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

        송규진(Song Kue-jin)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철도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하여 근대문명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조선자원 수탈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총독부는 함경도 지방의 산업개발, 그 가운데 특히 석탄과 삼림을 개발하고 해산물을 반출함으로써 연료난과 식량난을 해결하고자 했다. 함경선 부설은 함경도지역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함경선은 이후 완공한 吉會線과 연결하여 조선과 만주내륙 및 시베리아 간의 교류를 촉진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길회선 종단항을 유치하기 위해 나진·웅기·청진이 경합을 벌였으며 결국 일제는 종단항을 나진으로 결정했다. 청진의 유지들이 총력적인 로비로 총독부가 초기에는 청진의 유지들이 총력적인 로비로 청진을 종단항으로 암묵적으로 결정했음에도 결국 남만주철도주식회사와 관동군이 처음부터 군사요새지로 구상했던 나진으로 종단항이 결정된 것은 외삽적 권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나진으로 종단항이 결정되면서 나진·웅기·청진 경제는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었다. 나진은 시가지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며 종단항에 걸맞은 탄토항으로 크게 발전했다. 청진도 종단항 경쟁에서는 패배했지만 생존을 위해 총독부에 또 다른 기회를 요구하고 그것을 받아냄으로써 계속 지역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웅기는 나진과 경계를 이루어 동반 발전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정체적인 상태에 머물렀다. 이것이 철도가 지역사회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한 것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경우라고 생각한다. Railways, while an important symbol of modern civilization, act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Joseon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as they were used as a tool allowing for the exploitation of shipbuilding resources.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sought to resolve food and fuel crises through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Hamgyeong province, especially by extracting coal, exploiting the forest, and exporting seafood. The construction of the Hamgyeong Line greatly influenced the regional development of Hamgyeong province. In particular, it promoted exchange between Joseon, inland Manchuria, and Siberia when it was connected to the Gilhoe Line, which was completed afterward. Najin, Unggi, and Cheongjin each contended to be the last stop on the Gilhoe Line, and Najin was eventually selected as the last port. Although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had unofficially decided on Cheongjin as the last port, following lobbying from Cheongjin regional officials, Najin, a place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 and Kwantung Army had already envisioned as a military fortress, was ultimately selected as the last port, demonstrating the limitations of an externally supplanted authority. With Najin selected as the last port, the economies of Najin, Unggi, and Cheongjin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Najin evolved into a transfer port, with urban planning unfolding smoothly. Cheongjin, although it failed to host the line construction, also continued regional development by demanding and obtaining other opportunities from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However, Unggi stagnated, despite its hope to develop along with Najin. This shows how the railways act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local economies.

      • KCI등재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나진・웅기・청진을 중심으로-

        송규진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Railways, while an important symbol of modern civilization, act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Joseon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as they were used as a tool allowing for the exploitation of shipbuilding resources.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sought to resolve food and fuel crises through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Hamgyeong province, especially by extracting coal, exploiting the forest, and exporting seafood. The construction of the Hamgyeong Line greatly influenced the regional development of Hamgyeong province. In particular, it promoted exchange between Joseon, inland Manchuria, and Siberia when it was connected to the Gilhoe Line, which was completed afterward. Najin, Unggi, and Cheongjin each contended to be the last stop on the Gilhoe Line, and Najin was eventually selected as the last port. Although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had unofficially decided on Cheongjin as the last port, following lobbying from Cheongjin regional officials, Najin, a place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 and Kwantung Army had already envisioned as a military fortress, was ultimately selected as the last port, demonstrating the limitations of an externally supplanted authority. With Najin selected as the last port, the economies of Najin, Unggi, and Cheongjin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Najin evolved into a transfer port, with urban planning unfolding smoothly. Cheongjin, although it failed to host the line construction, also continued regional development by demanding and obtaining other opportunities from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However, Unggi stagnated, despite its hope to develop along with Najin. This shows how the railways act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local economies. 철도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하여 근대문명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조선자원 수탈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총독부는 함경도 지방의 산업개발, 그 가운데 특히 석탄과 삼림을 개발하고 해산물을 반출함으로써 연료난과 식량난을 해결하고자 했다. 함경선 부설은 함경도지역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함경선은 이후 완공한 吉會線과 연결하여 조선과 만주내륙 및 시베리아 간의 교류를 촉진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길회선 종단항을 유치하기 위해 나진·웅기·청진이 경합을 벌였으며 결국 일제는 종단항을 나진으로 결정했다. 청진의 유지들이 총력적인 로비로 총독부가 초기에는 청진의 유지들이 총력적인 로비로 청진을 종단항으로 암묵적으로 결정했음에도 결국 남만주철도주식회사와 관동군이 처음부터 군사요새지로 구상했던 나진으로 종단항이 결정된 것은 외삽적 권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나진으로 종단항이 결정되면서 나진·웅기·청진 경제는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었다. 나진은 시가지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며 종단항에 걸맞은 탄토항으로 크게 발전했다. 청진도 종단항 경쟁에서는 패배했지만 생존을 위해 총독부에 또 다른 기회를 요구하고 그것을 받아냄으로써 계속 지역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웅기는 나진과 경계를 이루어 동반 발전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정체적인 상태에 머물렀다. 이것이 철도가 지역사회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한 것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경우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許筠이 본 蘇齋 盧守愼 詩의 美的 특질 : 『國朝詩刪』의 批評을 중심으로

        강지희(Kang, Ji-hee)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6 No.-

        蘇齋 盧守愼은 陳師道, 黃庭堅 등으로 대표되는 중국 강서시파의 영향을 받아 海東江西詩派를 형성한 湖蘇芝 三家의 일원으로 병칭되지만, 중년 이후에는 唐風, 특히 杜詩를 학습하여 이후 三唐詩人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시인으로 평가된다. 허균은 자신의 시화집인 『성수시화』와 『학산초담』에서 시인으로서의 소재를 높이 평가했는데, 특히 두시를 체득한 점, 오언율시의 대가라는 점, 구법이 온당하고 표현이 자연스러운 점 등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시선집 『국조시산』에서 구체적인 批評을 가하여 그 실체를 설명하였다. 본고에서는 『국조시산』을 중심으로 허균이 소재의 시를 어떻게 평가했는가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허균은 소재가 두보의 시를 학습하여 그 본체를 터득했다고 보았는데, 실제 소재의 시를 분석해 보면 두시의 단순한 인용이나 點化가 아닌, 한층 더 높은 수준의 변용과 구사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허균은 소재의 시가 工緻하다고 평가했는데, 소재의 시를 분석해 본 결과 주제와 형식, 시상의 흐름, 시어의 운용 등에 있어서 매우 정교하고 치밀한 솜씨가 돋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허균은 소재의 시가 雄奇한 품격을 지녔다고 평했는데, 시를 분석한 결과 그 웅장함과 돌올함 속에는 섬세하고 왜소한 시인 자신에 대한 인식이 내포되어 독특한 미감을 발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ojae, Noh Su-shin is well known for a member of Haedong-Gangseosipa(海東江西詩派). Also he learned Tang poetry, especially poems of Tufu(杜甫), after his middle life, and then he had an big impact on Samdang-poets(三唐詩人). Heo Gyun wrote two books of poetry criticism, Seongsu-sihwa(惺叟詩話) and Haksan-chodam(鶴山樵談). He praised ability of Sojae as a poet in these books. He specially took notice of Sojae’s pomes in three points: One, Sojae mastered how to write poems like Tufu. Two, Sojae was a master of ottava rima with five characters to a line. Three, the poetic phraseology and expression in Sojae’s poems are very proper and natural. Heo Gyun explained esthetic characteristics of Sojae’s poems, by making comment on his poems concretely in Gukjo-sisan(國朝詩刪), the selection of poems by Heo Gyun. In this paper, I studied how Heo Gyun made an evaluation of Sojae’s poetry based on his comment in Gukjo-sisan. He thought that Sojae learned Tufu’s poetry and mastered the way of writing poems like Tufu. I analyzed Sojae’s poems meticulously, then I could find that Sojae made not mere quotation or change, but a high level of command and transformation of Tufu’s poetry. Second, Heo Gyun told that Sojae’s poems were very complicated and refined(Gong-chi). When we read Sojae’s poems, we will see that he wrote poems ingeniously and elaborately from all aspects of themes, forms, poetic sensibility, and poetical language. Third, Heo Gyun told that Sojae’s poems had a magnificent and whimsical(Woong-gi) atmosphere. After reading his poems, I found a delicate and puny man in the huge and grand world. It give us a unique feeling, like a kind of aesthetic feeling or philosophical reflection.

      • KCI등재

        1945년 8월 소련 해군 태평양함대의 웅기·나진상륙작전 연구

        박희성(Park, Hui-seong)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1 군사 Vol.- No.121

        This article looked at the Unggi and Rajin Amphibious operations of the Soviet Navy"s Pacific Fleet in August 1945. As the Allied Forces won World War II, Korea was liberated. The Soviet Army declared war on Japan on August 8, 1945 and participated in the second world war. The Soviet ground forces attacked Manchuria and defeated the Japanese Kwandong Army. And as a subsequent operation, they advanced to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acific Fleet occupied ports in the North Korean region, with the aim of preventing the retreat and reinforcement of Japanese Kwandong forces. Air units belonging to the Pacific Fleet bombed the Japanese naval bases in Unggi, Rajin and Chongjin on August 9 and 10, 1945. The Pacific Fleet attacked Unggi on August 11, 1945. Operation Unggi was carried out by the Fleet Command"s reconnaissance units and marines. And on the 12th, the landing force occupied Unggi Port and Unggi City without much resistance. The operation to Rajin began on August 12. Also, the Fleet Command"s reconnaissance unit and marines were in charge of the operation. The reconnaissance unit occupied Rajin Port first and secured a bridgehead, and the main landing unit completed the landing on the morning of the 13th. Subsequently, while occupying Ungisi and the outlying hills, they attacked the Japanese forces and cleared out the Japanese forces in Daechodo and Sochodo.

      • KCI등재
      • KCI등재

        논문(論文) : 증국번(曾國藩)과 동성(桐城) 고문(古文) 그리고 고증학(考證學)

        백광준 영남중국어문학회 2012 중국어문학 Vol.0 No.60

        衆所周知,曾國藩參看和吸取漢賦的書寫手法,以改善了桐城派的弊端,奠定了其複興之基。不過,當時是離漢學興旺的乾嘉年間不久,因此到了曾國藩那一時代,漢學仍然占據學術上的優勢。要考慮如此情況,曾國藩爲何接受桐城學派,是?難理解的。爲了조(?)到其線索,首先,我們要考慮湖南學風。湖南曆來被譽爲“理學之邦”,宋學傳統面面傳承下來,四處洋溢著“有體有用之學”風氣,漢學則不太受歡迎。加之,當時經世致用的學風興起了,漢學逐漸被視爲無用之學,這使得湖南人士對漢學予以激烈的批評。當地某人士甚至說,太平天國運動便是因漢學之弊而造成的。曾國藩卽使不同意如此主張,整體來看,他的思考也?難擺脫湖南學術傳統。這可能是他對桐城學術有好感的基本背景。還有,他在文論上重視“雄奇之文”,像錢基博所說的那樣,這也有可能來自“强有力”。曾國藩也在湖南學風的熏陶之下起初對漢學沒有任何興趣,而成了京官,在根一些學者交流的過程中才始有興趣了。這表示他不僅是固守門戶之見,反而廣泛攝取當時學術成果,以期重新構築桐城學術。要注意的是,他深爲感歎漢學成果,幷且對一些漢學家深有欽佩之情,是超乎我們所意料的程度。據考察,這是因爲段玉裁、王念孫等以訓雇辨析出漢賦書寫的長處,卽是每個詞彙都非常正確地安排的。看來,這引起他對漢學重新評價,高度重視。如此一來,他依고(?)漢學的成果,看中漢賦書寫,幷且注目書寫上訓雇的重要性了。在這一點上,他對楊雄、韓愈頗有仰慕之情,特別是,據他理解,韓愈雖是古文家,而他的書寫也接近于漢賦,也運用頗爲正確的詞。同時,他不滿于當時古文家的書寫,是因爲氣勢不振,仍失于空疏。結果,他摸索吸取漢賦書寫,要給桐城的古文加以雄奇風格。値得注意的是,他救濟當時古文書寫之方是,反而言之,和當時漢學對桐城派的批評同調的。從中看出,他所構築的文論是從桐城派書寫有限的認識出發,參考漢學理論成就的。可謂是,曾國藩的文論在和漢學交互作用之下形成的。

      • KCI등재

        만주사변 이후 일본의 동해군용정기항로의 설치와 운용

        이규태(Yi, Gyutae),김백영(Kim, Baekyu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7 島嶼文化 Vol.0 No.49

        본고는 만주사변 이후 일본과 만주를 연결하는 제3루트로서 등장한 동해횡단항로의 성격에 대해 분석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북조선 동부지역의 항만축조 상황을 검토하고, 다음은 제3루트가 등장하게 된 배경 및 북조선 동부3항과 만주를 연결하는 철도망의 연결 문제를 검토했다. 그리고 제3루트가 가지는 군사적 특성과 그 운용 실태를 분석했다. 제3루트는 두 가지 측면에서 요구되었다. 첫째는 ‘우라[裏]일본’ 지역의 상공업자들의 요구였다. ‘우라일본’ 지역의 상공업자들은 만주가 일본의 세력권에 편입되자 동해를 ‘호수화’하여 개발이 늦어진 ‘우라일본’ 지역을 만주와 연결하는 현관으로서 개발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어느 지역을 거점항으로 선정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우라일본’ 각 지역 간에 치열한 경쟁과 대립이 일어났다. 또한 제3루트는 수익성 면에서 제1, 제2 루트와 비교하여 경쟁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개발에 대한 반대 의견이 표출되기도 했다. 둘째는 만주국 유지와 소련에 대한 방어라는 군사적 목표를 가진 관동군의 요구였다. 관동군은 유사시 병력을 집중적으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만주와 가장 가까운 연결루트인 제3루트를 군사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었다. 관동군의 군사적 요구가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우라일본’ 지역의 상공업자들은 각 지역 간의 상충하는 갈등과 대립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자체적으로 마련해내지 못했다. 결국 일본정부가 이 사태에 개입하여 관동군의 군사적 요구를 반영하면서 ‘우라일본’ 상공업자들의 이해관계를 절충하는 타개책을 마련하게 된다. 일본정부의 해결책은 1935년과 1938년 두 차례에 걸쳐 제시되었는데, 이 두 가지 타협안은 ‘우라일본’ 지역 민간상공업자들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면서도 본질적으로는 일본 군부의 군사적 요구를 반영한 것이었다. 실제로 제3루트인 동해 횡단항로는 일본제국이 패망할 때까지 주로 군사항로로 이용되었다. This paper analyses the nature of the East Sea crossing route, which was established after the Mukden Incident as the “Third Route” connecting Japan to Manchuria. It examines the situations of constructing ports in Northeast Korea, the background of establishing the Third Route, and the limitations of the railway network between Manchuria and the three major ports in Northeast Korea. Then, it investigates the military nature of the Third Route and how it was managed. The Third Route was deemed necessary for two reasons. First, the merchants and industrialists in the “Ura Japan” region demanded it. As Japanese influences increased in Manchuria, they planned to develop the underdeveloped Ura Japan by seeing the East Sea as a “lake” between the Japan-controled lands and making the region into the front gate toward Manchuria. However, several ports in the region fiercely competed for the status of hub port. Also, the Third Route was not as profitable as the First and Second Route, bringing about some local grievance. Second, the Kwantung Army demanded the Third Route with the military purpose of protecting Manchukuo from the threat of the Soviet Union. The Army hoped to use the Third Route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ployment of armed forces in time of emergency. While the Kwantung Army increasingly demanded the Third Route, the businessmen in “Ura Japan” could not resolve the conflict on their own. The Japanese government eventually intervened and arbitrated in the conflict, reflecting the military demand of the Kwantung Army. Two compromises were suggested in 1935 and 1938, which eventually reconciled the demands from the civil merchants and those from the Army. The East Sea crossing route, or the Third Route, was mainly used as a military sea lane until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Empi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