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士小節』에 나타난 부모인성덕목에 대한 현대적 해석

        주영애(Young-Ae Ju)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9

        본 연구는 부모가 갖추고 있어야 하는 인성덕목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사소절〉 을 통해서 논의해 보았다.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연구문제로 진행되었다. 조선 후기 규범서인 이덕무의 『사소절』에 나타난 부모인성 덕목은 어떠한 내용인가? 부모인성은 어떠한 현대적 의미를 갖고 있는가? 연구결과 아버지의 인성은 ‘안정과 온화함’, ‘신뢰와 절제’, ‘이해와 배려’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인성은 ‘공순과 화순’, ‘책임’, ‘이해와 배려’로 나타났다. 이 내용의 현대적 의의는, 첫째, 부모인성덕목은 보고 배우는 학습을 통해서 계승된다. 둘째, 언행을 통해서 표현된다. 셋째, 가족윤리로 강조된다. 넷째 오늘날 인성교육진흥법에 포함되어 있는 인성핵심덕목과 연계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녀인성교육에 앞서서 부모인성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며, 부모들은 다음 세대를 위한 인성교육을 위해서도 스스로의 인성을 함양하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 This study discusses about virtues and character of good parents for the rearing of children through the 〈Sasojeol〉 written by Lee, Deok-Moo treating traditional education in late Chosun Dynasty. The study is conducted by answering the two questions for inquiry. First, what is the virtues and character of parents discussed in 〈Sasojeol〉 ? Second, what is the modern meaning of character of the parents? Fathers character is expressed as stability and warmth, trust and moderation and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And Mothers character includes politeness and harmony, responsibility and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These results present three important implications from a modern perspective. First, children inherit character and virtues of parents through visual learning. Second, character and virtues of parents are expressed as language and behavior. Third, it is emphasized as ethics of family. Fourth, it is closely linked to the core virtues of character with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Therefore, parents need to do self-reflection and effort to improve their own characters for character education of next generation.

      • 공동체적 인성과 인성치유에 관한 연구

        정용구(Yong koo Jung) 한국인성치유학회 2017 인성치유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인성치유를 위한 제반적 요소로 개인발달, 타인관계, 공동체적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고 공동체적 인성과 인성치유에 관한 상관성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인성을 가지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을 큰 분류로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로 개인의 발달은 발달시기에 따른 건강한 발달이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의 단계를 거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건강한 관계역동을 발휘하기 위해 부부관계와 같은 애정과 친밀한 대상관계의 확립이 필요하고 부모-자녀와의 관계에서 건강한 양육적 관계역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형제-자매관계를 통해 동료와 사회적 역할과 질서를 배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로 공동체적 의식이 필요하다. 공동체적 의식은 질서와 배려, 존중의식이 함께 연계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동체 인성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가족공동체 안에서의 원만하고 균형 있는 개인발달, 타인관계, 공동체의식이 성장할 때 사회공동체로서 확장, 실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 필요한 연구과제로는 공동체적 인성을 발전,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활용이 요구되어진다고 하겠다. 또한 각 발달시기에 맞는 인성적 요소를 발굴하고 모형을 개발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 상담 그리고 치유장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공동체 훈련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conduct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al personality and personality therap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veral elements for personality therapy are personal development,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communal mindset. We looked through the three necessary conditions for having healthy personality. First of all, an individual’s development has to be achieved by going through the stages of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to make sound development according to proper developmental stages. Second, confirmation of intimate object relation like marital relationship and healthy nurturing relationship dynami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re needed to display healthy relationship dynamic in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Also, it is presumed that fellowship, proper social roles and order can be learned through relationship with siblings. Thirdly, communal attitude is required. Communal mindset is a concept of order, consideration and respect connected together. When harmonious and balanced personal development,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communal awareness within familial community are developed, a social community would be extended and achieved to practice communal personality through this awareness. Thus, as a research task in the futur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helps communal personality to grow are needed. As well, discovering the proper personality elements for each appropriate developmental stage and developing the applicable model are required. During the process, communal training program which can be approached in educational, counselling and therapeutic scenes also has to be developed.

      • KCI등재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정의의 문제와 대안

        고기홍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학논집 Vol.0 No.8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the definitions of Article 2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to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the definition of Core Values and Virtue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Third, what are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the definition of Core Competencie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of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re ‘① the problem using unclear words, ② the problem of misuse of education purpose and education goal, ③ the problem of missing the definition of character.’ And the alternatives are ‘① added definition of character, ② re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the problems of definition of Core Values and Virtue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re ‘① the problem of defining the education ideology as the education goal, ② the problem of the inappropriate education goal in the form of the values and virtue, ③ the problem of injecting external values, ④ the problem using unclear words.’ And the alternative is to delete the definition of Core Values and Virtue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Third, the problems of definition of Core Competencies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re ‘① the problem using 2 items to define education goals, ② the problem of complex sentence, ③ the problem using unclear words.’ And the alternative is to delete the definition of Core Competencie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정의의 문제와 대안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정의의 제1호 인성교육 정의의 문제는 무엇인가? 제기된 문제에 대한 대안은 무엇인가? 둘째,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정의의 제2호 핵심 가치덕목 정의의 문제는 무엇인가? 제기된 문제에 대한 대안은 무엇인가? 셋째,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정의의 제3호 핵심 역량 정의의 문제는 무엇인가? 제기된 문제에 대한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제1호 인성교육 정의의 문제는 ① 불명확한 용어의 사용으로 인해 내용이 불명확한 문제, ②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는 문제, ③ 인성에 대한 정의를 누락한 문제의 세 가지 문제이다. 그리고 제기된 세 가지 문제에 대한 대안은 ①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정의에 인성 정의 항목 추가와 법 개정 추진, ②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정의의 제1호 인성교육 정의 문장 재구성과 법 개정 추진의 두 가지 대안이다.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제2호 핵심 가치덕목 정의의 문제는 ① 하위 교육이념을 교육목표라고 규정한 문제, ② 8개의 가치덕목 형태로 기술된 부적합한 교육목표 문제, ③ 외재적 가치주입 문제, ④ 불명확한 용어의 사용으로 인해 내용이 불명확한 문제의 네 가지 문제이다. 그리고 제기된 네 가지 문제에 대한 대안은 제2호 핵심 가치덕목 정의의 항목 자체를 삭제하는 대안이다.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 제3호 핵심 역량 정의의 문제는 ① 교육목표 정의에 2개 항목을 할애하는 문제, ② 복문 구조 그리고 이로 인한 다중의미 발생 문제, ③ 불명확한 용어 그리고 수식어나 수식어구 사용으로 이해 어려운 문장 문제의 세 가지 문제이다. 그리고 제기된 세 가지 문제에 대한 대안은 제3호 핵심 역량 정의의 항목 자체를 삭제하는 대안이다.

      • KCI등재

        인성인재 선발을 위한 인성평가모형 개발

        류영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인성평가모형 개발을 통해 새롭게 제정·발효된 인성교육진흥법에 의해 구성되는 초·중등학교에서 인성교육과정의 개발 및 인성교육 평가지표 구성에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대학교와 특수목적고교 등에서 인성인재 선발을 위한 인성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인성중심의 인재 선발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했다. 이를 위한 4단계의 평가모형 타당화 확보 절차는 첫째, 전문가 협의회와 교사위촉사정관의 간담회를 통한 브레인스토밍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성평가요소 및 평가상황, 평가문항을 도출했다. 둘째, 고교 교사 자문단의 서면자문을 통해 인성평가요소 및 평가상황, 평가문항에 대해 정리했다. 셋째,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고교 교육과정에서 중요시되는 인성평가요소와 대학인재상 및 학생부에 기반한 인성평가요소를 분석하고, 각 평가상황의 의의, 장단점 및 효율성을 분석했다. 넷째,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통합적으로 평가요소와 평가상황을 설정하고 면접 평가문항, 평가영역, 평가비율을 최종 확정하여 인성평가모형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인성평가모형에서의 인성은 주체성, 공동체성, 전체성으로 개념적 정의를 했다. 둘째, 인성평가모형은 다단계 평가모형으로 봉사활동, 협동활동, 그룹면접, 개별면접의 순서로 구성되었다. 셋째, 그룹면접의 평가내용은 주체성영역의 책임감, 자기주도성, 공동체성 영역의 나눔, 배려, 협력, 갈등관리, 전체성 영역의 가치관, 보편원리 이해, 타인존중, 관계지향성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개별면접의 평가내용은 문제해결력, 전공적합성, 서류내용의 진실성 및 가치로 구성되었다. This study developed a personality evaluation model for human nature central student selection, etc.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was conducted in the aim of ensuring the validity of personality centered student selection. Therefore the four-step procedure, first, the situation of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pert council and teachers commissioned appraiser brainstorming through the meeting with leading research and personality evaluation element evaluation, was to derive the evaluation questions. Second, the situation of evaluation and personality evaluation elements through an advisory written of a high school teacher advisory committee, was consulted for the evaluation questions. Third, by analyzing the personality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personality evaluation elements and university human resources image and the student section, which is important in high 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expert council, the significance of each evaluation situation,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we have to analyze the efficiency. Fourth, set the evaluation sulfur and integrated assessment element through the expert council, and the interview evaluation question by finalized developed a personality eval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oughness in personality evaluation model is independence, community property, a conceptual definition to integrity death. Second, personality model, volunteer activities as a multi-level evaluation model, cooperation activities, group interview, made up of individual interview of the order. Third, the evaluation contents of the group interview is the esponsibility of the area of independence, self-leadership, and sharing of community region, to understand compassion, cooperation, conflict management, values of the entire region, the universal principle, respect others, and configured in relation directivity. Fourth,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of the individual interview, problem solving skills, major compatibility, is composed of truth and value of the contents of the document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부모의 인성(人性)교육에 관한 근본적 연구 -유아기의 부모교육을 중심으로-

        김응자 ( Eung Ja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인성의 중요성이 사회 전역에 부각되면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그에 따른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인성교육은 혼재기에 있다.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효과를 지속시키는 요인은 교육의 시기가 빠르면 빠를수록 연령이 어리면 어릴수록 그 효과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이다. 그러므로 인간발달의 기초형성시기인 유아기가 인성교육의 적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유아기는 성인의 행동을 모방하면서 습득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유아기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핵심 요인은 부모이다. 부모는 유아의 모든 발달과 연결되어 있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므로 유아기 인성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인성교육이 필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기발달의 지원자이며 촉진자인 부모의 인성함양을 위한 부모교육에 필요한 요소를 탐색하였다. 또한 부모가 그동안 교육받은 내용을 다시 재구조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우리나라 전통적인 효 사상을 기반으로 한부모 인성교육을 통해 부모를 세운다면 가정이 바로 서고, 자녀 또한 그를 통해 바른 인성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ce of human character become highlighted in our society, then it is expanding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and many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ccordingly. But still character education is mixed period. The earlier the timing of education and the more younger ag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could maximize and continue. The early childhood, time to form the basis of human development, can be seen as right time for character education. But because the child learn from imitating the behavior of adults, the factor which enhanc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he parent. The parent is connected to all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and gives continuous impact on the child, so parent``s character education is essential to enhanc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nd charact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and examine the necessary factors for parent``s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support and facilitate the child``s development. Further, in a way that can help to allow the parent for restructuring already educated contents, the parent could trained by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filial piety in order to build the child``s right character.

      • KCI등재후보

        인성교육의 덕교육적 접근과 실천 원리에 관한 연구

        유병열 ( Byung Yul Y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1

        오늘날 우리 교육에 있어 최대 과제 중의 하나가 바로 인성교육이다. 그러나 인성 및 인성교육이 무엇이며 어떻게 실행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는 혼란스러울 정도로 다양한 견해와 실천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덕ㆍ인격교육적 접근의 이론 토대 위에서 인성은 필요한 덕성들을 조화롭게 길러감으로써 형성, 발달된다는 관점에 기초하여 인성 및 인성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고 바른 인성에 필요한 덕성들을 제시하는 한편 이러한 덕성들과 인성 핵심역량들과의 관계를 체계화 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이와 같은 인성교육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교육적 실천들이 모색되어야 하는지를 또한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에서 다양하게 실행되어 온 초등 인성교육 우수 실천 사례들을 수합, 분석하여 그 현황과 실태를 파악, 시사점을 찾아본 후 이를 고려하는 가운데 앞으로 그 본질에 맞고 제대로 된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어떤 교육 방안 내지 실천 원리들에 의거해야 하는지를 탐구, 제시하고자 하였다. Nowadays, as we know very well, Character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task in our education. But very different views are mixed about meaning of character and the practices of character education. This means that we have not enough theoretical-practical foundation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accepted publically, and also means that we need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approach to the character education. So, in this paper, I wanted to inquire and suggest some desirable theoretical bases and practical ways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 character education in our schools. To achieve this, I have tried to inquire about several things as follows. First, I tried to explain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precisely based on the theory of virtue education approach. Second, for developing systematic character education model as a guide of character education, I discussed and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key competencies of character and virtues. Third, I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of character education that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s and deliberated their meanings and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And finally, based on those inquiries as above, I suggested some practical principles that are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to improve and develop our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기독교대학의 채플이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만오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38 No.-

        최근 대학에서도 인성교육에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인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인성함양에 위한 교육에 집중하는데 노력하고 투자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적인 인성함양을 위한 방안은 부족한 편이다. 그래도 일반적인 인성교육 및 일반적인 인성덕목에 관한 선행연구는 찾을 수 있었으나 기독교인성교육 및 기독교 인성덕목 및 추출에 관한 선행연구는 거의 찾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성경에 기초한 기독교인성이 무엇이고, 기독교 인성의 덕목의 선정과 추출에 대해서 먼저 연구하였고, 이를 토대로 기독교대학의 채플과 기독교인성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그를 위해 백석대학교 재학생 중에서 채플을 수강하는 600명(회수 494부)의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기독교대학의 채플과 기독교인성과의 연관성은 무엇인지, 기독교인성 함양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기타 요인들은 무엇인지, 채플의 만족도와 참여도가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기독교인성과 복음화율과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trend that universities in Korea puts higher interests on character education and puts more emphasis on developing and investing on educational program. Most of them seem to present the need and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however, yet practical ways to improve character education are lacking. Still, literature on general character education and virtues is gotten easy access to find, yet that on character education and virtues specifically on Christianity is hardly found. This study, therefore , researched on what the Christianity is in the Bible and chosen virtues of Christian character, and this led to the study on linkage between Christian chapel in the University of Christianity and Character of Christianity. This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600 (494 collected) undergraduate students of Baekseok University, and then went on to present what the linkage between Christianity chapel and Christian character is, what factor is influencing on Christian character, what other factors are, Whether the contentment and involvement are having impact on Christian character, and what the linkage between Christian character and the percentage of evangelization is.

      • KCI등재후보

        세계전통놀이를 통한 다문화 인성교육 방안

        서정애,서은숙 한국효학회 2015 효학연구 Vol.0 No.22

        본 연구는 다문화 인성 요소를 함양하는 학습방법 중의 하나로 세계 다양한 ‘전통놀이’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인성교육의 가치와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문헌자료를 통해 설명하였고 전통놀이 활동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다문화 인성교육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계 전통놀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속해있는 지역의 전통적 가치를 계승하여 민족 정체성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과 학생들이 타지역의 놀이 문화를 접함으로써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게 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교육적으로 활용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각 민족의 전통놀이를 바탕으로 그 민족의 생활양식, 가치관, 관습 등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면서 교육 현장에서 쉽게 활용 가능한 다문화 인성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예시하였다. 이 예시는 세계 각 국의 전통놀이를 학생들이 현장에서 쉽게 활동할 수 있는 내용으로 재구성하여 바람직한 다문화 인성을 길러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초중등교육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tercultural awareness education is exceedingly needed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where there are frequent social conflicts like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The core of Intercultural awareness education is to cultivate multicultural characters such as cooperation, toleration, respect and solicitude. For the purpose, we believe it is necessary to find diverse teaching learning media. The research suggests traditional games from all over the world as one of the methods to build the multicultural characters. Accordingly, this paper explains the significance on personality education with literature materials and an expected effect of multicultural personality education which can be obtained through the traditional games. The traditional games are of great value for several reasons. Firstly, it can help in establishing a national identity by inheriting the traditional value. Also, people can accept cultural diversities by encountering traditional games from other regions. Finally, the traditional games can contribute to holistic human development of children. Therefore, if we utilize the traditional games into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hich cultivates multicultural characters efficiently, we can resolve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prejudice and alienation, occurr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regard, the research exemplifies a teaching learning guidance plan ofmulticultural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hich respects diverse cultures such as their own lifestyle, values and customs, and also can be practical in a classroom.

      • ‘자유의 교육학’에 따른 신학교 인성 양성

        한민택(Han, Mintae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0 이성과 신앙 Vol.68 No.-

        La formation humaine dans les séminaires selon une pédagogie de la liberté La formation humaine est devenue aujourd’hui une tâche majeure dans la formation des futurs prêtres. L’Eglise catholique a pris une nouvelle direction pour cette formation humaine en publiant deux documents importants. L’article veut regarder de plus près le contenu de cette nouvelle formation humaine en analysant les deux documents, et proposer une nouvelle direction dans la formation sacerdotale en vue de leur réception critique dans le contexte coréen, sous le signe d’une “Pédagogie de la Liberté”. D’abord, l’article analyse l’exhortation apostolique du Pape Jean-Paul II, Pastores Dabo Vobis(1992), surtout son enseignement sur la formation humaine comme “fondement” de toutes les autres dimensions de la formation sacerdotale. Il regarde ensuite comment le document récent de la Congrégation pour le Clergé, Le don de la vocation presbytérale(2016), traite de la formation humaine dans la perspective de l’“intégration”. Néanmoins, la réalisation de cet idéal de formation humaine dans la situation de la Corée reste une question ouverte. Dans notre situation où les séminaristes restent souvent très passifs dans la vie au séminaire et qu’ils ont des difficultés à se manifester dans leur formation, vouloir qu’ils vivent comme sujet de leur formation selon les deux documents apparaît une attente trop idéale. Inspiré d’Une Pédagogie de la Liberté, livret fourni par la Compagnie des Prêtres de Saint-Sulpice (Province de France) sous forme de “quatre notes” sur la formation des prêtres, l’article entend chercher une nouvelle direction pour la formation, afin de modifier la situation actuelle de manière à promouvoir l’autonomie des séminaristes et à leur permettre de participer plus activement dans leur formation. Après avoir présenté le but et la méthode de la “pédagogie de la liberté”, l’article souligne qu’il faut un passage “de l’éducation à la formation”, et que cette formation doit devenir un “cheminement vers la liberté intérieure sur le fondement de la personnalité”. Pour un tel changement, l’article souligne encore que sont nécessaires une “rencontre personnelle avec Jésus-Christ” et une “formation des relations intimes et personnelles dans la vie communautaire”. C’est dans la dynamique du discernement et de l’accompagnement que tous ces éléments fonctionneront intégralement pour la formation de la personnalité du séminariste et de sa liberté intérieure. En guise de la conclusion, l’article propose que l’intentionnalité de la “mission” pénètre tout le parcours de la formation. 본 논문은 신학교 인성 양성을 한국적 상황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사제 양성에서 인성 양성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는 오늘, 가톨릭 교회는 근래 들어 두 개의 문헌을 통해 인성 양성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두 문헌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보편교회가 제시하는 인성 양성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것의 한국적 수용을 위한 사제 양성의 새로운 방향을 ‘자유의 교육학’이라는 이름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고 『현대의 사제 양성(Pastores Dabo Vobis)』(1992)에서 제시한 모든 양성 차원의 ‘기초’로서의 인성 양성을 분석한다. 이어서 교황청 성직자성이 반포한 『사제성소의 선물』(2016)에서 인성 양성이 어떻게 ‘통합’의 전망에서 다루어지는지 고찰한다. 그런데 두 문헌이 제시하는 인성 양성의 이상이 어떻게 한국의 현실 안에서 구체화될 것인지는 미지수로 남아 있다. 신학생들이 생활에서 수동적이며 양성에서 자신을 온전히 드러내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 상황에서 그들이 양성의 주체로 살아가기를 바라는 것은 이상주의적 기대로 남는다. 쉴피스회 프랑스 관구에서 출간한 ‘자유의 교육학’에 영감을 얻어,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변화시켜 신학생들이 자율성을 함양하여 양성에 더욱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양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유의 교육학’의 취지와 방법을 제시한 다음, 왜 ‘교육에서 양성으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양성이 ‘인성의 기초 위에서 내적 자유를 향한 여정’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는지 밝힌다. 그러한 방향전환을 위해서 가장 요구되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만남’과 ‘공동체 생활 안에서 인격적 신뢰 관계의 형성’이다. 이 모든 요소가 신학생의 통일된 인격 형성과 내적 자유의 함양에 통합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은 식별과 동반의 역동성 안에서이다. 본고는 결론을 대신하여 ‘선교 지향성’이 양성의 전 과정을 관통할 수 있기를 제안한다.

      • 경찰관의 인성교육 필요성에 관한 연구

        진병동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20 경찰복지연구 Vol.8 No.1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는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급격하고 광범위한 발달로 여러 분야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사회갈등과 이념 사이의 충돌, 물질만 능주의 등 여러 가지 현상으로 사람들은 정신적, 심리적, 육체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 고 있다. 본 논문은 경찰관의 청렴·인성 교육의 필요성은 어느 정도이고, 체계적인 인성교육을 진행하기 위하여 경찰 개개인의 윤리성 아울러 경찰의 전문성 향상의 필요성으로 인해 국민으로부터 신뢰 받는 무장된 경찰활동, 문제 지향적 경찰활동을 요구하는 시대적 환경 에 노여 있는 다양한 사회갈등과 이념 간의 충돌 대내적(본인, 직장상사 동료, 가족), 갈 등적 요소와 대외적(국민, 피해자, 피의자 각종 사건 관련) 대민서비스 관련 고충처리 등 을 해결하기 위해 경찰공무원으로 시작하는 신임순경교육기관에서 체계적인 인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교육프로그램 시스템의 장점을 활용하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인성교육은 특정한 사람을 위한 한정된 교육이 아니라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사 회활동, 가정교육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자질을 함양하는 교육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과 물적·인적 자원을 활용해야 한다. 이 연구는, 물질지향주의 등의 여러 가지 현상으로 인해 경찰공무원으로 시작하는 신 임순경 청렴·인성수업을 통해 자기존중에서 기인하는 경찰관 개개인의 올바른 선택을 위 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청렴, 인성교육과 공직에 대한 가치와 소명의식 함양을 위한 인 성이 바로 선 경찰교육훈련 선진화 방안에 관한 경찰관 청렴, 인성교육훈련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교과목 특화설계로 경찰의 전환기로 삼아 국가 사회의 공공질서와 안녕 을 보장하고 국민의 안전과 생명․재산을 보호 하는 경찰 위상과 인권 경찰로 거듭나기 위 한 인력 증원, 처우개선 향상, 직무 스트레스 감소 등에 대한 생각과 미래 경찰관에 대한 인성교육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포괄적인 방향의 교육이어야 한다. 교육내용 또한 자 신의 이해에서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 환경 등 문제의 창의적인 해결 노력까지 포괄적 인 개념이 되어야 한다. 나아가 경찰공무원, 특히 신임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경찰 직무에 영향력을 미치는 합리적인 방안으로 1. 인성교육의 내실화, 2. 개인별 특성 에 맞는 다양한 수업방법 도입, 3. 봉사활동 참여 등 인성교육 체험활동 확대, 4. 인성교 육을 위한 교수 및 지원 인력 확보를 정책제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 era in which we live now is threatened in various fields with rapid and wide development that is hard to find. Due to various phenomena such as various social conflicts, conflicts between ideologies, and material orientedism, people are gradually becoming out of harmony mentally, psychologically, physically and spiritually. In this thesi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integrity and character of police officers is to some extent, and in order to conduct systematic character education, armed police activities trusted by the people and problem-oriented police activities that are trusted by the people due to the necessity of improving individual police ethics as well as police expertise. Resolving various social conflicts and conflicts between ideologies that are angered by the demanding environment of the times, internal (self, boss, co-workers, family), conflicting elements and external (related to various incidents of the people, victims, suspects) and complaints related to public service In order to conduct systematic character education at newly appointed police officers education institutions starting as police officials, it can be seen that it is worthwhile to utilize the merits of the education program system. In addition, character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education for a specific person, but a quality education that must be comprehensively cultivated for all citizens through social activitie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home education. To this end, various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and methods Should be us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consistent and systematic integrity, personality education, and public service through the integrity and personality class of new police officers who start as police officers due to various phenomena such as material orientation. Integrity for police officers on the plan for advancing police education and training with the right character to cultivate values a n d sense of vocation, and education programs for strengthening character education and training, and special design for curriculum, make it a turning point for the police to ensure public order and well-being of the nation The position of the police to protect the safety, life and property of the people, and the idea of i n creasing manpower, improving treatment, reducing job stress, etc. to become a human rights police officer, and providing personality education for future police officers should be a comprehensive educa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should also be a concept that encompasses one's own understanding, interest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creative efforts to solve global problems such as the environment. Furthermore, as a rational way to devel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police officials, especially new police officials, and to influence police duties, 1. internalize character education, 2. introduce various teaching methods tailor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3.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s a policy suggestion, expansion of experience activities for character education, etc., and 4. securing professors and support personnel for charac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