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성인가? 아니면 상담심리치료인가? - 영성지향적 상담심리치료로서의 기독교(목회)상담 -

        안석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현대의 상담심리학과 정신의학은 많은 정신건강전문가를 길러냈다. 하지만 오랜 시간 인류에게 치유의 지혜를 제공하고 인간의 삶에 중요한 영역인 영성적인 부분에 대한 관심은 무시되었다. 그 결과, 상담심리치료 영역에서도 기술적인 부분이 강조되면서, 인간의 고통과 아픔에 대해 연구하는 상담심리치료 영역마저 비인간화 되었다는 문제의식을 갖게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오늘날 반동적으로 영성적 차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왜냐하면 상담심리치료의 임상적 장면에서 내담자는 자신의 영성적 가치가 존중받기를 원하고 있으며, 상담자 역시 내담자의 영성적 측면을 포함하여 보다 통합적으로 접근할 때 효과적인 상담심리치료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담심리치료에 영적 측면을 결합한다는 것의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그 후에 영성지향적 상담심리치료로서의 기독교(목회)상담을 연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성지향적 기독교(목회)상담심리치료의 치료 방법과 전략이 내담자의 발달적 관점에 어떤 통찰을 줄 수 있는지와 실천신학으로서의 영성지향적 기독교(목회)상담심리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왜냐하면 영성과 상담을 통한 영성지향적 기독교(목회)상담심리치료는 영적인 여정에 있는 이들을 마땅히 도와야 하는 기독교(목회)상담가들의 가장 중요하고 잘 해야 하는 실천신학적 사역임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Modern counseling psychology and psychiatry have fostered a good number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owever, the spiritual aspect of human being that has provided wisdom of healing has been neglected. As a result, counseling psychotherapy has focused on techniques and skills, which leads counseling psychotherapy that studies human being's suffering, pain and distress to be dehumanized. But interestingly, this critical examination of current counseling psychotherapy has been raising interest in the spiritual aspect of counseling psychotherapy. Since a counselee/client wants one's spiritual value to be respected, it is more effective for a counselor to have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includes the spiritual aspect of human being.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meaning of integrating the spiritual aspect into counseling psychotherapy. Also, I will study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as spirituality-oriented counseling psychotherapy. Then, how the method and strategy of spirituality-oriented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can provide insight into developmental viewpoints will be examined. Lastly, spirituality-oriented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as practical theology will be discussed, since it is the duty of christian (pastoral) counselors to help those who are in their spiritual journeys, and spirituality-oriented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that takes integrated approach that thoughtfully and skillfully combines spirituality and counseling can help those counselors.

      • 왜 영성(靈性)의 시대인가?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7 No.1

        오늘날을 ‘영성의 시대’라고 부른다. 영성이란 영적 존재인 인간이 “영을 따라 사는 삶”이며, 인간의 가장 본연의 종교적 태도이다. 그리스도교 영성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느님 말씀의 육화의 신비를 삶 속에서 살아가는 영적 태도를 말한다. 그러나 오늘날 영성의 시대를 갈망하는 현대인에게는 다양한 형태의 도전이 존재한다. 소유와 탐욕의 약탈 자본주의, 능률과 성과 중심의 피로사회의 압박감, 시장이 된 종교와 종교의 세속화 현상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문명의 위기는 곧바로 영성의 위기이자 기회이다. 21세기 그리스도인에게 요청되는 영성은 이러한 문명의 위기에 대처하는 그리스도인의 고유한 영성의 전통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리의 성령께서 일깨워주고 지탱해주시는 신앙 감각(sensus fidei)을 재발견하고 회복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존재하고 있음에 감사하고 관계 속에서 자아의 정체성을 찾는 영성, 가치관의 혼란 속에서 올바른 정신의 지향점을 식별하고 자아중심에서 벗어나 하느님께 자신을 내어주는 비움의 영성, 그리고 이웃 사랑의 실천을 통하여 하느님 사랑을 회복하고 고통 받는 이웃과의 연대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실천하는 영성이 필요하다. 영성의 시대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거룩함에 초대되고 있음을 깨닫는 일에서 시작된다. 성덕에로의 초대는 영성생활의 출발점이며, 속된 세상 속에서 하느님의 거룩함을 일상 안에서 발견하는 21세기 그리스도인의 과제이기도 하다. Today is called by “The Spirituality era”. Spirituality means that human as a spiritual being is “following by the Spirit”, which is human’s inborn religious attitude. Christian spirituality means the spiritual attitude that is living in God’s Word, which leads life to the incarnated mystery in real life through Jesus Christ. But these days, modern men who are longing for the spiritual era face to various kinds of challenges. Those are (1) Democracy of possession, greed and plunder, (2) Tired-society pressure centered on efficiency and outcome, and (3) Religions as a market and secularization. These 3 crises of civilization are the chance as well as crisis of spirituality. The spirituality demanding on the 21th Christians is to recover the inherent tradition of spirituality coping with such a crisis of civilization. To do this, to rediscover and recover the Sensus Fidei, which is awakened and sustained by Spirit of Truth. For this, it is needed that the spirituality which thanks for Being, the spirituality which finds identity within relationship, the kenosis spirituality which discerns the right spiritual direction point among value chaos while getting out of ego-centric, the practicing spirituality that recovers God’s love through loving neighbors and practice Christ’s Gospel through solidarity with suffering neighbors. The Spirituality era begins with realization that all Christians were invited to holiness. This invitation to flourishing virtue is the starting point of spiritual life. Also this is the assignment to the 21st Christians who discover God’s holiness in everyday life within the secular world.

      • KCI등재

        영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영성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정신건강에서의 영성 -

        조삼복(Cho, Sam-Bok) 한국교정복지학회 2018 교정복지연구 Vol.0 No.55

        이 연구의 목적은 영성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영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성 프로그램은 12개의 회기로 구성되었고, 한 회당 120분이었다. 이 연구의 참가자들은 36명의 대학생들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그들은 무작위로 12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영성은 대학생의 영적 척도에 의해 평가된 세 가지 요소의 총 점수로 정의되었다. 세 가지 요소는영성인지, 영성정서, 영성행동이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 분석을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Windows SPSS 18.0이었고 가설 검증의 유의 수준은 0.05로 설정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이나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둘째, 실험집단은 영성인지, 영성정서, 영성행동으로 구성된 3개 하위 요소에서 통제집단 및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을 위한 영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영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학생들에게 영성수준을 잘 유지하고 높여 주는 훈련은 대학생의 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 of spirituality program on the spirit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is study, the spiritualit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made up of 12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 Also, the spirituality program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of K university in Daegu. participants for the study consisted of 36 students. They were then randomly split into 3 groups of 12 students. In the program evaluation, the Spiritualit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Cho & Kim, 2012)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test the effects of the spirituality program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sign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variance analysis was used. The program used for data analysis was SPSS 18.0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reatment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treatmen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3 sub-factors which consist of spirituality cognition, spirituality emotion, spirituality behavior.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 spirituality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spirit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raining to maintain and raise the level of spirituality for university students could be an important strategy to prevent them from delinquent

      • KCI등재후보

        성숙한 신앙에 대한 탐색: 영성, 종교성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박민아 ( Min-a Park ),정영숙 ( Young-sook Chong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6 동서정신과학 Vol.19 No.1

        본 연구는 영성과 종교성이 심리적 기능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 개념인지를 확인하고, 건강하고 성숙한 신앙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의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신학에서 뿐만 아니라 심리학 영역에서도 전통적으로 영성과 종교성을 구분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과학 문헌에서도 영성과 종교성은 동의어로 주로 사용되었다(김근향, 2013). 영성과 종교성 모두 인간 삶에 초월적인 차원이 존재한다는 신념을 담고 있는 유사한 개념이지만 최근에 이르러 영성과 종교성을 구분한 연구가 상당수 진행되고 있다(Hill et al., 2000). 본 연구에서는 두 개념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영성, 종교성의 요인분석 결과를 비교하였고, 다양한 심리적 지표(자기존중감, 주관적 안녕감, 죄책감, 수치심, 우울,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요인분석 결과, 하나의 요인을 제외하고, 영성과 종교성이 각각 분리되어 묶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영성과 종교성이 각각 분리된 개념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상관분석 결과, 영성과 종교성 모두 적응적인 심리적 지표와 정적 상관관계였으나, 영성의 상관정도가 더 컸다. 영성과 종교성의 두 개념 간의 정적상관관계이기 때문에 영성이 종교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통제하고, 종교성이 영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통제하고 부분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성은 상관분석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종교성의 경우는 부적응 지표(죄책감,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360 undergraduate students. They completed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The Religiosity Scale, The Self-Esteem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Intensity and Time Affect Survey(ITAS),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 Feelings Questionnare 2,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BAI: Beck Anxiety Inventory, Perceived Stress Scale(PSS). To examine the factors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executed. The main results are ; (1)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was composed 28 items, 4 factors(purpose of life, transcendent, internal resources, connetedness). (2) The religiosity scale was composed was 12 items, 2 factors(public and private pray). (3)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factors are separate and independent concept. Also, to examine the relation of spirituality, religiosity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executed. After spirituality was statistically controlled, religiosity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guilt, depression, anxiety and perceived-stress).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영성체험의 효과와 영성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성령세미나를 중심으로

        이창진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aimed to test statistically the Christians’ experience spiritualityexperience has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y and spirituality of human, and reveal the essence of the phenomena of spiritualityexperience through the Holy Spirit-experience. The Charismatic Renewal-Seminar as spirituality-experience program was used for this study and two studies were done through the sequential study of mixed methodology.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effects of spiritualityexperience on the spirituality, subjective well-being, self-esteem, and internalized-sha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essence of spirituality-experience was the enlightenment ‘I am a valuable being loved by God.’ On the final stage, this study made ‘Spirituality-Experience Explanation Model’ through the synthesis of findings pre-studied. Lastly the significance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the experiential data suggesting to counsellors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and the positive effects of spirituality-experience on the psychology and spirituality of cli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영성체험이 인간의 영성과 심리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경험적 사실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인간의 영성과 심리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영성체험 현상의 구조와 본질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성체험 프로그램으로는 가톨릭의 성령세미나를 선택하였고 통합연구 모형의 순차적 설계에 따라 두 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인 첫 번째 연구에서 영성체험이 영성, 주관적 안녕감, 자아 존중감, 내면화된 수치심의 수준에 미치는 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현상학적 연구인 두 번째 연구에서는 영성체험을 관통하는 핵심적 본질이 ‘자신이 하느님의 사랑을 받고 있는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에 대한 깨달음’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 연구의 최종 단계에서는 두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영성체험 설명모델’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이 연구는 상담자들에게 인간의 보편적 특성으로서의 영성을 중요하게 여겨야 하며 내담자의 영성과 심리의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영성체험의 효과를 제시하는 경험적 자료이다.

      • KCI등재후보

        영성교육과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 비교고찰

        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6 인격교육 Vol.10 No.2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의 하나의 해결방안으로서 전인교육, 인성교육, 도덕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들이 내포하고 있지 못한 점의 보완으로서, 영성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독교 영성교육과 평암 이계학(1937-2005)의 인격교육을 비교고찰하였다. 우선 개념의 혼란이 심각한 영성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한 저자는 영성의 개념에 대한 이해에 따라 영성교육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영성교육을 A, B, C 세 유형으로 분류한 저자는 A형 영성교육이 갖고 있는 특징 중 하나인 신비적 차원으로 도약하는 문턱을 평암선생의 질적인 도약을 가져오는 깨달음과 비교하였다. 저자는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이 공히 이러한 깨달음의 유도를 교육의 중요한 기능으로 보고 있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B형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은 공히 몸과 의식의 참여를 강조하는 바, 두 번째 장에서는 이러한 공통점을 다루었다. 영성교육이 단순한 훈련에서 벗어나 그 외연을 확대한 바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영성교육은 직접적인 체험과 참여를 매우 강조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평암선생의 인격교육은 교육이 단순한 교수학습의 장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을 닦는 기술이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기독교의 전례적인 영성을 평암교육사상에서는 가정 내 실천적 예에서 찾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C유형의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은 종교성을 탈피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서로 만난다. 그러나 타자와의 감응을 강조하는 C유형의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의 대화는 쉽지 않다. 왜냐하면 이러한 C유형 영성교육의 특징을 인격교육에서는 찾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면에 대한 연구는 차세대의 몫으로 보인다. To combat the diverse drawbacks that are present in contemporary society, there is great emphasis on the education of the human being as a whole, with character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as a solution. Furthermore, spiritual education emerged into the forefront of importanc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ype of education stated previously. The following thesis is a comparative study over the character (saramdaum) education of Dr. Keay-Hark Lee and the spiritual education as influenced by Christianity. Above all, the author has categorized spiritu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piritual concepts, due to his contemplation over the severe confusions over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The author, who has categorized spiritual education into three models, A, B, and C, compared model A’s characteristic, which is the threshold of the leap through mystical dimensions, with that of Dr. Lee’s “great awakening,” which on the other hand, brings a qualitative leap. He also emphasizes that both spiritual and character education have a major function in education by nominally inducing these “awakenings.” Both Model B of spiritu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emphasize the participation of the consciousness and the body, where the second chapter cover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entities. Although spiritual education has exaggerated the denotation far from basic practices, contemporary spiritual education highly emphasizes firsthand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Likewise, Dr. Lee’s character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breaks the borders of simple teaching and learning and emphasizes the techniques to train the body and mind. Moreover, the preceding divine nature of the liturgy from Christianity according to Dr. Lee’s philosophy can be found within the traditional ceremonies of households. Lastly, model C’s spiritu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onvene together when they attempt to depart from religion. However, because model C emphasizes the effect from others, communication between spiritual and character education is not simple. This type of feature from model C is not easily found in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research in this respect seems to be a role for succeeding generations.

      • KCI등재

        기독교교육을 위한 어린이영성론 연구

        유선희(Sun Hee Yoo)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2 선교와 신학 Vol.30 No.-

        본 연구는 어린이영성 연구의 초종교적 경향성을 비평적으로 고찰하고 기독교원리에 입각한 어린이영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해이와 나이의 어린이영성론을 고찰하되, 기독교교육은 일반영성교육과 달리 기독교영성에 기초한 교육이어야 함에 따라 이들의 어린이영성론을 기독교영성론의 관점으로 비평적으로 대화한 후, 이에 따른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해이와 나이의 어린이영성론은 관계성을 중요시하였지만 하나님↔인간의 인격적이고 쌍방적인 관계성을 표방하는 기독교영성과는 달리, 어린이→하나님(혹은 타인, 자연세계, 자아)이라는 일방적 관계성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어린이영성론은 영성이 어린이의 자연본성적 능력이라는 현상적 사실을 규명하였지만 영성의 원천이 하나님의 영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해이와 나이의 영성론은 초종교적이고 보편적인 논점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기독교적 어린이영성교육 원리를 정립하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이와 나이는 어린이영성의 존재성을 학문적으로 입증하고 인지-언어적 능력에 관계없이 출생 후 모든 어린이는 영성적 능력이 있으며, 때문에 영아기를 포함한 모든 어린이의 영성형성의 가능성과 영성교육의 필연성을 인식시켜 주었다. 또한 이들은 어린이영성의 핵심인‘관계적 의식’을 통해 어린이영성이 무엇인지,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 명료하게 규명해줌으로써 기독교적 어린이영성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중요한 자원을 제공해주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비평적 대화를 기초로 기독교 어린이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먼저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의 대전제는, 어린이의 생득적 영성을 교육적 통로로 삼지만 그것을 넘어서서 예수그리스도를 통해 계시된 삼위일체 하나님을 궁극적 지향점으로 삼는 것에 있다. 둘째, 어린이영성교육의 목적은 어린이의 생득적 영성형성과 더불어 기독교적 영성형성을 돕는 것으로서 출생 후부터의 모든 어린이가 그 대상이 된다. 셋째,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의 실천방향은 경이감과 경외감의 경험, 하나님 경험, 전인적 안식과 삶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즉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은 어린이가 하나님, 타자, 자연세계, 자아와의 관계성 속에서 가치감, 신비감, 자각감과 같은 진기한 의식경험을 하도록 지원하고 촉진해야 한다(경이감과 경외감의 경험).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은 생득적인 영적 능력을 통해 경험되는 궁극적 실재가 곧 삼위일체 하나님임을 발견토록 하고 그를 만나고 예배하고 대화하며 관계맺도록 이끄는 교육을 실행해야 한다(하나님경험).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은 어린이가 하나님과 만나고 대화하고 진리를 깨닫게 됨으로써 전존재적 평안을 누리며 자신과 세계를 향해 변형적 삶을 살아가도록 해야 한다(전인적 안식과 삶의 변형).

      • KCI등재

        한국기독교 안에서 삶에 관여하는 영성교육의 추구

        최봉도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2

        본 논문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현대인들이 추구해야 하는 영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특별히 한국기독교가 추구하는 영성과 영성교육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글을 전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이 제기된다. 과연 기독교의 영성은 무엇인가, 영성교육을 통한 성도의 영성형성이 가능한가,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전제로 할 때, 성도의 영성형성을 위한 영성교육의 특징과 역할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다. 본문에서는 이를 위해 먼저 성서적 어원과 성경인물을 통한 영성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한국기독교 안에서 현대 사회적 정황과 신학적 논의 속에서 추구하고 있는 현대적 의미의 영성개념에 관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중심으로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하고,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통해 전인적인 영성을 형성 할 수 있도록 영성의 특징과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특징과 역할을 알아봄으로써, 한국기독교가 당면한 현실적 문제 속에서 어떻게 영성교육을 통하여 영적 정체성과 주체성을 확립한 개인이 기독공동체의 상호관계와 사랑을 통하여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과 통합을 이룸으로써 영적 공동체를 형성하고 나아가 지역사회와 세계를 향해 나아갈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Spirituality and Spirituality education which is pursued by today's people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Christian Spirituality in Korea. Before dealing with this, there are some questions raising: What is Spirituality of Christianity?, Is it possible to build spirituality by education? On the assumption tha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spirituality education for building spirituality?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nswers to questions, the biblical origin and the concept of spirituality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s in the Bible are firstly explored. Secondly, it examines the concept of contemporary spirituality in Korean Christian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of modern society and theological discussion. Also, it considers the possibilities of spirituality education stressing on that concept. In order to build the spirituality for making the whole person through the good relationship with God, it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spirituality education. It suggests direction of how to solve the problem of Korean Christianity as a matter of fact. Finally, it proposes how to establish the identity to each individual person through the spirituality education, how to unite with christian community members to build the spiritual community in love and how to serve the local community and the world.

      • KCI등재

        주제: 세속화 시대와 기독교영성 : 기독교 영성의 길: 이원론적인 영혼의 정화에서 성령에의 전인적 순종으로

        이상원 ( Sang Won Le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09 성경과신학 Vol.49 No.-

        이 논문은 로마 가톨릭을 대표하는 영성 윤리학자인 바실, 개신교의 보수주의적인 개혁주의 진영을 대표하는 영성 윤리학자 쉐퍼, 개신교의 진보주의 진영을 대표하는 영성 윤리학자 본회퍼의 영성윤리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진정한 기독교적 영성 윤리의 길이 무엇인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진정한 영성적 윤리 곧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을 먼저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쉐퍼가 말한 바와 같이 성령을 통하여 나타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행하심에 대하여 인격적인 결단과 행함을 통하여 반응하는 삶이다. 이 정의를 축으로 하여 영성적 윤리의 내용에 대한 몇가지 쟁점들이 제기된다. 첫째로, 영성적 실천을 구원, 영생, 신적 생명을 얻기 위한 구원의 길로서 제시한 바실의 관점이나 고난에 참여하는 삶이 곧 기독자를 만든다고 생각한 본회퍼의 관점은 영성적 실천을 구원의 길로서가 아니라 이미 값없이 은혜로 구원받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이 세상에서 살아내야 할 규범의 길로서 제시하는 개혁주의적 관점과는 거리가 있다. 둘째로, 성령을 통하여 나타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행함에 대한 인간의 인격적 결단과 순종의 핵심은 본회퍼에 의하여 자기 십자가를 지고 그리스도를 따르라는 부름에 응답하는 결단과 순종이라는 점이 정당하게 강조되었다. 그런데 이 요구는 바실이 말하는 것처럼 신자들 가운데 어떤 특정한 계층에 대해서만 부과되어서는 안되고 모든 신자들에게 부과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의 부름은 신자들이 부름을 받은 세상 속에서의 삶의 자리에서의 생활상의 변화에까지(본회퍼), 그리고 사회와 문화의 영역에까지(쉐퍼) 구현되어야 한다. 셋째로, 바실, 본회퍼, 쉐퍼 모두 영성적 윤리의 길을 개인 홀로 세상으로부터 은둔하여 추구하는 개인의 일로 파악하지 않고 공동체 안에서 파악했다. 공동생활은 인간이 의존적인 존재임을 일깨워 주고 유혹을 이기는 장치로서 유익하며, 사랑의 실천현장을 마련해 준다(바실).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로서 교회의 일원이 되는 바, 교회는 세상을 섬겨야 하며(본회퍼) 신자들간의 사랑의 실천을 통하여 하나님의 인격성과 사랑을 세상을 향하여 증시해야 한다(쉐퍼). 넷째로, 자연적인 능력을 통하여 구원에 이르는 방법으로서의 자연적 영성의 길은 거부되어야 한다. 그러나 성령의 행함에의 순종은 신자의 삶을 성화된 삶으로 이끄는 특별한 사역을 행하시는 성령의 음성에 순종하는 것에만 제한되지 않고, 정치, 예술, 학문 등을 포함한 삶의 전 영역에 걸쳐서 행하시고 말씀하시는 성령의 일반적인 사역의 음성에 순종하는 것까지 포함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true way of Christian spiritual ethic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piritual ethical frames of Basil the Great representing the Roman Catholic spirituality, Francis Schaeffer representing the conservative and reformed protestant spirituality, and Dietrich Bonhoeffer representing the progressive protestant spirituality. The true spiritual ethics, i.e., the true Christian life can be summed up as the life responding by personal decision to the work of the Trinitarian God, chiefly done through the Holy Spirit. Several questions arise from the above three ethicists in relation with this definition. First, Basil`s frame suggesting spiritual practice as the way to get salvation, eternal life, divine life, and Bonhoeffer`s frame interpreting life participating in suffering as the way making us Christians, are far from the reformed position suggesting spiritual practice not as the way to salvation but the normative lifestyle of the people of God saved freely by the grace. Secondly, Bonhoeffer rightly emphasized that the core of the personal decision and obedience to the work of the Trinitarian God done through the Holy Spirit is the decision and obedience to the call to bear our own cross and follow Christ. However, this call must be applied not to a special class alone (in this sense Basil must be criticized) but to all believers. The calling of Christ must be followed even in the midst of worldly life(Bonhoeffer) and in the spheres of society and culture (Schaeffer). Thirdly, Basil, Bonhoeffer, and Schaeffer understood the way of spiritual ethic not as a private matter in a place of seclusion but life in a community. Communal life makes us aware that we are dependent beings, helps us to overcome various temptations, and provides the scene for showing love(Basil). Believers become the members of a church, i.e., the body of Christ. Church must serve the world(Bonhoeffer) and show the personality and love of God to the world through the practice of love(Schaeffer). Fourthly, the way of natural spirituality attempting to reach ultimate slavation must be rejected. However, obedience to the work of the Holy Spirit means not just obedience to the voice of the Holy Spirit doing the special work by which He leads believers to the sanctified life but also obedience to the voice of the Holy Spirit doing the general work in all spheres of life.

      • KCI등재

        ‘영성지능(실존지능)’를 통한 대학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 강남대학교 중심으로 -

        윤성민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면서 대학에서도 의무적으로 인성교육을 실행해야 한다. 인성교육은 학생의 잘못된 행동을 교정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다. 인성교육을 통해서 학생의 자존감과 책임감을 향상되고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서 사회적 태도가 개선되며 어떤 사항에서도 상식적인 사고로 대처할 수 있는 생각하는 힘과 열린 사고가 향상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하워드 가드너의 영성지능을 중심으로 기독교 관련 교양과목에서 인성교육을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은 이미 보편적인 지식이 되었다. 영성지능(실존지능)을 바탕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은 더불어 살 줄 아는 연대성이 있는 사람을 길러내기에 효과적인 교육이다. 그리고 학습자가 이 부분을 확실히 이해한다면 인성의 다른 면도 관심을 두고 수양하기 시작한다. 영성교육을 논할 때는 앎과 삶이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며, 인간의 내적 영성과 외적 영성을 이어주는 통전적 영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통전적 영성은 사회적 약자와 소외자에 대한 관심과 헌신이 있고, 또한 창조주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여 피조세계와의 화해를 강조한다. 그런데 문제는 대학교에서 종교를 강요할 수 없다는 점과 영성 개념이 명료하지 않기 때문에 영성교육과 인성교육의 관계도 모호한 점이다. 인성교육은 종교적 영성적 교육이면서 실천이 강조되어야 한다. 하워드 가드너가 말하는 영성지능의 특징은 존재 목적에 대한 물음이 강하고 남을 위한 봉사를 잘한다. 돈과 명예보다는 내면의 소리에 민감하고 가치를 추구한다. 학습자는 영성지능 교육을 통해서 자신 존재 이유를 고민하고, 자신의 내면의 소리를 들으면서, 타자와 더불어 행복해질 수 있는 삶을 살 수 있다. 영성지능의 이런 특징 때문에 기독교 관련 교양과목에서 이 교육을 진행한다면 인성교육의 중심을 잡을 수 있다. With the enforcemen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Improvement Act,’ Personality Eduction has become mandatory in university. Personality Education is not just the program designed for correcting a student’s wrong behavior. Through the Personality Educa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improve their self-respect and responsibility, concentrate on improving their social attitude through critical thinking, and strengthen their ability to think and be open-minded so that they can cope with any situations by common sense and reason. In this article, the author presents how effectively personality education ought to be taught in Christianity related liberal arts centering on Howard Gardener’s Spiritual Intelligence. Howard Garde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has already become universal knowledge. Spiritual Intelligence(Existential Intelligence) based educational program is effective for fostering people who have solidarity, that is to say, those who can live together in peace. If learners become fully aware of this point, they begin to cultivate their mind having interests in other aspects of personality as well. In discussing Spiritual Education, they say that Knowing and Living are not separated but connected and that Holistic Spirituality that connects human’s internal spirituality with external spirituality ought to be pursued. This Holistic Spirituality has interests in and commitment to the disadvantaged and outsiders and also emphasizes the recovery of the Order of Creation by the Creator God and the reconciliation with the created world. But the problem is that university have no authority to force religion upon students and that the relation between Spiritual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is ambiguous because the Spirituality concept is not clear. In Personality Education, practice is emphasized although it is a religious and spiritual education. Spiritual Intelligence is characterized by strong question of the purpose of existence and serving people, as noted by Howard Gardener. Spiritual Intelligence is sensitive to inner voice rather than wealth and fame and seeks higher value. Through Spiritual Intelligence, learners think about their reason for being and can live a happy life with others listening to their inner voice. It is expected that if this Spiritual Education is executed in Christianity related liberal arts and chapels due to such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 Intelligence, it can play a central role in Personal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