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교육기관 또는 영어몰입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근희(Hawng Keun Hee),최나야(Cho Na Y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신념 및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및 어린이집 총 12곳의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57쌍, 그리고 영어몰입교육을 받는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43쌍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어머니는 조기영어노출과 영어교수자료 활용을 더 많이 지지하고 영어의 긍정적 영향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어머니는 한국어와 영어의 균형 발달, 부모의 직접 지도, 비관습적 지도를 지향하였다. 둘째,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서는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요인에서만 집단 차이가 나타나,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유아들이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들보다 영어 학습에 대한 부모의 격려와 기대를 더 크게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은 기관 유형과 상관없이 유아의 영어 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 영어 학습 동기의 하위 요인인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외국에 대한 관심, 불안에 대해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 preschoolers’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Totally 300 five-year-olds were interviewed,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f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al institution supported more ‘early English exposure’ and ‘English teaching materials’ and recognized the positive effect of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general institutions tended to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parents’ teaching’, and ‘un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attitudes toward learning between two groups. Children of immersion group showed higher level only in the factor of ‘perceptions about care-giver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Third,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did not affect the children’s preferences of English activities, regardless of groups. Fourth,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fluenced ‘recognition of parent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interests about foreign countries’, and ‘anxiety for learning English’, which were sub-factors of children’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 KCI등재

        영어몰입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박성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service training model for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 basically for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The English Immersion Program was originally planned to increase the limited time allotment of teaching English and let the students allow to have more chances to learn English. Actually the Program has not been executed at school yet, but in near future it will surely be executed firstly at elementary school level and then at secondary school. Before developing the model, the study has sought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English Immersion Education.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the perspectives of 94 in-servic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nsified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under the guidance of the KNUE In-Service Training Center. To this end,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a 16-item questionnaire consisting of 6 subsections: perspectives for the English Immersion Program, dangling problems concerned with the program, managements for the program, capacities of the lectures, contents of the in-service training model, and the evaluation. The sample model for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is mad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frequency analysis and needs analysis. It is strongly suggested for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o make a full preparation for both human resources and financial phases. 본 연구는 영어몰입교육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영어몰입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영어몰입교육의 필요성과 몰입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국내·외에서 실시하고 있는 몰입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영어몰입교육 또는 내용중심 언어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 결과들은 몰입교육이 영어와 내용교과를 통합적으로 가르침으로써 유의미한 언어 환경을 제공하고, 논리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영어 학습이며 학습 내용을 영어로 가르칠 경우 학문 중심의 언어 능력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의사소통능력 월등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능하고 헌신적인 몰입교육 교사 양성을 위한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교수요목 구성을 위해 영어 심화연수를 받고 있는 94명의 초등 교사들에게 영어몰입교육 교사 연수에 기대하는 요구를 조사하였다. 우선 몰입교육을 실시한다고 할 때 교사의 언어능력이 충분한가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의 교사는 부정적이라고 답하였다. 그리고 몰입교육에서 교사의 언어능력이 교과목에 대한이해나 수업기술보다도 더 중요하다고 답하였다. 연수 모형은 현행 영어 심화연수 프로그램을 개선하여 영어몰입교육의 주체가 될 교사들의 영어사용능력 향상, 몰입수업의 지식과 기술 습득, 다양한 수업의 활동 및 수업기술의 발전 도모를 중점적으로 강화했다. 교사 영어능력 향상을 위한 단계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몰입수업을 위한 실제적이며 내실 있는 내용중심의 영어를 습득하고 사용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 KCI등재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영어교사를 중심으로

        김병만,양재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on this by confirming the recognit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o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totally 200 people such as 100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a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K university where is located in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100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ho a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specific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the operation and suitability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hown in the recognition of suitability for the beginning period of English education, class location, using English during a class, instructional form, contents, teaching method, teaching aids·material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n't indicated in the suitability for a type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nd in the recognition on a homeroom teacher's role that is proper for a class. Second, in consequence of examining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necessity and effectiveness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hown in the necessity and the recognition on a learning effect.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n't indicated in the recognition on a reason of being need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 a reason of being not needed, and on the offer of an impact. Third, as a result of figuring out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indicated in the recognition of major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offered basic data to securing desirable directionality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by discussing the desirable improvement pla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영어교사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에 소재한 K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00명,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영어교사 100명, 총 20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영어교육의 운영과 적합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영어교육 시작 시기, 수업장소, 수업 중 영어사용, 수업형태, 내용, 교수방법, 교구·교재의 적합도 인식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유아영어교사 유형의 적합도와 수업 중 적합한 담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영어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필요도, 학습 효과 인식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유아영어교육이 필요한 이유, 필요하지 않은 이유, 효과 제공에 대한 인식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영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영어교육의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안 인식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영어교육의 바람직한 개선방안과 발전방향을 논의하여, 유아영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 확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북한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황서연(Hwang, Seo-Yeon),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북한 영어교육 관련 연구들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함으로서, 주요 키워드와 키워드 간 관계를 분석하여 국내 북한 영어교육 연구들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3년부터 2019년 4월까지의 북 한 영어교육과 관련한 학술지, 학위논문 83편을 수집하여 출판 시기를 3기로 분류하고 키워드의 빈도, 키워드 중심성과 키워드 간 네트워크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영어교육 관련연구들의 가장 빈도가 높은 키워드는 language , textbook , South Korea 이었다. 전반적으로 교과서 분석 연구와 남한과의 비교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북한 영어교육 연구들을 크게 3가지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북한의 영어교육 상황 및 통일을 대비한 영어교육, 영어교과서 분석의 범주, 북한이탈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시기별 특징으로는 전체 기간 동안 큰 3가지 범주들이 꾸준히 연구되어 오고 있지만, 각 시기별로 두드러지는 범주가 있었다. 1기에는 북한 영어교육의 상황, 2기에는 영어교과서 분석 연구, 3기에는 영어 교과서 분석 및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렇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북한 영어교육의 연구들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연구 대상과 방법의 키워 드가 중심성이 높아지며 구체화 되고 다양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keywords extracted from English abstracts of selected paper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researches on North Korea. To that end, 83 academic journal papers and dissertations on the topic of North Korea s English education are collected from 1993 to April 2019, and the publication dates a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periods: 1990s, 2000s and 2010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p keywords in their frequency of North Korean English education researches are ‘North Korea’, ‘language’, ‘textbook’ and ‘South Korea’. It is found that number of researches on textbook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the South are most frequent. Second, according to the network analysis, North Korean English education stud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English educational situations in North Korea, English textbook analysis, and researches on North Korean refugees. These three categories have been consistently studi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However, a distinction of major research topics can be made for each of three periods: in the 1990s, the situation of North Korea s English education; in the 2000s analyzing English textbooks; and in the 2010s the analysis of English textbooks and the study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time progresses, the number of studies on North Korean English education is distinctively increasing, and the keywords of topics and methods gradually become more central, concrete and diverse.

      • KCI등재

        체육계열 학과 대학생의 특수목적영어에 대한 요구 탐색

        이송은(Lee Song Eun),조욱상(Cho Ook 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계열 학과 대학생들의 특수목적영어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한 종합대학의 체육계열 학과 재학생 6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으며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 전원이 수강한 스포츠교육학 영어강의를 한 학기 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영어권 국가에서 취학 또는 어학연수 경험이 있거나 재학 중인 대학의 전공 영어강의와 사설 영어학원에 지속적으로 수강하며 영어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학부생들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영어강의 참 여태도 관찰과 그들과의 특수목적영어 교육에 관한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장기간 영어권 국가 체류 경험과 지속적인 영어 학습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영어능력향상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한 실효성 있는 영어교육과 학습에 대한 다양하고 명확한 요구를 지니고 있었다. 이들의 특수목적영어 교육에 대한 요구는 영어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 중 특정 영역에 대한 유창함을 추구하는 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컨대, 본 연구에 참여한 체육계열 학과 대학생들은 이들을 위한 특수목적영어 교육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지만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 측면에서 기존의 영어교육과 차별화되지 않으면 교육의 실효성을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 뚜렷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와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특수목적영어 교육에 대한 체육계열 전공대학생들의 요구는 실효성을 기대할 수 있는 영어교육, 즉 자신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영어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이 선택된 영어교육에 대한 바램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형식적인 영어교육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영어교육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related major student s perceptions of English for Specific Purpose(ESP). 6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ed a sport pedagogy course(English lecture) which an author of the study proceeded during 16 week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each participant had 3 interviews with authors of the study. During the interview questions about participants English ability, perceptions on necessity of learning English, and need of ESP were provided. According to the results, participants had a negative perspectives on practicality of their own English ability. But they have set up high level of English learning focusing on fluent command of English. Regarding necessity of ESP participants commonly agreed the need of ESP for their English and their needs of ESP highlight how to improve practicality of education by considering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영어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성민창 ( Sung Min-chang ),강정진 ( Kang Jung-jin ),김기택 ( Kim Kitaek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영어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신설된 강좌의 운영 방식과 교육 효과를 탐구한다. 영어 수업 전문성을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영어교육 관련 지식·기술·태도의 종합적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교육활동을 4학년 학생 283명에게 제공하였다. 사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 효과를 확인 하였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영어 교육의 주요 이론과 내용들을 종합함으로써 1-3학년에 학습했던 기존의 지식을 강화화고 연계하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수업 분석, 지도안 작성, 단계별 수업 시연, 교실 영어 및 기초 영어 구사력 훈련 등을 통해 영어 수업 계획 및 시행 기술을 계발하였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정의적 태도에서도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인 바, 교실 영어의 특수성을 인식하고 영어 사용에 자신감을 가지기 시작했다. 또한 영어교육 지식과 기술 영역에서 높은 향상을 보인 학생들은 그렇지 못한 학생들보다 영어 수업에 대한 의지와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입각하여, 초등 예비교사의 영어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및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ism. Designed on the consensus that this professionalism embraces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the course provided 283 seniors at a college of education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tasks where the pre-service teachers enhanced their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a comprehensive fashion. The post-instruction questionnaire identified improvements in each of the target area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consolidated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of English teaching by restructuring the knowledge that they were taught at previous English-related courses. Second, they improved skills for planning and administrating English classes as they performed various customized tasks such as critical class observation, composition of lesson plans, step-wise teaching demonstration, and practice of classroom English. Finally, they experienced notable affective changes: they became more confident about teaching English in English as they acquired knowledge-based skills and recognized the register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English. These findings lead us to suggest ideas for future research and pedagogy about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ism.

      • 유아영어교육에서 컨텐츠 기반과 문법번역식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윤혜원(Yoon, Hye-Won) 한국한부모가정학회 2012 한국한부모가정학 Vol.5 No.1

        본 연구는 국제화, 세계화, 개방화 시대라는 특징을 보이는 현대사회에서 유아들이 이 시대에 보다 잘 적응해 나가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인 언어를 잘 익힐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국제공용어인 영어에 되도록 일찍 노출시킴으로써 영어를 익히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도록 하고, 유아영어교육의 교수방법 중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컨텐츠기반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과 문법번역식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유아영어 교수법을 제안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영어교육에 있어서 대표적인 교수방법으로 볼 수 있는 컨텐츠기반 프로그램과 문법번역식 프로그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즉, 유아를 위한 영어교육의 의의, 컨텐츠기반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수업원리 및 문법번역식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수업원리에 대하여 언어의 중요성, 영어능력의 역할, 조기 외국어교육의 특성, 영어교육기관의 특성 등을 상세하게 살펴봄으로써 유아영어교육의 대표적인 교수법이라고 볼 수 있는 컨텐츠기반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과 문법번역식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화, 세계화, 개방화 시대라는 현대사회의 아이콘에 걸맞는 언어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국제어인 영어에 어린 시기부터 노출되는 것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영어교육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교수법 중에서 컨텐츠기반 및 문법번역식 프로그램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적합하고 효과적인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liberalization era characterized by modern society seems to infants at this age can learn the language the way for one of the better adapted Exit to be the international language of English to help learn English by early exposure to suggested that the basis of how a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ypically utilized content-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and the grammar translation english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looking for a more efficient infants go, and bolstering the ability to utilize teaching English aims to provide material to To this end,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grammar translation program that you can see the typical teaching methods and content-based program specifically examined. In other words, the significance of English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grammar translation equation principle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of classes and content-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of classes on the principles and the importance of language, the role of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foreign language education, English language training institutions by examining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r transla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viewed as content-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s an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In this study, noted the need to equip icon worthy of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and the liberalization era of modern society, language skills, what is exposed from an early age in English, Interlingua, Follow-up study of pedagogy, content-based, and grammar-translation program being used in English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to look for the appropriate and effective tha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should expect to be continued.

      • KCI등재

        개화기부터 일제 강점기(1883~1945)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변화: 영어교육 시수와 교수법을 중심으로

        윤수진 한국교육사학회 2022 한국교육사학 Vol.44 No.3

        본 연구는 최초로 근대식 영어교육이 시행된 1883년부터 1945년 일제 강점기까지 영어교육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당시 교육이 진행되었던 기관의 영어교육 시수와 교수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영어교육 시기를 개화기(1883~1897), 대한제국 시기(1897~1910), 일제 강점기(1910~1945)로 나누었고 각 시기별 영어교육의 성공과 실패의 요인을 알아보았는데 개화기 가장 큰 영어교육의 성공 요인으로 목표어를 교수 언어로 사용한 직접교수법과 장시간 몰입하여 영어를 배울 수 있었던 영어 노출 시간을 들 수 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영어 수요자가 늘어나면서 당시 영어에 능통했던 한국인 교사들이 한국어를 혼용하여 수업하게 되는 시간이 늘어났고 을사늑약 후 한성외국어학교에서 영어 시수가 줄어드는 변화가 있었지만 많은 미션스쿨이 설립되면서 영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늘어났다. 일제 강점기는 1911년 제1차 조선교육령이 시행되었던 시기와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시기를 제외하면 대체로 꾸준히 공립고등보통학교에서 영어교육이 실시되었으며 1920년대 다양한 서양 문화가 유입되면서 미국에 대한 동경과 출세에 대한 욕망으로 정규교육 외에도 기독교계 사립학교, 야학회, YMCA, 통신교육을 통해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열기가 컸으며 할리우드 영화, 스포츠 활동, 출판물을 통해 영어는 사회 속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었다. 문법․번역식 교수법이 일제 강점기 시기에 시행되기 시작되었고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나 이제는 이런 지식 중심의 영어교육에서 벗어나 단기간에 영어실력자들은 배출할 수 있었던 교육 요소를 살펴보고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교육을 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특수목적영어(ESP)의 이해와 적용

        심수진(Soo Jin Shim),김민정(Min Ju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1 No.-

        이 글의 목적은 대학교 수준에서의 특수목적영어(ESP) 교육의 가치에 대해 논하고 신학교 대학영어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통찰력 있는 제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는 일반적 목적을 위한 영어(EGP)와 ESP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대적·교육적 요구에 부합하는 ESP의 이점을 소개한다. ESP의 기본 전제는 교수요목과 교수·학습자료가 학습자의 현재 영어 수준에서의 필요와 앞으로 목표 상황에 맞추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 대학에서의 ESP 교과목 실행 현황과 신학교의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신학교에서 ESP 교육 실행이 뒤처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교육과정 운영상 시간의 제약이 있는 가운데 수업의 실용성 및 효과성과 학습자의 만족도를 고려할 때 일반 영어 수업에 추가하여 혹은 대안적 모델로서 ESP강좌의 도입은 대학영어교육의 긍정적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와 교수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ESP 강좌 개발을 위해서 다차원적 요구분석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법과 교수 · 학습자료 역시 학습자의 전공과 직업에 따라 요구되는 영어 기능 및 장르 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신학교의 ESP 전문실천가(practitioner)는 기존의 일반 영어교육 패러다임을 넘어서 신학교의 교육 이념에 발맞춰 통섭과 융 · 복합의 태도와 믿음을 수반한 사명 의식을 갖고 연구자로서, 개발자로서, 교수자로서 등의 여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열린마음으로 학생들과 수시로 소통하며 전공 교수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ESP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관련한 사항들을 수정하고 개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끝으로 성공적인 ESP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행을 위해서는 신학교인 만큼 자신의 일을 헌신적으로 할 수 있는 영적으로 건강한 교수자, 학습자 요구 맞춤형, 학습자 친화형 교수·학습자료/교재, 전공별 교수들과 학교관계자의 적극적인 지지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alue of ESP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approaches to English education at university level and provide insightful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lege English in Seminary. The paper introduc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SP including the potential benefits that can be given to the students to meet their needs of times and education. The premise of ESP is that the syllabus and course materials are developed based on prior analysis of the students’ present needs and specific purposes of their target situations. The current state of ESP implementation in Korea’s universities has been discussed considerably in comparison with ESP courses in Seminary. The need for ESP courses in Seminary is urgent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time allotted to college English curriculum, practicality, effectiveness, and the student satisfaction of the courses in an EFL setting. To cope with various demands of English skills from students and professors, ESP course should be developed from multidimensional needs analysis. Content should also be tailored to students’ needs depending on their professional fields and majors. ESP instructors/practitioners in Seminary should be spiritually healthy and devoted to students so that he/she can interact with students and other professors for constant feedback. In sum, in order to make successful ESP courses, there need to be ESP pioneers who can take on multiple roles with devotion to his/her work, materials developed according to students’ needs, and active support from other professors and school authorities.

      • KCI등재후보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교육대학원 중등 예비영어교사의 인식

        차지영 ( Ji Young Cha ),이충현 ( Chung Hyun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0 외국어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대학원의 중등 예비영어교사들의 멀티미디어 활용 실 태,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수업의 이유 및 문제 점, 그리고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수업을 위해 필요한 지식 및 능력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의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 관련 교과목에서 필요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소재 H 및 Y 교육대학원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분석 방법은 전체 경향을 조사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재학생의 학기별 에 따른 연관성을 조사를 위해 교차분석과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영어교사들의 54.3%가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 관련 과목을 수강 하지 않았다. 그러나 예비영어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그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였다.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 학습 활동, 최신 정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지식과 경험 그리고 교사교육의 부재가 중등영어 교육 현장에서 성공적인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시행에 걸림돌이 되는 것 같다. 따라서 효율적 인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수업을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과 관련된 심도 있 고 실제적인 내용과 워크숍 위주의 저작도구 활용, 웹 콘텐츠 활용 및 평가, 다양한 교 수·학습 방법론 과 전략 등이 포함된 강좌를 개설하여 예비교사들에게 제공해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1) the patterns, contexts and perspectiv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use of multimedia; 2) the causes of problems in the use of multimedia in English classrooms; 3) their competence and knowledge required for ELT (English language teaching) using multimedia; and 4) based on the findings, to suggest some solu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in ELT. A survey research method was adop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subjects consisted of 127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54.3% of respondents have not taken MALL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courses. However, they had positive perspectives in using multimedia and considered it valuable. Lack of knowledge, experience, and proper training of MALL seem to be the major factors in preventing the successful use of multimedia at secondary schools. It is suggested th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ovides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ith appropriate MALL courses including authoring tools, content evaluation, teaching methodologies and strategies of applying multimedia content to the classroom context, and hands-o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