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벨라르두스의 『비교토론』(Collationes): 디비니타스와 신학적 윤리

        이성림(Sung Lim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9

        두 번째 르네상스를 경험하고 있던 12세기 중세 유럽은 새로운 시대의 신 새벽과 같았다. 도시와 대학이 세워지고 또 새로운 사유들이 등장하면서 시대는 새로운 방향으로 장식되어져 갔다. 페트루스 아벨라르두스는 이 새로운 시대를 장식한 사상가이다. 엘로이즈와의 연애 사건으로 많이 알려졌던 아벨라르두스는 실은 시대를 뛰어넘는 신학자였다. 그의 신학은 근대 사조와 더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놀라운 사실은 시대를 초월하는 아벨라르두스의 신학을 이해하는 열쇠가 윤리학이라는 점이다. 바로 아벨라르두스의 미완성적인 신학을 풀 수 있는 해석학적인 도구가 윤리학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윤리학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아벨라르두스의 윤리학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그의 신학을 이해하기 매우 어렵다. 노예와 주인의 변증법이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해석하는 열쇠인 것처럼 아벨라르두스의 윤리학은 그의 신학 전체를 관통하는 라합의 붉은 줄과 같다. 윤리학이 신학(Divinitas)이라는 정의를 내림으로써 그는 처음으로 신학적 윤리학을 시작한다. 그의 윤리학은 인간은 도덕적이지 않다는 기독교의 인간이해에서 시작한다. 인간은 선하지 않기에 인간에게는 도덕이 없다. 오직 선하신 이는 오직 하나님이다. 그러기에 인간에게 도덕이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다. 그리스도 사건을 통해서만 인간에게 선이 주어지고 도덕이 가능하다. 그의 신학적 윤리학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믿음 없이는 도덕이 불가능하다”이다. 이 소고에서 그의 『비교토론』 통해 디비니타스로써의 기독교 윤리학을 구성하려 한다. The 12<SUP>th</SUP> century of the Medieval Latin Europe in the middle of the Second Renaissance was situated at the dawn of the new age when new cities, universities, and thoughts were emerging. One of new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starting to decorate the new age was Peter Abelard who was famous of the love story with Heloise but also of a dialectician, theologian, and teacher. It has been not assessed properly that he was a Christian moral theologian. He was the first theologian who defined what Christian theological ethics was. Abelard’s ethical thought was a hermeneutical key to unlock his unfinished theology. Abelard’s ethics was to his whole theological works what dialectics of slave and master was to Hegel’s The Phenomenology of the Spirit. For him the essence of ethics was Divinitas. Divinitas was like Rabab’s Red Ribbon in the his theological system. According to him, morality did not belong to humanity. If man had morality, it was given by God through Christ-event. That was why man could not be moral without having faith in Christ. In Christ-event man can be moral. In this perspective Divinitas as the theological ethics will be constructed through his work of Collationes.

      • KCI등재

        H. Richard Niebuhr의 신학과 윤리학의 공공신학적 토대

        김희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4 No.-

        본 연구는 H. Richard Niebuhr의 신학과 윤리학에 대해 공공신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그의 신학과 윤리학에 내포되어 있는 공공신학적 토대를 도출해내고 이를 통해 국내 공공신학 담론 발전에 기여하며 한국 개신교회의 공공성과사회적 책임의식 회복 및 실천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국 개신교회는성장을 위해 개인전도, 각종 예배와 기도회, 부흥회, 헌금, 교인들 간의 친목도모등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물질주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회피, 시민사회와의 소통 단절, 보수우경화 등으로 인하여 국민들의 지탄의 대상이 되었으며 역성장의 기로에 서게 되었다. 한국 개신교회가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개혁되고 갱신되어 이 사회에 정의와 화평을 확립하는데기여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회의 공공성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려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계 공공신학자들이 다루고 있는 주요주제들에 대해서 먼저 더크 스미트와 라인홀드 니버, 맥스 스택하우스, 스탠리 하우어와스 등을 통해서 살펴보고, “응답적 책임 윤리”를 제창한 리차드 니버의 신학과 윤리학에 내포되어 있는 공공신학적 토대를 조명하며, 이를 통해 한국 개신교회의 개혁과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의식 회복, 그리고 실천을 위한 신학적 윤리학적 가이드라인들을 제시한다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H. Richard Niebuhr’s theology and ethics from a perspective of public theology, as this article does not only try to find out arguments on the identity, public natur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Christian church, but it also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progression of public theological discourses in Korea for the recovery of Korean Protestant Church’s consciousness of public nature and social responsibility.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to recover the sense of public natur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reform the church crisis as well as to establish justice and peace in Korean society. For this, this article first introduces the core issues of public theology offered by Dirk J. Smit, Reinhold Niebuhr, Max L. Stackhouse, and Stanley Hauerwas. Beside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ublic theological basis of H. Richard Niebuhr’s theology and ethics. Lastly, depending on these studies, this article offers theological and ethical guidelines for the recovery of the consciousness of public nature and social responsibility.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에 따른 가톨릭 윤리신학 쇄신에 관한 고찰

        박찬호(Park, Chanh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2 이성과 신앙 Vol.51 No.-

        올해로 개막 50주년을 맞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가톨릭 윤리신학에 있어서도 의미심장한 변화와 쇄신을 가져왔다. 공의회 문헌 중 사제 양성에 관한 교령 16항과 현대 세계의 사목헌장에서 주로 발견되는 윤리신학의 쇄신 방향은 크게 인격적인 윤리신학, 자유와 양심을 중심에 두는 윤리신학, 세상과 대화하는 윤리신학, 학술적이고 이성적인 방법론을 따르는 윤리신학, 그리고 그리스도가 중심이 되는 윤리신학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는 시대의 징표에 대한 공의회 교부들의 응답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윤리신학 분야에서 요구된 쇄신은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주류를 이루던 결의론적인 윤리신학에서 벗어나 합리성과 체계성을 갖춘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윤리신학에로의 전환이었다. 이러한 공의회의 선언은 윤리신학자들, 특히 공의회 윤리신학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Bernhard Häring에게 크게 환영받았고, 그들은 공의회 안에서 큰 희망을 보았다. 하지만 교황 바오로 6세의 회칙 「인간생명(Humanae vitae)」의 발표와 함께 공의회를 통해 교회가 천명한 쇄신의지가 현실에 반영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교회 안팎에서 번져가기도 하였다. 물론 그로 인해 교회 안에서는 적지 않은 파장이 있었지만, 회칙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신학자들은 공의회 정신을 다시금 되새기게 되었고, 인간의 생명에 대해 큰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더욱이 60년대 말 이후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의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세상은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 있었던 생명의 신비를 조금씩 풀어내기 시작하였으며, 그러한 성과는 인간으로 하여금 생명에 대한 경외심으로부터 눈을 돌리게 하였다. 바야흐로 “생명”이 시대의 화두로 대두된 것이다. 하지만 생명공학의 발달하고 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장기기증, 안락사, 시험관 아기, 복제 등의 복잡한 생명윤리적 문제들이 대두되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생명의 존엄성을 강조하고 자칫 생명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강한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를 높임으로써 시대의 징표에 대해 예언자적으로 응답하였다. Das zweite vatikanische Konzil, dessen fünfzigstes Jubiläum wir in diesem Jahr feiern, brachte der Theologie und Kirche sinnvolle Erneuerungen. Auch im Bereich der Moraltheologie ergaben sich daraus einige wichtige Impulse, die vor allem im Dekret über die priesterliche Ausbildung und in der Pastoralkonstitution zu finden sind. Diese sind z. B. die Orientierung an der personalen Beziehung, die Offenheit und Kommunkation mit der Welt, die wissenschaftliche Systematisierung und die induktive Forschungsmethode. Nicht zuletzt betont das Konzil, dass die Person Christi in der Mitte der Moraltheologie stehen muss. Demnach sollte sich die Moraltheologie von der kasuistischen Tendenz der Vergangenheit Abschied nehmen. Diese Forderung des Konzils hießen viele Theologen willkommen, was besonders Bernhard Häring, dem Vater der Moraltheologie des Konzils, gilt. Aber die Ezyklika 「Humanae vitae」von Papst Paul 6., die im Jahr 1968 veröffentlicht wurde, enttäuschte nicht wenige Christen, weil sie die Äußerungen enthielt, die mit dem Erneuerungswillen des Konzils nicht vereinbar zu sein schienen. Die Auswirkungen der Enzyklika waren jedoch nicht nur negativ, denn sie ließ das kirchliche Lehramt und die Gläbigen auf die Entscheidungen des Konzils sorgfältig zurückschauen. Die Techniken der Biomedizin, die sich seit Ende der 60er Jahre rasant entwickelten, ermöglichten den Menschen das Geheimnis des Lebens zu entlarven. Man konnte nicht nur die Prinzipien des Lebens herausfinden, sondern auch sie manipulieren. Mit den steigenden Interessen an der Entwickung der Biotechnik musste man sich mit den komplizierten ethischen Problemen auseinandersetzen, z. B. Organspende, Abtreibung, Euthanansie, IVF, Klonen usw. Angesichts der Situation, in der viele Menschen orientierungslos nur auf den Profit der Biotechnik sehen, äußerte sich das kirchliche Lehramt gegen die lebenszerstörende Tendenz und sprach mit den vielen Verlautbarungen und den theologischen Überlegungen unaufhörlich für die Würde des menschlichen Lebens. In der Bewahrung des Lebens sah also die Kirche das Zeichen der Zeit.

      • 신학적 윤리학에 의거한 사회복지실천

        양찬호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0 교회와 사회복지 Vol.12 No.-

        본 논문에서는 사회복지사들이 실무를 담당하면서 접하게 되는 윤리적 갈등상황을 바라보고, 이를 해결하고자 습득하는 일반 이론적 배경 중 한 분야인 신학적 윤리학을 다룬다. 여러 분야 중에 한 분야이지만,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 결정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고, 특별히 신학적 윤리학에서 신학적 사상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인간행동 이해를 어떻게 신학적으로 풀어나가는 지를 논한다. 이때 창조이해와 율법과 복음의 관계성 규정으로 인간행동이해의 기초를 세우고, 세상현실을 바라보는 신학사고를 확고히 하고자한다. 21세기 신학적 윤리학의 기초는 계몽주의 시대 이래로 발달된 변론적인 사고에 기반을 둔다. 이에 인간사인 생사고락을 모든 사람들에게(그리스도인이든 비그리스도인이든) 의미 있게 설명하려는 신학적인 사고가 발달하게 되면서 세상사를 신학사으로까지 폭넓게 해석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 믿음의 유비(analogia fidei)만으로 인간사를 바라보는 신학적 사고도 함께 발달하면서 신학적 윤리학이 그리스도인만의 사고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런 세상이해 속에서 윤리적 갈등상황을 바라보고 신학적 윤리학의 대안을 모색한다. Hauptthema des Artikel von dem Titel "gSozialarbeit in theologische Ethik"hist es, dass in Sozialarbeit theologische Ethik eine grosse Rolle spielt, insbesonders fuer das menschliche Verstaendniss. Daher wird erwaehnt im Artikel, dass fuer Sozialarbeit Schoepfungslehre, Beziehung zwischen Gesetz und Evangelium wichtig sind. Mit Schoepfungslehre kann man wissen, wie Gott in der Weltwirklichkeit arbeitet. Die Beziehung zwischen Gesetz und Evangelium in Schoepfungslehre zeigt sich, wie Mensch ist. Von diesem Standpunkt kann man wissen, wie ethisch man verstehen kann, was man tue.

      • KCI등재

        부정신학과 타자성의 윤리의 해석학적 대화: ‘심연(Abgrund)’에 대한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와 파울 첼란의 해석을 중심으로

        황성하(Seongha Hwang)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07 No.-

        부정신학이 2차 대전 이후에 새롭게 소환되어야 하는 이유는 신정론의 어려움과 맞물려 있다. 정의로운 신과 정의롭지 않은 실존의 상황은 말과 이성의 논리로 신을 설명하려는 신정론에 질문을 던진다. 특히 에마뉘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는 존재론에 기초한 신정론을 부정하고 타자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반-존재론적 윤리학을 제안한다. 필자가 보기에 시간성을 초월한 신과의 합일을 지향하는 부정신학은 역사성에 소홀하고, 타자 중심의 윤리학은 왜 타자를 신의 얼굴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신학적인 성찰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존재와 무’에 관한 사유안에 담긴 부정신학이 타자 중심의 윤리학의 신학적 기초가 될 수 있음을 밝히며 또한 타자 중심 윤리가 부정신학의 현대적 적용이 될 수 있음을 변증법적 상호대화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부정신학과 타자 중심의 윤리학은 서로에게 보완적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부정신학의 관점에서 그리스도인은 신과의 합일을 위해 고통을 수용하고 이웃을 섬긴다. 하지만 이러한 부정신학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같은 공의와 정의의 급진적 윤리를 기대하기 어렵다. 타자 중심의 윤리학에서는 타자와 신과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 두 가지 입장의 대화를 위해서 본 연구자가 제안하는 것은 에크하르트에 ‘무(Nicht)’에 대한 시인 파울 첼란(Paul Celan)의 ‘심연(Abgrund)’과 ‘토포스(τόπος)’에 관한 사유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에크하르트의 ‘무와 존재의 관계’를 설명하고 나아가 쇼아의 고통을 겪었던 첼란이 에크하르트의 사유를 심연의 시 쓰기를 통해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피고 마지막으로 부정신학의 윤리적 적용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첼란은 그의 시에서 ‘자기 비움’과 고통받는 자들을 향한 인간의 ‘책임의식’을 연결했다. 첼란의 사유는 기독교 구원론의 절정인 십자가의 예수의 대속적 고통과 유대 신비주의의 작은 메시아주의의 공존 가능성을 보여준다. 첼란이 재해석한 에크하르트의 심연은 신과 인간을 한 장소에서 만나게 해준다. 그의 이런 해석은 고통받는 자를 신과 같은 위계로 여길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첼란의 부정신학에 대한 시적 사유는 성서의 인간론과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에 대한 해석학적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첼란의 시와 성서의 신은 동일하게 세상에서 고통받는 가장 작은 자를 통해서 자신의 목소리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부정신학이 추구한 신과의 합일의 영원의 세계는 첼란의 심연 이해를 통해 오늘, 바로 이 자리를 향하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과 목회윤리

        이경직 ( Chris Kyung Jik Lee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2 생명과 말씀 Vol.5 No.-

        이 논문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이 무엇인지를 다루며, 목회윤리가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를 다룬다. 개인과 사회, 교회를 살리는 생명은 학문으로서의 신학에서 발견되지 않고 복음에서만 발견된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장이다. 그런데 전통적인 개혁주의신학은 사변적이고 학문에만 머물러 있다. 개혁주의신학은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의지할 때에만 비로소 그러한 사변화 경향을 극복하고 실천적 지식이 될 수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에 따르면 하나님의 말씀은 단순한 명제에 그칠 때는 아무런 힘과 생명력을 지니지 못하지만 개인과 공동체의 삶에 적용될 때 그 힘을 발휘할 수 있다. 한국교회가 비록 큰 어려움 가운데 있지만 회복되고 갱신되기 위해서는 한국교회의 정체성이 회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회는 구성원 각자가 하나의 일원으로서 그리스도의 복음에 따라 살아가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그리스인의 삶은 개인적 차원에서뿐 아니라 공동체적 차원에서도 복음을 세상에 증거 하는 증인의 삶이 되어야 한다. 교회가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따라 삶으로써 하나님 나라의 삶을 증언해야하며 이를 통해 세상에게 새로운 정치공동체라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개혁주의 문화관에 따르면 교회는 문화의 변혁자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하지만 교회가 문화변혁자로서의 역할을 하기 이전에 먼저 교회의 정체성부터 되찾아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서 기독교 윤리는 규칙과 의무를 강조하는 윤리에 그쳐서는 안 되며 덕 윤리와 내러티브 윤리의 관점들도 포함해야 한다. 내러티브 윤리는 성경에 나타난 공동체들의 역사와 전통을 반영하며, 덕 윤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오늘날의 내러티브의 맥락에서 개인에게 적용하는 일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목회자의 삶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이 적용이 있어야만 목회자의 설교가 온전해질 수 있다. 그런데 하나님의 말씀을 각 개인의 삶에 적용하는 일은 교회적 삶이라는 맥락에서만 가능하다. 교회 공동체는 각 그리스도인에게 각자의 정체성과 역할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교회구성원으로서의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주신 각자의 은사를 사용함으로써 교회 공동체에 기여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보다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deals with what Refomed Life Theology is and how ethics of ministry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Life Theology, My thesis is that the living Chhrist life which makes individuals, societies and churches alive is not found in the theology as science but in the Gospel. I point out that the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tends to be speculative and remain just as science if can overcome such tendency and be practical knowledge and that when the living Christ makes it alive. Reformed Life Theology suggests that God``s Word has no power and life when remaining just as a proposition and that the Word can show its power when applied to our individual and communal lives. The renewal and revival of Korean church, even though it has great troubles, begin with the recovery of its identity. Church should be a community where every member lives out Christ``s Gospel together. Christian life both in individuals and in church is witness of the Gospel to the world. That is why Stanley Hauerwas says that church should be political alternative to the world by witnessing the life of God``s Kingdom by following Christ``s story. I maintain Reformed view of culture according to which church should play her role as transformer of culture. But I emphasize that church should regain her identity before starting her role as culture transformer. I suggest that Christian ethics should include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and of narrative ethics as well as of ethics of rule and duty, for narrative ethics does reflect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communities in the Scriptures and virtue ethics regards the application of God``s Word to individual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narrative as important. I suggest that God``s Word should be applied to minister``s life too and that this application can make his or her preaching perfect. Further I make clear that an application of God``s Word to every individual life is possible only in the context of church life, for a church community provides each Christian with his or her identity and role. Christians as members of church should make a contribution to church community by using their various gifts from God. It is one of the ways which one can understand God``s Word more fully.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성화신학과 정치윤리

        강병오 ( Byung Oh Kang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6 No.-

        본 논문은 웨슬리의 성화신학과 그의 정치윤리가 보수주의적 성격을 가졌음을 전제하고, 웨슬리가 그 가운데서 당시 긴급한 여러 사회문제를 어떻게 긍정적인 교회개혁과 사회개혁의 어젠더로 만들어 갔는지를 주목하고, 그의 개혁적 노력이 성화신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현상학적으로 분석하려는 것이다. 논문 구성상, 먼저 사회적 성화신학과 정치윤리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규명하고, 그 다음 웨슬리에게 있어 정치윤리의 과제인 실천적 노력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이었고,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피며, 결론에 가서는 웨슬리의 성화신학이 정치 윤리적으로 지닌 약점과 장점이 무엇인지를 살핀다. 웨슬리 신학의 특징은 성화의 교리에 잘 함축되어 있다. 웨슬리에게 있어 기독교는 개인적 종교가 아닌 사회적 종교이다. 그의 성화신학은 개인적인 동시에 사회적인 성화 내용을 갖고 있다. 웨슬리의 성화신학 자체는 개인적 성결만이 아닌 사회적 성결을 추구하는 종교로 부각된다. 웨슬리의 신학은 사회적 성화를 강조했을지라도 정치 윤리적으로는 보수주의적 색깔을 띤다. 웨슬리는 제반 사회·경제적인 제도들을 정당화된 것으로 여겼다. 그런 제도들은 하나같이 하나님의 뜻과 목적에 부합될 수 있는 것들이었다. 웨슬리의 종교적 실천은 계몽된 자본주의의 체제인 자유주의 경제상황 속에서 인도주의적이고 점진적인 개혁에 역점을 둔 그런 사회적 실천이었다. 정치적 보수주의에 입각한 웨슬리의 성화윤리는 점진주의적 사회개혁이나 사회변화를 추구하게 되므로 가질 한계점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웨슬리에게 있어 정치윤리 실천 과제들은 국가권력 문제, 전쟁문제, 인권문제로 집약된다. 웨슬리는 보수주의적 정치 이해의 관점에서 기존 정치질서인 입헌군주제를 강력하게 지지한 성직자였다. 그는 평생 왕당 주의인 온건파, 여당 토리당을 지지한 당원이었고, 또 그런 정치이념을 가르쳤다. 웨슬리는 그의 공동체를 종파형 교회에 그치지 않고, 제도교회로 발전시켜 나갔지만, 전쟁에 관해 현실주의적인 관점에서 전쟁을 반대했다. 그는 퀘이커 교도처럼 원리적인 평화주의자는 아니었을지라도 현실주의적인 입장에서 전쟁을 반대하게 되었다. 웨슬리는, 인권문제에 관한 한, 노예제도를 찬성하는 영국 국교회와는 달리 종교적이고 교회적인 영역에서 그리고 목회 실천적 차원에서 흑인노예들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다. 그 후 강력하게 노예제도 폐지를 위한 운동을 폈다. 웨슬리는 입헌군주제 아래서 이슈화되고 있는 자유에 관한 기본권 문제를 뼈저리게 경험하고 개선코자 했다. 웨슬리와 그를 따르는 감리교인들은 당시 언론의 자유, 집회·결사의 자유, 자유 언론과 출판의 자유, 종교의 자유 같은 여러 자유권을 획득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웨슬리는 여성의 지위와 권한의 개선을 위해 그 누구보다도 활발하게 뛰었다. 그는 여성에 대한 제자직의 삶과 지도자로서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고, 남녀 역할의 동등성을 성취하려는 여성의 노력과 은사 행사를 적극 격려하며 과감한 지원까지 아끼지 않았다. 웨슬리의 성화신학과 정치윤리는 전근대적인 보수주의 방식이었지만, 당시에 제기된 사회적 인권문제, 예컨대 노예제도, 여권문제 등을 획기적으로 해결해 나간 강점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오늘날과 같이 발전된 민주주의, 자유주의 시장경제 질서체제 하에서 사회개혁 노력이 어떻게 이루어야 할지를 실례로 보여주지 못한 시대적 한계와 사회문제들의 구조적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이론적 한계를 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John Wesley`s holiness theology and his political ethics. The study of Wesley`s theology and ethics is a study about the church and society of the eighteenthcentury England as focused on the life and activity of Wesley. Wesley is perhaps one of the most penetrating thinkers in Christian history. His faithful and social influence in eighteenth-century certainly marks him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eople of the period. He has once said, “There is no holiness but social holiness. You can`t be a solitary Christian!” Wesley`s church and society reform means that the full rage of God`s saving will for the world is being enfleshed in the persons and institutions of the world. This paper deals with the aspects of Wesley`s holiness theology and political ethics that their full practical development in state and church lead surely to social transformation. In this paper, chapter II shows how Wesley`s holiness theology has been related with his political ethics. The core of his theology is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its broad meaning and promise from scripture. Wesley based the structure of sanctification (second grace) on observed experience. But his doctrine of sanctification is relatively inner and personal, not social. Therefore it has in political-ethical sense conservative characters. Wesley was a political conservatist. In social-ethical sense, he indeed possessed an acute political and social attitude as standpattism. Chapter III analyzes Wesley`s political praxis-Actions, which arose out of his sermons and writings. Wesley knew what was shaping the needs of the people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their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their poverty, hunger, wealth, and depression. He had political and social attitudes as a conservatist against the state power and the war. His theological convictions rested encouraging the sovereignty of God and monarchy and liberty (on slavery, people and women) in England. His reflections on these themes of sin and war have revealed his affinities to the contemporary from Christian realism. He has managed the issues of women preaching in his connection with prophetic interpretation that would have forced the hand of the Church of England. The concluding chapter summarizes the insights and results from Wesley`s holiness thoughts and political actions. His holiness theology would have conservative characters, his social ethics is demonstrated to be of a conservative reformist rather than a revolutionary character. His holiness theology and political-ethical theory is presented by a summarizing list of his moral practice for reform of church and society. His context is not our context, but it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his particular Christian social-ethics.

      • KCI등재

        신학생 생명윤리 교육 향상을 위한 인격주의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이준연(Jun Yeon Lee),박은호(Eun Ho Park)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3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3 No.2

        본 연구는 인격주의 생명윤리에 근거한 단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학생 대상 생명윤리 교육 체계 확립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현대의 신학생은 생명공학기술과 의학의 발달로 인해 증가되고 있는 피임과 낙태, 동성애, 안락사 등의 문제에서 인간 존엄성의 참된 가치를 올바르게 이해해야만 훗날 사목자로서 신자들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인격주의 생명윤리 교육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인격주의는 인간을 몸과 영혼의 단일체인 ‘인격’으로 바라보고 인간 존엄성의 참된 가치를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의 교과과정을 제외하면 윤리신학 교과 과정 이외에 생명윤리를 따로 가르치는 과정을 찾아볼 수 없었으며, 교과과정 외에 단기 교육도 주교회의에서 개최한 교육이 전부였다. 따라서 윤리 교육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는 Debate와 강의, PBL 방법을 적용한 단기간의 인격주의 생명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해 보았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bioethics education system for Catholic seminarians and provide basic resources by developing a short-term education program based on personalist bioethics. Modern seminarians must correctly understand the true value of human dignity in the face of problems such as contraception, abortion, homosexuality, and euthanasia, which are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nd medicine. This is so that they can help faithfuls as pastors in the future. Personalism is necessary for this education because it views humans as “persons,” a unity of body and soul, and can communicate the true value of human dignity. However, except for the curriculum of the Theological Seminary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there was no independent course for bioethics. Therefore, we developed and operated a short-term personalist bioethics education program incorporating debate, lectures, and problem-based learning (PBL) methods, which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ethics education.

      • KCI등재

        남북한 평화통일을 위한 한국교회의윤리 · 선교적 과제

        정원범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3 No.-

        이 논문의 목적은 통일운동은 남한교회의 윤리⋅선교적 과제라는 사실을 전제로 하여 남북한 평화통일을 위한 남한교회의 윤리⋅선교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반도의 분단과정과 통일의 필요성을 이해하여야 한다. 남북한의 적대적인 관계를 청산하는 것으로서의 통일운동은 기독교인의 마땅한 윤리⋅ 선교적 과제이다. 하나님과 화해된 기독교인은 화해의 사명을 가지고 있다. 통일운동은 굶주리는 북한동포와 탈북자들을 돕는 사랑의 행위이고, 자신들의 권력유지를 위해 분단 상황을 악용함으로써 인권과 민주주의를 유린해온 기득권세력의불의에 저항하는 정의 행동이다. 더 나아가서 남북한의 통일운동은 남한교회가동북아시아에서 하나님나라의 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실천해야 하는 윤리⋅선교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 교회 통일 운동의 과정을 이해하면서 평화통일신학 정립을 위한 윤리⋅선교적 과제를 이행할 수 있도록 교회가 앞장서야 한다. 평화통일을 위한 교회의 윤리⋅선교적 과제는 교회 내의 윤리적인과제로 기도와 회개와 교회갱신운동이 일어나야 하고, 신학적인 과제로 이원론적인 분단신학과 반공신학을 극복해야 하며, 사회윤리적인 과제로 한국사회의 진보를 위해서 일하며 더욱 더 북한을 돕는데 앞장서며 평화를 기반으로 하는 정의가넘치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서 교회가 일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thical, missional tasks of the South Korean Church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unification movement is the ethical and missional task of the Korean Church. For this purpose, first, this research explains the process of the division of Korea and the necessity of reunification. And this study argues the theological reasons for it: 1) the reunification movement is the action of fulfilling the mission of reconciliation, 2) it is the action of fulfilling the mission of love and justice, 3) it is the act of fulfilling the mission of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Lastly, this research suggests the ethical and missional tasks of the South Korean Church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such as the aspect of church ethics in terms of prayer, repentance and church renewal movement, the theological reflections that make paradigm shift from dualistic theology based on extreme anti- communism ideology and division to the peaceful reunification theology, and the social ethical viewpoints for justice, reconciliation, and peace.

      • KCI등재

        린지의 동물신학 탐구와 비평적 대화 모색-몰트만, 마우, 스택하우스를 중심으로

        이창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3 기독교사회윤리 Vol.55 No.-

        The ecological perspective is fundamentally critical of anthropocentrism. It is a refusal to view other beings in the living world as objects of human control or resources for human ends. Instead, it emphasizes the idea that all beings of an ecosystem are necessary and equally valuable. Humans are one of many animals, not more important or relatively superior. There are various species of anim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pecies is not a hierarchy but a horizontal one. Even empirically, animals are companions to humans in our society. They should not be treated as a means to satisfy human needs but as equal objects of love, such as family members, friends, and companions. Considering this reality, Christian theology should reflect on animals’ ontological value or relational meaning and provide a rationale for justification. A typical example of such theological work is Andrew Linzey’s animal theology. Linzey emphasizes that animals are the result of the same God who created humans. So they should be treated as creatures equal to humans and partners who should build a living community of harmony and coexistence with humans.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deepening the discourse of animal theology and ethics. To this end, I would like to state Linzey’s animal theology and ethics and develop a critical dialogue with three theologians. Jürgen Moltmann, Richard J. Mouw, and Max L. Stackhouse are involved in the conversation with Linzey. I would like to conclude this paper by making some sugges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maturation of the discourse of animal theology and ethics. 생태적 관점은 기본적으로 인간중심주의나 인간우월주의에 비판적이다. 생명세계의 다른 존재들을 인간의 지배 대상으로 보거나 인간의 목적 구현을 위한 도구나 자원으로 보는 것에 대한 거부인 것이다. 오히려 생태계를 이루는 모든 존재들은 모두 필요하고 또 동등하게 가치가 있다는 생각을 중시한다. 인간은 수많은 동물들 중 하나이지 더 중요하거나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존재는 아니라는 것이다. 다양한 종의 동물이 있는데, 모든 종들 사이의 관계는 위계가 아니가 수평적 관계라고 할 것이다. 경험적으로 보아도, 우리 사회에서 동물은 인간의 반려자로서의 지위를 보유하고 있다. 반려동물로서 인간과 함께 친밀한 공동체를 형성하고 살아가는 동물들을 인간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수단적 존재로 대하지 않고 동등한 사랑의 대상 곧 가족이나 친구 혹은 인생의 반려자로 여기고 사랑하며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기독교 신학은 동물의 존재론적 가치나 관계론적 의미에 대해 신학적으로 성찰하고 또 정당화의 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신학적 작업이 유의미하게 진행되고 있고 또 주목할 말한 결과들도 산출되고 있다. 대표적인 보기가 린지(Andrew Linzey)의 동물신학이다. 린지는 동물은 인간을 창조하신 동일한 하나님의 창조의 결과이기에, 인간과 동동한 피조물로서 또 인간과 더불어 조화와 공존의 생명공동체를 일구어가야 할 동반자로서 존중받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동물 신학과 윤리 담론의 심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린지의 동물 신학과 윤리를 진술하고 세 신학자들과의 비평적 대화를 전개하고자 한다. 린지와의 대화에 참여할 이들은 몰트만(Jürgen Moltmann), 마우(Richard J. Mouw) 그리고 스택하우스(Max L. Stackhouse)이다. 동물 신학과 윤리 담론의 성숙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함으로 본 논문을 맺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