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자 유의어 연구의 필요성과 효용적 가치

        송병우(Song, Byungwo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한자 유의어(類義語) 연구의 필요성과 그 효용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유의어(synonymy)란 두 개 이상의 어휘가 유사한 의미 관계에 속하는 것이다. 이 경우 완전히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둘 이상의 어휘 의미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한다. 본고에서도 이러한 관점에 따라 둘 이상의 어휘가 유사한 의미 관계에 속하는 것을 유의어라 부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의어의 중요성을 어휘력 확장과 의미 전달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한 언어 공동체의 유의어는 그 언어 공동체 성원의 언어 습득과 학습 과정에서 어휘력을 확장시키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이는 더 나아가 논리적 사고력과 통찰력 형성의 단초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 유의어는 어휘력 확장을 통한 정교한 의미 전달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이들의 존재는 사물이나 사건, 개념이나 의미, 혹은 사상이나 감정 등을 풍부하면서도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러한 관점 아래에서 한자 유의어 연구의 효용성에 대해서 한자 층위, 한자어 층위, 한문 층위로 나누어 조망했다. 한자 층위에서 한자 유의어 연구는 중국을 비롯하여 한자를 사용했던 지역 문화의 한 단면을 밝히는 것과 관련된다. 특히 한자 유의어 연구는 당대 사회·문화의 특징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자어 층위에서 한자 유의어 연구는 한자어의 정확한 의미 파악에 기여 한다. 한자어는 한자들의 다양한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각 한자들의 정확한 의미 파악은 한자어의 정확한 개념을 결정짓는다. 특히 한자 유의어는 미세한 의미 차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한자어의 정확한 의미 파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자 유의어는 한문의 미시적인 의미 파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자 유의어들은 매우 미세한 부분에서 의미의 분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문을 독해할 때, 한자 유의어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면,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함축 의미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ity and the utility of a synonymy research. A synonymy is that more than two lexical meanings belongs to a similar category. This definition is premised on that there are no more than two lexical meanings which are among an equal category. Therefore, we will call more than two lexical meanings belonging to a similar category as synonymy in this study. This study focuses on the lexical extension and communication in terms of a synonymy. In other words, a synonymy in a language community is a important tool that makes vocabulary capacities widen in processing of a linguistic learning and training. Furthermore, a synonymy provides a key for the formation of a logical thought and insight. On the other hand, a synonymy is related to a communication through the extension of a vocabulary. This synonymy can makes to express things exactly and events, conceptions and meanings, or thoughts and feelings.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observes about the utility of a synonymy study in the level of Chinese characters, a word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s. In the level of Chinese characters, this synonymy is connected with a regional culture in which people use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Especially, the synonymy study of Chinese characters provides affluent information of a feature of the contemporary culture. In level of a word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grasp exactly the meaning of a word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A word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is composed of various Chinese characters. At this place, grasping each Chinese characters exactly determine the concept of a word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Since the synonymy of Chinese characters has detailed differences of meaning, this plays an important part in grasping meaning of a word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Finally, the synonymy in Chinese charact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grasping microscopic meanings of a Chinese writing. That is why the synonymy in Chinese characters has detailed meanings in Chinese writing. As a result, if we clearly grasp meaning of synonymy in Chinese characters, we can know not only surface meanings, but implications in Chinese writing.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유의어 연구의 현황 및 과제

        추육영 ( Yu Ying Zou ) 겨레어문학회 2015 겨레어문학 Vol.54 No.-

        최근에 들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어휘중심교육으로 점차 변화함에 따라 많은 학자들은 어휘 교육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어휘 교육과 관련된 논문들도 많이 발표되었다. 그리고 연구의 세부분야를 살펴보면, 단순히 어휘의 양적 능력보다 어휘의 질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주목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질적 능력은 주로 의미에 대한 지식 파악을 통해 이루어지며, 유의어를 이용한 어휘 확장 방법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유의어를 많이 가진 한국어 어휘 학습에 있어서 더욱 그렇다. 한국어 어휘 교육 논의에서 유의어와 관련된 논문이 나타나며, 품사별, 대상별 유의어 교육 학습 방안의 제시 등의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의어 교육에 관한 연구도 중요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면밀히 검토하고 분석하여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유의어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 일은 어휘의 질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초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의어 연구사를 돌아보는 일은 유의어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한국어 유의어교육과 관련된 논의들을 살펴보고, 향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의 유의어 교육의 올바른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기존 한국어 유의어교육과 관련된 논의들을 학회지와 대학원 졸업논문들에 중심에 두어, 3가지 선정 방법에 따라 연구대상 논문들을 60편으로 확정시키며 그간의 연구 성과를 시대별, 대상별로 정리할 것이다. 2장에서는 시대별로 한국어 유의어교육과 관련된 60편 논문들을 도표로 체계화시킬 것이며 3장에서는 60편 논문에 대하여 대상별로 각 논문의 주된 내용을 요약하고 미진한 부분을 지적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향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의 유의어 교육의 올바른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The focu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KFL) is slowly turning to vocabulary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contains many synonyms and many researchers seeking to expand improve vocabulary learning. Although the synonym study is also very important, but the summary of existing research will also play an active role 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research content.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trends of Korean synonym research published in journals and graduate thesis and dissertations based on the year of the publication and research topics. This study contributes in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domestic synonym, and at the same time illustrates gaps in the research content and methods. First, this study examined 60 journal articles and graduate papers of KFL category research , then classified by publication date and research topic. Second, we provide an overview and analysis of the main content of the papers. Thought that we can find many studies did not specify the reasons of the selected word,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verbs, adjectives, adverbs or nouns, but focus less on words. In addition, a lot of papers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for their study. The diversity and objectivity of the survey still need to be improved. Finally, taking into account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current paper, we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hoping to Korean synonym research.

      • KCI등재

        일반논문 : 몽골 대학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유의어 분석

        에르덴수랭 ( Z Erdene Su Re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4 No.-

        외국어를 학습할 때 기본 문법이나 어휘를 배우는 것이 중요하지만 학습자들이 초급 단계에서 중, 고급 단계로 올라갈수록 상황에 적합한 어휘를 사용하고 보다 정확하게 그 의미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하여야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상대방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인재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몽골인 학습자들의 특징은 비한자문화권 한국어 학습자고 또한, 영어보다 러시어가 가까운 이유로 학습 단계가 올라갈수록 어휘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어휘 중 유의어 학습을 개선 할 수있는 방법으로 학습자 및 교사를 위한 유의어 쌍 목록집을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번 연구는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를 위한 교육용 기본 유의어 쌍 목록집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국어 연구의 주 자료들을 통하여 한국어 교육용 기본 유의어 쌍 추출 목록을 선정하고 몽골에서 대표적인 몽골국립대학교 및 몽골인문대학교의 한국어 학과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유의어를 분석하였다. 그래서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한국어 기본 유의어 쌍 목록 선정 및 몽골대학교 한국어 학과에서 사용하는 교재의 색인 부분에 없지만 한국어교육용 기본 유의어 추출 목록에는 존재하는 유의어 쌍 중 선별하여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용 기본 유의어 쌍 보완 추출 목록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명사유의어 460쌍(43.9%), 동사유의어 354쌍(33.6%), 형용사유의어 136쌍(12.9%), 부사유의어 101쌍(9.6%)으로 총 1051쌍을 추출하였다. 단계별로 보면 초급 단계 154쌍(14.6%), 중급 단계 353쌍(33.5%), 고급 단계 546쌍(51.9%)으로 구성하여 선정하였다. South Korea and several countries have active partnership in all sectors of globalization, and they have friendly relations with Mongolia since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The number of Mongolian people they are interest in Korean studies, Korean institution, Korean companies, and Korean institutions has been increased. For the first time the learners have learned in the Korean - Mongolian and contrast, but now there was a lot of interest about Korean and Korean studies. Mongolian learners, though do not find difficulties at the beginning, understanding of the kanji-based Korean language is found to be an uphill task at the higher stages of the education. Although it is imperative to learn the basic grammar and vocabulary when studying a foreign language,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differences of synonyms is equally important too. Because, having known such differences ensures fluent and precise use of vocabulary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making eas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Basic instructional Korean synonyms appeared in Korean textbooks used for the educational proposes at the Korean Department in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and Mongolian University of Humanities were extrac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vocabulary of both the learners and teachers could be improved effectively by the synonyms presented as a list of pairs of words with guidelines for the users.

      • KCI등재

        The Development ofaNew Korean Synonyms Dictionary for Learners

        ( Mi-kyung Bo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7 언어사실과 관점 Vol.40 No.-

        유의어 학습은 올바른 어휘 사용 및 어휘력 확장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나, 일반 사전만으로는 유의어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 유의어 학습을 위해서는 유의어 목록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각 유의어들의 어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유의어 사전 편찬의 필요성은 많은 연구들에서 강조되어 왔지만 충분한 어휘 정보를 제공하는 유의어 사전은 부족하다. 일부 사전이 출판되어 있지만, 목록만을 제공하는 사전이거나, 등재 어휘 수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대규모 유의어군을 수록하고 말뭉치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어휘 정보를 기술한 새로운 학습자용 유의어 사전의 모형을 제시하고, 여기에 수록할 공통 정보와 변별 정보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용 한국어 유의어 사전 편찬을 위한 유의어의 개념과 유의어군 설정 범위를 논의한다.

      • KCI등재

        일본어 형용사 유의어의 사전 의미 기술과공기어 분석을 통한 의미 변별 연구

        고은숙 ( Eun Sook Ko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6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5

        형용사에는 섬세한 의미의 차이를 가지는 유의어들이 많이 존재하는데, 유의어는 어휘의 의미가 중첩되거나 의미가 연접되거나 포함되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형용사 ``新しい류``의 유의어(新しい·眞新しい·新た·新鮮·フレッシュ)를 중심으로 이들 형용사들의 의미 관계를 살펴보고, 유의어들이 실제 사용환경에서 나타나는 공기어와의 관계를 살펴 의미의 변별적 요소를 파악해 보았다. 일본어 형용사 유의어 선정 기준은 『似た言葉使い分け辭典』(1993)에 제시된 표제어와 그에 따른 형용사 유의어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일본어 형용사 유의어의 개별 의미 표현은 일본 국어사전과 우리나라 일한사전의 정보를 살펴 비교한 후 일본 코퍼스 BCCWJ에서 형용사 유의어의 공기어 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中納言」을 이용하여 표기가 일치하는 書字形 검색과 다른 표기형을 포함하는 어휘소 검색을 통해 ``新しい>新た>新鮮>フレッシュ>眞新しい`` 순으로 다용되어 출현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新た``를 제외한 4개의 형용사와 공기하는 단어에는 ``感じ/もの``가 검색되었으며, 이들 공기어는 본고의 대상어인 형용사 유의어들과 밀접하게 결합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단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氣持ち`` 등의 단어는 3개의 형용사 유의어와 공기하여 나타났으며, 각각의 공기어와 공유하는 형용사 유의어는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テレビ, パソコン`` 등은 2개의 형용사와 공기하고 있으며, 실제로 공유하는 공기어를 가장 많이 갖는 형용사 유의어는 ``新しい``와 ``新た``라고 할 수 있다. ``制服/くつ``등과 같은 구체명사의 공기어는 특히 ``眞新しい``와 공기하여 나타나는 경향이 뚜렷함을 파악할 수 있다. There are many synonymous vocabularies of Japanese adjectives which shows delicate semantic differences. Here, the synonymous vocabularies may mean the cases of meaning overlapping, meaning connection, or meaning inclusiveness. This paper studies the synonymous vocabularies of the ``atarashii`` class (atarashii, maatarashii, arata, sinsen, and huressyu), and tries to figure out distinctive factors through the research of co-occurrent words in authentic contexts. As for the individual semantic description of synonymous vocabularies of Japanese adjectives, this paper compares the pieces of information from Japanese dictionaries and Japanese-Korean dictionaries, and then studies the aspects of emergence of co-occurrent words of adjectives through Japanese corpus BCCWJ.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hierarchy with respect to frequency of use is atarashii > arata > sinsen > huressyu > maatarashii. According to research result of the corpus, there are several kinds of co-occurrence with 4, 3, or 2 synonymous vocabularies of adjectives according to the aspects of co-occurrent words. Also, co-occurrent words and the synonymous adjectives are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vocabularies. The synonymous vocabularies of adjectives are ``atarashii`` and ``arata`` which have the most co-occurrent words. As for the aspects of co-occurrent words in the corpus, we can infer that the adjective ``maatarashii`` has more strong tendency of co-occurrence by combining with concrete objects. It means that case has a distinctive semantic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other synonyms.

      • 영한/한영사전을 이용한 동의어/유의어 사전 자동 구축

        고병일,이태우,서영훈 충북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 연구소 2004 컴퓨터정보통신연구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한-영사전과 영-한사전의 상호 정보를 이용한 동의어/유의어사전 자동구축에 대해서 기술한다. 유의어/동의어사전은 정보검색분야 뿐만 아니라 의미정보를 요구하는 자연언어처리의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한다. 기 구축된 한-영사전과 영-한사전 정보들을 이용하여 동의어/유의어 후보목록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후보목록들에 대해서 후보목록에 출현하는 빈도수, 사전의 위치정보, 입력명사정보들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동의어/유의어 목록들을 추출하게 된다. 동의어/유의어 사전 엔트리들은 한-영사전에 수록된 한국어 명사 64,630개를 대상으로 하여 구하였다. 제안한 동의어/유의어사전을 문서 필터링시스템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종래방식보다 F-score가 약 0.01정도 상승되었다. This paper describes an automatic synonym-dictionary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mutual information from the Korean-English and English-Korean dictionaries. The synonym-dictionary is an important resource in the information retrieval and the various fields of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quiring the semantic knowledge. Synonym candidate list is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of pre-existing Korean-English and English-Korean dictionaries. Finally, synonym words are selected from the candidate-list, using its frequency in the candidates-list,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dictionary, and the given words. the synonym dictionary was constructed from the 64,630 Korean nouns which listed in the Korean-English dictionary. Document-Filtering System with this dictionary shows higher F-score than without it.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유의어 변별 양상에 대한 연구 - ‘부끄럽다’의 유의어를 중심으로 -

        백명주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ynonym discrim ination of Chinese Korean learners for the synonym of ‘부끄럽다(buggrubda)’ and to obtain basic data for effective synonym education. First, synonyms to be analyzed were selected based on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부끄럽다’ and synonym information. Next, A survey was conducted to compared and analyzed the discrimination pattern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 use of emotional expression vocabulary for each situation. Moreover, the tendency of how Korean native speakers discriminate synonyms of ‘부끄럽다’ is examined and based on thi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Chinese Korean learn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t was found that Korean native speakers focused on specific vocabul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ile Chinese Korean learners diversify and select several vocabularies within the synonym group.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nese learners had difficulty in properly discriminating the meaning between the synonyms of ‘부끄럽다’, ‘창피하다(changpihada)’, ‘수줍다(sujubda)’, ‘쑥스럽다(sshukssrubda)’, although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수치스럽다(suchisrubda)’ was relatively well done among the synonyms of ‘부끄럽다’. In the emotion expression synonym education, it is suggested to guide Chinese Korean learners using examples with discourse situations and semantic differentiation that learners have difficulty in. 본고는 ‘부끄럽다’의 유의어를 대상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감정 표현 유의어변별 양상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유의어 교육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부끄럽다’의 사전적 정의와 유의어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 대상 유의어들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상황별 감정 표현 어휘 사용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변별 양상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유의어 변별 양상을 비교 분석하기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부끄럽다’ 유의어들을 어떻게 변별하는지에 대한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변별양상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상황에 따라 특정한 어휘를 집중해서 선택하는 반면에 중국인한국어 학습자는 해당 유의어군 내의 여러 어휘를 분산해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부끄럽다’ 유의어군 가운데 ‘수치스럽다’의어휘 습득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부끄럽다’, ‘수줍다’, ‘쑥스럽다’, ‘창피하다’ 유의어 간의 의미 차이를 적절하게 변별해 내는 것을 어려워한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이에 감정 표현 유의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담화 상황과 의미변별을 가지는 예문들을 활용하여 지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쁘다’ 유의어의 공기 관계 연구

        배윤정(Bae Yun jeong)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5 No.-

        이 논문은 ‘기쁘다’의 유의어를 분석함으로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의어 교육을 통한 어휘의 양적 확장과 질적 향상은 단순히 어휘 교육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이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같은 의사소통 능력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유의어 변별의 문제는 사전에 나와 있는 단어의 의미적 정보만으로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단어는 고립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단어들과 함께 일정한 문맥을 형성하며 그 의미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다양하고 풍부한 문맥 정보를 갖춘 ‘21세기 세종계획 말뭉치’를 바탕으로 ‘기쁘다’ 유의어와 명사의 공기 관계를 분석하였다. 공기 관계 척도인 t-점수를 계산한 뒤, 이를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기쁘다’ 유의어의 공기 관계 양상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기쁘다’의 유의어가 의미적으로 유사할 뿐 개별적인 속성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노래가 흥겹다’는 쓸 수 있지만 ‘노래가 기쁘다’는 쓸 수 없다. 또한 ‘즐거운 생활’은 자주 쓰지만 ‘반가운 생활’은 잘 쓰지 않는다. 이 같은 사용 양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의사소통 상황에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에서 유의어를 교수·학습할 때는 어휘의 의미 제시에만 그치지 말고 자주 쓰이는 전형적인 예를 충분히 제시해야 한다. 이때 공기 관계에 있는 어휘와 어휘 구문의 구조를 함께 제시하여 사용 양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잘못 쓰기 쉬운 표현에 대해 언급하여 의사소통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여야 한다. 그리고 사회·문화적 배경을 포함한 어휘가 있을 경우, 이에 대한 보충 설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반가운 까치’처럼 ‘반갑다’와 공기어를 형성하는 ‘까치’에 대해서는 문화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히 공기 관계를 형성하는 어휘들의 예문을 나열하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의어의 공기 관계 연구는 무엇보다 한국어에 대한 직관이 없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상황에 맞는 어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어휘 자체로만 접근했을 때보다 더 정확한 의미 변별이 가능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course by analyzing synonyms of ‘gippeuda(기쁘다).’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vocabulary by learning synonyms do not simply ends at the vocabulary learning. They have to be dealt importantly also because they are the basis of ability to communicate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synonyms only with meanings of words from a dictionary. A word does not exist alone as isolated but expresses its meaning by forming specific context with neighboring words. Therefore, in this work the synonyms of ‘gippeuda(기쁘다)’ and relations with their concurrent nouns are analyzed using ‘21st century Sejong Plan Corpus,’ which has vast amount of context information. After calculating t-score, which is a measure of concurrent relations, a network is constructed for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 in concurrent relations among synonyms of ‘gippeuda(기쁘다).’ This difference means that the synonyms of ‘gippeuda(기쁘다)’ are similar only in their meaning, but different in the individual attribute. For example, it is natural to say ‘a song is heunggyeopda(흥겹다)’ but strange to say ‘a song is gippeuda(기쁘다).’ Furthermore, ‘jeulgeongun(즐거운) life’ is often used, but ‘bangangun(반가운) life’ is seldom used. If patterns of usage such as these are not fully understood, errors could occur in communication. Therefore, when teaching and learning synonyms in Korean education, typical examples of usage should be given enough in addition to the meaning of the word. Then words with concurrent relations and structure of phases that include the words should be introduced so that th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usage of the words. To suggest words of concurrent relations is also helpful in understanding their usage. Furthermore, to reduce errors in communication usages that are used frequently wrong need to be taught. And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s sometimes needed. A good example for this is ‘bangangun (반가운) kkachi(까치),’ where cultural approach is necessary to explain the concurrent relationship between ‘bangapda(반갑다)’ and ‘kkachi(까치).’ This means that it is not enough to simply list example sentences that include words of concurrent relations. The study on the concurrent relations of synonyms would help select and use correct words in communication for foreign students who lack intuition in Korean language. Furthermore, the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nables to differentiate the meaning of similar words more accurately compared to the approach merely from vocabulary.

      • KCI등재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박아름(Park Ar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유의어를 쉽게 변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물리적 지면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의 접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유의어 변별 사전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고는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사전의 표제어 선정 및 의미 정보 기술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한국어 유의어 사전에서 다루지 않았던 고급 수준의 부사어를 중심으로 사전의 표제어를 선정하였고, 어휘 및 용례 검색을 위해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김중섭 외, 2017), 『넓은 풀이 우리말 유의어 대사전(낱말 편집부, 2010)』,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1999)』, 국립국어원의 현대 구어 및 문어 말뭉치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현대 한국어 용례 검색기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59쌍의 고급 부사 유의어 군을 추출하였으며, 유의어의 공통 특성과 시차 특성을 명시적으로 구분하여 기술할 뿐 아니라 최근 검색 단어 및 관심 단어 저장 기능, 퀴즈 등 모바일 환경의 장점을 활용한 의미 정보 기술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의 개발은 모어 화자를 위한 사전 편찬뿐 아니라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bile-based Korean synonym dictionary so that Korean learners can easily distinguish and use synonyms, bu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per and increase learners accessibility.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obile-based Korean synonym dictionary, this paper focused on vocabulary selection and semantic explanation. To this end, we selected advanced adverbs that were not covered i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referred to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tandard Korean Language Standard Curriculum (Kim Joong-sup et al., 2017) to search for vocabulary and examples. Accordingly, 59 pairs of advanced adverbial synonyms were extracted, and the advantages of the mobile environment were to be utilized as well as to explicitly distinguish commonality and parallax characteristics. The development of such a mobile-based Korean synonym dictionary is an essential task for the compilation of native speakers dictionaries as well as for their u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어 유의어 추상명사 교수요목 연구

        자오항(Zhaoh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9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1

        한국어 교육은 수요의 증가에 따라 교재나 교수법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 추상명사에 대한 저서나 논문 자료는 극히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 점을 고려해서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추상명사 중 동의어와 유의어 교육에서 참고할 교수요목을 제시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언어능력은 다양한 어휘의 정확한 사용과 정확한 의미의 효과적 전달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는 어휘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의 특성이 주요 학습 과제로 제기된다. 어휘는 저마다의 고유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의미는 각 단어의 특성에 의해 다른 단어와 차이를 이룬다. 예컨대 각 어휘마다 친소관계에 따른 거리가 있는데 유의어는 대응하는 단어끼리의 거리가 가깝다. 따라서 발화나 글쓰기 중 화자의 취향이나 어휘 실력에 따라 각각 다른 단어가 다양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 다의어가 하나의 기표를 통해 다양한 기의의 의미망을 형성하는데 비해 유의어는 하나의 기표가 하나의 기의를 갖는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에서 유사성을 공유하는 유의어를 함께 다루고, 상이성을 공유하는 다의어와 반의어를 함께 다루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어 어휘의 의미적 특성을 유의어·다의어·반의어로 분류하고 각각 유형별로 고찰했다. 그리고 이중 유의어를 추상명사에 대입해 한국어 추상명사의 의미적 특질을 이끌어냈다. 또 추상명사 유의어 중 한국어의 계열별 특징인 한자어·고유어·외래어를 살펴보고 이를 한자어 추상명사·고유어 추상명사·외래어 추상명사로 세분화하여 고찰했다. The faculty of speech includes both exact use of various vocabular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of exact meaning. Therefore, the characteristic of meaning connoted by vocabulary becomes a major learning task. Every word has its own unique meaning. The meaning also makes a difference with other words by the characteristic of each word. For example, each word has some distance according to affinity, and there is a small distance of response between homonym and synonym. As a result, each word can be variously used in the course of utterance or writing according to speaker s taste or vocabulary skills. While polysemy forms a meaning network through a signifier of various signified, a signifier has only a signified in homonym and synonym. Therefor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can be effective to teach homonym with synonym which shares similarity, and to teach polysemy with antonym which shares mutuality. This study classified the semantic property of the Korean language vocabulary into homonym, synonym, polysemy, and antonym, and then reviewed each type. It also tried to find out the meaning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language abstract noun by substituting abstract noun for dual homonym and synonym. This study examined Chinese words, native words and foreign word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affiliation, among abstract noun homonym and synonym, and then it subdivided the Korean language abstract noun into Chinese words abstract noun, native words abstract noun, and foreign words abstract no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