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종의 울릉도 關防정책과 이규원의 울릉도 수토

        이흥권 한국이사부학회 2019 이사부와 동해 Vol.15 No.-

        조선은 19세기 60년대부터 외세의 위협을 받기 시작하였고 프랑스와 병인양요, 미국과 신미양요가 발생하였다. 또 1876년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체결하면서 문호를 개방하였다. 일본은 제일 먼저 울릉도·독도에 대한 야심을 드러내기 시작하였고, 울릉도에 일본인을 보내 벌목사업을 진행하였으며 해산물을 채취하였다. 이것은 1881년 울릉도 수토에서 보고되었다. 수토사들이 울릉도를 순찰할 때 일본인들이 나무를 베어 원산과 부산으로 옮기려 하였고 이 사실을 들은 고종은 이규원을 울릉도관찰사로 파견하여 울릉도를 자세히 조사할 것을 명하였다. 이규원은 울릉도 상황과 「울릉도내도」, 「울릉도외도」지도를 그려 바쳤다. 이후 조선은 울릉도에 주민을 이주시키고, 도장(島長)을 두어 울릉도를 관리하였고, 군을 설치해 지방관제에 편입하고 관할 구역을 울릉도 전체와 독도를 포함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고종의 관방정책으로 볼 수 있다. 흥선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이 집권하면서 1870년대 초부터 국경 방어에 관심을 갖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며 관방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국경지역인 동래, 의주, 황해지역 방어와 이양선의 출몰 등에 대비하여 조치를 강구하였다. 또한 고종의 울릉도 관방정책은 전국 관방정책의 일환으로 울릉도를 개척하고자 하는 그의 영토수호의지를 살펴볼 수 있다. 울릉도는 버려진 섬이 아니라 비웠던 섬이고, 주민을 이주하여 단계적으로 울릉도를 개척하였고, 군청을 설치하는 등 고종의 정책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Threats against the Joseon Dynasty from foreign powers began in the 1860s starting with the French campaign against Korea in 1866 and the US expedition to Korea in 1871. Also, Joseon’s doors were forced open Japan-Korea Treaty of 1876. Japan began unmasking its ambitions for Ulleungdo and Dokdo first, and they sent Japanese citizens to Ulleungdo to engage in logging and fisheries. This was reported in the Ulleungdo investigations of 1881. During their patrols, they found that the Japanese were attempting to cut down trees and move then to Wonsan and Busan. Upon hearing this, King Gojong dispatched Lee Gyu-won as the governor of Ulleungdo ordering him to investigate Ulleungdo in detail. Lee Gyu-won reported the situation of Ulleungdo and produced the ‘Map of Inner Ulleung-do’ and ‘Map of Outer Ulleungdo’ and offered it to the king. Since then, Joseon moved its citizens to Ulleungdo and managed Ulleungdo by placing a governing officer called dojang and installed a military and incorporated it in the provincial governing system and included all of Ulleungdo and Dokdo in the area of jurisdiction. Such policies can be viewed as the border protection policies of Gojong. Once Regent Heungseon Daewongun stepped down and Gojong came into power, he became interested in defending the borders from the early 1870s and searched for plans, whil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order defense. Plans were made to defend the border regions of Dongnae, Uiju and Hwanghae, while also preparing against ships from the western world. Furthermore, Gojong’s border defense policies for Ulleungdo demonstrated his will to protect the territory by pioneering Ulleungdo as a part of the national border defense policy. Ulleungdo was not an abandoned island, but an empty island, and people were transferred to settle Ulleungdo in stages as pioneers, and a military installation was placed on the island, thus showing the changes in Gojong’s policies.

      • KCI등재

        선사·고대 환동해 교류망에서 울릉도의 역할 재고

        고일홍(Ko Il-hong)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9

        이사부 정벌 전후의 우산국 토착 사회에 대한 지금까지의 추론은 문헌 자료와 고고학 자료를 통해 이루어져 왔다. 이중 고고학 자료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은 청동기시대 부터 울릉도에 주민이 정주했으며, 이 집단이 훗날 ‘우산국’으로 불리게 될 정치체로 성장했다는 시각으로 이어졌다. 또한 우산국이 본토의 다른 ‘국’들과 비슷한 사회 복합화의 과정을 통해 성장했을 것이라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그러나 울릉도 토착 사회의 모습이나 그 성장기반에 대해서는 ‘섬’이라는 경제·사회·환경적 맥락을 고려하여 다시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되어야지만 선사·고대 환동해 교류망 속에서의 울릉도의 역할을 제대로 논의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유물의 실견, 전문가 자문, 기존 해석의 재검토 등의 방법을 통해 소위 울릉도의 ‘선사시대’ 고고학 자료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확실한 신석기시대 유물인 어망추는 존재하나, 그동안 청동기시대 유물로 간주된 홍도는 선사시대로 비정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동기시대 자료로 널리 알려진 무문토기, 갈판과 갈돌, 고인돌 역시 청동기시대로 비정할 확실한 증거가 없음을 밝혀냈다. 울릉도의 고고학 자료에 대한 이와 같은 실증적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이사부 정벌 이전부터 울릉도에 거주했던 집단의 실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신석기시대에는 식량 획득 장소로서 울릉도에 대한 계절적 점유가 이루어졌으나, 청동기시대 개시 이후에는 생계전략의 변화로 인해 한동안 울릉도에 사람이 지속적・집중적으로 거주하지 않았음을 추정하였다. 또한 그 이후 어느 시점부터 환동해 서쪽 해역에서 해상 네트워크의 작동이 심화되면서 울릉도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이러한 새로운 기회에 힘입어 해상 활동으로 권력의 기반을 확보한 집단이 울릉도를 지속적으로 점유하여 훗날 우산국으로 성장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렇듯 토착 사회를 집약적 농경이 아닌 해양 자원이나 해양 교역을 기반으로 성장한 사회로 바라봄으로써 선사・고대 환동해 교류망에서의 울릉도의 역할에 대해 새롭게 접근해 볼 수 있었다. 특히, 울릉도가 지표로써, 연안항법으로 항해할 수 있는 바다 범위를 동해의 중심부로까지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했을 가능성을 추론하였다. Inferences about the nature of Unsan-guk indigenous society around the time of the Silla General Isabu’s conquest have mainly been made based on the historical texts and the archaeological record. Due to the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archaeological data, however, the view that people who had settled in Ulleung Island since the Bronze Age had developed into the polity that came to be known as ‘Usan-guk’ has gained currency. In particular, there seems to be the implict view that the pathway towards social complexity in Ulleung Island was similar to that observed for the polities of the mainland. However, such a view acts to inhibit the active discussion of the role of Ulleung Island in the prehistoric and historic East Sea Rim interaction network. Therefore, this paper reviews the so-called ‘prehistoric’ archaeological data from Ulleung Island through methods such as direct observation, expert consultation, and the review of current interpretation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lthough an artifact dating undeniably to the Neolithic period is present (in the form of a distinctive, large fish-net sinker), the red burnished pottery examples that had been dated to the Bronze Age more likely date to the historic period, and that there is no concrete evidence that the artifacts believed to date to the Bronze Age can be dated as such. Based on this empirical review of the archaeological data, the nature of the group that resided in Ulleung Island prior to Isabu’s conquest is discussed. It is suggested that, in the Neolithic period, the island was a place where food resources were acquired and only seasonal occupation took place. It is also proposed that Ulleung Island was not occupied intensively or permanent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llowing the transition to the Bronze Age as a result of the adoption of new subsistence strategies. From the 2nd century BCE, the importance of Ulleung Island was highlighted as a marine network was formed and began to operate in the waters of the Korean Peninsula. By viewing the indigenous society of Ulleung Island as that which had grown based on marine resources or trade, rather than intensive agriculture, it was possible to adopt a new understanding of Ulleung Island’s role in the prehistoric and historic East Sea Rim interaction network. In particular, it was inferred that Ulleung Island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the range of the seas that could be navigated using the method of coastal navigation by being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ast Sea.

      • KCI등재

        울릉도 수토 각석문의 현황과 특징

        한성주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1

        조선 후기 정기적인 수토제(搜討制) 실시는 1694년(숙종 20) 장한상(張漢相)의 울릉도 수토로 시작되었다. 수토사(搜討使)들은 자신들이 다녀간 흔적을 남기기 위해 각석문(刻石文)을 남겼는데, 수토(搜討)의 가장 확실하고 직접적인 증거이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울릉도 수토 각석문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아직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대략적인 현황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수토 각석문의 조사와 연구 현황을 종합하여 비교·검토하고, 현재까지 발견된 각석문의 내용을 비교 검토하는 동시에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711년(숙종 37) 박석창(朴錫昌)이 남긴 ‘울릉도 도동리 신묘명 각석문’은 수토제 시작 후 불과 17년이 지난 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그가 남긴 울릉도도형(鬱陵島圖形)에도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 그의 울릉도도형에는 ‘각석입표소(刻石立標所)’를 표시하였는데, 이 표시는 이후 제작된 조선 후기 지도에 동일하게 그려져 있다. 따라서 박석창의 각석문은 현재까지 남아있는 울릉도 수토 각석문 중 가장 오래된 것일뿐만 아니라 울릉도 수토 각석문 중 최초의 것일 가능성도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울릉도 수토 각석문은 크게 8개로 볼 수 있으며, 시기적으로는 1700년대 2개, 1800년대 5개, 1900년대 1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류하면 서로 다른 14명의 각석문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별로는 서면 태하리에 4개 8명, 울릉읍 도동에 3개 4명, 북면 현포리에 1개 2명의 각석문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은 총 4개 7명의 각석문으로 발견된 수의 50%에 지나지 않는다. 울릉도의 개발 등으로 행방불명되거나 마모가 심해 판독이 어려운 각석문이 다수가 존재한다. 또한 울릉도 주민들의 증언에는 각석문이 수없이 많았다고 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각석문이 발견된 가능성이 있다. 울릉도 수토 각석문에는 수토관(搜討官)뿐만 아니라 수토사에 참여하였던 다양한 사람들의 직명(職名)과 이름이 새겨져 있다. 각석문에 남아있는 직명 등은 문헌 자료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수토사의 규모나 구성 등을 파악하게 해 줄 것이다. 각석문은 조선시대 울릉도 수토와 독도 수호 노력의 직접적 증거이므로 이에 대한 추가 조사 및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搜討制度) regularly applied in the Late Joseon started in 1694(the 20th year of King Sookjong reign), as Jang Han-sang (張漢相) was sent to Ulleung-do(鬱陵島). Jang Han-sang and his entourages left rock inscription(刻石文) to record their activities. This is a sure and direct proof of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There has been partial survey and study about rock inscription for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in Ulleung-do. But comprehensive study has not existed until now so that approximate situation only could be known. The thesis compared and reviewed existing survey and study for rock inscription of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content of rock inscription discovered,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In 1711(the 37th year of Sookjong reign), Park Seok-chang(朴錫昌) left 'Dodong-ri Sinmyo year rock inscription in Ulleung-do', only 17 years later from start of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Ulleung-do figure'(鬱陵島圖形) made by Park Seok-chang also shows same content. And his 'Ulleung-do figure' includes location of rock inscription. Such location indication was shown on the map produced in the Late Joseon. Rock inscription by Park Seok-chang is not only the oldest one but also is deemed to be the first rock inscription among extant rock inscriptions for territorial protection. Number of rock inscription for territorial protection in Ulleung-do discovered until now is 8, largely classified. By period, 2 in 1700s, 5 in 1800s, 1 in 1900s. In detail, there are rock inscriptions made by 14 different officers in charge of territorial protection. By location, 4 by 8 officers in Taeha-ri, Seo-myeon. 3 by 4 officers in Dodong, Ulleung-eup. 1 by 2 officers in Hyunpo-ri, Buk-myeon. But only 4 rock inscriptions by 7 officers are extant, which is 50% of rock inscriptions discovered until now. There are some rock inscriptions which cannot be located caused by development of Ulleung-do etc. or are illegible due to severe wear. Residents of Ulleung-do say that there were a number of rock inscriptions so that there could be a possibility to discover rock inscriptions more. Rock inscriptions for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show not only position and name of officer in charge of territorial protection(搜討官) but also position and name of his entourages. Official position etc. carved on the rock inscriptions can make it possible to know scale and details of territorial protection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 with documentary sources. Rock inscriptions are direct proof for efforts to protect Ulleung-do and Dok-do in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rvey further and study comprehensively.

      • KCI등재

        울릉도 마을신앙의 역사적 전개와 지역적 특수성

        안상경(An, Sang Ky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7

        울릉도와 관련한 기록물은 ‘울릉도가 어느 때든 無主地가 아니었다’고 웅변하고 있다. 울릉도는 국가의 정책과 별도로 익명의 한국 농민이나 어민들이 행하였던 농?어업 관행과 생활 경험이 복합?다층적으로 축적된 삶의 공간이었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본 논의에서 울릉도에 언제부터 마을신앙이 존재하였으며,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마을신앙은 어떠한 양상이며, 또 그것이 조선 초기 海禁政策에 따른 搜討나 일본인의 侵漁 및 일제강점기라는 질곡의 세월을 거치면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문헌자료로서 李奎遠의 ?鬱陵島檢察日記?를 통해 고종연간에 학포, 태하, 저동, 나리동 등지에 산신당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당의 형태나 위치 또는 대상 신격으로 미루어 울릉도 선주민의 생업 현장이 ‘바다’가 아니라 내륙으로서 ‘산야’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구비자료로서 ‘태하신당의 유래’를 통해 태하신당의 건립 시기와 대상 신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성인봉의 산신’을 통해 성인봉 산신당의 유래 및 대상 신격, 선주민의 생업 활동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해금정책 및 이에 수반한 수토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유에서든 울릉도에 사람들이 이주?거주하였으며, 더불어 원주지의 마을신앙으로서 산신신앙 및 성황신앙이 정착?전승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오늘날 울릉도 마을신앙은 산신제 계열과 해신제 계열로 대별할 수 있다. 산신제는 마을 전체가 신봉하는 대단위 규모의 제의로서, 해신제는 어업 종사자가 신봉하는 소단위 규모의 제의로서 별개로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鬱陵島檢察日記”를 통해 짐작컨대, 당시 울릉도에는 해신제가 존재하지 않았다. 선주민은 어업을 생업으로 삼더라도, 풍어 및 풍랑으로부터 신변의 안전을 ‘해신’이 아니라 ‘산신’이나 ‘성황’에게 기탁하였다. 반면 해신제 계열은 대부분 일제강점기를 기점으로 일본인에 의해 형성된 일본인의 신앙이다. 근세기로 접어드는 과정에서 일본인의 침어 및 일제강점기라는 질곡의 세월이 한민족의 전통문화로서 울릉도 마을신앙을 크게 변질시켜 놓은 것이다. 울릉도 마을신앙에 대한 통시적?공시적 연구는 울릉도가 한민족의 영토로서 한민족의 생활?문화권이라는 사실을 해명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울릉도 선주민이 영유하였던 해양?도서신앙의 지속 및 계승 차원에서 울릉도 마을신앙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

      • 1920~30년대 울릉도 관련 신문기사를 통해 본 강원도

        박미현 한국이사부학회 2013 이사부와 동해 Vol.6 No.-

        울릉도 독도는 6세기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 시기부터 고려, 조선을 거쳐 대한 제국기인 1905년까지 강원도 관할 하에 있었다. 강원도 지역민들은 고대 때부터 육안으로 '울릉도 독도'를 바라보며 '우산국' '무릉도 우산도'라 불러온 같은 생활 권역에 있다. 일제 침략과정에서 울릉도 독도와 지리적, 역사적, 생활문화적으로 연속선상에 있던 강원도를 배제하고 부산, 포항으로 해상교통 거점을 의도적으로 바꾸면서 행정의 연속성을 흔들어놓았다. 1906년 행정구역 편제로 강원도 관할에서 경상남도로 이관되었으며, 1914년엔 경상북도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울릉도 독도가 타 시도로 이관된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교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고 인식되었는지 1920~30년대 신문 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1920~30년대 동아일보에 실린 울릉도 관련 기 사 164건을 대상으로 강원도 부분이 어떻게 서술되어 있는지 분석한 결과 행정 및 민원 관련 기사는 강원도와 무관하였으나 실생활과 역사성을 다룬 기사에서 서술되고 있었다. 첫 번째는 울릉도 입도 과정, 해상 조난 등 사건 사고, 태풍과 같은 기상, 경제 활동 등 실생활과 밀접한 뉴스에 나타나고 있다. 1920~30년대 경상도 부산항이 나 포항항, 함경도 원산항에서 울릉도를 입출항할 때 강원도 울진 앞 바다까지 북 상 내지 남하하여 동쪽으로 선회하고 있어 최단거리 항구인 울진 죽변항이나 삼 척 임원항은 여전히 중요 항구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는 역사, 전설을 다룬 기사에서 강원도 관련 내용이 풍부하게 서술되고 있다. 울릉도 역사 서술의 첫머리에 하슬라군주 이사부 활약 및 고려 때 강원인의 이주 시도, 삼척영장과 월송만호 수토, 개척령 시기 강원인 이주 등 강원도 역사 와 중첩돼 환기되고 있다. 울릉도 태하리 성하신당 전설은 강원도 수토사를 수행 해왔다가 풍랑으로 익사한 강원도 하급관리의 희생을 기리는 공간이었으나 이후 울릉도사람들의 무사안전을 기원하는 신앙처로 윤색되어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릉도가 강원도 행정관할에서 타도로 이관되면서 각종교류도 위축되었으나 1920~30년대 울릉도 관련 신문기사를 통해 실생활 차원의 교류는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역사성도 언론을 통해 수시로 환기되고 기억되고 있다. 현재 강원도는 울릉도 독도와 행정구역을 달리하고 있지만 최근 인적교류가 가장 활발한 곳으로 위치를 다시 점하며 교류거점으로 재부상되는 역사성이 발휘되고 있다. Ulleungdo Dokdo had been under the jurisdiction of Gangwon-do (Gangwon Province) since the conquest of Usanguk by Isabu in the 6th century, throughout Goryeo and Joseon, until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 in 1905. From ancient times, the residents of Gangwon-do could see Ulleungdo Dokdo with their naked eye and they shared the same sphere of living with what they called 'Usanguk, 'Mureungdo' 'Usando'.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Gangwon-do, which was put on a par with Ulluengdo Dokdo in terms of geography, history and living culture, was excluded and the continuity of administration was put in jeopardy by intendedly changing the base of maritime transportation to Busan and Pohang. In 1906, it was transferred from the jurisdiction of Gangwon-do to Gyeongsangnam-do due to 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t present, it is now under the jurisdiction of Gyeongsangbuk-do since 1914. How the exchange condition was unfolded and perceived after Ulleungdo Dokdo was transferred to other jurisdiction an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examined using the newspapers of the 1920s and 1930s. The analysis of the description of Gangwon-do using 164 articles related to Ulleungdo in Dong-A daily newspaper from 1920s to 1930s, revealed that the articles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and civil affairs were unrelated to Gangwon-do, but it was well described in the articles related to real life and historicity. First, it appears in the new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such as the process of entering Ulleungdo (Island), maritime distress, accidents, typhoons and weather, economic activities, and more. It is revealed that Uljin Jukbyeon Port and Samcheok Imwon Port are still important ports with the shortest distance from Gyeongsang-do Busan and Pohang Ports, Hamgyeong-do Wonsan Port to Ulleungdo. Second, Gangwon-do is amply described in the articles on history and legend. Haseula governor Isabu's activities in the beginning of the description of Ulleungdo history, the attempt of Gangwon residents to move in the time of Goryeo, Samcheok Yeongjang (official) and Wolsong Manho (official)'s inspection (Suto), as well as the migration of Gangwon residents are described with the history of Gangwon-do. The legend of Taeha-ri Seonghashindang, Ulleungdo reveals that it was a place to pay a tribute to the sacrifice of minor official as Gangwon-do inspector (Sutosa) who was drowned due to the storm but it was embellished as a religious place for praying for the safety of Ulleungdo residents. As Ulleungdo was transferred from the jurisdiction of Gangwon-do to another province, all types of exchanges were reduced, but the exchanges concerning real life have continuously been found through th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Ulleungdo in the 1920s and 1930s, and the historicity also is often remembered through the media. At present, Gangwon-do and Ulleungdo Dokdo are under different jurisdictions. However, the historicity is reviving as the exchange base where the human exchange is most active recently.

      • KCI등재후보

        「울릉도사적(蔚陵島事蹟)」의 문헌학적 검토

        이원택 동북아역사재단 2018 영토해양연구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rrect copy-written year of “ Track Records in Ulleungdo Irelands(蔚陵島事蹟)” in Epitaph of the Two Generals (節度公兩世碑 銘) and to introduce another two copies of “ Track Records in Ulleungdo Irelands” discovered in 2014 and 2018. In 1694, Jang Han-sang’s military units patrol governance activities around Ulleungdo Irelands are recorded at official document and reported to royal government. That document made various written copies. Those copies prove the government-rule of Ulleungdo and Dokdo in the Joseon Dynasty. “ Track Records in Ulleungdo Irelands(蔚陵島事蹟)” in Epitaph of the Two Generals (節度公兩世碑銘) has been regarded as being copy-written in 1722. However Epitaph of the Two Generals (節度公兩世碑銘) has contained the epitaph of Jang Han-sang. Thus, I suggest that “ Track Records in Ulleungdo Irelands” was copy-written in 1782 or after. In 2018, I found two different copies of “ Track Records in Ulleungdo Irelands” through investigations of the relics of Jang Han-sang’s shrine, Gyeongdeoksa(景德祠) and Uiseongjomunguk Museum in Gyeongbuk Province. The two copies are contained in the Funeral Poetry to Kyodong Port Admiral Jang (喬桐水使公輓祭錄) and Real Records of the Two Generals (節度公兩 世實錄). In this paper, I compare the three cop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each other. 에 대한 개략적 소개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필자의 주장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절도공양세비명』의 「울릉도사적」 발견 경위를 소개하고, 그와 관련하여 이 자료가 필사된 연도를 재검토하였다1. 722년에 필사된 것으로알려진 기존의 설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하고 적어도1 782년 이후에 필사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둘째, 또 다른 필적의 「울릉도사적」이 들어 있는 책자 『절도공양세실록』 과 『절도공양세비명』을 비교하여 검토하고, 이들 책자의 주요 내용이 순천장씨 가문의 문적인 『승평문헌록』에 수록되었음을 밝혔다. 셋째, 아주 최근에 공개된 『교동수사공만제록』을 소개하였다. 이 책자에들어 있는 또 다른 필적의「 울릉도사적」이 나머지 2종의 「울릉도사적」보다먼저 필사된 것임을 밝혔다. 넷째, 「울릉도사적」은 이른바 『서계잡록』의 「울릉도」와 연결되어 연구되어 왔는데, 『서계잡록』의 「울릉도」와 『와유록』의 「울릉도」를 문헌학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여 양자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다섯째, 『서계잡록』의 「울릉도」 중 『와유록』의 「울릉도」와 겹치는 부분에 나타난 우산도(독도)와 장한상의 「울릉도사적」에 나타난 ‘멀리 동남쪽에 보이는 섬(독도)’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 해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와, 유록』의 「울릉도」는『신증동국여지승람』의 우산도·울릉도 인식과 다름이 없으며「, 울릉도사적」은『신증동국여지승람』의 우산도·울릉도 인식을 넘어선 것이라고 보았다.

      • KCI등재

        『울릉도 사적』의 필사 연도와 『울릉도』의 ‘우산도’ 해석을 둘러싼 논란에 대한 변석(辯析)

        유미림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4

        The controversy regarding Ulleungdo sajeok (Record of Ulleungdo Mission,『 蔚陵島事蹟』) is about the transcribed year, and the contention over Ulleungdo (Ulleungdo) is about its interpretation. The Ulleungdo sajeok was once known to have Shin Kwang-bak’s manuscripts only, but it is now clear that it includes two more things in addition to Shin Kwang-bak’s manuscripts. Because Shin Kwang-bak’s manuscript was written in The Epitaph of the Two Generals 『( 節度公兩 世碑銘』), it turns out that the existing theory of Shin Kwang-bak’s copy of 1722 was incorrect. But even if 1782 was proven to be the year that Shin Kwang-bak wrote Ulleungdo sajeok, it is rash to jump into a conclusion that Ulleungdo sajeok was copied in 1782. The Epitaph of the Two Generals contains Epitaph and Funeral Poetry in addition to Ulleungdo sajeok . However, there are 12 letters in the Record of Ulleungdo Mission which were not in the Epitaph and Funeral Poetry , thus it is hard to say that the three documents were written in the same year.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year of transcribing Ulleungdo sajeok and the year of editing The Epitaph of the Two Generals may differ. However, there is a controversy that Park Se-dang’s writings of Ulleungdo and Usando are the same as those of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Revised and augmented edition of the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and therefore Usando cannot be interpreted as Dokdo. Park Se-dang intentionally deleted what he wrote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Usan and Ulleung are one single island.” This means that Park Se-dang denied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s theory. I have proved the difference of the meaning of the word “visible”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and what Park Sedang said in Ulleungdo. Park Se-dang used the word ‘’visible” to describe what humans can see with their eyes, meaning that Usando could be seen from Ulleungdo. 『울릉도 사적』을 둘러싼 논란은 필사 연대를 둘러싼 것이고, 『울릉도』를 둘러싼논란은 ‘우산도’ 해석을 둘러싼 논란이다. 『울릉도 사적』은 기존에 신광박 필사본만 알려져 있었지만, 이 외에 다른 두 가지가 더 있음이 새로 밝혀졌다. 신광박 필사본이 『절도공 양세 비명』에 실려 있으므로 신광박이 필사했다고 하는 임인년을 1722년으로 추정한 필자의 설은 잘못되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신광박이 필사한 해가 1782년임이 밝혀졌다 하더라도, 이것이 『울릉도 사적』의 필사연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절도공 양세 비명』에는 『울릉도 사적』 외에도 『양대 비명』과 『사제문』이실려 있다. 『울릉도 사적』에는 『양대 비명』과 『사제문』에 없는 열두 글자가 더있으므로, 세 가지 문서가 같은 해에 쓰였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울릉도 사적』을 필사한 해와 『절도공 양세 비명』을 편집한 해가 다를 가능성이 있다. 박세당이 기술한 울릉도와 우산도 인식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인식과 다름이 없으므로 우산도를 독도로 해석할 수 없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박세당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술된 “一說于山鬱陵本一島”라는 내용을 의도적으로 삭제한 것은, 그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1도’설을 부정했음을 의미한다. 필자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보인다’고 한 내용과 박세당이 (우산도가) ‘보인다’고 한 내용의 차이를 밝혀, 박세당이 ‘보인다’고 한 것의 의미가 울릉도에서 우산도가 보인다는 것을 의미함을 논증하였다.

      • KCI등재

        1882년 이규원의 울릉도 검찰과정과 이주정책- 울릉도 출발과 서울 도착을 중심으로 -

        김영수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3 독도연구 Vol.- No.35

        울릉도검찰사 이규원은 1882년 4월 30일 울릉도에 도착한 다음 울릉도의 육로와 해안 탐사를 실행했다. 이규원은 1882년 5월 12일 아침 9시경에 3척의 선박에 모두 돛대를 달도록 명령하여 출발했다. 이규원 검찰사 일행은 5월 12일 저녁쯤 울진(蔚珍) 쪽을 향했는데 풍랑이 크게 일어 정박할 수 없어 노를 저어 제어하면서, 평해 구산포(邱山浦)로 정박하고 육지에 내렸다. 이규원은 5월 12일 10시경에 도착, 나머지 2척은 13일에 도착했다. 이규원은 5월 15일 평해를 출발한 다음 동해안을 따라 5월 19일 강릉에 도착했다. 5월 23일 원주에 도착한 다음 25일 출발하여 5월 27일 서울 인근에 도착했다. 이규원은 6월 4일과 5일 고종을 알현했다. 이규원의 검찰사 활동은 이규원이 독도를 발견하려는 노력뿐만 아니라 한일관계의 역사적 맥락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규원의 검찰사 활동은 대외적으로 한일 관계에서 일본인의 울릉도 도항 금지라는 일본정부가 중앙과 지방에 반포하는 명령인 ‘유시(諭示)’를 이끌어 내었다. 1882년 12월 16일 일본 외무경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은 일본인의 울릉도 도항 금지에 관한 유시(諭示)를 작성했는데 그는 “울릉도에 대해 조선 정부와 의정(議定)한 연월을 삽입해서 종래부터 조선국에 속했으며 특별히 오늘날에 정한 것이 아님을 인증(引證)하고, 울릉도의 위치를 명시하여 도항을 금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1883년 3월 1일 태정대신(太政大臣) 산조 사네토미(三條實美)는 이노우에의 상신한 문서를 승인했다. 그 뿐만이 아니었다. 이규원의 울릉도 검찰 이후 조선정부는 본격적인 울릉도 이주정책을 실행했다. 또한 조선정부는 조약에 기초하여 울릉도를 불통상(不通商) 항구로 판단했는데 일본인의 불법행동에 대해서 ‘벌금’으로 처벌할 것도 지시했다. 고종은 이규원의 검찰 보고서와 면담을 통해서 이규원의 단계적 울릉도 이주를 받아들였고 실행했다. 울릉도 불법 벌목 일본인의 추방을 위한 외교적 노력, 울릉도 관련 행정제도 신설, 울릉도 이주를 위한 백성의 모집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 결과 조선은 울릉도 이주정책을 실행하면서 울릉도의 행정관할을 구체적으로 추진했다. Dokdo had been referred to as Usando and Gajido, but in 1882, when neighboring Ulleungdo was first settled, the residents began to call the island Dokseom. Dok means dol, or stone, in the local dialect, and the settlers of Ulleungdo, who saw the island as comprised of stones, referred to it as dokseom—stone island. Later, when the Korean word seom, for island, was converted to a Chinese character, the island received the name Dokdo. Lee Gyuwon's work as a prosecutor's office led to an order issu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ban Japanese citizens from traveling to Ulleungdo in Korea-Japan relations. In order to implement the Ulleungdo migration policy, King Gojong judged that ship traffic was important, and ordered the establishment of a means of transportation through the rapid manufacture of ships. Lee Gyuwon's activities as a prosecutor had important significance not only in his efforts to discover Dokdo but also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Japan relations. Lee Gyuwon's activities as a prosecutor led to an order issu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banning Japanese people from traveling to Ulleungdo in the context of Korea-Japan relations. The Joseon government was able to implement a full-fledged Ulleungdo migration policy based on the June 1882 report by Prosecutor Lee Gyuwon.

      • KCI등재

        19세기 후반 일본 어민의 동해 밀어와 조선인의 대응 : 울릉도·독도를 중심으로

        이영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3 No.-

        This paper illustrates the process of Japanese fishermen’s deprivation on fishery industry around Ulleung Island since 1880s and how the government of Chosun and Koreans responded to the posed challenge. The observations are based on the archival materials. The encroachment of northwest fishermen had decreased since the beginning of 18thcentury because of the Passage Prohibition Order which was passed in 1696. In fact, fishing around Ulleung Island was controversial in the beginning of 18thcentury. Owing to Yong-bok Ahn’s active efforts, however, Japanese feudal government(bakufu) admitted that Ulleung Island belongs to Chosun. Not only that, but also Chosun’s promulgation of the Passage Prohibition Order in 1696 helped to decrease in the illegal Japanese fishing sharply around Ulleung Island. However, in the middle of 19thcentury, Japanese fishing intrusion again started taking place. Furthermore, Japanese resumed logging in Ulleung Island and encroaching in the East Sea. Against these illegal activities, the Chosun government showed its opposition and concern to the Jap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by corroborating the claims with official documents. In addition, Chosun government urged people to transmigrate to Ulleung Island in order to populate the island. In August 1882, a governor of Kangwon Province appointed Seok-gyu Jeon, who was one of noblemen (yangban) of Gyeong sang Province Hamyang, as a chief of Ulleung Island. From April 1883, people started to transmigrate to Ulleung Island. Japanese illegal fishery around Ulleung Island became more frequent after 1884. As the Chosun government was forced to permit the Japanese to fish in southwest of Chosun due to signing of the Chosun-Japan Commercial Treaty in 1883, and, Japanese fishermen were able to enter Korean seas. Japanese fishermen immigrated to both Ulleung Island and Dok Island; they continued fishing and collected abalones. Also, they invaded Korean private houses and inflicted damages. Physical conflict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fishermen occurred frequently. In response, Korean fishermen disturbed Japanese fisheries by interrupting selling and drying of the fishes in Ulleung Island. 본 연구는 1880년대 이후 일본 어민이 울릉도를 중심으로 어업을 침탈해가는 과정과 그에 대해 조선 정부와 조선인들이 어떻게 대응해갔는가를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의 문서를 통하여 고찰하고자 한 글이다. 일본 서북 연해민들의 울릉도 어업 침탈은 다케시마(울릉도) 도해금지령(1696년)에 의해 숙종 말(18세기 초)부터 잦아들었다. 즉 18세기 초까지만 하더라도 일본인의 울릉도 侵漁문제는 자주 논란이 되었으나, 안용복의 활동에 의해 막부가 다케시마(울릉도)가 조선령임을 인정하여, 다케시마(울릉도) 도해금지령(1696년)을 공포하면서 일본인의 출어는 급감하게 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중엽(막부 말∼메이지 초)으로 들어서면서 일본인의 침어가 다시 시작되었고, 1880년대 이후 일본인의 울릉도 목재 벌목과 불법 어로를 중심으로 동해의 침투가 본격화되었다. 조선 정부는 1881년 울릉도에서 일본인의 불법 벌목을 적발한 후, 한편으로 일본 외무성에 서계를 보내 항의하고, 다른 한편으로 울릉도를 무인도로 방치하지 않고 조선인을 사민(徙民)시켜 개척해가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조선 정부는 1882년 8월에 강원도관찰사의 발령으로 경상도 함양의 士族 출신인 전석규를 鬱陵島 島長으로 임명하고, 1883년 4월부터 내륙인들의 울릉도 入居룰 추진하면서, 울릉도에 조선인들의 정주가 자리잡아갔다. 1884년 이후 일본인들이 울릉도와 독도에 와서 불법어로나 어획을 행하는 일이 잦아졌다. 1883년 으로 “일본 어선은 조선국의 전라 경상 강원 함경의 4도에서 어획함을 허락한다”고 인정하면서, 일본 어민들이 조선 연해로 본격적으로 진출해왔다. 일본 어민들은 울릉도와 독도에 몰려와 그곳에 거주하면서 어로를 행하거나 전복을 채취하였다. 또한 일본 어민들은 울릉도에 상륙하여 조선인 민가를 습격하거나 상해를 입히기도 하였으며,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여, 일본 어민과 조선 어민들의 물리적 충돌이 자주 일어났다. 이에 조선 어민들은 일본 어민들의 어로 행위를 방해하고, 울릉도에 상륙하여 어류를 건조시키거나 판매하는 행위를 저지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주기적 울릉도 수토와 울릉도 인식 양상에 대한 연구

        백인기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9

        This study has so far sought to sum up cases of “Military mission to Ulleungdo(Ulleungdo Suto, 鬱陵島 搜討)” and to grasp the perception of Ulleung Isl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Ulleung Island's special products, which were found in the data on “Military mission to Ulleungdo”. In the discovered and the estimated cases, it was suggested that up to 84 times of missions were carried out from 1694 to 1894. Not only the royal family but also the common people used unique and excellent Ulleung Island specialties in their daily lives. The coastal people sailed to Ulleung Island every year to collect a full boat of Ulleungdo's specialties. As many ships on the coast of Hamgyeong-do, Gangwon-do, Gyeongsang-do, and Jeolla-do sailed to Ulleung-do, this Island became a living zone for these coastal people. Dokdo is in the visible space of Ulleungdo. Narrowly Dokdo belongs to the living zone of Ulleung Island and widely to that of the coast people.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stal area, Ulleungdo and Dokdo. 본 연구는 지금까지 울릉도 수토에 관한 각종 사례를 종합하고 누락된 수토 사례를 추정하여 울릉도 수토의 지속성과 빈번함을 확인하였고, 그와 관련하여 울릉도 수토 자료에 나타나는 울릉도 특산물 이용 형태를 통해서 조선 후기 사회의 울릉도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확인된 사례와 추정한 사례를 통해서 1694년부터 1894년까지 최대 84회의 울릉도 수토가 시행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지속적인 수토와 울릉도 특산물의 우수성 때문에 왕실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울릉도의 특산물을 이용하였고, 연안 백성들은 매년 울릉도로 항해하여 울릉도 특산물을 배 한가득 채취하였다. 함경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에 이르는 연안에서 출발하는 많은 배들이 울릉도로 항해함에 따라 울릉도는 이들 연안 백성들의 생활권이 되었다. 독도는 울릉도의 시각공간 안에 있다. 따라서 독도는 좁게는 울릉도 생활권에 속하면서, 넓게는 연안의 생활권에 속하게 된다. 앞으로는 연안 백성들과 울릉도 및 독도와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