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권두논문 : “감성적 근대” 모색을 위한 초탐- 왕휘의 중국 현대성 담론 소개

        김창규 ( Changgyu K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감성연구 Vol.0 No.11

        본고는 중국의 현대성 논쟁 및 아시아 상상을 살펴, ‘감성적 근대’ 모색에 이해를 제공하려는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그 시론적 접근으로 본고는 중국 신좌파 왕휘의 ‘반현대성적 현대성’ 이론과 ‘조공시스템’에 기반을 둔 아시아 구상, 그리고 이에 대한 비판을 소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쟁의 쟁점은 대체로 ‘지금-여기’ 중국이 자본주의인가의 여부, 부패 원인에 대한 진단, 모택동 시대에 대한 평가, 서구적 가치에 대한평가, 전지구화에 대한 시각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은 대체적으로 서구를 중국발전의 직접적인 모델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것과, 서구의 지식을 본토의 지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에는 동의를 이룬 듯하다. 그러나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자유주의적 시각과 좌파적 시각의 차이가 뚜렷해짐으로써, 현재 중국사회 분석과 미래에 대한 공통의 인식틀은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신좌파 왕휘는 ‘현대성에 반하는 현대성’ 이론을 통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이중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그는 중국사회의 공적 영역의 축소, 불평등에 대한 비판, 사회주의 및 그 문화에 대한 성찰을 통해 중국문제를 새롭게 사고하게 해주었다. 동시에 전지구적 자본주의 시야로 중국의 문제를 새롭게 사고할 수 있도록 담론의 지평을 확장시켰다. 그리고 현대와 전통,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시장과 국가라는 이분법적 이데올로기를 해체하는 데에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 이와 동시에 그의 이론은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어 지적되거나 비판되었다. 문혁과 모택동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대중민주 주장 등은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문제를 소홀히 한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그리고 시민보다는 국가의 권위를 인정하는 그의 입장은 일당전제의 합리성과 우월성에 대한 동의로 비춰진다. 따라서 그가 현대성의 핵심으로 강조하는 비판성은 문제적일 수밖에 없다. 비판은 기성의 권위나 관력과의 상대적 독립성에 의해 확보되고, 그 관건은 국가와의 거리두기에 달려있다. 특히 왕휘의 아시아 구상은 매우 위험스러운 생각이라 할 수 있다.물론 그것이 오리엔탈리즘에 입각한 중국에 대한 외부의 편견을 벗겨 내고, 아울러 전지구적 자본주의 세계체제에서 ‘아시아’를 재구축해야할 필요성에서 제기된 것으로 이해는 된다. 그러나 문제는 그의 시도가 과거 제국체제에서 행해졌던 조공체제의 현재적 재해석을 통한 중국문명 재구축 의도로 읽힌다는 점이다. 따라서 아시아 구상은 중심- 주변의 관계로 전개된 조공체제에 대한 역사적 성찰을 전제로 해야할 것이며, 나아가 중심보다는 주변의 시각에서 아시아를 구상해야 할것이다. 그래야만 신중화주의적 질서의 재구축이라는 혐의에서 벗어날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give some understanding of ‘modernity of emotion’ by reviewing arguments on Chinese modernity and new Asian imagination. As an introductory approach, the study focuses on the New Left, Wang Hui’s conception of Asia based on Antimodern modernity’ theory and ‘Tributary system’, and introduction of criticism for that. The major issue of the arguments can be summarized as now-here’ China is capitalistic?, the evaluation of the cause of corruption, the Mao Zedong era and Western values, and a view of globalization. There seems to have been an agreement that the West should not be a direct model for Chinese development, and Western knowledge should be converted into Mainland one. Bu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specific points between the Liberal and Left view, which means that a common cognition of the analysis on current Chinese society and its future has gone. Wang Hui tried dual introspection on capitalism and socialismthrough his ‘antimodern modernity’ theory. He showed a way of new thinking of the Chinese problem through reducing the public area in China, criticism for inequality, and socialism and introspection on the culture. And he also let the discourse widened enough to see the Chinese problem newly from a view of global capitalism. He made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deconstruction of dichotomous ideology like modern vs tradition, socialism vs capitalism, and market vs state. But his theory revealed quite a few problems, getting pointed out and criticized. His positive evalua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Mao Zedong, and argument of public democracy met criticism which they neglected a question of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His attitude which put the authority of the State before that of the public was regarded as his consent to the rationality and superiority of the One Party Rule. Thus, the criticism he emphasized as the core of modernity is quite problematic. It is because criticism can be secured by relative independence from existing power or authority, and depends on keeping a distance from the State. Especially, Wang Hui’s conception of Asia may be quite dangerous. Of course,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was presented to remove the prejudice of China from the outside based on orientalism and to reconstruct “Asia” under the global capitalistic system. But what matters is that his attempt is read as theintension to reconstruct Chinese civilization through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tributary system performed in old emperor systems. Thus, it is required for the conception of Asia to make historical introspection of the tributary system developed under center-periphery relationships, further Asia from a view of the periphery rather than cent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get out of the suspicion of reconstruction of Sino-centric world order.

      • KCI등재

        청대 문인화관의 쇄신 -옹방강(翁方綱)을 중심으로-

        정혜린 ( Jung Heri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3

        본 논문은 청 중기를 대표하는 문인인 옹방강(翁方綱)의 시문집을 통해 청대 회화 비평의 인식론적 기준과 비평의 실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옹방강은 경학과 문학뿐 아니라 회화에 관해서도 방대한정보와 경험을 갖추었고, 이를 바탕으로 동기창의 남북종론이 직업화가에 대해 배타적이라는 비판의 흐름에 동참하였다. 그는 회화 비평에서 문인화의 조건으로 화가의 직업과 계층을 배격하고 오직 문기(文氣)[혹은 신운(神韻)]와 서예 필획의 차용을 엄격히 적용했다. 나아가 그는 사왕 중 왕휘를 남종화와 북종화를 종합한 인물로 칭송하여 ‘남종문인화를 계승한 사왕’이라는 개념에도 균열을 내었고, 사왕에 의해 비판받은 금릉의 화가들, 지두화가, 양주팔괴를 격려하고 높이 평가하였다. 옹방강은 당시 화단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한 것은 아니었지만 자신의 문인화관을 주변의 많은 화가와 감상ㆍ수장가들에게 피력함으로써, 동시대 문화를 반성하고 이끌어가는 지식인의 소임을 실천하는 비평가의 의미심장한 사례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an aesthetic principles of mid-Qing dynasty scholars’ criticism on Chinese paintings with the case of Wen Fang Gang’s. Wen, leading scholar in mid-Qing dynasty, wrote abundant of writings on painting works on numerous sources of information from books and friends, famous collectors on that days. He criticised Tong Qi Chang’s renowned painting theory, so called theory of northern and southern painting schools strongly suspected to divide painters according to their social classes. Wen tried to reset the definition of scholar painting with the two rules, scholastic moods and calligraphic brush strocks applied to painting ones excluding social classes of painters implicit under the genealogy of scholar-painters set by Tong. He also split Four Wang meaning four authentic scholar painters succeeding Tong’s theories and paintings In early Qing dynasty and pointes out and praised Wang Hui of Four Wang as synthesizing northern and southern painting schools. Spreading his own arguments to painters and collectors familiar to himself, Wen Fang Gang carried out intellectual responsibilities re-specting and enlighten his contemporary.

      • KCI등재

        泉毖의 장인, 太原公 王暐의 출자에 대한 새로운 이해

        김수진(Kim, Sujin)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4 No.-

        이글은 ‘보장왕의 외손은 누구인가’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泉毖 墓誌銘」에는 천비의 혼처에 대하여 “即開府儀同三司朝鮮王高藏之外孫太子詹事太原公王暐之子聟”라고 하였는데 짧은 문장이지만 연구자에 따라 이에 대한 해석은 두 가지로 갈렸다. 보장왕의 외손을 천비로 보는 견해와 태자첨사 왕위로 보는 견해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해석 중 각자가 옳다고 생각하는 해석을 선택하였는데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다만 천씨 가문이 당에서 사회적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에 태원 왕씨와 같은 漢人 名門 望族과 혼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 공통적인 시각이었다. 왕위는 정3품의 태자첨사를 지냈지만 正史에 기록이 없어 인물이나 가계에 대하여 더 이상 추적할 수 없었고 따라서 唐代 五姓으로 명문으로 인식되었던 태원 왕씨라는 일반적인 서술을 하는 것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왕위에 대한 유일한 단서인 ‘태자첨사 태원공’은 이른바 ‘大官爵’으로 이를 제수할 때는 制書를 내렸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왕위 관련 두 편의 제서를 찾았다. 제서를 통해 새롭게 확인한 사실은 왕위가 左千牛衛將軍으로 재직하다 병으로 사직하였고 병이 나은 후에 태자첨사에 제수되었다가 同州刺史로 옮겼다는 것과 왕위를 ‘親懿’와 ‘賢戚’이라 지칭하여 그가 당 황실의 외척임을 알 수 있었다. 외척은 혼인을 통해 황족의 친속 관계가 된 가족으로, 황제의 母族과 妻族, 여자형제의 夫族, 딸의 夫族까지 포괄하는데 「高安長公主 神道碑」를 통해 왕위는 고종의 딸인 고안공주와 부마 왕수고의 장남으로 고종의 외손임을 밝혔다. 최근 새롭게 소개된 왕위의 동생인 왕휘의 묘지명에는 신도비에는 생략된 선대의 이름이 적혀 있어 왕덕→왕중보→왕수고→왕위로 이어지는 왕씨 가문의 계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안공주가 훙어한 후 왕씨 가문에 잠깐의 위기가 있었지만 극복하였고 왕위와 형제들은 대체로 황제, 태자의 안위와 직접적으로 관계된 관직들을 역임하면서 현종의 侍臣이자, 信臣으로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활용하지 않았던 제서, 신도비, 묘지명 자료들을 통해 이글의 출발점이 된 보장왕의 외손은 왕위가 아닌 천비라는 것이 분명해졌다. 왕위는 고종의 외손으로, 현종 대 천씨 가문은 황실의 외척과 ‘姻戚’ 관계를 맺었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It is written in the epitaph of Cheon Bi(泉毖) that he was married to a daughter of Duke of Taewon(太原公) Wang Wei(王暐). Based on the Chinese sentence around this phrase in the epitaph, there ar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son of King Bojang(寶藏王)s daughter: one understands that Cheon Bi is the son of the daughter of King Bojang, and the other regards Wang wei as a grandson of King Bojang. This study newly discovers that Wang Wei is not a grandson of King Bojang but a grandson of Gaozong(高宗) by analyzing two imperial edicts and an epitaph of Princess Gaoan(高安公主), the mother of Wang Wei.

      • KCI등재후보

        Mountains and Rivers, Pure and Splendid : An investigation of political messages conveyed by Wang Hui’s landscape paintings through 「Wind through the Pines on Mount Tai」

        Hu Yu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2

        만주가 중국을 통치하던 청 왕조(1636-1692)기는 만주족과 한족간의 문화적 갈등이 끊이지 않던 시기이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도 불구하고 전형적인 한족 화가인 왕휘(王? Wang Hui)는 강희제에 의해 높이 평가 받고 있었다. 강희제는 당시의 가장 존경 받는 화가인 왕휘(王? Wang Hui)의 풍경화에 나타난 산과 강은 순수하고 화려하다고 칭송하였다. 한족 화가로서 왕휘(王? Wang Hui)의 신원은 논외로 한다고 하더라도, 왕휘(王? Wang Hui)의 회화는 또한 이전 시기의 한중 대가들의 작풍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 그렇다면 강희제는 왜 민족도 다르고 문화도 다른 왕휘(王? Wang Hui)에게 그토록 애착을 보였을까? 이 글은 왕휘(王? Wang Hui)풍경화인 태악송풍도에 나타난 작풍과 내용에 근거하여, 왕휘(王? Wang Hui)의 회화를 통해 전달되는 정치적 메시지가 중국을 문화적 지리적으로 통치하고자 했던 강희제의 야심과 실질적으로 부합되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The cultural confliction was unavoidable between Manchu and Han-Chinese during the Qing dynasty (1636-1692), when Manchu took over the control of China Nonetheless, under this historical context, the typical Han-Chinese painter Wang Hui 王?(1632-1717) was highly appreciated by the Kangxi Emperor 康熙(1654-1722). As the most celebrated court painter during that time, Wang Hui’s landscape paintings were complimented by Kangxi as “Mountains and Rivers, Pure and Splendid.” Apart from Wang Hui’s identity as a Han-Chinese painter, Wang Hui’s paintings also follow Han-Chinese master’s styles from the previous time. In this case, why Kangxi would prefer Wang Hui who was ethnic-other and cultural-other? Based upon the style and contents of Wang Hui’s landscape painting, Tai yue song feng tu 泰嶽松風圖(Wind through Pines on Mount Tai), this essay would explore the question and argue that the political messages conveyed by Wang Hui’s paintings actually matched with Kangxi’s ambitions of ruling China culturally and geographically.

      • KCI등재

        왕후이(王暉) ‘탈정치시대의 정치’ 소고

        이연도(Lee, Yun-d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37 No.-

        정치란 무엇인가. 오늘날 우리 사회의 모습은 정치의 목적과 의미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갖게 만든다. 지난 해 세월호 사건이 발생한 후, 우리는 정치의 외연적 모습인 ‘국가’와 ‘정당’의 민낯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거에 기반한 대의민주주의 체제가 갖는 한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새로운 대안을 찾는 과정의 하나로, 중국의 대표적 지식인 왕후이(王揮)의 사상을 화두로 삼은 것이다. 왕후이는 중국 ‘신좌파’그룹을 주도하는 학자로,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인물이다. 그가 제기한 ‘탈정치시대의 정치’는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도 적용되는 부분이 적지 않다. 이 글은 왕후이의 논문들을 중심으로 중국 정치개혁의 특징과 변화를 살펴보고, 현대사회의 정치적 문제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90년대 이후 중국의 정치 제도와 실천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黨政의 합일이다. 이는 80년대 중국 정치 개혁의 핵심이 당정분리에 있었다는 점과 뚜렷이 대비되는 특징이다. 정당의 대표성이 정치적 가치를 통해 완성된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정당의 국가화는 정당의 가치 약화와 변화를 의미한다. 사회의 시장화 속에서 이데올로기 기구의 확산은 이러한 위기를 부추기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들은 모두 강력한 탈정치화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과정 속에서 ‘탈정치화의 정치 이데올로기’를 재구성한다. 이러한 현실에서 민주정치의 형태에 대한 문제제기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정당과 계급, 국가라는 현대정치의 주체가 모두 탈정치화의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새로운 정치적 주체를 찾는 과정은 곧 정치 영역을 다시 정의하는 일이 될 것이다. What is politics? Nowadays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raises serious questions on the goal and meaning of politics. After the sinking of the MV Sewol last year, we could discern the true face of ‘the state’ and ‘the political parties’ as the denotations of politics. in addition, we could confirm the limit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based upon the elections. This paper deals with the thought of Wang Hui, a leading intellectual of China, as a process of seeking a new alternative. Wang Hui is a scholar who leads Chinese New Leftism, also well known to Koreans. ‘Depoliticized Politics’ he suggested can be applied to many cases in Korea as well as in China. This paper will consider how politics has changed in modern society,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olitical reformation, focus on Wang Hui’s work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in Chinese political system and practice is the unity of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after 1990s. This is contrast to the fact that the key to the political reformation in the 1980s was the separation of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When remembering that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the political party is completed through the political values, the governmentalization of the party means the weakening and change of the party’s value. The spread of the ideological apparatus works as another factor instigating these crises. These days, the media and advertisements have control over people’s lives and senses, and demand active obedience of the citizen. All of the situations remarkably show the ‘Depoliticized’ features, and reconstruct the political ideology of ‘Depoliticization’. In this phase, raising the question on what is the form of democracy has the significant meaning. In the conditions that the subjects of modern politics such as political parties, classes, and states are in danger of ‘Depoliticization’, the pursuit of the new political subjects is giving a definition of the realm of politics. Therefore, this paper is a discussion on the way of drawing up a plan that will reconstruct the perished political values and activate our political liv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왕후이의 서구 현대성 이론 반성과 그 의미

        이선옥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文學 Vol.69 No.-

        汪?的現代性反省是經過八十年代思想運動的挫折而重新探索新思想的重要策略。 本文是要闡明汪?的現代性反省是在對西歐現代性話語的批評性閱讀下進行了對中國八十年代思想界共有的認識?架的批評和克服。 在《韋伯與中國的現代性問題》上, 他說, 韋伯闡釋新敎與資本主義産生的關系, 可韋伯把歐洲歷史當成一般歷史。 因此, 韋伯雖然闡釋非西方文明與理性化的關系, 但是他的這些硏究只能闡釋出非西方文明不能産生資本主義的過程。 這種說明是韋伯的硏究動機和方法論的必然結果。 汪?點出韋伯硏究?架的有限性, 也要求探索什?是産生中國資本主義的中國文化同一性這個問題。 在《"科學主義" 與社會理論的幾個問題》上, 他批評作爲科學主義理論創始者哈耶克的見解。 哈耶克對實證主義的批評盡管有洞察, 可他還是在自然/社會二元論上展開思想。 他還使用把認識論直接轉化爲社會硏究的方法論, 在他的思想體系裏, 認識論上的個人/集團, 競爭/計劃二元論轉引到對自由主義與社會主義的評價上。 這是哈耶克理論的錯誤, 以後這種方法論却逐漸形成一種科學主義理論模式, 而且是廣泛地被接受的。 汪?主張社會主義批評是要從具體歷史硏究里進行, 不要從認識論推出的。 在《科技作爲世界構造和合理性知識》上, 汪?介紹"科學不只是工具, ?已經是國家理性的源泉, 也是現代社會合理性知識"這種西歐理論。 他充分承認科學技術在現代社會上的地位。 這些對西歐現代性話語的批評性閱讀使得汪?解脫在文革否定的基礎上形成的八十年代思想?架, 也提供探索在世界體系下進行的中國現代化歷史的新認識?架。

      • KCI등재
      • KCI등재

        문화대혁명과 파리코뮌(Paris Commune)

        孫承會 ( Son Seunghoi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3 No.-

        중국공산당은 성립 이후 지속적으로 파리코뮌을 기념하고 찬양하며 선전하였다. 왜냐하면 그것이 무산계급에 의해 이루어진 최초의 정권이었으며 마르크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되었고 특히 파리코뮌 원칙의 실천을 강조한 문혁기간에 더욱 강화되었다. 문혁 초기인 1966년부터 1967년까지 파리코뮌에 대한 관심과 열기는 매우 높았다. 이점은 공산당의 공식 선전 매체에 잘 드러났다. 하지만 파리코뮌 성립 100주년이 되는 1971년을 즈음하여 양상은 크게 달라졌고 공산당의 평가 역시 동요의 모습을 보였다. 이것은 문혁 초기의 ‘造反’과 ‘奪權’의 논리로 작용했던 파리코뮌의 원칙이 상해인민공사라는 실천적 경험을 통해 좌절된 데에서 비롯되었다. 상해인민공사의 실질적 형해화와 상해혁명위원회로의 명칭 변경은 좌절의 구체적 표현이라 할 것이다. 하지만 문혁기간 파리코뮌에 대한 이상은 사라지지 않고 일부 극좌파로 이어졌다. 비록 그들과 그들의 이상은 문혁파에 의해 탄압을 받고 역사에서 지워졌지만 이후 ‘신좌파’에 의해 다시 소환되었다. 그것은 ‘당ㆍ국체제’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지녔다. 문혁을 ‘당ㆍ국체제’의 한계를 돌파하려는 의미 있는 시도로 파악하는 알랭 바디우에게 파리코뮌은 새로운 공산주의사회를 가능케 하는 ‘가설’로 설정되었다. 반면 문혁을 직접 경험한 顧准은 파리코뮌의 직접 민주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였다. Since its establishmen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consistently celebrated, praised and promoted the Paris Commune. Because it was the first regime established by the proletariat and was highly regarded by Karl Marx.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is trend has continued and has been strengthened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the Cultural Revolution emphasizing the practice of the Paris Commune principle. The interest and enthusiasm for the Paris Commune was very high from 1966 to 1967 at the beginning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is was well demonstrated in the official media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owever, around 1971,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aris Commune, the aspect changed greatly, and the evaluation of the Communist Party for it also showed a fluctuating appearance. Thi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 principles of the Paris Commune, which served as the logic of the “revel(造反)”and the “seizing of power(奪權),” in the early years of the Cultural Revolution, were frustrated through the practical experience of the Shanghai Commune(上海人民公社). The actual destruction of the Shanghai Commune and the change of the name to the Shanghai Revolutionary Committee(上海革命委員會) would be a concrete expression. However, the ideal of the Paris Commune did not disappear during the period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was inherited to some extreme leftists. Although they and their ideal were suppressed by the “clique of the Cultural Revolution(文革派)” and erased from the history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y were later summoned again by the “New Left”.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oblem of the “system of the party-state(黨ㆍ國體制)”. For Alain Badiou, who considered Cultural Revolution as a meaningful attempt to break through the limits of the party-state system, the Paris Commune was set as a “hypothesis” that would enable a new communist society. On the other hand, Gaozhun(顧准) who experienced the Cultural Revolution in person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direct democracy in the Paris Commune and suggested a new prospect for democracy. (Yeungnam University / sonshoi@yn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