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의성(李義聲, 1757-1833)의 『청류만록(靑流漫錄)』과 금강산도

        이영수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8

        Lee Ui-seong (李義聲) was a literati artist and son of a concubine who produced paintings of Mt. Geumgang based on Kim Hong-do (金弘道)'s Haesancheop(海山帖) album. Cheongnyu mallok(靑流漫錄) is a record of pleasure trips and events attended by Lee with his close superiors and subordinates while serving as governor of Heupgok County from 1825 to 1830.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nt of Oseonam jemyeongcheop(五仙嵒題名帖), an album of writings contained in Cheongnyu mallok, examining the fact that Lee travelled in person to the Guryongyeon region in Outer Geumgang and to part of the Mt. Seorak range, and on his social relationships. It is also assumed that Oseonam jemyeongcheop contained pictures. The five years for which Lee was governor of Heupgok were an important period during which he not only made his trips to Mt. Geumgang but also established the friendships that formed the basis for his production of Mt. Geumgang paintings. The individuals with whom Lee associated at this time, including Gangwon provincial governors such as Hong Gyeong-mo and Jeong Won-yong, and fellow officials such as Yu Cheol-jo, influenced his painting and functioned as important supporters. Lee Ui-seong's Mt. Geumgang paintings, like several other 19th century Mt. Geumgang painting albums, were based on Kim Hong-do's Haesancheop. But their simplified line drawings, bright and refreshing colors and formal processes and changes reveal literati tastes and can be regarded as a continuation of the literati painting style of 18th century artists such as Lee In-sang and Jeong Su-yeong. Lee Ui-seong's painting style is reflected in the folk painting Gwandong palgyeongdo, by an unknown artist; the relationship between Lee's works and folk paintings therefore presents a subject for future research. 이의성(李義聲)은 서얼가문 출신의 문인화가로서 김홍도(金弘道)의 《해산첩(海山帖)》을 모본으로 한 금강산도를 제작하였다. 『청류만록(靑流漫錄)』은 이의성이 1825년부터 1830년까지 강원도 흡곡현령에 재임하면서 친분을 맺은 상하관료들과의 유람과 행사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청류만록』에 실린 ‘오선암제명첩(五仙嵒題名帖)’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의성이 외금강의 구룡연 지역과 설악산의 일부를 직접 유람한 사실과 교유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첩에 그림이 포함되었을 가능성도 추정해보았다. 이의성이 흡곡현령으로 재임했던 5년간은 그의 일생에서 금강산 유람이 행해진 시기일 뿐 아니라 금강산도 제작의 바탕이 되는 교우관계가 성립된 중요한 시기였다. 이 기간에 교유한 홍경모, 정원용 등의 강원도 관찰사들과 유철조와 같은 동료 관료들은 그의 작품 활동에 중요한 후원자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이의성의 금강산도는 19세기 여러 금강산 화첩들과 마찬가지로 김홍도의 《해산첩》을 모본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단순화된 선묘, 밝고 산뜻한 담채, 형태의 과장과 변형 등을 통해 문인적인 취향을 드러냈으며 이러한 특징은 18세기 이인상, 김윤겸, 정수영 등으로 이어지는 문인 화풍의 계보를 계승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의성의 화풍은 작자미상의 민화 관동팔경도에도 반영된 예가 있어 그의 작품과 민화와의 관계 또한 앞으로의 연구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ἔρχομαι의 이의성에 관한 연구: 요한계시록의 용례를 중심으로

        심우진(Shim Woo Ji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9

        헬라어 단어 ἔρχομαι는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로서, 신약성경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 가운데 하나다(636회). 그런데 ἔρχομαι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의성(二意性)이 그것이다. ἔρχομαι는 ‘오다’를 의미할 수도 있고, ‘가다’를 의미할 수도 있다. 내용적으로는 둘 중에 하나를 의미하지만, 형태적으로는 ἔρχομαι 밖에 없어서 구분할 수가 없다. 결국 성경을 번역할 때 내용을 고려해서 ‘오다’로 번역할 것인지, 또는 ‘가다’로 번역할 것인지를 그때그때 결정해야 한다. 본 논문은 우리말 문법에서 ‘가다’와 ‘오다’의 사용에 관한 기준들을 살펴보았다(이기동 1977, 전수태 1986, 이종열 1998). 또한 영어에 있어서 ‘come’과 ‘go’의 사용에 관한 기준들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우리말과 영어의 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ἔρχομαι가 우리말로 번역된 구체적인 사례 중에서 요한계시록을 선택하여, 36회 등장하는 ἔρχομαι 용례들이 우리말 문법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말 성경에서 수정해야 할 부분들을 몇 군데 발견하였고, 우리말 문법에 부합하면서 내용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제안들을 제시하였다. The greek word of ἔρχομαι is a verb that represents the movement of place. The word is one of the most frequent words in the New Testament(636 times). However, the word is difficult to translate, because it has two meanings which refers ‘come’ or ‘go’. Readers should decide the correct meaning whether it means ‘come’ or ‘go’ according to context. Firstly, I reviewed the criteria regarding the use of the words, ‘gada’ and ‘oda’, in korean grammar. In order to properly translate ἔρχομαι, the translation should be compatible with korean grammar. In addition, this paper also looked at the criteria for the use of ‘come’ and ‘go’ in English. As a result, we could see the different criteria between korean and english. This means that you should not refer to english translation when translating the word ἔρχομαι into korean. The study examined the uses of ἔρχομαι that appeared 36 times in Revelation. As a result, we found a number of expressions to be corrected in korean bibles. Thus, this study suggested some alternative expressions and a effective delivery of the meaning within the korean grammar.

      • KCI등재

        하회 북촌댁 화경당<SUB>和敬堂</SUB>에 전래하는 회화와 지도

        정경숙(鄭京淑),이태호(李泰浩)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1

        안동 화회마을에 있는 화경당에는 학서鶴棲 류이좌柳台佐(1763~1837) 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상당수의 서화유물이 전한다. 본고는 지금까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던 화경당에 전해오는 회화와 지도 유물을 살펴보았다. 이는 중앙정계에 진출한 사대부가에서 어떤 유형의 서화를 즐기고 수장했는지 잘 보여준다. 또한 소장 유물을 통해 당시 사대부 문인들의 교유관계도 엿볼 수 있다. 전해오는 유물은 17세기 산수화 2점을 비롯해 21세기 작가의 작품까지 매우 다양하지만 본고에서는 류이좌와 관련있는 회화 작품과 지도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17세기 이징의 화풍을 구사한 산수도 두 폭은 보존 상태도 좋고 필력도 뛰어났다. 또한 이의성의 작품으로 판단되는 『관동구경』열 폭 병풍 1좌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나아가 진경산수화를 즐겨 그린 정수영의 8폭의 화훼 병풍은 말년작이 없었던 작가의 세계를 조명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회화 이외에 민화풍의 문배도는 중국의 문신 풍습이 지방사대부 계층에서 지속되고 있었음을 잘 보여준다. 또한 도성팔도지도를 비롯한 관서지도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필사본과 판화본으로 제작된 사례를 제시한다. 조선 산천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유람유행의 결과로 사대부들이 팔도전도와 군현지도를 구비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진경에 대한 의식이 널리 퍼졌음을 잘 보여준다. 아직까지 외부에 공개된 적이 없는 이 유물들에 대한 연구가 조선시대 회화사를 더 풍부하게 만드는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Hwakyeongdong at Hwahoe Village in Andong has kept the artifact collection of Ryueajoa. This article examined the paintings and maps, which never have been open to public, to reveal the taste of the literati in Andong. In addition we tri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with the literati lived in Hanyang, the ancient Seoul. The range of artifacts are from 17<SUP>th</SUP> century landscape paintings to Minhwa in 20<SUP>th</SUP> century. This article has studied paintings and maps which might have collected by Ryueajoa. Two landscape paintings showed the painting style of Ankyeon, the well known painter in 15th century and Jeolpa from Myeong in China. It shows that Mr. Ryu had special taste on landscape paintings. Among the collections, we have faced two literati painters, Lee, Eusung and Jeong Sooyoung. Especially Mr. Lee’ work was done for Ryu, Cheoljo, the brother of Mr. Ryu. The ten pieces of screen paintings indicate the last year of Lee, Eusung’s landscape paintings. The literati painter, Jeong also might have visited Mr. Ryu’ house and painted the 8 types of Flower paintings. It was very hard to find Mr. Jeong’s late year works but the paintings at Ryu’s house indicated that Mr. Jeong had painted until his very old age. Moonbae paintings, which attached on the main gate to prevent the evils at the end of the year, were inherited from Ryu and it had been copied by the Chinese style. It indicates that Minhwa was not only for the low class people but also for the high class, literati. The Eight province-national map and Kwanseo area map show that how the literati appreciates his country and land.

      • KCI등재

        하회 북촌댁 화경당和敬堂에 전래하는 회화와 지도

        정경숙,이태호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1

        Hwakyeongdong at Hwahoe Village in Andong has kept the artifact collection of Ryueajoa. This article examined the paintings and maps, which never have been open to public, to reveal the taste of the literati in Andong. In addition we tri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with the literati lived in Hanyang, the ancient Seoul. The range of artifacts are from 17th century landscape paintings to Minhwa in 20th century. This article has studied paintings and maps which might have collected by Ryueajoa. Two landscape paintings showed the painting style of Ankyeon, the well known painter in 15th century and Jeolpa from Myeong in China. It shows that Mr. Ryu had special taste on landscape paintings. Among the collections, we have faced two literati painters, Lee, Eusung and Jeong Sooyoung. Especially Mr. Lee’ work was done for Ryu, Cheoljo, the brother of Mr. Ryu. The ten pieces of screen paintings indicate the last year of Lee, Eusung’s landscape paintings. The literati painter, Jeong also might have visited Mr. Ryu’ house and painted the 8 types of Flower paintings. It was very hard to find Mr. Jeong’s late year works but the paintings at Ryu’s house indicated that Mr. Jeong had painted until his very old age. Moonbae paintings, which attached on the main gate to prevent the evils at the end of the year, were inherited from Ryu and it had been copied by the Chinese style. It indicates that Minhwa was not only for the low class people but also for the high class, literati. The Eight province-national map and Kwanseo area map show that how the literati appreciates his country and land. 안동 화회마을에 있는 화경당에는 학서鶴棲 류이좌柳台佐(1763~1837)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상당수의 서화유물이 전한다. 본고는 지금까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던 화경당에 전해오는 회화와 지도 유물을 살펴보았다. 이는 중앙정계에 진출한 사대부가에서 어떤 유형의 서화를 즐기고 수장했는지 잘 보여준다. 또한 소장 유물을 통해 당시 사대부 문인들의 교유관계도 엿볼 수 있다. 전해오는 유물은 17세기 산수화 2점을 비롯해 21세기 작가의 작품까지 매우 다양하지만 본고에서는 류이좌와 관련있는 회화 작품과 지도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17세기 이징의 화풍을 구사한 산수도 두 폭은 보존 상태도 좋고 필력도 뛰어났다. 또한 이의성의 작품으로 판단되는 『관동구경』열 폭 병풍 1좌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나아가 진경산수화를 즐겨 그린 정수영의 8폭의 화훼 병풍은 말년작이 없었던 작가의 세계를 조명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회화 이외에 민화풍의 문배도는 중국의 문신 풍습이 지방 사대부 계층에서 지속되고 있었음을 잘 보여준다. 또한 도성팔도지도를 비롯한 관서지도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필사본과 판화본으로 제작된 사례를 제시한다. 조선 산천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유람 유행의 결과로 사대부들이 팔도전도와 군현지도를 구비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진경에 대한 의식이 널리 퍼졌음을 잘 보여준다. 아직까지 외부에 공개된 적이 없는 이 유물들에 대한 연구가 조선시대 회화사를 더 풍부하게 만드는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