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태원,정지윤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4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95명, 경상남도 양산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하여 남, 녀 각 250명을 설문조사하여 초등학생들의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의복구매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백분율을 산출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의복구매행동 영향 요인이 의복구매행동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으로 <상품의 유명성>, <대중매체>, <친구>, <부모님>, <개성>, <학교 교육>의 6개 요인이 분석되었다. <상품의 유명성>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가정의 경제수준, 용돈의 사용처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 구매 시 중요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중매체>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 가정의 경제수준, 용돈기입장의 사용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구매자와 의복 구매 방법, 의복 구매 시 중요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친구>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 구매자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님>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가정의 경제수준이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 구매 행동에서 의복 구매자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개성>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 어머니 학력과 관련이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 구매자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교 교육> 요인은 일반적 특성, 의복구매행동 모두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의복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며, 그 중에서도 대중매체 요인의 경우 일반적 특성과 의복구매행동에서 가장 많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학생들의 의복구매에 대중매체가 미치는 영향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한 의복구매행동을 위해 학생들에게 대중매체에서 받는 영향을 줄이고 현행 교육과정의 의생활 단원에는 의복구매행동이 학습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올바르게 의복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학교 교육이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의복구매행동에 상관관계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문항의 한계 때문일 수도 있으나 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의생활과 관련된 내용의 한계와 교사들의 관심의 부재로 인한 문제가 더 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의생활단원에 합리적이고 올바른 의복구매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수업내용이 추가되어야할 것으로 보아지며,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의복교육을 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providing data about education of clothing habi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of it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behavior that six-graders purchase clothes and purchasing condi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00 students including 95 sixth-graders residing in Busan and 405 sixth-graders residing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 statistical program, SPSSWIN 12.0.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behavior purchasing the clothes, the percentage of frequency was calculated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nd the behavior was also researched. Factors that affect behavior purchasing clothes analysis showed a total of six factors. The <trademark’s fame>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family economic level and how to spend the allowance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t helped purchasing clothe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mass media>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gender, the family economic level, the use of the account book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lothes buyer, how to purchase clothes, significant helped purchasing clothe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friends>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gender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lothes buyer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parents>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family economic level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lothes buyer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personality>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gender, the academic ability for mother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lothes buyer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school> factors, it wasn't seen correlated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s could be seen in more than clothing,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ing behavior varies. Among them, the mass media,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urchasing behavior the clothes had shown the many correlations. Through buying clothes for students, the affect of the mass media could be seen significant. There was a need to tell you to purchase the apparel desirably that the <mass media> factor had to be reduced. School education needed to show how to purchase the clothes correctly. School education for student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pparel shopping behavior has not shown the correlation because it may be due to the limitations of questions being addressed in schools, but the limitations about the clothes information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the lack interests by teacher are more suspect. Therefore the training associated with clothing needs to be strengthened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have the correct idea related with clothes.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의복행동과의 관계

        김희영,이윤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4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성격특성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의생활지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의복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격특성과 전체 의복행동은 성격특성 중 안정성, 지배성, 사려성, 활동성과 1%수준에서 유의했다. 의복행동 중 흥미성은 성격특성의 안정성과, 의복행동 중 관리성은 성격특성의 지배성, 사려성, 사회성과 1%수준에서 유의했다. 의복행동 중 동조성은 성격특성 중 사려성과, 의복행동 중 심리적 의존성은 성격특성의 안정성, 지배성과 1%수준에서 유의했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격특성 변인이 의복행동의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변인들 간의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전체 의복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안정성, 지배성이며, 이는 정서적으로 안정적이고 진취적이며 주도력 있는 성격의 특성을 지닌 아동들이 의복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착용하는데 관심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의복행동에 대한 각각의 요소들에 대해 다중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복행동 중 흥미성에 대해서는 안정성이 1%수준에서 유의했다. 이는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조용한 성격을 가지고 침착한 아동들이 의복에 대한 선택과 착용에 대해 관심과 호기심을 많이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관리성에 대해서는 사려성이 1%수준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일상생활에서 행동보다는 생각에 많은 시간을 보내며 어떤 결정을 심사숙고하는 사려성이 높은 아동들이 의복을 구매할 때도 계획성 있게 하고, 관리할 때도 여러 가지를 고려한 후 의복을 관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복행동의 동조성도 사려성이 1%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사려성이 높은 아동들은 한 사회 집단에 의해서 전형적으로 받아들여진 옷차림이나, 집단에서 승인 받기 위하여 준거집단에 맞추어 옷을 입으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pporting data for children's direction in clothing behavior through identify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and clothing behavior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ersonality and clothing behaviour (stability, consideration, and activity) showed that they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at 1% level. The 1) interest and 2) management among the clothing behavior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1) stability and 2) control, consideration, and sociality respectively. Also confirmity (a clothing behavior) was found to be related to consideration, while psychological dependance is to stability and control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tability and control influenced the whole clothing behavior. That was, emotionally stable, progressive, and self-ruling children tend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clothing and to be interested in clothing as well. Third, furth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terest was affected by stability, which means that emotionally stable and quiet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choice and use of clothing than the other student group. And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onsideration. Fourth, confirmity in the clothing behavior was also affected by consideration in the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dependance in the clothing behavior is attributable to stability and control in the personality. To sum up, children's clothing behaviour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personality traits in some way or another.

      • KCI등재

        청소년의 윤리적 소비의식과 의복소비행동

        김가령(Kim, Ga Ryeong),심현섭(Shim, Huen Sup)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최근 공동체를 위한 소비를 지향하는 윤리적 소비자가 등장하면서 품질과 가격보다는 친환경적이고 사회적 책임의식을 고려하는 소비가 늘고 있다. 청소년들은 소비생활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하고 또래나 주변 환경의 영향에 민감하여 충동구매와 같은 비계획적이고 비합리적인 소비생활을 하기 쉽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의식과 의복소비행동의 수준을 조사하고 윤리적 소비의식이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7월에 경북 지역 중학교와 고등학교 각 1개교를 편의 표집 하여 총 6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의식 20문항, 의복소비행동 25문항을 4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윤리적 소비의식은 친환경의식, 기업의 책임의식, 로컬소비의식, 자원절약의식의 4개 요인으로, 의복소비행동은 의복구매행동, 의복사용행동, 의복처분행동의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은 일반적인 윤리적 소비의식(3.09)에 비해 의복소비행동(의복구매행동(2.69), 사용행동(2.96), 처분행동(2.53))이 낮은 수준이었으며 의복소비행동의 하위요인 가운데 의복처분행동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의복처분과 관련된 환경문제 또는 비윤리적인 문제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소비행동은 윤리적 소비의식 요인 중 자원절약의식과 로컬소비의식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서 청소년은 자원절약의식과 로컬소비의식이 높을수록 의복소비행동을 긍정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향후 주체적인 소비자가 될 청소년의 의복소비행동은 윤리적 소비의식의 향상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윤리적 소비의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the adolescents, and the effects of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on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568 adolescents from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ere surveyed using a 4 - point Likert scale for their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Data analyses used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Adolescents ethical consciousness of consumption was 3.09. and wa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as environment consciousness , corporate responsibility , lo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 and resource consciousness . The consciousness of corporate responsibility was the highest and consciousness of local consumption was the lowest. Adolescents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was in the order of use behavior(2.96), purchase behavior(2.69), and disposition behavior(2.53). The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was influenced by resource consciousness and lo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mong conscious factors of ethical consump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adolescents, who will become independent consumers in the futur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improvement of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suggest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교사 의복행동을 통한 초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박세준(Park Sei Joon)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이 논문은 인간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의복을 통해 초등학교 교직문화를 탐색했다. 문화를 정의하고 설명하기 위한 물질문화, 사회적 조직, 가치 신념체계의 3가지 범주 모두와 연관이 있으며, 교사의 외면과 내면을 동시에 반영하는 의복행동을 통해 그것의 실제와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종합하여 초등학교 교직문화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담임교사 5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총 10주간 자기보고서를 수집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 의복행동의 실제를 분석하기 위해 의복 이미지를 유행성, 품위성, 활동성으로 유형화한 분석틀을 활용하였고, 교사 의복행동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활동성 이미지를 강화시키는 의복 품목과 품위성 이미지를 강화시키는 색상을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상황에 맞추어 학교 내에서는 품위성 이미지를 강화시키는 의복 스타일을, 학교 외에서는 활동성 이미지를 강화시키는 의복 스타일을 착용하고 있었다. 또한, 담당하는 학급과 관련 있는 상황에서 교사의 의복 스타일은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었다. 의복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분석 결과, 교사는 개인적 차원, 대인관계인 사회적 차원, 환경적 차원으로 구성된 10가지 범주, 70개의 핵심내용으로 의복행동을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 의복행동의 실제와 인식에 관한 분석에 기초해서 파악한 초등학교 교직문화는 다음과 같이 4가지였다. ‘개인을 중요시하여 외부와 거리를 두는 문화’, ‘외부의 영향을 받는 품위성 위주의 문화’, ‘현상에 대해 순응하고 수용하는 문화’, ‘자율성, 다양성을 원하고 활동성을 강조하는 문화’ 이다. 이러한 초등학교 교직문화의 특징은 기존 교직문화와 연관성을 보이는 한편 새로운 교직문화의 생성 조짐을 보여주고 있다. 앞의 3가지 특징은 ‘개인주의’, ‘외부 영향에 취약함’, ‘보수주의’, ‘형식주의’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러나 ‘자율성, 다양성을 원하고 활동성을 강조하는 문화’는 새로운 경향성으로 교직문화의 변화 양상과 변화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explored a teaching culture of a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clothing closely related with human beings.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ality and recognition of it through the clothing behavior which is both closely bound up with the categories of material culture, social structure, value belief ideology and concurrently reflects the outer and inner of a teacher. Furthermore, synthesizing the reality and recognition of teacher’s clothing behavior, this research made a search for the characteristics a teaching culture of an elementary school. In favor of this research, selecting 5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Seoul as research participants, this research collected self-reports for 10 week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analyze the reality of teacher’s clothing behavior, this research made use of clothing image, utilizing the analysis framework typified by fashion, dignity, and active and in order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clothing behavior this research made use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seemed that teachers normally have on clothing items that enhance active images and clothing color that enhances dignity image. Depending on the specific situation, teachers have on clothing styles that enhance dignity image in schools and have on clothing styles that enhance active image out of schools. Depending on their classroom situations, teachers also have a tendency to show a clothing style. In consequence of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recognition of clothing behavior, teachers were aware of clothing behaviors in terms of 10 categories and 70 core contents consisting of personal dimension, interpersonal social dimension, and environmental dimen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ality and recognition of teacher’s clothing behavior, there are 4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 teaching culture as follows. It follows that there are ‘A culture which cares about the individual and places it at a distance from the outside’, an external-influenced dignity-oriented culture , ‘A culture which adapts the phenomenon and accepts , and A culture which wants autonomy, diversity and emphasizes active .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chool teaching culture show relevance to an existing teaching culture and show signs of creating a new culture. The former 3 characteristics are closely connected with individualism , vulnerable to external influences , conservatism , formalism . However, ‘a culture which wants autonomy, diversity and emphasizes active shows, as a new tendency, both a change trend and a change possibility of a teaching cultur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우울 기분과 의복행동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김성완,이무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연구목적: 옷을 입는 것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로서, 옷은 자기 보호의 기능과 함께 자기표현의 기능이 있어, 사람의 마음과 기분을 드러낸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흔한 정신과적 문제 중 하나인 우울 기분과 가장 기본적인 일상생활 중의 하나인 의복행동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는데, 특히 우울증으로 치료받고 있는 사람들의 우울 기분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 법: 전남대학교 병원의 정신과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들 중에서 우울증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 88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복행동과 우울 정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의복행동에 대한 설문은 선행 연구에서 문항을 선택한 후 기초 설문 조사를 통해 신뢰도가 높은 문항을 뽑아 재구성하였고, 우울 정도는 BDI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BDI 점수 16점을 기준으로 하여 우울군과 비우울군으로 나누어 이 두 집단 사이의 의복행동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우울 정도와 의복행동 사이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우울 정도에 따른 의복행동의 유의한 차이는 5개의 변인 중 의복에 대한 `심리적 의존도`와 `의복 만족도`에서 나타났다. 의복에 대한 심리적 의존도는 자신에서 어울리는 옷을 사거나 입으면 울적한 마음이 나아지지만, 마음에 들지 않는 옷을 입으면 사람들 앞에 나서기가 꺼려지는, 즉 옷에 따라 우울 기분이 영향을 받고 기분에 따라 입을 옷을 선택하는 정도를 측정한 것이다. 이러한 `심리적 의존도`는 우울 증상이 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우울군에서 의복에 대한 심리적 의존도가 컸다. `의복 만족도`는 입고 있는 옷 자체에 대한 만족, 옷을 고르는 자신의 안목에 대한 만족, 그리고 옷을 입은 자신의 모습에 대한 만족의 정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우울 증상이 심할수록 이러한 의복 만족도는 저하되었고, 반면에 비우울군은 상대적으로 의복 만족도가 높았다. 결 론: 우울 기분은 자신에 대한 만족감과 자신감을 저하시키고 무가치감을 일으키는데, 본 연구 대상자들도 우울 기분이 심할수록 의복행동에서도 심한 불만족을 나타냈다. 또한 우울증에 대한 반동형성으로서의 의복행동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즉 우울 기분이 심할수록 자신감을 높이고 기분을 나아지게 하기 위해 적극적인 의복행동을 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Objective: The dressing is the basic human need and daily activity. Clothing have the function of self expression as well as self protection. The clothing behavior is closely related to psychic world and one`s emo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ehavior as daily activity and depressive mood as popular human emotion. Method: Out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N=88) were selected among those visit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ose who had been diagnosed as depressive disorder and treated were selected by reviewing of medical records. Questionnaires for clothing behavior were initially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and finally 25 questions were chosen through preliminary study. Depressive symptom scales were rated by Beck Depressive Inventory(BDI). We compared the two groups divided by BDI score of 16 on 5 variable elements about clothing behavior and evaluated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mood clothing behavior. Results: The psychologic dependency and clothing satisfaction were related to depression. The psychologic dependency was defined as appropriate clothing behavior relieving depressive mood, but unsatisfying clothing makes one humble, so one`s dressing is affected by one`s mood. This psychologic dependency was high in depressive group and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The clothing satisfaction defined as satisfaction about clothes, clothing selection and clothed self image was reversely related with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We found that depressive men had unsatisfying clothing behavior as they had diminished satisfaction about self and feelings of worthlessness. And the clothing behavior functions as reaction formation about depression to overcome inner depressive and empty state in depressive one. These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ehavior and depressive mood provide the need and possibility about therapeutic meaning of clothing for depressive people.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유지연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examine the ten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lothing behavior, 2)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ir cloth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their self-esteem, and 3)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lothing behavior. This process was to understand the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a desirable clothing life education for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3 male and female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uwo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lothing behavior were found to be in the mid-level. The sub-factors of clothing behavior were indicated in the order of clothing independence, clothing comfort, clothing management, clothing interest and clothing conformity.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cloth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their self-esteem. Female students had higher level of clothing conformity, clothing interest and clothing management than male students, while males had higher clothing comfort than females. Fifth graders, compared to sixth graders, had higher clothing management and lower clothing independence. Students who received 20,000 or more allowance a month had higher clothing conformity and clothing interest, and lower clothing comfort. Higher clothing interest was found when students had jobless mothers. The higher the students’ self-esteem was, the higher their clothing management level was. Final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othing management. In other word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igher self-esteem manage their clothes better.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의복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의복행동을 이해하고, 초등학생에게 바람직한 의생활 교육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체적인 의복행동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의복행동의 하위 요인을 살펴보면 초등학생은 의복자립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복편이성, 의복관리성, 의복흥미성, 의복동조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의복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의복동조성, 의복흥미성, 의복관리성이 높게 나타났고,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의복편이성이 높게 나타났다. 5학년은 6학년보다 의복관리성이 높게, 의복자립성은 낮게 나타났다. 한달 용돈이 2만원 이상인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의복동조성, 의복흥미성이 높게, 의복편이성은 낮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직업이 없는 경우는 직업이 있는 경우보다 의복흥미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의복관리성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의복관리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의복을 잘 관리할 수 있다.

      • KCI등재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박신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Effect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on Eco-friendly ClothingConsumption Behavior: Focused on Mothers of Young ChildrenShinjung Park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as consumer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on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For this purpose, 419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recruited as subjects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fluence between the data was verified by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mode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some of the sub-factors of mother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affect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and mother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influence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by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review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other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in various aspects and analyze the influence paths of the variables more deeply. Key Word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Clothing Consumption,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박 신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비자로서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G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을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41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어머니의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 의복소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환경 의복소비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어머니의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의 하위요인 일부는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은 친환경 의복소비의식을 매개로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후속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고, 그 변인의 영향경로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핵심어: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 의복소비, 친환경 의복소비의식, 친환경 의복소비행동 □ 접수일: 2022년 8월 10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호남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Professor, Honam Univ., Email: drsjpark@honam.ac.kr)

      • 대학생의 부채에 대한 태도와 의복구매행동

        신효련,홍은실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채에 대한 태도와 의복구매행동의 일반적 경향, 부채에 대한 태도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부채에 대한 태도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교차분석(χ2), 사후검정(post-hoc test)으로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계수(Cronbach' α)를 산출하였다. 자료분석에는 총 415부의 설문지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채에 대한 태도는 3.91점으로 대학생은 부채를 상당히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의복구매행동을 의사결정단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문제인식단계에서 의복구매동기는 ‘소유한 의복과의 조화를 위해서’가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보탐색단계에서 의복정보원천은 ‘본인의 구매 경험’이, 대안설정단계에서 의복선택기준은 ‘디자인 및 색상’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매단계에서는 의복구매시기, 구매장소, 구매빈도, 월 평균 의복비, 1회 평균 의복비, 대금지불방법을 살펴보았는데, 의복구매시기는 ‘마음에 드는 옷을 볼 때’가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복구매장소는 ‘일반 소매점’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복구매빈도는 ‘월 1회 이하’가, 월 평균 의복구매비용은 ‘10만원 이상~15만원 미만’이, 1회 평균 의복구매비용은 ‘5만원 이상~10만원 미만’이, 대금지불방법은 ‘현금 결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채에 대한 태도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은 의복정보원천, 의복선택기준, 월 평균 의복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채에 대한 태도에 따른 의복정보원천을 살펴보면 부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대학생은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 대학생보다 본인의 구매경험과 같은 내적정보원을 보다 많이 활용하고, 광고와 같은 외적정보원은 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에 대한 태도에 따른 의복선택기준을 살펴보면 부채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 대학생은 긍정적인 대학생보다 디자인 및 색상, 가격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에 대한 태도에 따른 월 평균 의복비를 살펴보면 부채에 대해 중립적인 대학생과 부정적인 대학생은 ‘5만원 이상~15만원 미만’을 지출하는 빈도가 높고, 긍정적인 대학생은 월 평균 의복비로 ‘5만원 미만’과 ‘15만원 이상’을 지출하는 빈도가 높았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general trends of the undergraduates’ attitudes toward the debt,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d inquired into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in accordance with attitudes toward the debt. The study used one-way ANOVA, chi-square test(χ2), Scheffe’ as the post-hoc analysis, Cronbach’ α.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415 undergraduates. The following 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The first, the undergraduates have the highly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debt as we can see the average of their attitudes toward the debt, 3.91 points.The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around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attitudes toward the debt, only do the source of clothing information, the criterion of clothing selection, monthly average clothing expenditure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The third, the undergraduates who have the positive toward the debt use the external source of information such ad, who have the negative toward the debt use the internal source of information such the purchased experience in the past. The undergraduates who have the negative toward the debt consider the design, color and prices as the criterion of clothing selection. The undergraduates wh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debt are high percentage, less than 50,000 won, more 150,000 won high as the monthly average clothing expenditure, who have neutral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debt are high percentage, more 50,000 won and less than 150,000 won are high.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의복소비행동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유지연,박정윤 한국실과교육학회 200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examine the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their self-esteem and 2)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3 male and female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uwo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were found to be in the mid-level. Second, fifth grade students had higher level of home-parents(p<.05) and school-academics self-esteem(p<.05) than sixth grade students. Female students had higher level of impulsive consumption behavior than male students(p<.001). Students who received ₩20,000 or more allowance a month had higher impulsive consumption behavior(p<.001). Higher conspicuous consumption behavior was found when students had jobless mothers(p<.05). Third, the higher the students’ self-esteem was, the higher their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level was(p<.001). Final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global, social-peers, and home-parents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의복소비행동의 차이, 자아존중감과 의복소비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실과 의생활 교육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의복소비행동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5학년 학생들은 6학년 학생들보다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p<.05)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p<.05)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충동적 의복소비행동이 높게 나타났고(p<.001) 한달 용돈이 2만원 이상인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충동적 의복소비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어머니의 직업이 없는 경우가 직업이 있는 경우보다 과시적 의복소비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은 초등학생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 합리적 의복소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초등학생의 총체적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합리적 의복소비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 구매행동에 따른 의생활 학습요구도

        윤희영(Hee Young Yoon),정수진(Su Jin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 의복구매행동 차원을 밝히고, 이와 관련한 의생활 교육 영역 별 학습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와 경남 지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총 273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의복쇼핑성향은 유행 추구형, 브랜드 추구형, 편의쇼핑몰 추구형, 가격 추구형 요인으로, 인터넷 의복구매 행동은 유행 여가성, 편의성, 동조성, 가격 중시성의 4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의생활 교육 영역별 학습요구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생활 교육의 전 영역에 대한 학습요구도가 더 높았다. 인터넷에서 의류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의복구성과 의복디자인, 의복 선택과 자기표현 영역의 학습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앞으로 구매 의사가 있는 경우에도 의복 디자인, 의복 선택과 자기표현 영역의 학습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의생활영역별 학습요구도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경로를 보면 인터넷 구매행동 중 편의성은 다섯 가지의 생활교육 영역의 학습요구도에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복쇼핑성향의 브랜드추구형, 유행추구형, 가격추구형은 인터넷 구매행동 중 편의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의생활 교육 영역의 학습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이 상품의 가격비교가 용이하고 접근이 편리한 이유로 인터넷으로 의류구매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 의복구매행동은 의생활 교육 영역별 학습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의생활 교육 영역별 학습요구도에 따라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청소년의의복쇼핑성향 및 의복구매행동 특성에 부합하는 적절한 방법의 의생활 교육을 시행함으로서 학습자 중심의 흥미 있고 실용적인 수업을 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the adolescent`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onlin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and recognize the learning needs per each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al fields. The subjects 27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Busan and Gyeongnam area.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is categorized as four factors, ‘trend-pursuing’,‘brand-pursuing’,‘convenience shopping mall-pursuing’,and ‘price-pursuing’. Onlin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is categorized as four factors, ``trend leisure``, ``convenience``, ``assimilation`` and ‘importance on price``. When looking at the learning needs per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al fields, female students requested higher needs in all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al fields than male students. When respondents experienced online clothing shopping, there were high needs for the learning for clothing construction,clothing design,clothing selection and self-expression. There were also high demands for learning clothing design, clothing selection and self-expression for purchasing intentions. According to the path of the variables that affect learning to needs, convenience in online purchasing behaviors was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the learning needs of all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al fields, brand,trend,and price pursuing types i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indirect impact through the convenience in online purchasing behaviors. That is, adolescents was online clothing purchasing because price comparison easy and convenient access. Therefore, according to the needs per each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al field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were needed for clothing shopping behaviors and on-lin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as variables which put impact on each educational fields. Also by carrying out appropriate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which suits adolescents` clothing shopping pattern and clothing purchasing characteristics,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conducting learner-oriented fun and practical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