기 과제 수행능력과 자발화 자료를 통한 어휘다양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이름대기 과제를 통한 명사및 동사 표현어휘력은 일반아동이 지적장애아동보다 명사와 동사 모두에서 유의미하게높게 나타났다. 자발화자료 분석을 통한 어휘다양도는 전체 낱말수(NTW)의 경우 명사에서는 두 그룹의 차이가 유의미 하지 않았지만 동사에서 지적장애아동보다 일반아동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고, 다른 낱말수(NDW)의 경우 명사와 동사 모두에서 지적장애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하여 유의미 하게 적은 다른 낱말수(NDW)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적장애 아동들이 명사보다는 동사 표현에 어려움을 보임을 알 수 있어 이들의 표현어휘력 발달을 위해서는 어휘의 품사를 고려하여 교육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noun and verb expressiveness ofnormal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languageage of 5 by assessing their lexical variation levels through the picture namingtasks and the variety of vocabular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experiments, thevocabulary expressiveness of regular children found in the picture naming taskswere significantly higher both in noun and verb than those of children withintellectual disability. The variety of vocabulary were examined herein to comparethe two groups’ lexical vari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otal Words(NTW) of nou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utthe NTW of verbs in the regular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comparisonof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NDW) found the normal developing children groupshowed higher results in both noun and verb than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disability. This research findings indicate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presentverbs together with nouns in language arbitra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disability for education of diverse vocabulary expressivenes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들의 적정 어휘학습량에 대한 일고

        김명광 ( Kim Myoung-kwang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69

        이 글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효율적으로 어휘를 학습하기 위하여 필요한 학습 어휘량에 대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데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어휘는 최소 40,000이어서 5년간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 어휘를 전부 학습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끔 어휘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 수학 능력에 필요한 학습 어휘 선정의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적용 차원의 어휘군과 커버율의 개념을 도입한다. 또한 적용 차원의 어휘군은 고빈도 어휘, 학문 어휘, 전문 어휘로 나누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텍스트 내점유 커버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음을 증거한다. 유창성을 담보로 하는 읽기와 듣기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커버율은 약 98-99%이며 이러한 커버율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어휘의 질적 수준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대략 80%의 고빈도 어휘를 학습한 다음, 빈도순위에 따라 어휘를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약 10%의 커버율을 가지는 학문 어휘(일반 교양 차원 또는 계열 차원의 어휘)로 학습을 전환해야 하며, 다음에 대략 5%를 점유하는 전공 수업에 필요한 전문 어휘를, 그리고 4%의 특정 전공분야에만 자주 출현하는 고유 어휘를 학습해야 한다. 아울러 이 글에서는 이러한 학문 어휘와 전문 어휘를 선정하기 위한 절차를 제안하는 데, 학문 어휘의 경우 각 계열 수준의 개론서 중심 말뭉치를, 전문 어휘의 경우도 전공 별 말뭉치를 기반으로 어휘를 선정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selecting educational vocabularies for foreign students. It is impossible for foreign students to study all the L2 vocabularies in a short period of 5 years. This circumstance allows the following consideration to the quality of vocabularies: Using this approach,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among all the L2 vocabular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discusses the coverage and classification of in the dimension of application. The lemas in the dimension of application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high-frequency, academic, and major vocabularies. Subsequently, this study discusses the coverage of the specified vocabularies. The rate of coverage with which students fluently understand the text or the discourse in reading and speaking differs for each scholar. However, the level of rate of coverage for foreign learners to reach fluency is approximately 98-99%. Therefore, foreign learners should learn high-frequency vocabularies to occupy 80% coverage; major ones to occupy 5%; and the last, proper vocabularies to cover 4%. The sum of all the above is 99%.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procedure for selecting academic and major vocabularies adapted to the foreign learner. For academic ones, the corpus in a level of majority field should be extracted considering the coverage and frequency. On the other hand, for major vocabularies, the corpus should be accumulated by the specific vocabularies extracted from the text on which the foreign learners major in, considering the coverage and frequency similar to the academic ones.

      • KCI등재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학습부진아동 어휘지도 경험

        강옥려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vocabulary instruction for underachievers targeting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10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Teachers had experiences teaching underachievers within the last 3 years and teaching experiences varied from 4 years and 6 months to 21 years and 10 month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non-face-to face using phone or ZOOM due to COVID-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ased on the six steps suggested by Cloaizzi(1978) as an analysis method for phenomenological study in qualitative research. Triangular validation, member checking, and peer examination were used to increase the rigor(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meaning of vocabulary instruction as ‘practical use of vocabulary’. This includes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for subject learning, grasping meaning, contextual understanding, vocabulary expression, spelling, vocabulary expansion, and reading books.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instruction was recognized as pre-preparation for subject learning, comprehension of content, and age-appropriate vocabulary expression. When teaching vocabulary, teachers focused on the meaning of vocabulary, use of vocabulary, and communication. Second, vocabulary instructions mainly used by teachers were found to b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inferring vocabulary using context, knowing the meaning of vocabulary through reading books, and semantic mapping. Third,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figuring out children's level and diagnosing problems, operating the curriculum, teachers' own competence, maintaining learning and low motivation of underachievers in vocabulary instruction. Fourth, for effective vocabulary instruction, teachers' enthusiasm, interesting teaching methods, teachers' own efforts to select books suitable for the underachievers' level, presentation and reorganization of materials in the curriculum, and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vocabulary instruction were presented.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학습부진아동을 위한 어휘지도에 대한 실제를 알아보았 다. 연구참여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일반교사 10명이었다. 교사들은 최근 3년 이내에 학습 부진아동을 가르쳐 본 경험이 있었고 교직경력 면에서는 4년 6개월에서 21년 10개월까지 다양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로 심층면담을 사용하였고 면담은 COVID-19로 인하여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으며 전화 혹은 ZOOM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질적 연구의 현상적 연구의 한 분석방법으로 Colaizzi(1978)가 제안한 6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삼각검증법, 참여자 확인법, 동료검토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이 생각한 어휘지도의 의미는 공통적으로 ‘어휘의 실제적인 사용’으로 나타났고, 이에는 교과학습을 위한 배경지식의 활성화, 의미 파악, 맥락적 이해, 어휘 표현, 맞춤법, 어휘 확장, 책 읽기 등이 포함되었다. 교사들은 어휘지도의 중요성으로 교과학습을 위한 사전준비, 내용의 이해, 연령에 맞는 어휘 표현으로 보았고, 중점 영역으로는 단어의 뜻, 낱말의 사용, 의사소통에 두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교사들이 주로 사용하는 어휘지도 방법에는 단어 뜻 알기, 문맥을 사용한 단어 유추, 책 읽 기를 통한 단어 뜻 알기, 의미지도가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어휘지도를 하면서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 교사 자신의 역량에 대한 고민, 학습부진아동의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효과적인 어휘지도를 위해서는 교사의 열정과 의지, 흥미를 유발하는 교수법, 아동 수준에 맞는 책 선 정 등에 대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과 교육과정 내 자료 제시 및 재구성, 교과 간 통합의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한 후 어휘지도에 대한 제언을 하였고, 또한 연구의 제한점 과 함께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 《齊民要術》的詞彙硏究

        유 결(LiuJie)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논총 Vol.32 No.-

        본 문장은 古時期的農書《齊民要術》를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본서의 어휘에 대해 간단한 개괄적 묘사와 분석을 하였다. 《齊民要術》의 어휘구성은 기본 어휘와 일반 어휘 및 농업특색의 농업어휘를 포함하고 있다. 본 문장은 기본 어휘와 일반어휘의 묘사와 분석을 통해 《齊 民要術》의 어휘 특징 연구와 中古時期의 어휘 현상을 살펴본다. 우리는 《齊民要術》의 어휘를 비교적 계통적이고 개괄적 분석을 통해 漢語 어휘사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By taking Qi Min Yao Shu(齊民要術) as its object, this dissertation describes and analyzes the vocabulary of ‘Yao Shu(要術)’ with a light to reveal the aspect of ‘Yao Shu’’s vocabulary. We describes the basic vocabulary and common words of ‘Yao Shu’, and studies the new words and the agriculture words of ‘Yao Shu’. Though this article We attempts to provide some help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f Chinese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