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텍스트연극성과 공연의 연극성 관계 연구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레히니츠(절멸의 천사)>를 중심으로-

        김정섭 ( Kim Jeong Sub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8

        본 논문은 연극텍스트의 텍스트연극성을 중심으로 텍스트가 공연의 연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연극공연을 위해 쓰여진 연극텍스트의 중요 특징은 등장인물 간의 대화체계 붕괴와 서사구조의 불분명함이다. 이러한 특징은 독특한 글쓰기 형식, 즉 탈기의화된 언어형식으로 인한 자기지시성을 가지는 텍스트연극성을 야기하고 있다는 점과 궁극에 포스트 드라마 연극의 비재현성을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연극텍스트의 형식과 텍스트연극성은 포스트드라마 연극 공연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스트드라마 연극텍스는 텍스트의 재현이 아니라 텍스트와 공연 간의 상호작용과 공동 작업에서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고찰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엘프리데 옐리네크(Elfreide Jelinek)의 연극텍스트 < 레히니츠(절멸의 천사) Rechnitz(der Würgeengel) >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현대 사회의 매체 기능과 그 역할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질문은 포스트드라마적으로 재기능화된 사자와 그들의 비재현적 보고형식으로 형상화된다. 결과적으로 비재현적인 연극텍스트의 텍스트연극성은 공연에서 재현될 수 없는 것을 역설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하는 현존성(감)을 강화한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텍스트연극성과 공연의 연극성 관계를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ow the text affects the theatricality of the play, focusing on the theatricality of the text of the play text.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atrical texts is the collapse of the dialogue system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ambiguity of the narrative structure. It was eventually found that these characteristics reinforce the unreproducibility of post-drama play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form of theatrical text and the theatricality of tex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making post-drama theatrical performances. Post-drama theater texts have meaning not in the reproduction of texts, but in the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exts and performan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more concretely, this paper analyzed Elfreide Jelinek's play text Rechnitz(der Würgeengel). This work raises essential questions regarding the function and role of media in modern society. These questions are embodied in the post-dramatically re-functionalized Envoy and their non-representative reporting forma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representative text theatricality reinforces the presence (feeling) that allows us to experience something that cannot be reproduced in the performance.

      • KCI등재

        과정연극 Process Theatre의 텍스트 연구

        이선형(Lee, Sunh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0 외국문학연구 Vol.- No.80

        즉흥으로 이루어져 방향을 예견할 수 없는 과정연극의 텍스트는 과정을 중시한다. 공연의 완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과정연극은 공연이 진행됨에 따라 텍스트가 점차 구체화되는 연극이다. 과정연극의 텍스트의 특징은 즉흥적이라는 점, 집단창작이라는 점, 관객이 텍스트 창작의 주체라는 점, 공연 과정에서 텍스트 창작은 언제든지 멈춤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토론연극과 재생연극, 과정드라마, 사이코드라마, 연극치료를 과정연극으로 간주할 수 있다. 토론연극은 사회적으로 억압받은 사람들 즉 집단적 억압에 초점을 맞추고, 재생연극은 개인의 억압에 관심을 둔다. 재생연극, 과정드라마 및 사이코드라마의 텍스트는 관객에 의해 창조된다. 다만 사이코드라마의 텍스트는 관객-주인공의 문제에서 이야기가 출발하고 심리치료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차별적이다. 사이코드라마에서는 즉석에서 언급된 참여자의 이야기가 곧 텍스트가 되므로 과정드라마와는 달리 원형적 텍스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연극치료 텍스트는 즉흥적으로 창작될 뿐 아니라 원형적 텍스트 및 고전 텍스트도 활용한다는 점에서 텍스트 선택의 폭이 넓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과정연극에서 텍스트의 위상과 개념이 관객의 성장 및 치유의 관점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text of the process theater, which is accidental and unpredictable, values the process. A process theater, not aimed at the completion of a performance, is a theater in which text becomes more concrete as the performance prog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text in the process theater are that it is improvised, that it is collective creation, that the audience is the subject of text creation, and that text creation can be stopped at any time during the performance process. Forum theater, playback theater, process dramas, psychodrama, and drama therapy are included in the process the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the status and concept changes of text in process theater are functioning in terms of audience growth and healing.

      • KCI등재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에 의한 연극텍스트 분석 - 연기 및 연출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

        이기호 한국연기예술학회 2018 연기예술연구 Vol.12 No.2

        연출가와 배우에 의해 한편의 연극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연극텍스트의 분석 및 해석은 작품의 완 성을 위한 첫걸음으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연출가가 텍스트를 어떻게 분석하는가는 연극의 공연양식 을 결정짓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면서 또한 배우들의 역할창조나 연극 제작에 참여하는 스텝들의 디자 인에 개념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되기 때문에 연출가의 작업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연극텍스트는 인간 욕망의 구조와 욕망에 의한 갈등 양상을 기반으로 전개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인간의 욕망은 의식과 무의식이 행동으로 표출되는 양상을 띠고 있음에 착안하여 연극텍스트 분석방법으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을 활용하여 분석도구를 만들 수가 있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정신에너지와 지역모형으로서 의식, 전의식, 무의식을 구분해냈으며, 그리고 성격의 구조 모형으로 이드, 자아, 초자아 를 제시하였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은 연극텍스트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핵심 요소들 을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연극텍스트 분석 도구가 되기에 충분하다 하겠다. 따라서 프로이드 의 정신분석이론에 의한 연극텍스트 분석의 효과로서 연출가 및 배우들의 연극제작과정에 직접적인 도 움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도구로 연극텍스트의 구조와 인물들의 행동양상을 보다 명확하게 분석해 내고자 한다.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play text is not only the first step but also a very important process in making a play to be completed on the stage by actors and a director. How the director analyzes the text is the most basic element that determines the performance style of the theater, and it also serves as a decisive factor in presenting the concept and direction to the design of the roles of the actors and the actors involved in theater productions. The theatrical text is developed based on the structure of human desire and the conflict based on the desire, and human desire has the aspect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expressed by action. You can create analytical tools using theory. Freud distinguished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s a mental energy and local model of a human, and proposed the id, ego, and superego as structural theories of personality. These Freudian psychoanalytic theories provide very important key elements in analyzing theater texts. Freud's theory of psychoanalysis is sufficient to become a theater text analysis tool when the theater text is created by the conflict and the action by the desire of the human being.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 methodology that can directly help the producers and actors in the theatrical production process of the theatrical text analysis by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and can more clearly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theatrical texts and the behavior patterns of the characters.

      • KCI등재

        전복과 해체, 재구성 -윤한솔의 연출미학

        이경미 ( Kyung Mi Lee ) 한국연극학회 2016 한국연극학 Vol.1 No.58

        희곡의 서사를 재현하는 기존 관습과 거리를 두고 연극 고유의 매체성을 토대로 수행적인 표현을 강조하는 연극이 최근 한국연극 안에서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작업을 일관되게 수행하는 대표적 연출가 중 한 사람인 윤한솔의 연출미학을 살펴보고, 한국연극 안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이 연극성이 갖는 의미와 미래적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윤한솔의 연출미학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그 스스로가 말하는 ``흩뜨리기`` 내지 ``욱여넣기`` 연출법이다. 그는 원전이 되는 텍스트의 원본성을 신뢰하지 않는다. 특정 인물이건, 특정 정치사회적 사건이건, 아니면 희곡을 포함한 구체적인 문학작품이건, 그 안에는 특정 작가의 언어, 담론의 언어에 가려 보이지 않는 수많은 다른 목소리, 다른 시각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그의 연출은 특정 언어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들 다른 목소리와 시선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그의 입장은 사실 들뢰즈나 바르트, 레만 등 연극 및 다른 학문을 막론하고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어 온 것이기도 하다. 윤한솔의 대표적 공연들은 그가 일관되게 수행하는 이러한 식의 연출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텍스트 안에서 결함과 한계를 발견하고, 그것을 통해 자칫 보지도 듣지도 못할 수 있었던 텍스트 안의 다른 많은 목소리들의 존재를 드러내는 연출가다. 그런 점에서 그는 또다른 의미에서 텍스트를 섬기는 연출가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가 차용하는 방식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는 자신이 발견한 텍스트의 결함을 무대 위에 현시하는 과정에서 그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수많은 자료들을 수집, 조사하고 이것을 원텍스트와 함께 무대 위에 그대로 함께 제시한다. 그 결과 그의 연극은 시작과 끝을 갖춘 미학적으로 통일된 유기적 단위체가 아니라 다양한 사례들이 병렬 교차하는 일종의 발제공간이 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배우를 비롯한 연극의 매체들은 의미를 재현하고 전달하는 도구가 아니라, 그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질문자 내지 생산자가 된다. 그의 연극은 하나의 감각적이고 수행적 공간이 된다. 텍스트가 되었건, 연극적 표현방법이 되었건 우리에게 익숙한 감각의 틀을 해체하고 전복하는 윤한솔의 연출미학은 이 지점에서 정치성, 정치적인 것과 만난다. 특정 정치적 이슈를 재현하고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안에 존재한 다른 목소리와 존재들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그의 연극은 그 자체로 하나의 토론장이 된다. 마지막으로 2014년 공연되었던 < 이야기의 方式 노래의 方式 - 데모버전 >(2014)에 대한 이론적 분석은, 앞서 논의한 그의 반텍스트적 연출이 이 공연에서 어떻게 소리의 물질성과 만나 극장을 수행적이고 정치적 공간으로 확장시키고 있는가의 구체적 예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련의 논의를 통해 작게는 현재 한국연극에서 윤한솔의 연출미학이 갖는 차별성을, 넓게는 향후 한국연극을 동시대적 지평 속에서 새롭게 조망하고 그 미래적 가능성을 모색하는데에 생산적 단초가 되기를 희망한다. Theater that emphasize performativity are growing among the recent Korean Theater. Yun Han-Sol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who perform consistently such works.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his theatrical aesthetic in the academic dimension and to explore the meaning and potential possibilities that such theater practices can bring to South Korea plays. One of the most prominent features in Yoon Han-Sol`s productions is the ``dispersal`` or "anti-textual" approching. He does not trust the originality of original texts. Whether they are about persons, social problems, or literature including drama works, he thinks that there are different perspectives, other hidden voices behind the language of certain writers or discourse. Therefore he tries not to reproduce the particular pre-existed language, but to expose those other voices and gazes. At this point, his performances also encounter ``the political`` because they reveal different other voices rather than reproduce certain political issues. Actually this opinion has been also raised by many scholars like Deleuze, Barthes and Lehmann, etc. Performances of Yoon Han-Sol show us how he realizes his so-called ``anti textual`` productions consistently. He is the director who does not idealize advantages of texts but discover defects in them. Ironically, these defects are always the start points of his productions. We need to notice the way he borrows for them. He also exposures lots of material collections associated with flaws that he discovers in text. These documents are actually gathered together with his actors. As a result, his plays are not aesthetically unified organic monomer with a starting and a ending. They are a kind of presentation space where various cases are intersected in parell. All theatrical media, including actors, are also not tools to represent meanings any more. Lastly, theoretical analysis of the < The way of storytelling the way of singing - Demoversion > that has been performed in 2014, gives us an appropriate example of the directing aesthetics of Yoon Han-Sol.

      • KCI등재

        언어연극의 한계 극복을 위한 방안 연구- 신체연극 <시련>을 중심으로 -

        김현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9

        Because the forms of modern theater have been diversified with new challenge and changes, theater’s core is being based on performing approaches using theatrical expressions, rather than literary approaches. Traditional Korean theaters have all of the conditions that modern theater seeks. First of all, actor’s rol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by using objet that takes an active part of the actor, and open stage is usually used to emphasize sort of dramatic communications between audiences and actors during the performances. However, Korean theaters make it consider that a body is inferior to its spirit, because of the influence of dualism based on the western rationalism. Therefore, realistic plays based on languages or plays have been developed as the mainstream of Korean theater, but the theaters mainly based on physical approache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inferior art without the chances of development. After the 1990’s, there had been some works and discussions of Korean deconstructive theater influenced by postmodernism, and so the importance of physical theaters and non-verbal theaters had just warmed up. However, now, in the Korean theater field, realistic plays have been existed as an immovable mainstream without any fundamental s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solution for overcoming the limits of language play, Korean play’s chronic problem only based on the play of realism. In this way, I will analyze the process of making the play, Arthur Miller’s Crucible, mainly based on language, being created as a physical play. The process that any literature text is becoming a performing text, can suggest the new way to attempt a theatrical form, by extension, can raise creative actors and artists carrying out various performances, and the can finally pave the way of a challenge in the world markets, putting emphasis on theatrical universality. 현대 연극은 새로운 시도와 변화들로 점점 그 형식이 다양해지고 있어 연극의 핵심이 문학적인 것에서 말 이외의 모든 연극적 표현방식을 활용한 공연적인 것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 전통극은 현대극이 추구하는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배우의 역할이 가장 우선시되었으며 이미 오브제의 활용을 통해 배우의 역할을 능동적으로 전환시켰고 열린 무대를 활용하여 관객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하여 관객과 배우가 소통하여 함께 만들어가는 극을 지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의 연극은 서구의 이성 중심주의에 입각한 이원론의 영향을 받아 몸을 정신에 비해 열등한 존재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언어 또는 희곡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사실주의 연극이 제도권 내 주류로 인정받아 큰 발전을 이루어 온 반면, 몸을 기반으로 하는 연극은 저급한 예술로 치부되어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의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 9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한국의 연극계에도 해체연극에 대한 논의들과 작업들이 행해지기 시작하면서 신체의 중요성과 비언어연극들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근본적인 해결방안은 찾지 못한 채 다시 사실주의 연극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실주의 연극에 기반을 두고 있는 한국연극의 문제점인 언어연극의 한계성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그 방법으로 언어 중심의 텍스트인 아서 밀러의 작품 <시련>을 신체연극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문학텍스트를 공연텍스트화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공연을 시도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형태의 공연을 제작하고 실행할 수 있는 창조적 연기자, 창조적 예술가로서의 기반을 마련하여 보편연극으로 세계시장을 향해 도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적 재현과 젠더 이미지

        강현아(Kang Hyun-Ah)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3

        이 글은 5ㆍ18항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문화예술적으로 어떻게 재현(representation)되고 있는가, 그리고 젠더 이미지가 ‘5월 연극’ 텍스트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 글은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연극 텍스트들 가운데 여성/남성 등장인물과 이들의 텍스트 내의 위치에 대해, 그리고 여성/남성 등장인물의 젠더 이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글의 문제의식과 연구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월 연극’ 텍스트에서 여성의 성(gender)적인 역할이 얼마나 억압된 상황에서 만들어지는가? 둘째, 여성의 이미지는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가? 셋째, 텍스트 내에서 왜 특정한 여성 이미지가 창출되었는가? 넷째, 그 이미지가 상징하거나 기호화하는 의미는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5월 연극’ 텍스트들은 여성의 삶과 경험을 왜곡하고 있다. 여성은 5ㆍ18항쟁의 주변적 존재이고 남성의 보조적 역할만 맡는 것으로 재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남성의 권위에 짓눌려 자기의사표현을 하지 못하고 남성의 결정에 따라가는 수동적 인물들로만 등장한다. 이렇게 여성을 주변적 존재로 재현하는 것은 5ㆍ18항쟁의 ‘진실’과도 분명 모순되는 것이다. 따라서 ‘5월 연극’ 텍스트에 등장하는 여성의 삶과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즉, 연극 텍스트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은 타자화되고 주변화된 존재가 아니라, 남성과 의식을 공유하는 주체적 존재로 재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the historical event Gwangju Uprising represents in the cultural arts, and how the gender images represent in the theatre texts of Gwangju Uprising.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female and male characters and their positions and gender images in the text from the viewpoints of feminism. Further concretely, the critical mind and purview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much suppression was given in constructing the gender roles of the women in the texts of Gwangju Uprising theatre? Second, how the images of the women were shown? Third, why a specific woman image was created in the texts? Fourth, what the image stood for or its symbolization meant? In conclusion, the texts of Gwangju Uprising theatre distorted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the women. The women are only revived as the minor roles of the Gwangju uprising and the assistant roles of the men. Moreover, the women are passive as just following the decision of the men without expressing their own thoughts due to the authority of the men. Like this, the representation of the women as the minor characters is obviously contradictory to the truth of the Gwangju Upri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ewly recognize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the women appearing in the texts of Gwangju Uprising theatre. That is, the woman characters in the theatre texts should be represented as the subjective existence sharing the awareness with the men, instead of being shown as the minor characters in the objective positions.

      • KCI등재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희곡 <겨울 나그네>에 나타난 상호텍스 트성, 상호매체성 그리고 그 관계

        김정섭 ( Kim Jeong-sub )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5

        본 논문은 엘프리데 옐리네크 희곡 <겨울 나그네>의 텍스트 생성과 무대화과정에서 드러나는 상호텍스트성, 상호매체성 그리고 그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주요 논제로 삼았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옐리네크 글쓰기의 대표적인 특징인 신화해체가 언어유희와 몽타쥬 기법을 구사하는 상호텍스트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기존’ 드라마적이지 않는 옐리네크 연극생산의 특성은 포스트드라마 연극 개념의 새로운 성찰과 수정을 도모할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도 논의하였다. 옐리네크의 <겨울 나그네>에서 드러나는 상호텍스트성은 복수의 선행텍스트들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꼽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은 단지 무엇을 해체하여 새로운 무엇을 드러내는 것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드러나는 것의 층위들을 밀도 있게 하고 다양화 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목소리들을 텍스트 상에서 공존하게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겨울 나그네>를 관통하는 상호매체성은 옐리네크 희곡의 특성과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옐리네크가 지향하는 연극미학을 담고 있는 희곡텍스트가 비재현적인 연극 공연 양상을 본질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텍스트 층위에서 상호텍스트적으로 생성된 텍스트 표면들의 대화성이 다성적이면서 모놀로그-코러스적인 옐리네크 배우들의 화술양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도 고찰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은 희곡의 주제와 정서가 공연의 시청각적 이미지로 드러나고 있는 공연 사례 분석을 통해 옐리네크의 <겨울 나그네>가 텍스트 생성에서 공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상호텍스트성과 상호매체성이 ‘상호’작용하며 뫼비우스 띠처럼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as Hauptthema der vorliegenden Arbeit zielt darauf, dass die Intertextualit at, die Intermedialit at und deren Beziehung bei der Textentstehung und der Inszenierung des Theaterstucks < Winterreise > von Elfriede Jelinek beleuchtet werden. Die Intertextualit at als eines der wichtigen/wichtigsten Merkmale fur Jelineks Schreibverfahren besteht bekanntlich aus Mythendekonstruktion, Sprachspiel und Montage. Der nicht mehr dramatische Theatertext Jelineks, der in engem Zusammenhang mit dieser Intertextualit at steht, gibt Anlass zur Reflexion und Revision des Begriffs fur die bestehende Postdramatik. Die Intertextualit at in < Winterreise > zeigt die Intertextualit at zwischen mehreren Pr atexten, die nicht nur auf die Mythendekonstruktion zielen, sondern auch Textschichte verdichten und vervielf altigen, damit verschiedene Stimmen koexistieren können. Die Intermedialit at von < Winterreise > basiert auf dem Merkmal des nicht mehr dramatischen Theatertextes Jelineks und dessen Intertextualit at. Jelineks Theaterkonzept, welches sich aus ihrem Theatertext herauslesen l asst, bestimmt die antimimetische und antipsychologische Inszenierungsform. Zudem beeinflusst die Dialogizit at, die beim intertextuellen Schreibverfahren Jelineks auf der Textebene entsteht, das sprachliche Verfahren in der Auffuhrung, welches haupts achlich als monologisch-chorisch zu bezeichnen ist. Schließlich bestatigt man die nichtlineare audiovisuelle Wiederholung von Motiven und Gefuhlen aus dem Text auf der Buhne, indem die Intertextualit at und die Intermedialit at von der Textentstehung bis zur Theaterinszenierung zusammenspielen.

      • KCI등재

        춤연극 《미롱》의 연출적 접근 방법 고찰

        홍란주,신영섭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4

        This study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directing approach of dancetheater 《Mirong》 and the body language and theatricality of the dancethe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ng approach of the dancetheater 《Mirong》 and the body languag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genr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atricality through the dancetheater. First, we examined the directing attempts and approaches of the dancetheater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in which a scenario is co-worked into a performance text. The scenario became the basis for eliciting the actors' movements based on the minimum framework and the directing concept. The performance text was constructed by visualizing the impulse of the actor who considered the movements of traditional dance and the movement that applied modern dance. The body, which reveals the meaning of existence, was highlighted as it was borrowed as a heterogeneous element from traditional dance and modern dance. Performing in body language and revealing theatricality through dance presented the construction process from the dancetheatrical elements and body movements the work into the performance text. The playful body was revealed through Salpans and arts. Like Jung-Jae, the playful image was built through intense training.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play can be an actor's body training methodology and accept the tradition and apply it to the reality of modern theater. The walking and arm movements of the court dance, which was used as a method of physical training in the practice of building body movements, and examined the diversity of the body's language revealed in the performance through the dancetheater 《Mirong》. The point where modern dance was used to create an improvised image attempted to modernize traditional elements by externalizing the internal impulse of the actor or by combining it with modern dance elements to create a third gesture language. Although gestures are based on the archetypes of dance and play, actors can reveal bodies's self directed language when their performance is looked closely. This study the process of combining and building traditional dance, modern dance, and the inner impulse of the actors in the form of movement, and analyzed the directing approach from the standpoint of making a play and predicted the possibility of the dancetheater. 본 연구는 춤연극 《미롱》의 연출적 접근 방법과 춤연극의 신체언어와 연극성을 고찰할 목적으로 저술되었 다. 먼저 《미롱》의 시나리오가 공동작업을 통해 공연 텍스트화 되는 창작과정을 통해 춤연극의 연출적 시도와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시나리오는 최소한의 줄거리와 연출 컨셉을 토대로 배우들의 움직임을 이끌어낼 수 있 는 근거가 되었다. 공연 텍스트는 전통 춤의 동작들을 염두한 배우의 충동과 현대무용을 응용한 움직임을 가시 화하여 구축하였다. 현존의 의미를 드러내는 대상이자 몸은 전통 춤과 현대 무용의 서로 이질적 요소로 차용되 면서 몸을 부각하였다. 몸의 언어로 수행하는 것, 춤을 통해 연극성을 드러내는 것은 이 작품이 지니고 있는 춤연극적 요소와 신체 움직임의 구축이 공연 텍스트로의 완성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놀이적인 몸은 살판과 기예를 통해 드러났는데 정재와 마찬가지로 강도 높은 훈련을 통해 유희적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한국의 전통 춤과 놀음은 배우 신체훈련 방법론이 될 수 있고 전통을 수용하여 현대연극의 실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접근 하였다. 몸의 움직임을 구축하는 연습에서 신체훈련의 방법으로 사용했던 궁중 무용의 보법과 사위를 들여다 보고 춤연극 《미롱》을 통해 몸의 언어가 공연에 드러난 다양성을 고찰하였다. 즉흥적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현대무용을 사용한 지점은 배우의 내적충동을 외형화하거나 현대무용적 요소와 결합하여 몸짓언어를 만들어냄 으로써 전통적 요소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몸짓도 춤과 놀음의 원형에 기반을 두지만 배우들이 드 러낼 수 있는 신체의 자기 지시적인 언어를 찾는데 중점을 두면서 공연을 완성한 측면을 살펴보았다. 전통 춤 과 현대무용, 배우의 내적 충동이 움직임 양식으로 조합되고 구축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연극을 만드는 입장에 서의 춤연극을 연출적 접근으로 분석하며 춤연극의 가능성을 전망하였다.

      • KCI등재후보

        로베르 르빠주의「안데르센 프로젝트」에 나타난 메타연극적 연출 특성 연구

        강재림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11 모드니 예술 Vol.5 No.-

        현대예술의 중요한 경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예술을 예술 그 자체로서 드러내는, 예술적 장치를 의도적으로 노출하는 것이다. 그런데 20세기에 들어선 이후부터는 연극이 ‘스스로 를 의식하는’ 메타연극적 형식이 두드러지기 시작한다. 이것은 연극이 연극임을 인정하는 것을 넘어서서 작가가 직접 작품 속에 끼어들어 작품에 대한 ‘자의식적’ 진술을 늘어놓는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메타연극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은 20세기 이후의 일이지만, 실제로 연극의 메타 성이라고 하는 것은 ‘제시적 연극형태’와 맞물려 발전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1) 하지만 이렇게 광범위한 의미에서 메타연극성을 규정하면 20세기 이후의 포스트 모더니즘 계열 연극의 두드러 진 현상과 맞물려 설명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므로, 제시적 연극의 형태와 분리시키는 명확 한 개념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자의식성을 가지면서도, ‘극자체가 스스로를 의식하는’ ‘드라마를 위한 드라마’라는 형식의 차원에서 개념정의를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극의 텍스트로서 시노그라피

        임일진 한국연극교육학회 2022 연극교육연구 Vol.40 No.-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384-BC322)는 그의 저서인 시학(Poetica) 문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은 원래 일련의 강의를 위해 정리한 강의노트로 쓰여졌다. 본론의 대부분이 비극에 집중되어 있고 희극, 서사시 그리고 기타 문학 형식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비극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는 타의 추종을 불허 할 만큼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Edwin Wilson & Alvin Goldfarb, 『History of the Theatre』 김동욱 옮김, 『세계연극사』 (서울: HS MEDIA, 2010), 50쪽.) 에서 비극의 요소로 구성, 인물, 사상, 말, 음악, 장관을 들고 있다. 이는 희곡을 기반으로 전통적 연극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오랜 세월이 지난 현재까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 우리는 연극을 연출, 연기, 무대, 의상, 조명 등의 다양한 예술이 어우러진 하나의 종합예술로 알고 있으며 복잡하고 다양한 예술적 요소만큼이나 연극의 실체에 대한 접근은 매우 피상적이거나 구체적이지 못하다. 희곡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 연극 공간에서 시노그라피(Scenography)는 1970년대 이후 이미지 연극(Image Theater) 브레이트 이후의 새로운 연극의 실재는 희곡, 사건진행 그리고 모방이라는 삼각체제의 해체로부터 시작한다. 그 결과 이미지연극, 춤연극, 공간연극, 구체연극, 스펙터클연극, 미디어연극 등이 서양무대에서 각기 독자적으로 혹은 혼합된 형태로 등장하였다.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푸른사상 엮음,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서울: 푸른사상, 2011), 21쪽) 과 포스트드라마(Postdrama) ‘포스트드라마’라고 표기한 연극의 형태들이 연극적 관련 출판분야나 대중언론의 문화란에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부터이다. 원래 리처드 셰크너가 해프닝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도입한 ‘포스트드라마적(post-dramatic) 이라는 용어는, 이것과 서로 범주를 구분하기 어려운 “퍼포먼스”라는 예술형식까지도 수렴하여 오늘날까지 다층적인 미학의 특징을 총괄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앞의 책 23쪽) 의 개념을 바탕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한참을 거슬러 올라가 19세기 말 고든 크레이그(Edward Gordon Craig 1872-1966) 크레이그는 연극이 독립예술이라고 생각했고 진정한 독립예술가는 행동, 대사, 선, 색,리듬을 화가, 조각가의 그것처럼 순수하게 용접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스카 G 브로켓, 프랭클린 J 힐디 지음, 전준택, 홍창수 옮김, 『연극의 역사II』 (서울: 연극과 인간, 2005), 147쪽) 와 아돌프 아피아(Adolphe Appia 1862-1928) 상징주의적 무대화의 문제는 아돌프 아피아의 이론에서 아주 상세히 다뤄졌는데 그의 연구는 비록 영향력 있는 전집 제작이 너무 늦게 되는 바람에 세상에 인정받지는 못했다 할지라도 정확하게 동일한 뿌리들로부터 발생했으며 20세기 연극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하게 되었다. (마빈 칼슨 지음, 김익두 외 옮김, 『연극의 이론』 (서울: 한국문화사, 2004), 368쪽) 가 기존의 제작 방식을 거부했던 상징주의(Symbolisme) 19세기 말의 프랑스 예술 중에서도 특히 문학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예술운동. 낭만파 시인들을 지배한 사실주의에 대한 하나의 반동으로서 대두하였다. 상징주의의 본래 목적은 사실주의에 대해 정신주의 및 이상주의를 부흥시키려는데 있었다. (미술도서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