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대 문인화관의 쇄신 -옹방강(翁方綱)을 중심으로-

        정혜린 ( Jung Heri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3

        본 논문은 청 중기를 대표하는 문인인 옹방강(翁方綱)의 시문집을 통해 청대 회화 비평의 인식론적 기준과 비평의 실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옹방강은 경학과 문학뿐 아니라 회화에 관해서도 방대한정보와 경험을 갖추었고, 이를 바탕으로 동기창의 남북종론이 직업화가에 대해 배타적이라는 비판의 흐름에 동참하였다. 그는 회화 비평에서 문인화의 조건으로 화가의 직업과 계층을 배격하고 오직 문기(文氣)[혹은 신운(神韻)]와 서예 필획의 차용을 엄격히 적용했다. 나아가 그는 사왕 중 왕휘를 남종화와 북종화를 종합한 인물로 칭송하여 ‘남종문인화를 계승한 사왕’이라는 개념에도 균열을 내었고, 사왕에 의해 비판받은 금릉의 화가들, 지두화가, 양주팔괴를 격려하고 높이 평가하였다. 옹방강은 당시 화단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한 것은 아니었지만 자신의 문인화관을 주변의 많은 화가와 감상ㆍ수장가들에게 피력함으로써, 동시대 문화를 반성하고 이끌어가는 지식인의 소임을 실천하는 비평가의 의미심장한 사례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an aesthetic principles of mid-Qing dynasty scholars’ criticism on Chinese paintings with the case of Wen Fang Gang’s. Wen, leading scholar in mid-Qing dynasty, wrote abundant of writings on painting works on numerous sources of information from books and friends, famous collectors on that days. He criticised Tong Qi Chang’s renowned painting theory, so called theory of northern and southern painting schools strongly suspected to divide painters according to their social classes. Wen tried to reset the definition of scholar painting with the two rules, scholastic moods and calligraphic brush strocks applied to painting ones excluding social classes of painters implicit under the genealogy of scholar-painters set by Tong. He also split Four Wang meaning four authentic scholar painters succeeding Tong’s theories and paintings In early Qing dynasty and pointes out and praised Wang Hui of Four Wang as synthesizing northern and southern painting schools. Spreading his own arguments to painters and collectors familiar to himself, Wen Fang Gang carried out intellectual responsibilities re-specting and enlighten his contemporary.

      • KCI등재

        『임천고치』(林泉高致)가 유가를 구현하는 방식

        정혜린 ( Jung Herin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1

        북송대 등장한 『임천고치』는 중국을 대표하는 화론 중 하나이지만 여느 잘 알려진 화론들과 달리 기운, 전신, 육법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그만큼 저자 곽희는 오히려 화면 속 형상에 집중했다. 곽희가 제시한 산수화면은 경물의 물리적 형상과 도덕적 미적 가치가 부여되어 있다. 물리적 형상은 보편, 특수, 개별 세 층차의 속성, 그리고 항상적/가변적 속성의 다층적 이미지 복합체이다. 이 개별 형상들은 다시 천인동구론, 상호 비례적 크기를 기준으로 서로 관계를 맺으며, 삼원법, 그리고 군자/소인, 왕/관료라는 화면 내 가장 큰 규범의 지배를 받는다. 물론 이 화면을 제작하는 화가는 유종원의 문장학습론을 모델로 화학 과정을 거친 후 「악기」 속 수양된 군자의 인품을 갖추어야 했다. 그만큼 곽희는 은자나 개인으로서의 문인이 아닌 관료로서의 문인, 유가자를 대상으로 한 산수화를 지향했다고 할 수 있으며, 곽희의 관심사는 동시대개인, 주체를 중심으로 회화에 관심을 보였던 주변의 문인들과는 방향이 다르다고 할 것이다. Linquan gaozhi 林泉高致(The lofty message of forests and streams) is remarkable work on landscape paintings by Guo Xi 郭熙(b. after 1000, d. ca. 1090) in Northern Song Dynasty. Though called representative of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theory, it is remarkable that the text had mentioned neither qi yun 氣韻(strong and graceful vital energy) nor liu fa 六法(six principles on paintings) which had been regarded as axioms since Six Dynasty. From the fact, we may suppose that Guo Xi had special goal different from other writers on paintings. Firstly, he focused on forms constructing elaborate schemata derived from with experience materials of general, special and particular simultaneously also of eternal and variable levels of attributes. Secondly he explained the relation among object-forms with naive ontology that insists tian ren tong gou lun 天人同構論(nature and human have same vital structure) instead of theory of qi yun, and composition of pictures with as king and his officials, gentleman and petty man conforming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And more Guo Xi asked painters to train themselves pursuing gentlemen`s personality described by late Tang literary men liu zong yuan 柳宗元 and charge on one of Confucian canons, Li zhi 禮記, which changed painters` ideal personality based Taoism since late Tang dynasty. The book is for landscape paintings for literati officials not for literati in seclusion.

      • KCI등재

        오도자(吳道子)와 당(唐) 화론의 미적 기준의 변화

        정혜린 ( Jung Herin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1

        본 논문은 당나라 회화 관련 문헌으로부터 오도자의 대한 비평을 추적하여 당 대 미적 기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오도자는 장회관의 『화단』에서 언급되기 시작하여 부재, 백거이, 원진을 거치면서 『장자』내 도를 터득한 여러 제작자들의 이미지들이 복합된 형상으로 전승 되었다. 이렇게 당 대에 진행되기 시작한바 화가의 정신 세계에 대한 관심은 두 저명한 화론에서 새로운 기술 방식을 수립하기에 이른다. 주경현의 『당조명화록』에서 오도자는 이전의 추상적인 기술 방식이 아니라 ‘일화’라는 객관적 사실 전달의 기술 방식을 통해 높은 정신 세계를 소유했으며 특히 춤과 같은 음악성을 지녀 속도와 힘의 강약 조절에 뛰어난 최고의 화가로 평가되었다. 이 기록은 당말 즈음이면 이제 회화의 선의 음악적 요소가 주목되기 시작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동시대 장언원의 『역대명화기』는 주경현이 음악적인 필선을 강조한데 비해 상대적으로 서예적인 특징을 강조했다. 이는 장언원은 장회관이 시작한 서화용필동론을 중국화론사상 뚜렷이 각인시킨 것이다. 아울러 장언원은 오도자에 관한 비평에서 뚜렷이 드러나는 바 육법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작가의 정신 비중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정신활동의 뛰어난 결과가 가능했던 근거로서 수양을 제시하여 중국화론사에서 작가론 강화의 중요한 결절점을 이루었다. 장언원은 서화동원론으로부터 그림의 기능을 이끌어내는 상고주의적 회화관 위에 오도자를 위시해 성당이래의 화가들을 품평론에서 제외하기도 했지만, 성당이후 특히 오도자에 대한 비평에 걸맞는 쇄신된 비평 기준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이는 당 대 유가와 도교, 치세의 이념과 문인 개인의 내적 이념의 균열을 보여준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언원이 글씨와 그림의 기원의 동일함과 용필법의 동일함을 주목하는 동안 크게 눈길을 주지 않았던 묵법은 이후 형호의 『필법기』에서 중요한 창작 원칙으로 등장했고 이와 동시에 오도자는 더 이상 당대 미감의 기준이 될 수 없었다. Tang Dynasty has not been as much attractive to researchers as prior nor posterior Dynasties in which axioms e.i. Xing形 is to serve shen神, qi氣 and yun韻 should be live and vivid and the concept of literati painting appeared. Though remarkable concepts or thesis were not shaped in Tang Dynasty, the anecdotes on painters appeared writing on painting, which this paper regards worthy not as its objective information but as expressing eye-view of the writer. It lies between the lines that prosperity of Taoism, growing interest in painters mentality and awareness of kinship between brush lines of painting and calligraphy. Wu Daozi吳道子, the representative painter in Tang Dynasty, came to be applauded after Zhang Huaiguan 張懷瓘's Huaji畵斷 by Fu Zai 符載, Bai Juyi 白居易, Yuan Zhen元? through accumulated images of kinds of superior experts from Zhangzi莊子. Wu was described in episodes probably thought historical facts by the writers, Zhu Jingxuan 朱景玄, writer of Record of Celebrated Painters of the Tang Dynasty唐朝名畵錄 and Zhang Yanyuan張顔遠, writer of Record of Celebrated Painters of Successive Dynasties歷代名畵記. Zhu described Wu tao-understanding and practicing painter through episodes with controlling power and speed as dancer or calligrapher did, which indicates musical movements of painting brush strokes recognized as important element in Tang Dynasty. Whereas, Zhang enlarged the roll of painter for masterpiece through reinterpreting Liufa六法 by Xie He謝赫 and exploring how the ability of superior performance can be possible. Also Zhang confirmed the ability realize to use marvelous brush strokes similar to calligraphic ones on painting works, which seems relevant to Zhang's belief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had been one at their birth. Wu was the right model painter for these modern thoughts. Nevertheless the reformation of painting theories for painters of Tang Dynasty coexisted with his conservative historical point of view upholding mission of painting for morality and truth, omitting painters after High Tang period from ranks品 as a result. When effect of ink was recognized as important, the rank of Wu came to descent as in Bifa ji筆法記 by Jung Hao荊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