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儒家) 자연법사상의 헌법상 전승

        문효남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6

        이 논문은 유가(儒家)의 자연법사상(自然法思想)이 대한민국의 최고 기본법이자 최고 규범인 헌법(憲法)에 어떠한 내용과 의미로 전승되어 오고 있으며, 이러한 유가사상이 오늘날에 있어 어떠한 과제를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는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유가사상 특히 민본(民本), 예치(禮治), 덕치(德治) 및 친친주의(親親主義)로 대표되는 선진유가의 자연법사상이 오늘날에 있어서는 그 영향력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우리 민족의 의식 속에 하나의 윤리규범 내지 미풍양속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현행 법령에 있어서도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어 오고 있어, 실제 규범으로서의 법집행력도 일정 부분 가지고 있다. 즉 대한민국의 최고 기본법인 헌법을 위시하여 민법을 비롯한 민사법령 그리고 형법을 비롯한 형사법령에 유가 법사상을 반영한 입법 규정들이 산재해 있으며, 법원 및 헌법재판소의 판례나 결정 등을 통해 유가사상이 재해석되어 전승되어 오고 있는 것이다. 유가의 법사상은 헌법 명문규정으로는 헌법 전문(前文)과 본문(本文) 제9조 등에 규정된 ‘전통(傳統)’, ‘전통문화(傳統文化)’의 내포개념으로 전승되어 오는 한편, 헌법재판소의 위헌법률제청사건 및 위헌소원사건 등에 대한 결정을 통하여 재해석되어 전승되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재해석을 통한 전승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유가의 사상 내지 윤리와 관련된 결정이며, 다른 하나는 전통문화와 관련된 결정이다. 지난 20여 년 간 헌법재판소의 판례 및 결정문을 면밀히 분석하여 검토하는 작업을 통해, 헌법재판소는 우리 사회가 유교적 전통을 받아들이고 체화(體化)시켜 일정 부분 우리의 고유한 의식으로 남아 있음을 인정하는 일관된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의 영역에서는 법률보다 전통적 윤리의 역할을 더 강조하는 입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가 사상 내지 도덕관념에 터 잡은 전통문화가 어떠한 기준 하에서 우리의 고유한 전통의식 내지 도덕규범으로서 헌법적 정당성(正當性)을 갖는지 여부에 대한 중요한 기준 내지 척도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헌법재판소는 헌법상 전통문화 내지 윤리로서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전통문화라는 역사적 사실과 이를 계승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이 시대의 사회⋅경제적 기반에 맞아야 한다는 ‘시대적합성(時代適合性)’과 오늘날에 있어서도 보편타당한 전통윤리 내지는 도덕관념이어야 한다는 ‘현재적 보편타당성(現在的 普遍妥當性)’을 양대 기준으로 천명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시대적합성’과 ‘현재적 보편타당성’은 ‘오늘날의 의미로 재해석되어 포착된 것’이어야 하며,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척도로서 ‘헌법이념(憲法理念)과 헌법의 가치질서(價値秩序)’ 및 ‘인류(人類)의 보편가치(普遍價値), 정의(正義)와 인도정신(人道精神)’을 들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헌법상 정당성을 가지는 전통문화의 주요한 축으로서의 유가사상 내지 유가 자연법사상의 ‘시대적합성’과 ‘현재적 보편타당성’을 확보하고 ‘헌법이념과 헌법의 가치질서’ 및 ‘인류의 보편가치, 정의와 인도정신’이라는 척도를 가지고 유가 사상을 ‘오늘날의 의미로 재해석하여 포착’하여야 한다는 새로운 과제와 임무를 부여받게 된다. 이는 현재 세계적으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보편...

      • KCI등재

        2000年前后韩国社会秩序的变化与儒家思想相互作用的演变

        ,,卿(Zhang Qing qing)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5

        儒家思想在韩国社会中产生了深远的影响, 现当今很多韩国人的传统观念其实都来源于儒家思想。然而, 韩国自经历了1997年的金融危机以后, 儒家思想在韩国受到了猛烈的抨击。但是短短几年之后的2002年, 以《商道》、《儒林别曲》等以儒家思想为主导思想的新书问世, 代表着儒家思想又出现了复兴的潮流。本论文的出发点是探寻这种反复现象发生的原因。本文认为在经济危机发生之后的这几年的时间里, 韩国社会发生了巨大的变化, 即:经济危机带来的新自由主义的市场竞争引起了共同体秩序的混乱, 而社会伦理道德观念也在这一混乱中发生了巨大的变化,这甚至招致了韩国社会的道德空白期。另外, 随着十多年的韩国政治的民主化过程, 韩国社会的秩序也逐渐从权威主义转变为民主主义。 本文认为韩国儒家思想的衰亡和复兴都与韩国社会的发展和变化有着密切的关系。儒家思想本身并没有停留在其古代的社会环境下, 而是随着社会的发展不断地适应于韩国社会, 从而在韩国现代社会上扮演了他自己的新角色。本文认为儒家在韩国社会上有两个功能:第一, 它是权威主义的代表。第二, 它是社会道德价值观的源泉。在韩国社会秩序的变化与儒家的功能互动的过程中, 儒家思想的衰亡和复兴都与这两个功能有着密切的关系。从总体上来看表现为两种倾向-儒家权威主义功能的衰落和道德源泉方面的复兴。本论文从学术界、宗教界、文化界这三个方面来探讨1990年代以后韩国儒家思想的这种新潮流的表现。 Confucianism has deeply influenced the Korean society in many aspects and even nowadays, many traditional thoughts are evolved from it. However,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8, Confucianism was criticized and attacked badly in Korea and was blamed as the chief criminal for the crisis. This trend did not last long until only a few years later, books such as Business Philosophy, Confucian Verse got published, which represented the revival trend of Confucianism. This thesis aims to seek the reasons for such phenomenon. The writer thinks that in the years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8,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Korean society. The new liberalism in the free market competition flew in and caused a chaos of the social order, as well as the blankness in the whole country’s ethical ideology. Meanwhile, Korea’s political system transformed from authoritarianism to democracy. The thesis believes that both the fall and the revival of Confucianism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Confucianism did not remain in the certain historical period or social environment unchanged. Instead, it adjusted itself to the social development and played a new role in the new changing environment. Confucianism has two roles in the country: one acting the representative of authoritarianism and another the origin of the social ethical ideology.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ciety’s development and Confucianism’s function, the fall and revival of Confucianism both have a lot to do with the two roles mentioned above. And this thesis is going to discuss these two performances from two aspects: the decline of confucianism’s authority and the revival of its ethical ideology. At last, such performance will be discussed in academic, religion and literature sphere separately.

      • 중국 사회질서 유지 기능으로서의 유가 정치이데올로기

        남종호 동덕여자대학교 한중미래연구소 2014 한중미래연구 Vol.3 No.-

        중국 정치사회에 있어서 정치권력을 유지하고 공산당 통치를 보호하기 위해 공산당 지도자들은 사회구성원들에게 그 시대상황을 주도할 국가적, 사회적 이데 올로기를 교육 및 강조하여 왔으며 일정한 공동인식이 구축되면 이를 기초로 통 치권위를 유지하여 왔다. 즉, 새로운 통치권위를 쟁취하든, 기존의 통치권위를 계승하든 간에 중국 정치권력에서는 언제나 정치이데올로기의 영도권을 어떻게 통제하느냐의 문제가 존재하여 왔었다. 중국 공산당이 통치지위를 확립한 이후에 가장 중요하게 직면한 문제는 바로 권력 통제와 자신들의 통치가 사회의 지지와 인정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받느냐라는 것 이었으며 이는 곧 공산당 통치의 합법 화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 중국정치 이데올로기는 정치권력의 운용을 통하여 중 국 사회 및 사회단체들을 연결하고 특정적인 정치적 사회질서를 발전시키는 근간 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치 이데올로기를 이해하고 연구 하는 것은 중국문제 연구의 주요한 전제 조건중 하나이다. 중국 유가 정치 이데올로기는 국 가 통치에 있어서 정치 및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문화와 사상 구조를 변화시키 는 수단과 정책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유가 정치이데올로기는 종종 중국인들 의 사상 관념에 있어서 특정한 세계관을 형성하곤 하였다. 이러한 유가 정치이데 올로기의 현실적 사회투영 기능을 활용하여 중국 공산당은 국가 통치의 합법성과 사회질서 유지, 정권공고의 기반을 유지하려 하고 있다. Chinese political leaders has been to strengthen their political power through political ideology and to maintained the legitimacy of control by the Communist Party. Confucianist political ideology of contemporary China can be called the backbone to control Chinese society and social organizations and to maintain a certain social ord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olitical power. In this regard, Chinese Confucianist political ideology often formed a particular worldview to Chinese ideology because this is maintained political and social order in the rule of the country, and used as a means and policy to change. Chinese Communist Party is formed the foundation of the legitimacy of the state and the ruling regime as used the real social reflect of the Confucianist political ideology.

      • KCI등재후보

        중국 고대 유가의 ‘민’ 관념

        박병석(朴炳奭)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3 No.2

        정치현상을 기록한 중국의 초기 문헌은 거의 예외 없이 지배층인 인(人, man)을 포함한 군주의 피지배층 민(民, people)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담고 있다. 전자의 후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중국 정치사상의 기본을 이루고 있다. 정통 유가의 중심 사상은 전자의 후자에 대한 인(仁) 또는 인정(仁政)으로 이해되어 왔다. 유가정치사상은 심지어 중국 역대 왕조와 조선(朝鮮)의 정치 이데올로기로 격상되었다. 그러나 근대이후 서구사상과 문화의 유입에 따라 정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위상을 상실했던 유가 정치사상의 핵심을 민본주의로 재해석하여 민주주의와의 융합 또는 조화의 가능성과 당위성을 찾으려는 움직임은 지속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이 타당하려면 중국 선진시대 유가 전적에 나타난 민(民)의 위상은 최소한 정치의 주체라는 인식이 존재해야 한다. 이 논문은 관념사(history of ideas) 연구방법을 통해 선진시대 유가 전적에 나타난 민(民), 즉 백성의 행위를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진 유가 전적에 나타난 백성의 행위는 자신의 의지에 따른 자주적이고 자발적인 행위가 아니라 위정자의 행위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행위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선진 유가가 보는 백성은 통치의 대상일 뿐이고, 정치학, 특히 권력론에서 보면 유가사상은 결국 위정자에게 효과적인 통치술을 설파한 통치론에 불과하였다. 통치의 주체인 위정자는 객체인 민에 대해 피통치자의 역할과 기능을 하도록 적극 주문하였다. 위정자는 민을 열등한 타자로 만들어 타자화(他者化)하였고 차등화하였다. 위정자는 민을 자신의 정권과 통치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근본임을 인식하고 ‘민유방본’(民惟邦本) 이나 ‘민위귀’(民爲貴) 등의 수사를 동원했지만 그 전제는 ‘위정’(爲政), 즉 왕권과 정권의 유지와 강화였다. 후대의 학자들은 이러한 수사를 ‘민본’(民本)이니 ‘위민’(爲民)으로 정리하여 유가 사상의 ‘존재이유’를 옹호했다. Early Chinese literature’s recording of political phenomena in China, almost without exception, contains the understanding and insights of the monarch and the ruling class(that is to say, the man(“ren”, 人)) toward the subjugated class(that is to say, the people(“min”, 民)). The former’s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s toward the latter form the mainstream of Chinese political thought. The main idea of orthodox Confucianism has been understood as the ruling class’ benevolence(“ren”, 仁) toward ordinary people or benevolent politics(“renzheng”, 仁政). The political ideology of Confucianism was also the political ideology of many generations of Chinese dynasties and of the Joseon(朝鮮) Dynasty. In modern times, however, with the influx of western ideology and culture, the essence of Confucian ideology, which has lost its status as a political ideology, has been reinterpreted as a “people-oriented ideology”(“minben zhuyi”, 民本主義), and there has been continuous movement in the search of the possibility or appropriateness of its convergence or harmony with democracy. In order for this kind of movement and reasoning to be valid, there must be acknowledgment of the fact that the status of the people(“min”, 民), based on Confucian records of the pre-Qin(先秦) era of China is, at the very least, a political subject. This essay categorizes and analyzes the actions of the min?the people?that appear in the Confucian records of the pre-Qin era through the research method of the history of ideas. The actions of the people, according to Confucianism records, were not independent and voluntary, but mostly responsive to politicians’ actions. Therefore, the people, from the Confucian point of view, were merely objects of governance. From a political science, especially power theory, point of view,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is no more than a doctrine of governance that effectively preached ways of ruling. The ruling agents, the politicians, actively requested that the objects of ruling, the min, fulfill their role as the governed body. The politicians “othernized” the min and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m. The politicians realized that the min were the basis of their ruling power and reign and used political rhetoric, such as “the people are the basis of the state”(“min wei bangben”, 民惟邦本) or “the people are precious”(“min wei gui”, 民爲貴), but the premise of this was “political domination”(“weizheng”, 爲政)?in other words, maintenance or strengthening of the royal authority and ruling power. Many scholars in modern times summed up these historical rhetoric as “of the people”(“minben”, 民本) or “for the people”(“weimin”, 爲民), advocating the “raison d’etre” of the Confucian ideology in contemporary society.

      • KCI등재

        헌정의 ‘중국성(Chineseness)’이 갖는 이데올로기적 성격- 야오종치우(姚中秋)의 유가헌정민생주의를 중심으로 -

        김현주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1

        개혁개방 이후 중국에서는 헌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것은 유가헌정에 대한 주장들이다. 대내적으로 정치적 위기와 도덕적 위기라는 이중적 위기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사회주의적 헌정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그러한 위기를 해소할 수 있는 헌정개혁을 모색하기 위해 유가헌정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 중에서도 ‘강한’ 유가헌정을 주장하는 야오종치우(姚中秋)의 유가헌정론을 중심으로 유가사상과 헌정의 관계, 그리고 그것과 사회주의 헌정의 관계를 탐구하고, 그가 주장하는 ‘중국성(中國性)’의 이데올로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피고자 한다. Since Reform and Opening, debates about the constitution have been actively being carried out in China. It is Confucian constitutionalism that is worth to pay attention among them. In the face of the dual crises of political crisis and moral crisis, claims for confucian constitutionalism are rising, and try to seek a constitutional reform that can eliminate such crises without giving up socialist constitution system.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constitutionalism, and between Confucianism and socialistic constitutionalism focusing on ‘Strong’ confucian constitution that is argued by Yao zhongqiu. And the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ideology of the "Chineseness" claimed by him.

      • KCI등재후보

        동양의 유가사상(儒家思想)에서 바라본 청소년의 인성교육 연구

        신동업(Dong-Up Shi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동양의 유가사상으로 인성교육의 고전이라 할 수 있는 명심보감에서 효(孝)와 예(禮)에 대한 전통윤리를 청소년의 현대적 인성교육과 관련지어 그 의미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명심보감에 나타난 효(孝)와 예(禮)사상은 입신양명보다는 효(孝)와 예(禮)의 실천을 강조하였고 특히 효경과 논어 편에서는 효(孝)를 모든 덕의 근본으로, 예(禮)를 백가지 행실 중에 으뜸으로 삼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현대사회의 도덕성 회복을 위한 인성교육의 목적으로서 최선의 방법은 명심보감에 나타난 효(孝)와 예(禮)의 과 가치관에 대한 실천운동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성교육으로서 전통적 효(孝)와 예(禮) 사상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개선과제를 검토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은 가정교육과 연계해야 한다. 가정은 구성원들 간의 의사교환을 통하여 공통의 문화를 창조하고 유지해가는 집단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부터의 원할 한 인성교육이 실행되어야한다. 둘째, 효(孝)와 예(禮)사상의 지속적이고 심도있는 학교교육이 필요하다. 학교의 효(孝)와 예(禮)사상은 단절된 효(孝)와 예(禮)교육의 전통을 잇기에는 너무 부족하다. 따라서 학교가 효(孝)와 예(禮)의 관련된 내용을 증편하고, 실천하는 것만이 인성교육을 정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교육이 인성교육을 뒷받침하고 뒤따라야 한다. 사회교육은 행동적인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인성교육효과가 더 크다. 이러한 지향은 가정, 학교, 사회교육 등 세 가지 교육이 일체가 되는 방법을 통해서 가능한 것이다. 결국 효(孝)와 예(禮)는 올바른 가족관계 뿐만 아니라 건전한 사회와 건강한 인류공동체를 위한 보편적 사랑의 인성교육으로서 이에 대해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aning of traditional ethics associated with filial duty and manners, found in Myeangsim Bogam the classical book on Humanistic Education rooted in Confucian ideology of Orientalism, through the prism of contemporary Humanistic Education targeting adolesc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filial duty and manners ideology found in Myeangsim Bogam placed a greater emphasis on putting both filial duty and manners into practice, rather than achievement of fame and prestige. Particularly, Hyogyeong and Analects of Confucius extolled filial duty as the source of all virtues and manners as paragon of one-hundred types of behavior. In this context, the best way to achieve objectives of Humanistic Education -- which aims to promote restoration of morality in contemporary society should be the movement of acting out and value there of that could be found in Myeangsim Bogam. Thus, this study looked into the tasks for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filial duty and manners ideology as Humanistic Education as below. First, Humanist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home education. Humanistic Education should start from home to ensure undisrupted and smooth implementation of Humanistic Education, considering that family is a group that creates and maintains common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Second, school education needs to provide continued and in-depth knowledge and insight on filial duty and manners ideology. school education is too inadequate to provide a link to the disconnected tradition of education on filial duty and manners ideology. Thus, The school should expand contents which are related to filial duty and manners and practically promote filial duty and manners movement. Third, social education should underpin and follow the Humanistic Education. That is driven by the fact that social education actually has more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 in the field of Humanistic Educ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mass media characterized by action-oriented way of perception. Such pursuit can be made through a method that integrates the 3 types of education such as home, school, and social education, etc. After all, filial duty and manners as Humanistic Education rooted in universal love to achieve healthy and sound society and human community, as well as right family relationship, and for that, preceding studies would need to be carried out.

      • KCI등재

        「논어문의」를 통해 본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의의 : 전통적 해석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해석 지평 마련

        조정은(JO Junge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4 No.-

        이 글은 「논어문의」를 분석하여 홍대용이 조선경학사상사에서 지니는 의의를 살핀다. 홍대용은 유가에서 받드는 인물들의 권위와 이들에 관한 주석의 권위에서 벗어나 『논어』를 이해했고, 그 권위에 균열을 내는 도구로 상식과 유가 이념을 취했다. 그동안 문제 삼을 수 없었던 대상을 문제 삼으면서 경문의 본래 뜻과 상관성이 약한 불필요한 논의에 경종을 울리고, 공자를 현실을 살아간 한 인간으로 되살려 내고, 유가의 성인을 높인다면서 오히려 유가 이념에 배치되는 논의로 귀결되는 폐단을 드러냈다. 이러한 홍대용의 비판 작업은 유학에 대한 반발이 아닌 오히려 유학이 그간 간과했던 유학의 본래 정신 즉, 현실에 근거해 마땅함을 평가해야 하고, 군신과 부자의 도리에 어긋남이 없어야 한다는 정신을 환기시키는 작업이었다. 새로운 비판점에 선 시도였던 만큼 그 깊이는 부족했으나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위치에서 깊이까지 요구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논어문의」를 통해 살펴본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의의는 유가적 권위로부터 자유로운 입장에서 경험적 상식과 유가 이념에 근거해 경문과 주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경학 흐름을 만들어 갈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ssesses the significance of Hong Dae-yo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in Joseon by analyzing his “Noneo muni” (Inquiry on the Analects). Hong Dae-yong understands the Analects deviating from the authority of renowned Confucian figures and commentaries on them; he takes common sense and Confucian ideology as a tool to crack the authority. By addressing issues about the subjects that have not been taken as a problem, Hong raises the alarm about unnecessary discussions that has little to do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sentences in Confucian classics. In addition, he describes Confucius more vividly as a human being who lived in reality, and reveals the harmful effect of speaking too highly of Confucian sages that in the end runs counter to the spirit of Confucianism. Hong Dae-yong’s criticism is not an opposition to Confucianism, but on the contrary a reminder of the Confucian spirit: evaluation should be based on reality, and there should be no violation of the principles of ruler and subject, father and son. As his criticism is directed to new subjects, its depth is insufficient; however, it would be unjust to demand depth considering his historical position. In sum, the significance of Hong Dae-yo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can be found in that he prepared a bridgehead to open a new chapter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y critically examining Confucian classics and commentaries on them, on the basis of common sense and Confucian ideology while not restricted by the authority of Confucianism.

      • KCI등재

        學而優則仕的敎學思想硏究

        박영진 ( Young Jin Park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0 No.-

        ``學而優則仕``는 춘추시대 교학사상을 대표하는 동시에 정치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이 정치적 함의는 유가의 ``內聖外王``으로 전개되었으며, 자연스럽게 정치와 교육의 연계성을 가지게 했다. 철학적, 학문적 해석을 축으로, 정치와 교육이 지니게 된 연계성은 漢代 이후, 특히 隋와 唐朝를 지나면서 과거제도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므로 ``學而優則仕``의 교학사상을 연구한다는 것은 전통적으로 유가사상이 고민해 온 통치자의 바른 신념과 일신을 위한 유혹 사이의 가치관을 분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서 통치자가 선비들에게 어떻게 대할 것인가에 관한 근거와 도덕적 수양의 정도를 파악하게 해 준다. 결국 교학사상에 대한 연구는 통치자의 자각적 반성과 통치 대상에 대한 원칙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敎``와 ``學``은 정치사상을 형성하는 데 의미 있게 개입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대 중국의 ``學而優則仕``의 의미가 정치사상과 교학사상의 시대적 연계성으로 인해 후세에 지속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주목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가사상이 개인수양은 물론 사회현장에서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시대적 의미가 있으며, ``學而優則仕``에 대한 시대적 해석과 적용은 본 연구의 학술적 가치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Xueeryouzeshi`` repres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ideology of the Warring County Period,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 political implication. This political implication was developed by a Confucian scholar`s ``Neishengwaiwang``, and it naturally made it possible to create a connectivity between politics and education. The connectivity cultivated between politics and education centering on the axis of political, academic interpretation, came to be shown as a state system while specifically extended through the Sui Dynasty and the Tang Dynasty. Therefore, research into the teaching and learning ideology of ``Xueeryouzeshi`` may be an analysis of the view of values between the right faith and the temptation to gain personal success within a ruler, which had been thought about seriously in a Confucian scholar`s ideology, traditionally. Furthermore, it enables the identification of the level of the basis and of the moral cultivation as to how a ruler would respond to classical scholars. Ultimately, research into the teaching and learning ideology may be to clarify the perceived self-retrospect of a ruler and the principle concerning those who are subjected to rule.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ay be meaningfully involved in creating a political ideology. This study focused on the way in which the meaning of ``Xueeryouzeshi`` in ancient China has consistently affected the later generations owing to the connectivity between political ideology and teaching and learning ideology in terms of sharing the same era. In this process, it was meaningful in light of the era that a Confucian scholar`s ideology can be properly applied, not only in personal cultivation but also in social fields, and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Xueeryouzeshi`` in consideration of the era will be able to offer the academic value of this study.

      • KCI등재

        息山 李萬敷 細民傳 硏究

        신승훈 ( Seung Hun Shin ) 한국한문학회 201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6

        息山 李萬敷는 7편의 傳을 통해 11명의 인물을 立傳하며 傳의 장르적 속성과 전통에 기반을 두었다. 傳은 출발에서부터 細民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있었다. 이만부의 傳 은 이러한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細民傳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는데, 그의 전 대부분이 바로 이러한 細民을 立傳對象하기 때문이다. 이만부는 이들이 자취조차 남기지 못하고 완전히 사라지는 일이 없게 하겠다는 정신으로 입전하였다. 이는 일종의 작가의식이라 할수있으며, 이러한 작가의식은 ‘紀載事迹, 以傳於 後世也.’의 구절로 압축할 수 있다. 이는 창작의 동인이 되어 傳의 장르적 속성과 양식 적 전통에 충실한 작품으로 형상화되었다. 아울러 이만부는 학자나 사상가일 뿐만 아니라, 문예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傳의 작가이자 뛰어난 문인이었음이 작품으로 증명된 다. 또한 조선후기에 양적으로나 질적인 측면에서 공히 확대되고 있는 細民傳류의 작 품 창작에 일정한 영향관계가 있었을 것으로도 보이지만, 이 문제는 별도의 논의가 필요하다. .宋忠義傳...靈一禪師傳...金起男傳.은 奇行과 異蹟의 細民을 立傳한 경우로써 특히 그들의 일과 자취를 사라지게 하지 않겠다는 작가정신이 잘 드러난 작품들이었다. 이 작품들을 통해 이만부는 傳의 고유한 장르적 속성과 전통에 충실한 작품을 만들어내었다. 표현기법의 면에서는 問答法 내지 對話體를 적절히 구사하였고, 생동감 이 넘치는 묘사를 통해 상황을 전달하였으며, 간결하지만 집약적인 敍事를 통해 인물을 형상화시키고 있었다. 이는 또한 이만부가 뛰어난 傳의 작가였음을 알게 해주는 문 예적 특징이기도 하다. .丹密三孝傳...李萬戶傳...孝子烈婦忠奴列傳...林孝子傳.에서 이만부는 儒家 의 이념과 이상을 문예적으로 형상화하였다. 忠.孝.烈.義라는 정신적 가치를 실존 인물을 立傳함으로써 생동감 넘치게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입전대상은 대개 한미한 士族이거나 武班, 보잘것없는 庶民이거나 賤隸들이었다. 이들을 立傳한 이만부의 작 자로서의 시선은 매우 애정 어린 것이며 깊은 연민의 감정이 스며있다. 이러한 애정과 연민은 이만부의 전을 견인하는 하나의 원동력이 되어 유가이념의 천양에 기여하는 인 물이라면 그 출신의 문제는 하등의 문제가 될 것이 없었다. 오히려 이들에게서 유가의 이념을 확인함으로써 더 많은 공감대를 얻을 수 있으리라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수 다한 백성들에게 자신들과 다르지 않은 계층의 인물이 이러한 하나의 표상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함으로써 유가 이념의 확대와 공고화를 이루는 계기로 삼으려 했던 것이 그 의 의중이었을 것이다. 어쩌면 尋常한 주제일 수 있는 유가적 이념과 이상을 주제로 하고도 매우 문예적 성취가 높은 傳을 창작한 탁월한 作者였다. 개별 작품에 대한 修辭 的 分析과 文藝美學的 고찰은 後考가 있어야 한다. ShikSan(息山) LeeManBu(李滿敷) wrote 7 biographies for 11 people. These were the literary writings on the basis of the features and tradition of biography genre. A biography, from the origin of that genre, had the special concern and affection about unworthy and poor people. The biographies written by LeeManBu(李滿敷) were faithful to this tradition of biography genre in succession. On the ground of this point, we can call his writings ‘Se-Min Biography(細民傳)’, that is, ‘A Biography for unworthy and poor people’, because his most biographies chose the main characters among people out of power or in common people’s street. LeeManBu(李滿敷) had the writer’s mind that a writer must try not to disappear the trace of main characters, unworthy and poor people. This could be a kind of writer’s mind. Shortly, his writer’s mind could be summarized by this phrase, ‘Write up unworthy and poor people who worked strange, amazing deeds and did a miracle, so hand down to posterity(紀載事迹, 以傳於後世)’. This writer’s mind became the motivation of his writings, he formed his works that were faithfully according to the features and styles of biography genre. Also, in the viewpoint of literary, LeeManBu(李滿敷) was not only a scholar, a philosopher but also an excellent biographical writer, a literary man by the evidence of his writings. And he seemed to have influence on many writings of ‘Se-Min Biography(細民傳)’ group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in the later Cho-Sun(朝鮮) dynasty. But it needs a special discussion focused on that theme.In <SongChungUi biography(宋忠義傳)>, <RyungIlSunSa biography(靈日禪師傳)>, <KimKiNam biography(金起男傳)>, he wrote up unworthy and poor people who worked strange, amazing deeds and did a miracle, so he expressed his writer’s mind that a writer must try not to disappear the work and trace of main characters. Through these writings, LeeManBu (李滿敷) wrote up writings which were faithful to the features and tradition of biography genre. He used the forms of questions and answers, a style of dialogue. He delivered the circumstance with vivid descriptions, he formed characters by means of simple but intensive descriptions. Through all these literary features, we could notice him as an excellent biographical writer. In <DanMilSamHyo biography(丹密三孝傳)>, <LeeManHo biography(李萬 戶傳)>, <HyoJaRyulBuChungNo biography(孝子烈婦忠奴列傳)>, <LimHyoJa bio- graphy(林孝子傳)>, he showed the ideology and ideal of a Confucian. He described the mental values such as loyalty to a nation, devotion to parents, an exemplary woman, justice vividly, by writing up real existing characters. The main characters of his biography were mostly insignificant scholars or low-ranking officers, military nobility, and unworthy, common people or the humble. The writer LeeManBu(李滿敷) looked at them with affectionate eyes and very pity feelings. This affectionate eyes and pity was the motive power to lead his biography. If the main character contributed to make the ideology and ideal of a Confucian prominent, it didn’t matter that the character’s humble origin was. He seemed to judge that he could evoke people’s sympathy much by confirming the ideology of a Confucian from unworthy and poor people. LeeManBu(李滿敷) was the perfect biographical writer, who described the usual theme, the ideology and ideal of a Confucian literally. I expect a rhetorical analysis and literary, esthetic study on the several writings later.

      • KCI등재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시조(時調)의 미적(美的) 성취(成就)와 그 가치(價値)

        김학성 ( Kim Hak-s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이 연구는 孤山 尹善道의 時調를 대상으로 그가 이룩한 美學的 成就를 구체적으로 탐구하고 그 位相과 價値를 온당하게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고산의 삶과 문학의 관계를 辨證法的 논리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과, 그의 時調 美學은 樂人으로서의 儒家的 歌樂觀을 바탕으로 접근해야 올바로 드러낼 수 있음을 밝혔다. 작품의 엄격한 形式規律은 높은 정신세계와 情感 鍛鍊의 양식화를 보인 것이고, 儒家的 道와 理念을 예술적으로 승화시켜 ‘典雅한 아름다움’을 텍스트 美學으로 창출했음을 살폈다. 連時調라는 독특한 樣式을 창조하고, 순수국어미를 활용함으로써 理念경험과 美感경험이 일체화된 美의 최고 경지에 도달했음을 밝혔다. 고산의 시조는 退溪나 松江, 李鼎輔와는 달리 言志나 載道, 緣情의 세 가지 詩的 要素의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絶妙한 융합을 보임으로써 儒家美學이 보일 수 있는 최고의 品格을 구현했음을 규명했다. This thesis which dealt with Gosan(孤山) Yoon, Sundo(尹善道)'s shijo(時調) brilliant in our literary history tried to concretely explore his aesthetic achievement and examine its phase and value reasonably. For that, it overcame the problems of existing studies and tried to give a new interpretation on it. As a result, it clarified that the relation between his life and literature should not be understood with dialectic logic and that his shijo aesthetics could correctly be revealed only if it is approached based on his Confucian view of song and music as a musician. It indicated that the strict formal rules in his works showed stylizing high spiritual world and sentiment training and that he created 'elegant beauty' as textual aesthetics by sublimating Confucian way and ideology artistically. Also, it made clear that he reached the highest stage of beauty where an ideological experience was united with an aesthetic one by creating a peculiar style called Yunshijo(連時調) and using pure Korean beau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