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방세 세수예측 오차의 원인과 지방재정지출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이근재,최병호 한국지방세연구원 2016 위탁연구보고서 Vol.2016 No.5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방세수 예측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규명하며, 예측오차가 지방의 재정운영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분석함 - 지방자치단체의 예산과 결산을 비교하면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에서 매년 예산편성 시점의 지방세수 예측치와 결산액 간에는 상당한 오차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재정적 의존도가 높은 자치단체일수록 오차율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관측됨 - 이러한 결과가 매년 체계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은 세수예측 오차가 거시경제적 변동성이나 법과 제도의 변화 등 통제하기 곤란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예측 담당자의 전문성 부족 등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과소예측의 유인이 작용함에 따라 의도적인 과소예측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제기함 - 이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세수예측오차가 발생하는 원인과 세수예측오차가 지방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지방세수예측 방식의 개선 필요성에 관한 함의를 모색함 □ 주요내용 ○ 이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세수예측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경제적요인과 정치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함 - 첫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효용극대화 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통하여 세수예측오차의 경제적 및 정치적 유인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함 - 둘째, 2008~2014년 기간 중 전체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및 경상세외수입 오차율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세수예측오차의 발생 현황과 특성을 검토함 - 셋째, 시·군의 미사자료를 이용한 지방세수 및 경상세외수입 예측오차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분석의 결과를 검증함 - 넷째, 지방세수 예측과 재정지출의 효율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재정지출의 GRDP 탄력성을 추정함 □ 결론 ○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첫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효용극대화 모형을 이용한 이론적 분석의 결과 최적예측오차는 이전재원의 함수로 나타남 - 둘째, 지방세 및 경상세외수입 오차율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시와 군은 매년 평균적으로 상당한 수준의 과소 예측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음 - 셋째, 시·군의 지방세수 예측 오차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시·군의 지방세수 예측에는 과소예측 편향성이 있으며, 특히 군의 경우에는 지방세수 예측이 정보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나며, 재정자립도가 낮은 자치단체일수록 지방세수를 과소 예측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넷째, 지방세수 예측과 재정지출의 효율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재정지출의 GRDP 탄력성을 추정한 결과 과소예측 수준이 높을수록 재정지출의 탄력성은 낮아지며, 따라서 재정지출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음 ○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정책함의는 다음과 같음 - 세수예측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기본적으로 세수예측의 전문성을 강화함으로써 교정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예산담당자가 아닌 전문적 지식과 방법론을 갖춘 제3의 기관이 세수예측을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음 - 또한 정부(행정안전부)에서 매년 혹은 주기적으로 세입여건 변화를 고려한 세수예측방법론을 개발하여 자치단체가 예산 편성에서 그러한 방법론을 따르도록 유도할 필요도 있음

      • KCI등재

        테일 오차분해기법을 사용한 지방정부 세입예측 오차에 관한 연구

        배상석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3

        세입예측오차는 효율적인 재정운영을 위해 반드시 넘어서야 하는 문제로서, 과도한 예 측오차는 예산의 기능을 왜곡하고 재정운영의 효율성을 저하시킴으로써 전반적인 재정운 영에 대한 신뢰도를 잃어버리게 한다. 이 연구는 지방정부들이 세입예측오차를 감소시키 기 위한 노력에 일조하기 위해 다양한 세입들의 예측오차를 분석함으로써 세입예측오차 감소를 위한 합리적인 접근방법을 도출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지방세 예측오차 분석에 만 치중하는 기존 연구경향에서 탈피해 지방정부의 재원을 자주재원, 의존재원, 그리고 임시적 세외수익으로 분리한 후 각각의 세입별 세입예측오차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 과에 따르면 과소 예측경향은 자주재원과 임시적 세외수익, 그리고 의존재원인 교부세와 조정교부금에서 발견되었다. 반면에 의존재원인 국고보조금 및 시도비보조금에선 주로 과대 예측경향이 발견되었다. 테일 오차분해기법을 응용해 세입별 예측오차를 평균오차 비율, 분석기법오차비율, 그리고 임의오차비율로 나누어 본 결과, 세입 종류에 따라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오차의 유형은 다르게 나타났지만 공통적으로 발견된 현상은 분석기법 상의 문제로 인한 오차비율은 대부분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지방정부가 예측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일괄적으로 새로운 분석기법을 개발·도입하기보단 테일 오 차분해에 근거해 맞춤식 오차감소 전략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려준다. For efficient local government's financial management, forecasting errors have been a serious problem to be solved. The revenue forecasting is the first step to make a budget so that incorrect forecasting prevents local governments from making a successful budget. Unlik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ly on local taxes, we analyze various revenues such as local taxes, non-tax revenues, local share taxes, and subsidies. From the series of empirical tests, we find followings: Local governments underestimate their local taxes, non-tax revenues, and local share taxes while overestimate their subsidies given from upper level of government. In addition, by using Theil's error decomposition method, we decompose budget-forecasting error into three error components: mean, slope, and random components. The ratio of three error components changes according to the revenue types, which gives useful information for local governments trying to reduce their revenue forecasting errors.

      • KCI우수등재

        이익분포의 비대칭성이 분석가의 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

        강내철 ( Naechul Kang ),김길훈 ( Gilhoon Kim ) 한국회계학회 2015 會計學硏究 Vol.40 No.4

        본 연구는 분석가의 부주의나 고의가 없는 경우에도 이익분포가 비대칭이면 예측오차가 생길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분석가의 비용함수를 평균절대편차(Mean Absolute Error; MAE)를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전제하면 분석가는 이익분포의 중간값을 예측치로 선택한다고 본다. 미래이익에 대한 최선의 기대치는 이익분포의 평균값인데 중간값을 예측치로 선택하면 의도하지 않은 예측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 오차는 이익분포의 비대칭도에 비례하는 평균값과 중간값의 차이와 같다. 본 연구는 MAE를 최소화하기 위해 분석가가 이익분포의 중간값을 이익 예측치로 선택한다는 추론을 바탕으로 음(양)의 비대칭을 보이는 이익분포는 일정한 음(양)의 예측오차를 나타낼 것이란 예측을 규명한다. 이를 위해 최근 9년(2006년부터 2014년까지)의 분기이익 예측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익분포의 비대칭도는 예측오차와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낼 것이란 예측을 실증적 증거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예측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기업규모, 분석가의 수, 적자여부, 이익예측의 불확실성, 최신 정보에 대한 분석가의 미온적 반응)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유지되었다. 또한 이익분포의 비대칭도는 잠정실적 공시일의 주가반응과 음의 관계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이익분포의 비대칭도가 클수록 주가반응이 둔화된다는 것으로 이익공시일의 비기대실적(earnings surprise) 중 비대칭성에서 기인한 부분을 상쇄하기 위한 주가조정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시장참여자들이 비대칭 이익분포와 관련된 예측오차의 문제를 어느정도 알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MAE를 최소화하는 선택을 한다는 가정을 토대로 분석가 예측오차는 이익분포의 비대칭도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Gu and Wu(2003)의 연구가 계기가 되었다. 다만 그들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문제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추가적인 기여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가의 예측오차와 비대칭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인 상황에서 확인하기 위해 4/4분기의 이익비대칭과 예측오차 간의 관계를 부각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4/4분기에는 이익의 비대칭도가 다른 분기보다 더 커지는 한편 이익의 비대칭도가 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이 증폭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suggests that analysts`` optimal earnings forecasts can be biased without misbehavior nor selective behavior. If the analysts`` objective is to provide the forecast minimizing the mean absolute forecast error (MAE), the optimal forecast is the median rather than the mean earnings. The earnings distributions of firms are mostly skewed for a variety of reasons. Thus, if analysts forecast the median earnings to achieve minimum MAE, their forecasts are biased by the mean-median differences of the earnings distributions. In this paper, we are assured that there are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earnings skewness and analyst forecast bias. These findings are robust after controlling for various other factor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size, analyst following, losses or gains, uncertainty in earnings forecasts, selection bias, analysts under-reaction, and analysts`` incentives to generate trading commissions. We also find some evidence that the stock market response to earnings announcement is positively related with analysts`` forecast error and negatively related with earnings skewness. This means that stock market understands part of the skewness-induced bias and is able to adjust accordingly. The findings in this paper complement the existing explanations of analyst forecast bias. In addition, this explanation makes several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First, while most existing theories are explicitly motivated by explaining only analyst forecast optimism, the explanation in this paper applies to both forecast optimism and pessimism. The selection bias explanation supports only forecast optimism. The selection bias explanation argues that analysts may censor their forecasts when the prospects of the firm are unfavorable, leading to optimism in the observed forecasts. This implies that those unobservable forecasts which analysts choose to drop or not cover may be pessimistic. The explanation in this paper suggests that systematic pessimism could exist in the observed forecasts for firms that analysts do cover. In particular, absent other factors, positively skewed earnings would lead to forecast pessimism. It can also be noted that analysts`` under-reaction to good news could result in forecast pessimism, though most studies focus on under-reaction related optimism in the face of bad news. Second, in addition to explaining the cross-sectional variations in forecast bias, earnings skewness has implications for explaining other observed patterns in analyst forecast bias. For example, Basu et al.(2005) document that analyst forecasts are more optimistically biased for the fourth quarter earnings than for other quarterly earnings. One possible explanation is that earnings are more negatively skewed in the fourth quarter than in other quarters. There does seem to be some support for these explanations. We found that skewness measures are more negative for the fourth quarter earnings than for other quarterly earnings and have become less negative over the more recent years in our sample period. Third, it can be true that the market appears to understand part of the skewness induced forecast bias. The literature so far has generally suggested that the market is rather fixated on analysts`` biased forecasts, with findings of predictable patterns in abnormal returns similar to those in analyst forecast errors. 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implications of an efficient market. Since skewness-induced bias is based on analysts`` rational behavior, We expect the investors to understand such behavior and make appropriate adjustments. Further study of market efficiency would benefit from differentiating the sources of analyst forecast biases. This article is replication of Gu and Wu(2003)``s research inasmuch as we also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analysts`` forecast bias and skewness of earnings distribution based on assumption that analysts choose the forecasts of minimum MAE. We tried to differentiate this article from theirs and contribute by appending additional discuss on ferecast bias of 4/4 quarter.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nalysts`` forecast bias and skewness in earnings distribution focussing in 4/4 quarter for analyzing the relation in more specific situation. Thus we can find that the skewness of earnings distribution in 4/4 quarter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quarter and that an impact of the skewness of earnings distribution on analysts`` forecast bias is amplified in 4/4 quarter.

      • KCI등재

        잠재적보통주가 재무분석가 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

        이상열(Lee, Sang Ryul)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48

        본 연구는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 사채 등과 같은 잠재적보통주의 희석효과가 재무분석가의 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재무분석가의 주당순이익 예측오차를 순이익 예측오차와 주식수량 예측오차로 구분하였다. 주당 순이익 예측오차를 순이익 예측오차와 주식수량 예측오차로 구분하는 이유는 재무분석가가 주당 순이익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순이익과 함께 주식수량을 예측해야 하기 때문이다. 잠재적보통주가 미래 주식수량 증대로 인한 주당순이익의 감소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면, 잠재적보통주의 희석효과가 재무분석가의 순이익 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만 주식수량 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은 크기 때문에 주당순이익 예측오차는 주식수량 예측오차와 관련성이 많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잠재적보통주의 희석효과는 재무분석가의 미래 순이익 예측치와 미래순이익 실적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재무분석가의 주식수량 예측치와 미래 주식수량 실적치에는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희석효과를 계산하기 위해서 희석주당순이익이 나타내는 희석효과 이외에 희석수량 기준의 희석효과 측정치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석수량 기준의 희석효과는 재무분석가의 예측오차를 증가시키지만 희석주당순이익 기준의 희석효과는 재무분석가 예측오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 희석주당순이익이 희석효과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하므로 정보의 유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희석수량 정보의 추가 공시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재무분석가의 주당순이익 예측오차는 순이익 예측오차와 관련성이 적고 주식수량 예측오차와 관련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잠재적보통주발행이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주당 순이익예측오차를 순이익예측오차와 주식수량 예측오차로 구분함으로써 잠재적보통주발행이 재무 분석가 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Dilutive securities such as convertible bonds and bonds with warrants can potentially reduce earnings per shar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ommon shares outstanding. The purpose of reporting diluted EPS is to communicate potential dilution effects of dilutive securities. However, the diluted EPS is only recognized on the financial statements when dilution lowers EPS, but financial analysts will incorporate dilution effects when stock price is higher than exercise price of dilutive securities. This study examines how financial analysts incorporate dilution effects and tests the dilution effects by analyzing financial analysts" forecast errors. EPS is net income divided by the number of common shares outstanding. Dilution effects will have very little impact on net income, but will directly affect the number of shares. Thus, EPS forecast errors will be mainly related to share forecast errors. To analyze the effects of dilutive securities on the financial analysts" forecast errors, this study uses the sample which consists of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2001-2007. The sample includes all companies having analysts" forecasts. The results shows that share based measure is positively related to financial analysts" forecasts errors, but the EPS based measure is no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luted EPS reported on the income statements does not fully convey the dilution information anticipated by analysts for their earnings forecasts. There are several contributions for accounting research and practitioner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luted EPS does not fully communicate the dilution information of dilutive securities and share based dilution measure is more effective than diluted EPS based measure. These results may be helpful for accounting regulators to set and revise accounting standards in the future. Second, this study examine financial analysts" forecast errors more profoundly by breaking-down EPS forecast errors into net income forecast errors and number of share forecast errors.

      • KCI등재

        소유지배괴리도와 이익조정 및 경영자예측오차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김효진,박민경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회계정보연구 Vol.34 No.2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the Wedge on the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ment forecast errors. Prior studies states that the shareholders with higher Wedge tend to more manage earnings compare to the shareholders with lower Wedge. Here, Wedge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voting rights and cash flow rights relatively. Futhermore, recent studies found that managers have the incentives of earnings management to decrease in the management forecast errors after management forecast disclosures. In perspective of these relation among Wedge,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ment forecast errors, we can document that the companies with higher Wedge have the incentives to manage reported earnings in order to decre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nagement forecasts and reported earnings. We make comparisons of the management forecast errors between the higher Wedge group and the lower wedge groups, and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 Wedge on the management forecast errors which are measur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nagement forecasts and the reported earnings. Futhermore, we analyze what determines the management forecast errors in term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Wedge and earnings managements. We find some empirical results from th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Wedge on the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forecast errors. This study could find o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the direct relation between the Wedge and management forecast errors. In other words, the management forecast errors a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Wedge. However, the management forecast errors te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discretionary accruals for the higher Wedge firms than for the lower Wedge firms. This indicates that managers have the more incentives to manage earnings in order to be shorten the management forecast errors when the Wedge is relatively high. This suggests that we should check out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Wedge and managed earnings when we measure the management forecast errors, because we may say the accurate firms even though the firms have much more managed reported earnings with the Wedge. 지금까지의 경영자예측정보에 대한 연구가 예측정보의 정확성 또는 예측공시시점의 시장반응 등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예측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소유지배괴리도와 이익조정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소유지배괴리도가 이익조정과 예측오차의 구조적 관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소유지배괴리도가 높은 기업은 대체로 이익조정 유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경영자 예측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보고이익을 조정한다는 최근의 실증분석결과를 전제한다면, 소유지배괴리도는 이익조정이 경영자예측오차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변수일 가능성이 높다. 즉, 소유지배괴리도가 높은 기업은 자발적 예측 유인이 감소하여 경영자예측오차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이익조정이 수월하여 재량발생액이 경영자 예측오차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가능성에 대해 검증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유지배괴리도와 이익조정 및 경영자 예측오차간의 구조적 관련성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소유지배괴리도가 높을수록 경영자예측오차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유지배괴리도에 따라 재량발생액과 영업현금흐름이 예측오차를 설명하는 구조적인 차이가 있었다. 즉 소유지배괴리도와 재량발생액 및 영업현금흐름과의 상호작용변수를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유지배괴리도가 높은 기업들은 이익조정을 통해 예측오차를 줄이려고 하는 유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소유지배괴리도가 낮은 기업들은 영업현금흐름이 예측오차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경영자예측오차에 대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기업지배구조의 중요한 변수인 소유지배괴리도와 경영자예측오차간의 직접적인 관련성 및 소유지배괴리도와 이익조정간의 관련성이 경영자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주로 예측정확성을 단순히 예측치와 보고이익간의 차이로 정의한 기존의 연구흐름에 소유지배괴리도와 재량발생액 및 영업현금흐름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발생액의 질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 : 본질적 및 재량적 발생액의 질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박종일,신상이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발생액의 질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의 정확성과 편의로 측정되는 이익예측오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낮은 발생액의 질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와의 관계가 양(+)의 관계가 있는지를 발생액의 질에 대해 Francis et al.(2005)이 제안한 총발생액의 질(AQ)뿐 아니라 그 구성의 원천에 따라 본질적 발생액의 질(InnateAQ)과 재량적 발생액의 질(DiscAQ)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나아가 추가분석에서는 앞서의 관계가 시장유형(KOSPI vs. KOSDAQ)에 따라, 또는 새로운 회계기준인 IFRS 도입 전후기간에 따라 다른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인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기간은 2004년부터 2016년까지 8,304개 기업/연 자료를 최종표본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첫째,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에 영향을 주는 일정 변수뿐 아니라 재량적 발생액을 통제한 후 분석하여도 발생액의 질이 낮을수록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의 정확성은 떨어지고, 또한 낙관적 편의의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 분석하여도 발생액의 질의 두 구성요소인 본질적 발생액의 질이 낮거나 재량적 발생액의 질이 낮은 경우 모두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의 정확성이 낮고, 낙관적 편의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총발생액의 질뿐 아니라 그 원천인 기업이 처한 사업위험과 관련한 본질적 발생액의 질 또는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동기가 포함된 재량적 발생액의 질이 낮을 때 이익의 질은 낮아져 정보위험은 높기 때문에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는 이러한 정보의 불확실성에 기인하여 증가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이러한 결과는 관심변수를 10분위의 순위등급변수로 측정한 경우 외에도 소수의 순위등급변수나 원 변수로 측정한 경우 모두 일치된 결과였다. 셋째, 추가분석으로 전체표본을 다시 시장유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한 경우는 별다른 차별적인 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IFRS 의무도입 전후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하면 총발생액의 질과 이익예측오차 간에 양(+)의 관계는 앞서의 결과와 차이가 없으나, IFRS 이전기간에서는 재량적 발생액의 질과 이익예측오차 간에 양(+)의 관계가 더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에, IFRS 이후기간에서는 본질적 발생액의 질과 이익예측오차에 양(+)의 관계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와 발생액의 질의 구성요소와의 관계는 새로운 회계기준의 도입 전후기간에 따라 차별화된 반응이 있음을 의미하며, 새로운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액의 질의 두 구성요소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에 미치는 효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는 발생액의 질이 낮을 때 재무분석가들이 제공하는 이익예측 정보에서 오차가 증가됨을 총발생액의 질과 그 구성의 원천별로 정보위험성이 높다는 것을 국내 상장기업에 대해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추가분석 결과에서는 발생액의 질의 원천별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와의 양(+)의 관계가 IFRS 의무도입 전후기간에 따라 차별적인 반응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발생액의 질을 다룬 관련연구에도 새로운 실증적 증거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학계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의 질에 관심이 있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accruals quality and analyst’s earnings forecast errors measured as forecasting accuracy and bias. Specifically, this study distinguishes accruals quality driven by economic fundamentals (innate AQ) versus management discretion (discretionary AQ) following Francis et al. (2005) and investigates whether accruals qualit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ource of accruals quality affect analyst’s earnings forecast errors. In the additional analysis, we partition the sample into KOSPI versus KOSDAQ listed firms and test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accruals quality and analyst’s earnings forecast errors is different for market type (KOSPI versus KOSDAQ samples). Further, we test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accruals quality and analyst’s earnings forecast errors has changed since the adoption of IFRS (pre-IFRS versus post-IFRS adoption period). Prior research develops measures of accruals quality and demonstrates that these measures identify firms with greater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investors. Specifically, Dechow and Dichev (2002) regress working capital accruals on cash flows from operations in the prior, current, and following period and argue that accruals that do not map into cash flows are low quality accruals. Further, Francis et al. (2005) decompose the accruals quality measure developed in Dechow and Dichev (2002) and McNichols (2002) into innate and discretionary accruals quality. They characterize measurement error in accruals due to inherent features of a firm’s business model and operating environment as innate accruals quality. By contrast, discretionary accruals quality reflects managerial accounting discretion and error. Then, Francis et al. (2005) find that the coefficient on discretionary accruals quality is smaller in magnitude and weaker in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at of innate accruals quality in regressions with estimated cost of capital as the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se results, they conclude that investors place greater weight on accruals that reflect intrinsic features of the firm’s business model than on accruals that reflect a combination of noise, opportunistic choices and management’s attempts to make earnings more informative. And Francis et al. (2005) conclude that accruals quality is a priced risk factor. Extending this line of research, we examine whether financial analysts produce higher forecast errors for lower accruals quality (hereafter AQ), such as total AQ as well as both components of AQ (InnateAQ versus DiscAQ). For analysis, we follow Francis et al. (2005) to estimate total AQ and we decompose the AQ into its innate and discretionary factors as a proxy of information risk for earnings quality. A greater AQ value indicates that the mapping of accruals to cash flow is more volatile and this in turn suggests potential low-quality financial reporting in accounting. Thus, a firm with a greater (smaller) AQ value is associated with a poorer (better)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Our sample covers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with available data in non-financial industries with fiscal year-end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 (interest variable) from 2004 to 2016 (from 2003 to 2015). This procedure yields 8,304 firm-year observations with available data of AQ and analyst’ earnings forecast over the sample period 2004 through 2016.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after controlling for several factors as well as discretionary accruals that affect analyst’ forecast errors, we find that a positive relation between analyst’ forecast error and total AQ, indicating that poorer AQ is associated with less accurate analyst’ earnings forecasts, more optimistically biased forecasts. Second, when we also disaggregate the AQ into innate versus discretionary component, we find that a positive relation between analyst’ earnings forecast error and both components of AQ (Inn...

      • KCI등재후보

        잔여이익모형의 주가 예측오차에 관한 연구

        김대근(Dae-Keun Kim),한다정(Da-Jeong Han)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사회과학논총 Vol.8 No.-

        본 연구는 Ohlson(1995)의 재무회계자료를 이용한 기업가치 설명모형인 RIV모형(Residual Income Valuation Model)이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실질가치를 적정하게 설명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예측오차를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방법은 과거 5년 동안의 재무자료를 RIV모형에 대입하여 순자산의 가치와 잔여이익의 회귀계수를 추정하였다. 이렇게 추정된 회귀계수를 RIV모형에 대입하여 2001년, 2002년, 2003년의 예측주가들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예측주가와 실제주가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예측주가의 추정(절대)오차율을 산출하여 0과 차이가 있는지와 전체표본으로 분석하였을 때와 산업별로 분석하였을 때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예측한 주가는 실제주가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업별로 보았을 때 중화학공업의 2002년 예측 표본을 제외한 경공업과 중화학공업 및 정밀기술산업에서 실제주가와 예측주가에 차이가 없었다. 각 산업별로 RIV모형을 통해 예측한 주가에 대한 추정(절대)오차율은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예측한 주가의 추정(절대)오차율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2003년도 경공업의 추정오차율 및 2002년도 정밀기술산업의 추정(절대)오차율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RIV모형을 가지고 산업별로 나누어 주가를 예측하였을 때, 전체표본을 가지고 예측하였을 때와는 다르게 일부 산업과 연도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lanatory power of stock price of Ohlson's Residual Income Valuation Model(RIV model). Our empirical test consists of two steps : First,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model are estimated using past five year's financial accounting data, and the current year's forecasted price is obtained from the model. Secondly It is tested whether the forecasted stock price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price both in the whole sample and each industry sample. We also test whether an error rate in each industr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hole sampl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forecasted prices in the whole sample, but there is some difference in case of Heavy Chemical Industry in 2002. With respect to error rate,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at of whole sample, except in Light Industry in 2003 and Precision Manufacture Technology Industry in 2002. It is concluded that the RIV model appears to have an appropriate explanatory power in the whole, but have some variations in the industry basis.

      • KCI등재

        경영자의 예측공시 후 이익조정 형태와 시장반응

        김효진,박민경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회계정보연구 Vol.32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arnings management and market reactions afte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disclosures. We make comparisons of accruals between optimistic and pessimistic management forecasts, and investigate the impacts of accruals and cash flows from operations on management forecast errors. Futhermore, we analyze what determines the stock returns in terms of management forecast accuracy and earnings managements. We find some empirical results from th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management forecasts on earnings management, forecast errors and market responses. We first find that discretionary accruals tend to be increased when management forecasts inclination is more optimistic compare to analyst forecasts. Second, management forecast errors which are measured by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ed earnings and reported earnings tend to be decreased when discretionary accruals (cash flows from operations) are high. This indicates that managers have the incentive to manage earnings in order to be shorten the gap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reported earnings. This suggests that we should check the managed earnings when we measure the management forecast accuracy or errors, because we may say the accurate firms even though the firms have much more managed reported earnings. Third, stock returns are affected by discretionary accruals in reported earnings rather than the management forecast errors. In order words, market does not react to the information of management forecast anymore when earnings are reported at the end of accounting period while market responses negatively to discretionary accruals included in reported earing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rket reaction is influenced by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rather than by informativeness of management forecast information. 지금까지의 경영자예측정보에 대한 연구가 예측정보의 정확성 또는 예측공시시점의 시장반응 등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예측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예측성향에 따른 발생액에 초점을 맞추고, 이익조정과 예측오차의 관련성이 시장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연구를 시작하였다. 예측정보의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단순히 예측치와 보고이익간의 오차크기를 대용치로 사용하고 있는 연구가 대부분인데, 사전적 예측치뿐만 아니라 기업의 보고이익 역시 지배주주나 경영자의 의도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예측정보의 정확성은 단순히 정의내리기 쉽지 않다. 또한 예측치 대비 보고이익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해 시장에서 어떠한 형태로 반응하는지 알아보고 과연 경영자의 자발적인 예측공시가 보고이익 공시시점까지 그 정보성을 유지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시장에서 보고이익의 재량발생액 포함정도에 효율적으로 반응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경영자예측치의 사후 대리인비용 억제 효과 여부를 제안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낙관적 예측성향을 가진 기업들의 재량발생액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무분석가의 시장예측치에 비해 경영자예측치가 보수적인 기업보다 낙관적인 기업에서 재량발생액을 높여 예측오차를 줄이려고 하는 유인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재량발생액이 높을수록 예측오차가 줄어드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영업현금흐름이 높은 기업 역시 예측오차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 두 변수가 예측오차와 갖는 관련성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보고이익과 예측치의 차이에 대해 시장은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고이익에 포함된 재량발생액에 대해서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단 예측치보다 보고이익이 더 높아진 기업에 대해서도 이미 시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응을 보이지 않음으로써, 경영자예측치의 정보성은 보고이익 공시시점에 이미 그 정보성을 상실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재량발생액이 높은 기업일수록 수익률이 통계적으로 낮아짐을 보임으로써, 보고이익에 포함된 이익조정치에 음(-)의 반응을 나타내는 시장의 움직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예측치 발표시점에는 이익예측치가 높을수록 시장의 긍정적인 반응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예측오차를 낮추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이익조정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시장은 예측오차에 상관없이 보고이익에 포함된 재량발생액에 대해 음(-)의 수익률을 부여한다는 실증결과를 기업의 경영자는 유념할 필요가 있으며, 학자들 또한 지금까지의 경영자 예측오차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기타포괄손익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 사이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전규안 ( Kyu An Jeon ),최종학 ( Jong Hag Choi ),박종일 ( Jong Il Park ),이병희 ( Byung Hee Lee ) 한국회계학회 2007 회계학연구 Vol.32 No.1

        2006년 2월에 기업회계기준서 제21호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 I"이 제정되어 포괄손익계산서를 주석으로 공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점에 본 연구는 포괄손익과 재무분석가의 미래이익 예측오차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행연구와는 달리 포괄이익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이익예측오차 관련 논문과 차이가 있으며, 포괄손익의 가치관련성 이외에 포괄손익의 또 다른 유용성 측면을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포괄손익 관련 논문과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재무분석가의 미래 예측치는 매 연도의 6월 또는 12월에 발표된 이익예측치이다. 본 연구의 경험적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표본과 재무분석가의 6월 발표 이익예측치를 사용한 분석에서 기타포괄손익 정보와 재무분석가의 미래이익 예측오차 또는 기타포괄손익과 예측오차의 절대값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기타포괄손익의 부호에 따라 표본을 양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타포괄손익이 양(+)인 표본은 기타포괄손익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 및 예측오차의 절대값 사이에 유의적인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기타포괄손익이 음(-)인 표본은 유의적인 음(-)의 관계가 발견되었다. 즉 전체표본을 이용한 결과는 기타포괄손익이 음(-)인 기업들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기타포괄손익이 음(-)인 경우 이익예측오차와 기타포괄손익 사이의 음(-)의 관련성은, 포괄손실이 증가함에 따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가 과대예측(또는 낙관적) 편의(optimistic bias)를 더 많이 가지고 있거나, 과소예측(또는 비관적) 편의(pessimistic bias)를 덜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기타포괄손익이 음(-)인 경우 예측오차의 절대값과 기타포괄손익 사이의 음(-)의 관련성은 포괄손실이 증가함에 따라 이익예측치가 더 부정확해진다는 의미이다. 재무분석가의 12월 예측치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6월 예측치를 사용한 경우와 달리 한계적인 관련성만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12월이 되면 기타포괄손익 정보 이외의 다른 많은 정보들이 시장에 알려지게 되기 때문에, 기타포괄손익의 상대적 설명력이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기타포괄손익의 개별항목을 이용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결과, 이러한 위의 발견들은 모두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발견은 재무분석가들이 이익예측시에 포괄손익 정보가 의미하는 바를 정확하게 이해하여 활용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포괄손익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제공이 재무분석가들이 제공하는 이익예측치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재무분석가들의 정확한 이익예측은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괄손익 정보의 자세한 공시에 대한 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포괄손익의 공시를 도입한 우리나라 기업회계기준서가 의미가 있다는 점을 나타내주고 있다. Comprehensive income (CI) includes all the changes of the values of equities except for the transactions with shareholders in its concept of income. The comprehensive income is composed of net income (NI)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 (OCI). Since the announcement of SFAS No. 130, the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of the US has required firms to disclose the information on CI as an adjustment of NI or as a separate statement.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and Korean Accounting Standards Board also are preparing for the change from traditional income statement to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urrent OCI is associated with errors in analysts` earnings forecasts for future periods. Prior studies on CI have mostly focused on the value relevance of CI to provide evidence of the usefulness of CI.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ior studies in that this study examines the analysts` forecasts to approach the usefulness of CI in view of the financial analysts, not from the investors in the capital markets. This study uses a maximum of 1,023 firm year observations of the firms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ge from the years2000 to 2005. The data on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re collected from Fn-DataGudiePro database. Other firm-specific financial data are collected from KIS-Value II database. The analysts` forecasts data are collected twice per year: at the end of June and December for December fiscal-year-end firms.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OCI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rrors in analysts` earnings forecasts. In other respects it implies that OCI can help analysts and investors to correct the errors in the forecasts. Especially, both signed errors and absolute errors increase as OCI increases. Further tests reveal that the above mentioned association is mostly driven by the sub-samples for which OCI is smaller than zero. As the negative amount of OCI increases (becomes further negative), analysts` earnings forecasts become more optimistically biased and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errors increases. Further analyses reveal that all the results documented above are driven by the available-for-sale securities holding gains/los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alysts have difficulty in correctly interpreting the implications of negative OCI and how they are related to future earnings. Currently, Korea is evaluating the introduction of extended income statement based on CI.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arguments concerningthe further detailed disclosure on the CI. CI can be useful to improve the accuracy of analysts` forecasts and investors can also use the information in order to judge the magnitude of the potential error included in the analysts` forecas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