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재 개발: 현장 시범 적용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박윤희,장명희,박동열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focused on the effects of field application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in nine areas based on the urgent needs among 5 field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nine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urriculum respectively.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ew of job analysi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department at vocational high schools, review of related materials in each area, job information, job specifications at the entry level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discussions with industry people. In addition, the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format.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taught with the textbooks for the filed application at the 11 vocational high schools for about one month.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The tests were focused on examining interests on General English, Vocational English, and self-efficacy on Vocational English. Finally, sever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use of the developed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들이 직업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영어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직업영어 교재를 현장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고, 현장 시범 적용의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직업영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 5개 계열에서 교재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한 총 9개 분야(원예조경, 기계, 전기, 전자, 건축, 금융, 유통․물류, 해양생산, 조리 서비스)를 선정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해당 분야의 영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직업영어 교재를 개발하였다. 각 분야별 직업영어 교육과정은 1) 기존의 직무 분석 자료 및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검토, 2) 특성화고 관련 학과 개설 현황 분석, 3) 국내외 관련 교재내용 검토, 4) 해당 분야 직업정보 조사, 5) 특성화고 졸업생의 직무 수행 내용 분석, 6) 분야별 산업체 인사와의 협의를 통해 개발되었다. 분야별 직업영어 교육과정은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분야별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재 구성 체제에 따라 교재가 개발되었다. 직업영어 교재는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으로 크게 구성되었으며, 소단원에서는 학습목표, 학습내용, pre-test, warming-up, 관계 지식, activity, 용어 정리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중단원에서는 학생들이 exercise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문 내용에 포함된 단어를 한글과 영어로 표기한 index도 제시하였다. 또한 직업영어 교재의 현장 적용을 위하여 특성화고 영어 수업모델 선진화 연구학교로 지정된 16개 학교 가운데 9개 분야의 직업영어 교재 적용이 가능한 11개 학교를 대상으로 약 1개월에 걸쳐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교재를 적용하였다. 직업영어 교재의 효과성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일반영어에 대한 흥미도, 직업영어에 대한 흥미도, 직업영어 활용의 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재 적용 전과 후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이 직업영어 교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파악하였다. 직업영어 교재의 현장 시범 적용 결과, 직업영어 교재를 적용하기 이전보다 학생들의 일반영어 흥미도, 직업영어 흥미도, 직업영어 활용 효능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의 직업영어 교재 내용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야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현장 적용 분석 결과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현장 활용도가 높은 직업영어 교재가 될 수 있도록 직업영어 교재 개발 과정에 반영되었다.

      • KCI등재

        영어교육과 다문화주의 : 다문화주의 기반 영어 교재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김민아,어도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4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commended as an effort to resolve significant social challenges in Korea. This is reflected in the 2015 reform of national curriculum and instruction as it promotes cultural diversity and competence. As English textbooks are widely used in EFL classrooms in Korea by both students and teachers, it is useful to examine how much English textbooks are multiculturalism-friendly and -responsive. This study has 3 parts: 1) It makes a critical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English textbooks evaluation checklists, 2) it then synthesizes them and proposes a new tentative multiculturalism-based criteria for English textbooks evaluation, and finally, 3) it applies the new subset of the criteria to an English textbook used in EFL classrooms in Korea to test its validity and practicality. Developing a multiculturalism-responsive criteria for English textbooks evaluation will provide multiculturalism-friendly classroom environments in which EFL learners can grow not only linguistically but also 'multiculturally'. 다문화 수용성이 중요한 사회적 담론으로 부상함에 따라 2015년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에 다문화 이해가 성취기준으로 제시되었다. 영어 교재(교과서 포함)가 학습자의 다문화 이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영어 교재가 다문화주의의 이념과 원리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영어 교재 평가와 관련한 기존 연구와 이미 소개된 체크리스트를 분석하고 종합한 후 우리 사회의 영어교육 환경에 적합한 다문화주의 기반 영어 교재 평가 체크리스트를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도구의 타당성과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고교 영어교과서에 이 체크리스트를 적용하여 교과서의 다문화 요소를 분석하고 평가하였으며, 다문화 반영이 미흡하게 나타난 것으로 평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언어적으로 뿐 아니라 ‘다문화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다문화 친화적인 영어교육 환경이 조속히 마련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 KCI등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재 구성 체제 개발 연구

        박윤희,남지영,장명희,박동열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ormat of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Vocational English is intended to increase English proficiency in the area of specific industry or jobs.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tudy established the definition and objectives of vocational English and analyzed the contents as well as structures of Korean and foreign textbooks related to vocational English. The textbook forma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modular system. Considering that this textbook is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at work, the task or activity in a unit in the modular system consists of 1) an integrated format of four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reading, writing, listening, speaking, 2) a format of reading and writing, and 3) a format of speaking and listening. The study suggested tasks for developing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is forma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effective development and use of the textbook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글로벌 경제화와 직업세계의 다변화 속에서 직업 또는 직무와 연계된 영어 능력의 습득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영어교육 체제 구축에 관한 논의가 증가하였다. 특히 특성화고 졸업생의 진로가 진학에서 취업으로 옮겨감에 따라 해당 분야의 직무에 관한 지식 및 기능과 더불어 실무에서 영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무와 연계한 영어활용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직업영어 교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직업영어에 대한 개념 설정과 함께 직업영어 교재의 구성 체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분석을 통해 직업영어의 정의 및 목표를 수립하고, 국내외 직업영어 교재의 내용 및 구조 분석과 함께 교재 구성 체제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직업영어의 교재 구성을 설계하였다. 직업영어 교재개발은 ‘모듈식 교재’의 특성과 구성요소에 기초하여 직업영어 교재의 외형적 체제를 설계하고, 모듈별(대모듈․중모듈․소모듈) 구성 및 전개 방식을 구안하였다. 특히 소모듈에서 과제 활동(task/activity)은 의사소통의 네가지 기능인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가 모두 통합된 복합형’, ‘읽기/쓰기 중심 유형’, ‘듣기/말하기 중심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대모듈, 중모듈, 소모듈 작성 양식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직업영어 교재 구성 체제에 기반한 교재 개발 방향과 향후 활용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등 예비영어교사의 교재 활용에 대한 탐색: 교육실습 경험을 중심으로

        이성희(Sung-Hee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4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영어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 중 활용한 교재의 종류 및 활용법을 집중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한 사립대학교 영어교육과 소속 예비영어교사들이 2019년 교육실습 경험에 근거하여 기술한 교육실습결과보고서의 내용을 토대로 이들이 영어교실에서 활용한 교재의 종류 및 활용비율, 그리고 활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예비영어교사들에 의하여 활용된 교재의 종류는 교과서를 포함한 전통적인 시각 교재로부터 컴퓨터 및 모바일 기반 교재에 이르기까지 총 31종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영어교실과 비교할 때, 중학교 영어교실에서 보다 더 다양한 종류의 교재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입시 준비에서 자유롭기 어려운 고등학교 수업 상황 속에서도 예비영어교사들이 예상보다 다양한 종류의 교재 활용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점은 주목할만하다. 교재 활용법 측면에서는 전통적인 시각 교재들과 컴퓨터 및 모바일 기반 교재들이 모두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다만 일부 전통적인 교재들과 컴퓨터 및 모바일 기반 교재들의 경우 통합적인 언어기능의 교수·학습이나 여타 교재 및 매체와의 연계 측면에서 좀 더 다양하고 적극적인 활용법의 적용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등 예비영어교사들의 교재 활용과 관련한 개선 방안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T(English language teaching) materials used by secondar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during 2019 teaching practice period.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practice reports written b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a private university in Seoul,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irty-one kinds of teaching materials were used b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ranging from traditional visual materials including textbooks to computer- and mobile-based materials. Pre-service teachers use computer- and mobile-based teaching materials more widely than traditional visual materials. Compared to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s, more diverse teaching materials are used in different ways than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rooms.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re attempting to use various kinds of materials more than expected even in high school classrooms. Traditional visual materials and computer- and mobile-based materials are all used in various methods. However, application methods of teaching materials have been found to be relatively static and limited. Based on the results, improvements regarding the use of teaching materials b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ere proposed.

      • KCI등재

        유아영어교재 평가에 관한 연구

        최혜정(Choi Hye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국가적으로 수립된 유아영어교육과정의 부재 속에서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 되고 있는 유아영어교육은 거의 외부 출판사가 공급하는 유아영어교재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유아들에게 적합한 유아영어교재를 올바르게 평가하고 선택하기 위해서, 개발된 유아영어교재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교사들의 전공, 경력, 교재종류별에 따른 평가척도의 요인별 차이와 유아교육기관에 적합한 유아영어교재를 알아보았다. 유아 영어교사들의 전공에 따라서는 영어교육계열 전공자들과 영어?유아교육계열 복수 전공자들 모두 목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아교육관련 전공자들은 삽화 및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고 있었다. 이는 전문적인 유아교육을 이수한 유아교육계열 전공자들이 유아들에게 창의적이고 예술적 경험을 유도하는 그림과 삽화의 역할을 보다 잘 인식 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경력에 따른 차이도 있었는데 3년 이상 된 교 사들은 목표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영어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자질이 있 음을 알 수 있었으며 5년 이상 된 교사들은 유아교육관련 전공을 하지 않았어도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풍부한 현장 경험을 통하여 유아교육 관련 내용인 삽화 및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도 알고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장 선호되는 교재로는 동화책?파 닉스류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어동화책은 유아들에게 적합한 그림책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영어교수매체로서도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림책을 읽 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파닉스류도 함께 병행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 differences about 4 factors according to English teachers for their majors, careers and the sorts of English textbooks. There are four problems for research.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factors of evaluating scale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xtbooks according to English teacher s majors and care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factors of evaluating scale according to the sorts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xtbooks and in the total scores appraised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textbooks. I conducted MANOVA and ANOVA to analyse differences in 4 factors through the SPSS Win 15.0 program. There are some differences each factors. Those who teachers majored in related to English and two with English &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high points in 1 factor. Basically this means English teachers who worked in the Early Childhood Institutes like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elements of English textbooks to teach kids English. In 2 factor, the group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ajored in joint honours as English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ognized the importance for keeping imagination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using the English textbooks. Also, the English teacher knew the key point of the Materials & Topics to select. According to teacher s careers, the English teachers who worked more than 3 years in teaching English young learners knew that the significance of 1 factor The Contents & Organizations. The teachers who taught the kids English more than five years in the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acknowledged needs of 2 factor Illustrations & Designs because they c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due to long empirical experiences. Picturebooks and picturebooks with phonics were judged appropriate English textbook for young learners. They could play a role as picturebook with helping the kids understand the contents and English using the pictures and illustrations as well as English textbooks.

      • KCI등재

        대학 실용영어 교재에 관한 학습자의 반응

        전지현(Jeon Ji-Hyeon),조윤영(Cho Yun-Young) 한국비서학회 200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5 No.1

        비서들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가장 취약하다고 느끼거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이 영어능력의 향상이고, 대부분의 비서과 교과과정에서 실용영어를 중심으로 영어교과목이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관심과 지원에 비하여, 실용영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비서과에서 제공되는 영어 과목에서 한 번 선택된 교재가 다년간 사용되고, 또 수업시간에 교재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현실을 볼 때, 교육목표에 부합되고 학습자가 선호하는 교재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교재 선택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교재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 파악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비서과에서 제공되고 있는 실용영어 교재에 관한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교재의 선택과 개발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하는 데 있다. 2년제 대학 비서학과에서 영어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을 통한 사전조사를 먼저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결과를 근거로 작성된 구조화된 설문을 다시 2년제 대학 비서학과에서 영어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4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전문대학 실용영어 교재들에 대한 (1) 학생들의 만족 이유, (2) 학생들의 불만족 이유, (3) 학생들이 선호하는 주제/소재, (4) 학생들이 선호하는 학습 활동, (5) 학생들이 선호하는 편집, 디자인, 학습자 지원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실용영어 교재 선택 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안한다. The ability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 English is vital when working in organizations, especially for administrative assistants. With the emphasis on English skills, most administrative assistant majors enrolled in junior colleges are required to take practical English classes. In those English classes, the textbook plays key roles in both teaching and learning. The textbook provides a plan for teaching and a visible outline of what is covered in the class. In order to use the textbook systematically and flexib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it is constructed and how it can be adapted to meet the needs of particular learners. If any textbook is to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students, a student needs analysis must be conducted prior to selecting the textbook. However, the research conducted on practical English textbooks for administrative assistants is sca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students' reactions towards practical English textbooks used in their current practical English classes. 101 students' responses to the open questionnaire and 424 students' responses to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e study were analyzed to discover: (1) reasons why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textbooks; (2) reasons why they are dissatisfied with their textbooks; (3) preferred themes/topics; (4) preferred learning activities; and (5) preferred editing features, design elements, and supports.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 KCI등재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EBS 수능 연계 교재, 대학 수학 능력 영어 시험의 어휘 수준 및 이독성 비교 연구

        조민수(Cho, Min-Soo),박은수(Park Eun-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EBS 수능 연계 교재, 그리고 수능 영어시험의 코퍼스 기반 어휘 수준과 이독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분석대상은 2015학년도 수능영 어시험에 채택된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영어Ⅰ’, ‘영어Ⅱ’ 교과서 각각 8권, EBS 수능 연계교재 중 독해 영역 6권, 그리고 지난 3년간 수능 모의고사와 수능 영어시험으로 하였다. 분석 도구는 WordSmith Tools 6.0을 사용하였고, Flesch Reading Ease, Flesch-Kincaid Grade Level 과 Gunning Fog Index를 사용하여 이 독성 지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능 연계교재의 어휘 타입 수는 4,603∼6,824 개, 수능 시험은 3,625개로 교과서 어휘 타입수의 1,650∼1,906개에 비해 타입 수가 두 배 이상이었다. 영어 교과서의 이독성 지수 범위는 8종 교과서 모두 59.89∼66.24 에 해당하며, 이는 학년 수준 환산표에 의하면 미국 학제 8학년과 9학년 수준에 해당 하였다. 반면 EBS 수능 연계 교재와 수능 영어시험의 어휘 수준은 미국 학제의 12학년 이상이었다. 결과를 통해 수능 연계교재와 수능 영어시험의 어휘 수준은 영어 교 과서의 어휘 수준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영어 교과 서와 EBS 수능 연계 교재, 수능 영어시험 간의 연계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 교과서가 교육 현장에서 학습의 주 자료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영어 교과서, EBS 수능 연계 교재, 그리고 수능 영어시험 간의 어휘 수준에 대한 논의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ocabulary levels and readability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BS CSAT books, and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n order to find out differences among them, the copora have been built and data were examined using WordSmith Tools 6.0 software program, Flesch Reading Ease, Flesch-kincaid Grade Level, and Gunning Fog Index.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BS CSAT Books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ontain more various words than high school English books do. In the comparison of Type/Token ratio,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s of EBS CSATs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 TTR are 47.47 and 47.75, while high school English books are 42.18, which indicates that EBS CSAT Books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have more various word-types and its lexical diversity is relatively higher. The vocabulary levels among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BS CSAT Books, and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re quite different. Compared to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BS CSAT books and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re above 12th grade on the basis of the US school system. Due to these differences and washback effects, the amount of vocabulary that high school students should learn is dramatically increased. Th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policy-related discussion to reduce the differences of vocabulary level among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BS CSAT books, and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 KCI등재

        영어성경학습 교재 개발 및 적용

        최윤희(Yoonhee Choe),이성희(Sung-He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예비 기독영어교사들이 전공봉사학습의 일환으로 서울 소재 두 교회의 주일학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영어성경학습 교재를 실제 교육상황에 적용해 본 후, 예비 영어교사들의 교재개발 과정에 대한 인식과 주일학교 교사들의 교재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영어성경학습 교재 개발 과정이 단계별로 기술되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예비 영어교사들과 주일학교 교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녹음하여 전사하였고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영어교사들의 영어성경학습 교재 개발 경험을 통한 전공봉사학습이 전공 전문성 향상은 물론 교회를 돕는 보람과 만족감을 갖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경학습 교재 내에서 성경교육과 영어교육 목표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것은 예비 영어교사들과 교재를 사용해 본 주일학교 교사들 모두에게 어려운 점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주일학교 교사들은 교재 내의 학습활동들의 연계가 자연스럽지 못한 점을 한계로 인식하였으나, 교재의 소재가 학생들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점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is paper summarizes findings from investigations in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glish bible study materia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wo local churches in Seoul, Korea. Six pre-service Christian English teachers have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material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new materials, the pre-service teachers’ and bible study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w materials have been investigated. To analyze the data, the pre-service teachers and bible study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data was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content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church service learning gave them a sense of satisfaction and it also helped them develop professionalism in teacher education. To both the pre-service teachers and bible study teachers, keeping balance between bible teaching and English teaching was found to be a difficult task. The fact that the themes in the new material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students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by the bible study teachers.

      • 영어 발음 교재에서 세계 영어 발음에 대한 교재 분석

        박은영(Park, Eun-You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7 신학과세계 Vol.- No.8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발음을 다루는 교재들이 세계 영어들의 발음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영어 발음 교재들을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해외에서 발간된 영어 발음교재와 전문서적, 국내에서 발간된 영어 발음 교재와 전문서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서적들은 대학교 도서관들과 대형 서점 등을 통해 구하였으며 점검표를 통하여 세부사항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국내와 해외에서 발행된 대부분의 책들은 미국 영어 발음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세계 영어의 다양한 발음들은 다루고 있지 않았다. 외국에서 발행된 전문서적들은 세계 영어 발음들의 다양성을 다루고 있었으나, 국내 영어 발음 교재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국내의 일부 전문서적에서는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 발음과의 차이만 주로 다루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살펴볼 때, 국내에서 영어 발음을 다루는 저서들에서 세계 영어 발음의 다양성과 변이성을 소개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how English pronunciation books deal with world Englishes. For this purpose, books on English pronunciation were categorized into four: English pronunciation books and academic books published abroad, and the same published in Korea. Books were collected in college libraries and bookstore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hecklist.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most books published both in Korea and abroad were based on American English, and they did not deal with world Englishes. Next, while there are books on world Englishes which deal with the varieties among the academic books of foreign countries, there is no such book published in Korea. In a few academic books published in Korea, only the difference between American English and British English was shown.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world Englishes should be introduced in books on English pronunciation published in Korea.

      • KCI등재

        초등영어 내용 언어 통합(CLIL) 교재 모형 개발 연구

        임희정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1

        Under the 2015 curriculum, which also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uture, interest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integrated with the curriculum is increasing. 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 (CLIL), a teaching approach that focuses on both content and language, not only internalizes learners' language knowledge but also learns subject-related skills so that practical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can be developed. Despite many studies on CLI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textbooks that are professionally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actual CLI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CLIL textbook model that considers CLIL teaching principles and strengthening learners' competencies, focusing on two factors: content learning and language learning.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teaching principles and textbook development principles of CLIL education suitable for the domestic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four types of CLIL textbooks were analyzed to find out what improvements were made in the textbook in terms of these princip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blems such as imbalance between content languages, insufficient scaffolding support, and lack of language output activities were found. By synthesizing the teaching, textbook development principles, and textbook improvement plans, six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CLIL textbook development and a textbook development model were finally proposed. The textbook model, which schematizes the teaching and learning flow of one unit of the CLIL textbook and scaffolding support elements involved in class activities, consists of four stages: language, content-oriented text understanding activities, content-based language output, and self-evaluation. In conclusion, CLIL textbooks should maintain a balance between content and language learning and play a role as a comprehensive learning support system. In addition, in-depth research on appropriate scaffolding support activities and elements of textbooks should be conducted for elementary English learners with low language level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and support on the CLIL teaching method will continue with a new teaching approach to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ailored to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 개발에도 초점을 두고 있는 2015 교육과정 하에 교과 내용과 통합한 초등영어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내용과 언어에 비중을 모두 두는 교수 접근법인 내용 언어 통합 학습(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 이하 CLIL)은 학습자들의 언어 지식을 내재화시킬 뿐 아니라 교과 관련 기술도 익힘으로써 실제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개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동안 CLIL 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CLIL 교육의 교육 원칙에 맞게 전문적으로 제작된 교재를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용 학습과 언 어 학습 두 요소에 비중을 두며 CLIL 수업 원칙, 학습자의 역량 강화를 고려한 CLIL 교재 모형 개발 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국내의 영어교육 환경에 맞는 CLIL 교 육의 교수 원칙과 교재 개발 원칙을 도출하였다. 또한 4종의 CLIL 교재를 분석하여 이러한 원칙 측면 에서 교재의 개선사항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내용 언어 간의 불균형, 부족한 비계 지원, 언어 출력 활동의 부재와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교수, 교재 개발 원칙, 교재 개선안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CLIL 교재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6가지 요소와 교재 개발 모형이 제안되었다. CLIL 교재 한 단원의 교수학습 흐름과 수업 활동에 관여하는 비계 지원 요소를 도식화한 교재 모형은 언어, 내용 사전학습 단계, 내용 중심 텍스트 이해 활동, 내용 이해 기반의 언어출력 단계와 사고력 신장 및 자기평가의 4단계로 구성된다. 결론적으로, CLIL 교재는 내용과 언어학습의 균형을 유지하며 종합적 인 학습 지원 체재로서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언어 수준이 낮은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위해 적절한 비계 지원 활동과 교재의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 지막으로 급변하는 교육 환경에 맞춘 새로운 초등영어교육의 새로운 교수 접근법으로 CLIL 교수법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