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역사교육에서 ‘역사의식’연구의 추이와 전망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연구 Vol.- No.16

        Until now, in the circle of history education in Korea, studies on historical consciousness have been done in two main different contexts; in the view of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in learning ability of history and the ultimat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The greater part of studies, have been rest on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based on ‘piaget-Japanese model’. But the products of those studies for securing the empirical basis of 'sequence' in history education, has been too poor requital for their efforts. Meanwhile, There are serious lack of criticism and vigour in debate about historical consciousness as ultimat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In this approach, historical consciousness has been defined as a kind of conscious of one's existence characterized of critical thinking, reform-oriented attitude and so on. The underlying problem of little progress in this subject is that historical consciousness has been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value neutrality', representing nation-centric tendency of history teaching in korea after liberation in 1945. Recently, historical consciousness began to receive attention from academia with its educational, and social value. Judging from what is going on in our academia, we presuppose that democracy, peace, antiwar, environmental protection will be linked actively by historical consciousness as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This is very inspiring sign for history education. In 2010~2011, Institute of History Education made a large research plan of study about student and teacher's historical consciousness. Then, combination with Association of History Teacher, the Institute practiced investigation on a national scale. It focused on the formation proces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social-educational environments operating in the process. The result of research, huge information about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was gained. And the project hold very strongly that history education must contribute to the growth of democracy. So, the investigation has the potential to be differentiated from advanced research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pplementation in a follow-up study. 지금까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의식’ 개념을 크게 두 가지 맥락에서 사용해왔다. 그 중 하나인 ‘역사의식발달단계’에 입각한 연구들은 ‘학습자의 관심 수준과 정서적 특징, 지적 사회적 발달 정도에 맞는 역사학습’을 과제로 삼았다. 동시에 역사의식은 역사교육의 목적 또는 목표 차원에서도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이 때 역사의식의 내용은 역사적 존재의식과 비판적 문제의식이었다. 그런가하면 양자를 종합하여 역사의식을 역사적 존재의식으로 보고, 역사의식 함양에는 ‘역사의식발달’이라 부르는 사고의 성장 과정이 필요하다는 방식으로 종합하기도 했다. 그런데, ‘역사의식발달단계’에 따른 경험적 조사 연구를 제외하면 우리 역사교육계의 역사의식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못하였다. 역사교육 연구에서 ‘목적론’ 논의 자체가 매우 부족했다는 점, 학생 개인의 삶, 사회 발전의 전망 형성에 역사교육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인지에 관한 토론이 부족했던 점, 역사교육의 이론적 연구가 은연중에 가치중립적인 연구 경향을 띠어 왔던 상황 등이 이유로 작용했을 것이다. 최근 학교 현장과 학계에서 일고 있는 역사의식에 대한 새로운 관심, 변화의 흐름들은 ‘오늘날’의 역사교육이 개인의 삶과 사회적 전망 및 그와 관련된 가치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질 것을 요청하며, 민주주의나 평화, 반전, 환경, 인권, 민족, 상호 공존 등 미래적인 가치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과거, 현재, 미래 인식을 다룰 것을 제안한다. 이는 ‘역사의식이란 무엇인가’에서 ‘어떤 역사의식인가’로 질문의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2010년 전국역사교사모임과 역사교육연구소에서 실시한 대규모의 역사의식조사는 기존의 ‘역사의식조사’ 연구와는 차별화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주체의 관점에서 역사의식을 재개념화 하였으며, 역사의식 자체의 역사성에 주목하여 역사의식의 형성 과정 및 요인, 과거-현재-미래 인식을 종합한 접근, 학생 인식의 차이점을 기초한 학교급별 역사교육의 구성 등을 조사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로써 향후 역사교육 목적으로서 역사의식 문제에 접근할 때 생각해 보아야 할 여러 논점들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역사의식이 유아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

        권이정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1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 of par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on that of their children. To this end, 129 children aged 4 and 5 and 129 pairs of parents were selected from Cities G and J.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study participants, Lee Bong-ja(2008) and Ramdhani, Naim, and Sumardi’s(2019) historical consciousness test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children, and Ramdhani et al.’s(2019) and Jang Eun-kyung’s(2004) historical consciousness tests were modified for par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momentum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standar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 The results indicated both parents and children had a moderate level of historical awareness, but among the lower variables, the mother's perception of historical usefulness and the child'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events were slightly higher, and the child's perception of historical usefulness was slightly lower. Parents' and children’s historical conscious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father's historic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mother's historical facts among par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were major variables explaining children's historical consciousness.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method that can enhance the impact of par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on that of their children. 본 연구는 부모의 역사의식이 유아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G시와 J시의 만 4, 5세 유아 129명과 그 유아들의 부모 129쌍을 선정하였다. 유아들의 역사의식을 조사하기 위해서 이봉자(1998)의 유아역사의식 검사지와 Ramdhani, Naim, 그리고 Sumardi(2019)의 역사의식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만든 유아역사의식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모들의 역사의식은 Ramdhani 등(2019)과 장은경(2004)의 역사의식 검사지를 수정하여 만든 성인역사의식 검사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표준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와 유아는 모두 보통수준의 역사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하위변인 중 어머니의 역사적 유용성에 대한 인식과 유아의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이해는 약간 높은 수준으로 유아의 역사적 유용성에 대한 인식은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역사의식과 유아의 역사의식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의 역사의식 중 아버지의 역사적 지식과 어머니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는 유아의 역사의식을 설명하는 주요한 변인이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부모의 역사의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墨家의 역사의식 : 儒家 비판을 중심으로 Centered on the Criticizing Confucianism

        윤무학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6 No.-

        이 글은 묵가의 역사의식을 유가 비판에 초점을 맞추되 전기 묵가에서 후기 묵가에 이르는 과정까지 포괄하였다. 기존의 묵가연구는 대체로 전기 묵가서에 집중되어 있으나 묵가는 공자 이후로부터 전국기 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양태로 활동되었다는 점에서 보면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본다. 전기 묵자서를 일관하는 삼표(법)에 보이는 선왕관이나 역사의식은 결코 유가·도가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그들의 이른바 선왕은 '겸상애, 교상리'의 이념을 체현한 이상형이므로 단지 상고주의에 머물 수 없었다. 다시 말해, 묵가의 선왕관은 夏禹의 치수 사업과 근검 정신을 숭상하는 데 있었기에 선진 제가의 일반적인 '法古'와는 구별된다. 예컨대 '信而好古'하여 서주 초기를 이상으로 하였던 공자나, 원시사회로의 복귀를 희구하는 老·莊과 다르며, 또한 '以今反古'의 법가와도 구별된다고 본다. 묵변에 이르러 묵가의 역사의식은 보다 구체화 되고, 또한 순환사관의 대표적 예에 해당되는 오행상극설을 비판하기 이른다. 이렇게 묵변에서 묵자의 역사의식의 토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고금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한 것은 상대적으로 발전적 역사관을 표명한 것이라고 평할 만하다. 따라서 맹자가 묵자를 '선왕의 도'에 어긋난 것으로 비판하고, 『장자』에서 그의 학문관을 '先王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도 아니고 또한 완전히 다른 것도 아니라'고 평가한 것은 시사하는 바 크다. 그러나 묵가는 그러한 역사의식을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이론이나, 商?이나 한비자에서 보이는 것처럼 變法의 이론적 근거로서의 진보적 역사관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묵가의 특이한 공동체적인 특성, 다시 말하면 자기 집단 내부의 철저하고 엄격한 '法'을 지니고 있었으면서도 결국에는 '守禦集團'의 기능상 기존의 국가체제에 종속될 수밖에 없었던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그들이 유가의 禮樂을 거부하고 집단규범으로서 제시한 '법'은 '上帝'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었다. 따라서 당시 일반 민중들에게는 규범의 정당성 확보에서는 유리하였지만, 변혁기의 이념 근거로서는 오히려 역기능적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른바 법가의 진보적 역사관 또한 그들의 독창적 산물로 귀결을 수 없다. 당시 묵가적 선왕관이나 제가의 역사의식이 그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필자는 묵가의 삼표(법)에 보이는 법의식과 묵변에서 堯·舞을 古·今의 구분에 의해 비판하였던 역사의식은 한비자의 모순설파 일정한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This essays focalized on the criticism of the Mohists about the Confucianism from the former Mohists to the later Mohists.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Mohists are centered on the texts of the former Mohists. But those studies are limited in the point of view that the Mohists' sphere of the action was ranged from after-Confucius to the first half period of the ancient chinese civil war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texts of the former Mohists was not corresponded with the Confucianism, Taoism nor Legalism, and that was embodied in Mohists' Canons. And they criticised on the Five Elements conflicting theory, the typical view of historical circulating. That should be appraised as an expression of the advanced historical view, because they accepted the concept of changing history in the base of Mohists' Canons, the historical view of Mozi. But the Mohists had no more practical theory, nor the complete historical evolution, as a theoretical base of the alteration Law. That was mostly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ir singularity community, because they were subjected in the system of nation, as a safeguard community, in spite of they had a strict rule in their own community. And their Law or Rule, as a reaction of Confucian Liyue(禮樂) and a norm of society, had an appeal to the ordinary people of that time, but was difficult to be a theoretical base of changing period, because that was the manifestation of God. The Legalist's advanced historical view should not be asserted as a unique product of Legalism, because their thought was influenced by the view of preceding King in the Mohists or the other School's historical view. As a result, Mohists view of Law and historical view should be related with the theory of contradiction of Hanfei.

      • KCI등재

        역사의식의 함양을 위한 협동학습 적용

        경태윤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6

        Students will have the vague feeling or thinking about history through the mass media. These thoughts and feelings may be included such as exaggerated or error, distortion and bias. Therefore wrong information to know the students should be modified properly. It shall form the student unique historical view through such experience. This experience will be provided by the school. But history lessons now are often not able to provide such a learning experience. I looked at existing research on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is paper. Based on this, I discuss the level of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possible in the actual class. In psychology, it has reported that enhance or modify the individual's consciousness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thoughts and feedback. Wak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can actively cultivate stud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can be in history lessons. Cooperative learning is activ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compared to other teaching methods.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cooperative learning as a way to cultivate historical consciousness among teaching. Thus I proceeded to Korean history lessons during one semester to apply the Kagan Cooperative Learning targets high school freshman. After the semester ended, cooperative learn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our students to look at the impact on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result, the active interaction occurred in history lesson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he students was increas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history lessons. In addition, student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reconstructed. 학생들은 매스미디어 등을 통해 역사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생각이나 느낌에는 과장이나 오류, 왜곡과 편견 등이 개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 역사교육에서는 학 생들 스스로 이러한 왜곡이나 편견 등을 바로잡고 자신의 역사적 관점을 형성할 수 있는 학습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중등학교의 역사수업은 그러한 학습경험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역사의식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여, 실제 학교수업에서 함양할 수 있는 역사의식의 수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개개인의 의식은 자신 의 생각을 표현하고 타인의 상호작용하면서 강화되거나 수정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중고등학교 역사수업에서도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면 학생들의 역사의식이 함양될 수 있다. 협동학습에서는 학생들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역사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협동학습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필자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케이건의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한 학기 동안 한국사 수업을 진행했다. 학기 종료 후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역사의식 함양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4명의 학생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했다. 그 결과 협동학습을 통해 역사수업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이 발생했고, 그에 따라 역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가 증가했으며, 학생들의 역사의식도 재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 KCI등재

        한국 한시 속에 담긴 역사의식과 문명의식

        변종현 ( Byun Jong-hyun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2 No.-

        한국 한시에는 시인 자신의 정감을 표현한 작품이 많지만, 때로는 역사적 현실 속에서 자신의 역사의식이나 문명의식을 시로 표출하기도 하였다. 특히 우리 역사에서 고려 후기와 조선 후기는 국제정세의 소용돌이 속에서 지배계층에 속했던 인물들의 주체적인 결단이 필요하던 시기였다. 고려후기는 원·명교체기로 역사와 문명에 대한 갈등이 치열했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이제현은 고문운동(古文運動)을 통하여 사대부문학이 나아갈길을 제시하였고, 영사시(詠史詩)를 통하여 역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사의식이 담긴 시를 통해 우리가 본 받아야할 인물들과 반성해야 할 인물들을 잘 제시해 주었다. 이곡은 원의 수도인 대도(大都)에서 유학하며 아들인 이색에게도 대도에서 벼슬해야함을 권면하였다. 이색은원에서 유학을 한 뒤 원나라에서 벼슬을 하였지만 고려로 귀국한 뒤 친원(親元)과 친명(親明) 사이의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나라로 사행을 가며 쓴 시로 보이는 <즉사(卽事)>에 나타난 의식으로 보아 목은은 명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더 호감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겠다. 목은은 이후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이 되어 김구용·정몽주·이숭인 등을 학관으로 채용하여 유교문화를 심화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고려 후기에 형성된 이러한 학문적 분위기는 사대부들의 가치관으로 자리잡게 되어서, 이후 사대부계층들은 역사전환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영조와 정조를 거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고, 특히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은 조선을 장악하기 위해 일어났던 전쟁이었다. 조선 후기에는 이러한 역사 흐름 속에서 조선 문인들은 한시를 통하여 농민들의 참혹한 실상을 고발하기도 하고, 외세의 침탈에 강력하게 저항하기도 하였다. 정조 때 유득공은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43수를 지어 민족의 주체성을 살리려고 노력하였다. 이 시에서 유득공은 우리 역사의 지나간 모습, 즉 민족적 삶의 총체적 양상을 각국의 왕도(王都)를 통하여 제시함으로써 우리 것을 새롭게 인식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전봉준은 <절명시>에서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외세를 배격하고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였지만 이루지못한 한을 잘 나타내었다. 구한말 황현은 서양세력이 조선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에 위기감을 가지고 있었다. 1884년에 지은 <이충무공귀선가>에서는 서양세력의 침탈을 호랑이가 양 마을에 드는 형세라 하였고, 음독하기 전에 쓴 <절명시>에서는 국치일에 죽음으로 선비정신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고려 후기에 진화와 정몽주의 시에서 문명에 대한 주체의식이 뚜렷함을 보여주었고, 조선 후기에는 역관 신분이었던 이언진의 시와 박수의 사상에서 문명에 대한 새로운 자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진화는 금나라에 사신으로 가면서 문명의 주체가 고려임을 나타내었고, 정몽주는 한시를 통하여 중화적(中華的) 세계 질서 속에 있는 고려 민족의 자부심을 드러내었다. 즉, 고려 후기에 국제관계가 중국 명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 질서를 인정하고, 그 질서 속에서 문화적 동질성을 확보하고 살아가는 자부심을 시로 표현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역관이었던 이언진의 시에서 자신의 신분과 사상에 대한 깊은 성찰이 나타나있다. 이언진의 시집에는 시인 자신이 겪은 고통과 분노의 언어로 채워져 있으면서, 유교 국가 너머 다양한 사상이 인정되고, 신분과 혈통이 아니라 능력으로 인정받는 세계를 꿈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한말 박수는 존화양이(尊華攘夷)의 진정한 의미를 논하면서 “주 나라가 이룬 제도와 문화를 갖추어 예를 지키고 인륜을 유지하여야 중화”라 하였다. 이러한 선인들의 시와 사상을 통해 볼 수 있는 역사의식과 문명의식은 오늘날 우리에게 새로운 문화 콘텐츠로 자리를 잡아, 앞으로 보다 바람직한 역사를 이룩해 나가고 새로운 문명을 창출해 가는 원동력이 되리라 여겨진다. What is the driving force which induces the cultural power of Korea which all over the world people get interested in. The force of the source can be found out from the cultural heritages which our ancestors have left to us. This paper focuses on humanistic imagination involved in Korean Chinese Poetry, based on historical and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In most of Korean Chinese Poetry, poets expressed their own emotions but sometimes they presented their historical or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Historically, some poets among writers in the late Koryeo and in the late Chosun Dynasty showed distinctly such a consciousness. This consciousness can be examined in Yi Jehyeon' Youngsasi(詠史詩), which was written in the late Koryeo, in Yu Deukgong's < Yishipildohoegosi(二十一都懷古詩) > and Jeon Bongjun's and Whang Hyeon's < Jeolmyoungsi(絶命詩) >, which were writt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late Koryeo, Yi Jehyeon reinterpreted and criticized Chinese historical figures by writing Youngsasi. Through the poems of historical figures, he presented what ones should emulate and reflect on. Besides, Yu Deukgong composed 43 poems, < Yishipildohoegosi(二十一都懷古詩) >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even though he had lived in poverty. Reading these poems, we can appreciate how our ancestors revealed their view of world and awareness of reality in their poetry, struggling against arrogance of the world. And in the late Koryeo, Jin Wha's and Jeong Mongju's poems showed obvious opinions for the subject of civiliz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Yi Eonjin, who was an interpreter, and Park Soo displayed clearly new view of civilization in their thoughts. Jin Wha dispatched to Jin as an envoy expressed that the subject of civilization was Koryeo. Jeong Mongju revealed the pride of Koryeo people even in Chinese world order of the time. In his poems, he expressed a pride that he lived ensuring cultural homogeneity in Ming-centric world order even though the world in the late Koryeo accepted such a world order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Yi Eonjin, an interpre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described keen reflection on his status and thought in his poetry. His anthology was filled with the words of agonies and rages which he had experienced. He was dreaming of the world that various thoughts would be accepted and people's abilities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their status or blood even though he lived in a confucian count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Park Soo said, "Jungwha(the form of viewing China as the most advanced civilization in the world) is that courtesy should be observed and humanity should be kept, equipped with system and culture which Zhou Dynasty had established", disputing about what the real Jonwhayangi(Hua-yi distinction) was. It is considered that today the ancestors' consciousness of history and civilization shown in their poems and thoughts will be the motive to build new cultural contents, to make desirable history and to create new civilization in future.

      • 중학생의 역사 드라마 시청이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

        장희흥,차경호,구혜진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0 學校敎育硏究 Vol.5 No.2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the specific plans to use history drama lessons through the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reality, fascination and involvement that are sub-variables of history drama viewing and middles school stud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o raise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by using history drama lessons. In order to accomplish such a goal, the study selected respective 250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e and Gumi, Gyeongsangbuk-do as its subjects, and the surveyed and analyzed findings are obtain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result obtained by dividing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Fascination and involvement among reality, fascination, and involvement that were sub-variables had a difference in the division by sex. Fascination was shown to be higher in female students while involvement was higher in male students. In addition, as to the region, history drama viewing had no diff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of Daegue and Gyeongsangbuk-do.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higher in middle school students of Daegue that those of Gyeongsangbuk-do, while regarding the grade there was no difference in history drama viewing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Second, it was the result regarding how reality, fascination, and involvement that were sub-variables of history dram viewing affected historical consciousness. With regards to types of history dram viewing, fascination, reality, and involvement significantly affected historical consciousness in order. According to the gender, male students’ reality, involvement, and fascination gave a significant effect on historical consciousness while female students’ involvement didn’t affect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fascination and reality gave an effect on historical consciousness in order. As to the grade, the first graders’ reality, fascination, and involvement were not related to historical consciousness while the second graders’ reality and fascination except for involvement affected in order. Besides, the third graders’ fascination only affected historical consciousness. Regarding the region, fascination and re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ffected historical consciousness in order while fascination, involvement, and re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buk-do influenced historical consciousness. Like this,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the gender, grade, and region, but reality, fascination, and involvement that were sub-variables related to history drama viewing affected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e higher sub-variables related to history drama viewing were, the higher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Due to the fact that history dramas had a fictional element, there was a discussion on educational efficiency. However, this study verified the fact that history dramas can be educationally used, instead of deciding whether history drams were true or no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effective utilization methods of history dramas in history less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historical figures using history dramas is possible. Students can understand properties of characters through re-enactment and empathy, and approach various figures that don’t appear in textbooks. Second, they can raise critical view that is able to divide false and fact of history dramas and use it to the fact learning. Third, it is possible to learn historical terms. By learning unfamiliar and difficult historical terms in advance, they can increase interest in history lessons. Fourth, storytelling of historical materials is possible. Students can make their own new interpretation by constructing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in a way of history dramas. Fifth, they can use a decoration making of history dramas, a visiting of the set, and a clipping of TV screen capture in various manufacturing studies as materials. Sixth, they can have a mock trial and a role-playing lesson regarding behaviors decisions of history drama figures. Seventh, they can study the public life history through history dramas. 이 논문은 중학생의 역사 드라마 시청이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역사 드라마 시청과 관련된 하위변인인 현실감, 심취도, 관여도는 성별, 학년, 지역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역사의식에 분명 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향력의 크기는 심취도, 현실감, 관여도 순으로 나타났다. 그렇기에 역사 드라 마 시청과 관련한 역사 수업은 중학생의 역사의식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역사 드라마를 시청하려는 의도와 시청하는 동안의 관여도 정도는 남학생의 경우 역사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여학생의 경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학년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학년에서 관여도는 역사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일 고학 년인 3학년에서 심취도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아 역사 드라마를 시청함에 있어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구별하는 능력이 아래 학년보다 발달하여 현실감의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역사의식은 대구광역시 중학생이 경상북도 중학생보다 다소 높다. 그리고 실제 사극의 선호도는 퓨전 이나 판타지를 선호하지만 실제 전통사극이 역사의식에 더 높은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현장 교사의 경 험담과 일치한다.

      • KCI등재후보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의 장르 변화 양상 고찰2

        윤석진(Yun, Suk-jin)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8

        한국 텔레비전 역사드라마는 2000년대에 이후 역사적 사실의 재구성이라는 강박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상상의 나래를 펼치기 시작하면서 1990년대 역사드라마와 변별되는 장르적 특성을 구축하였다. 이는 곧 2000년대 이후 텔레비전 역사드라마가 사료(史料)보다 작가의 상상력을 극대화하면서도 조선시대의 정치·경제·사회 현상에 대한 역사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환기시키면서 ‘기록된 역사’를 토대로 한 ‘가능성으로서의 역사’나 역사적 시간과 공간에 대한 ‘상상으로서의 이야기’로 역사드라마의 장르적 외연을 확장시킴으로써 1990년대 텔레비전 역사드라마로부터 탈주하였음을 의미한다. 그 내용을 간추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적 의식 고양’을 강조한 역사드라마들은 2000년대 들어 시청자의 자발적 동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드라마의 교조성과 계몽성에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정치적 의식 각성’을 강조한 역사드라마들은 ‘과거와 현재의 대화’로서 역사의 속성을 활용하면서 극적 상황을 통해 현실 정치를 환기시켰다. 셋째, ‘혁명적 의식 고취’를 강조한 역사드라마들은 부패한 정치권력에 맞서는 민중의 현실 변혁의 의지를 담아냄으로써 현실 정치권력에 대한 혁명적 저항 의지를 고취시켰다. 넷째, ‘열정적 감성 유발’을 강조한 역사드라마들은 승자(勝者)가 아니라 주목받지 못했던 평범한 인물의 영웅적 활약상이나 시대적 비극으로 인한 안타까운 사랑 이야기들을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역사성’보다 동시대성이 돋보였다. 다섯째, ‘복고적 취향 자극’을 강조한 역사드라마들은 현재적 상황이 힘들고 어려울 때마다 그보다 더 힘들고 어려웠던 시절을 떠올리며 현실을 극복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면서 젊은 세대가 ‘경험하지 못한 역사’로서의 근대사를 현재적 의미로 재생시켰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se changes in the genre of Korean TV historical drama in 2000. At the very first, the trends of Korean TV historical dramas shown until the year 2000 were summarized, and then the dramatic imaginations of 20 historical dramas produced in the year 2000 were classified in terms of ‘consciousness’ and ‘sentiment’ into five categories: ‘Raising national consciousness’, ‘awakening political consciousness’, ‘raising revolutionary consciousness’, ‘emphasizing passionate sensitivity’, ‘stimulating restoration sentiment. TV dramas that realized a dramatic imagination for raising national consciousness are 〈Jumong〉, 〈Tae Wang Sa Shin Gi〉, 〈Comrades〉 and 〈Road Number One〉, those for awakening political consciousness are 〈The Great King Sejong〉, 〈Deep-Rooted Tree〉, 〈Yi San〉 and 〈Queen Seon-Deok〉, those for raising revolutionary consciousness are 〈Damo〉, 〈Sungkyunkwan Scandal〉, 〈The Return of Iljimae〉 and 〈Slave Hunter〉, those for emphasizing passionate sensitivity are 〈Dae Jang Geum〉, 〈Capital Scandal〉, 〈The Princess’ Man〉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 those for stimulating restoration sentiment are 〈East of Eden〉, 〈Giant〉, 〈Baker King, Kim Tak Goo〉 and 〈Lights and Shadows〉. As a result of analysing dramatic imaginations of historical dramas in 2000, it was found that ‘history from the view of possibility’ based on ‘recorded history’, or ‘story from imagination based on historical time and space had been focused to result in the expansion of TV drama genre.

      • KCI등재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가 부모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나림(Kim, Na-Rim)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가 가지는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가 부모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부모의 가치관과 양육 태도 및 신념은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으로서,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유아 역사교육을 위한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역사의식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 관심도가 부모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J시의 만 5세 유아의 부모 131쌍이다. 연구도구로는 Ramdhani, Naim 그리고 Sumardi(2019)와 장은경(2004)의 역사의식 검사지를 수정 보완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성인용 역사의식 검사지로, 유아편에 연구도구를 배부하고, 다시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SPSS 18를 이용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e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는 모두 보통 이상의 역사의식을 함양하고 있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역사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는 매우 높은 상관이 있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가 높을수록 역사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역사의식과 인식도 정도와 부모 역사의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역사의식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부모변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parents levels of awareness and interest in history on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arents, as well as to fundamentally understand differences in this aforementioned consciousness in accordance to the degrees of awareness and interest of the parents. 131 pairs of parents in J City were interviewed in this study; research tools contributed by Ramdhani, Naim, and Sumardi (2019) as well as Jang Eunkyung (2004)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then distributed for us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18,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Scheffe post-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both parents had a generally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in regards to history, as well as greater awareness of the usefulness of history. Moreover,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awareness and interest in history in parents; the higher the degree of awareness and interest of parents, the higher their consciousness was in relevance to history. Th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tribute to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arent variables in bette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interest,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history in relation to the cultivation of young children’s historical awareness.

      • 시·언어·시간·진실 : 시와 역사에 대하여

        이은봉 崇實語文學會 2003 崇實語文 Vol.19 No.-

        사람들이 선택하는 이런저런 가치는 본래 구체적인 언어를 통해 밖으로 드러나기도 하고, 안으로 쌓이기도 하는 법이다. 언어를 통하지 않고서는 각각의 주체들이 어떠한 의식을 지니고 역사적 현재로서의 지금의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 당대의 시대정신을 담아낼 수밖에 없는 것이 언어가 지니고 있는 일반적인 운명이다. 언어를 사용하는 주체가 의식하든 의식하지 못하든 언어에는 한 시대의 정서와 가치가 반영되기 마련이라는 뜻이다. 모든 언어는 이처럼 기본적으로 역사적일 수밖에 없다. 언어의 역사적 변화는 기의의 측면에서보다는 기표이 측면에서 좀더 민감한 것으로 생각된다. 어조나 음상, 리듬 등 소리 자질에서 비롯되는 정서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의미의 측면에서보다 선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로 미루어 보면 모든 언어가 어조나 음상, 리듬 등 기표와 함께 하는 정서적 측면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정서적 측면은 개념의 언어보다는 형상의 언어와 좀더 깊은 친연성을 지니고 있고, 바로 그러한 점에서 시의 언어와 접점을 이룬다. 형상의 구체성을 추구하는 것이 시의 언어가 지니고 있는 보편적인 특징이라는 것은 이제 하나의 상식에 속한다. 형상의 세계 바탕으로 하는 시의 언어가 저 고유의 특징으로 지니고 있는 것이 정서적 자질적 자질인 것이다. 말할 것도 없이 이 정서적 자질은 상대적으로 변화에 민감하고, 좀더 역사적이다. 이러한 점은 언어를 사용하는 주체가 자신의 인지영역안에 유전하는 의식을 지니고 있고, 각 시대의 시가 이처럼 유전하는 주체의 의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서가 유전한다는 것은 시의 언어가 유전한다는 것을 뜻하게 된다. 따라서 각 시대를 가늠하는 대표적인 시어가 태어나는 당연하다. 물론 이러한 예는 한국의 현대시사에서도 자주 찾아볼 수 있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시어들이 역사적 현재로서 당대의 사회적 모순과, 그에 따른 뜨거운 의식 및 정서를 담고 있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논리는 시어가 집적되는 과정에 나타나는 문체 역시 역사·사회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뜻하지 않을 수 없다. 시인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문체 역시 당대적 가치의식 혹은 문제의식을 반영하기 마련이라는 얘기이다. 이러한 점은 시의 문체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특히 밝고 화사한 이미지를 짧고 간명하게 투사하는 문체의 시들이 좀더 호응을 얻고 있는 점에서도 확인이 된다. 불필요하게 늘어지는 만연체의 복문보다 는 좀더 구조가 분명한, 곧 대등절이 마주 보는 형식의 중문이 훨씬 선호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체의 특성이 이처럼 바뀌는 것은 한국사의 발전 단계가 이미 충분히 자본주의적 근대의 한복판에 들어와 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자본주의적 근대가 지니고 있는 특성 중의 하나가 '빠른 속도'에 있다는 것은 이제 의문의 여지가 없다. 시와 역사는 일단 '이야기'를 핵심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물론 이 때의 이야기는 개인이든 공동체이든 사람살이의 구체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할 수밖에 없기 마련이다. 기본적으로 체험은 과거의 것인 이런저런 사건들에서 비롯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시와 역사는 이러한 과거의 체험을, 다시 말해 체험에 기초해 있는 사건을, 즉 '이야기'를 오늘의 현실과 관련하여 되살려내려고 한다는 점에서 상호 접점을 갖는다. 역사와 관련하여 흔히 온고지신(溫故知新)과 법고창신(法故創新)을 말하고 있다. 옛것을 도탑게 해서 새것을 아는 일과, 옛것을 본받아 새것을 창조하는 일은 역사를 공부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역사가 시(서정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좀더 과거에 집착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상대적으로 시가 좀더 지금 이곳의 현실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것은 그것이 지금까지 축적된 시간들의 꼭지점 위에서 발현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뜻한다. 물론 이 때의 시간이 물리적이고 기계적인 타자의 시간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그것이 과학과 기술로서의 객체적 시간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인식하는 시인의 상상적 시간을 뜻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상상적 시간은 당연히 경험적 시간을 뜻한다. 경험적 시간이라는 것은 말할 것도 없이 주체의 상상력에 의해 끊임없이 해체되고 재조립될 수 있는 미적 시간을 가리킨다. 미적 시간의 입장에서 보면 과학적 시간은 누가 뭐라고 해도 초월 혹은 극복의 대상으로 존재하기 마련이다. 시인들이 자신의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시간의 밖의 세계를 꿈꾸는 것도 실제로는 그서이 지니고 있는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다. 시간의 밖이라는 말은 시대의 밖이라는 말로 바뀌어 표현되더라도 무방하다. 일정한 기간과 관련하여 생각하면 시간의 밖이라는 말은 결국 시대의 밖이라는 말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개인의 입장을 떠나 공동체의 입자에 서게 되면 시간의 문제가 아니라 시대의 문제로 될 수밖에 없는 것은 불문가지이다. 따라서 오늘의 시인들이 꿈꾸는 시간의 밖은 자연스럽게 시대의 밖, 즉 자본주의적 근대의 밖이 된다. 그러나 제대로 된 시인이라면 이러한 추상적인 일들보다 좀더 먼저 도달해야 할 것이 있다. 역사의 한 시기로서 자본주의적 근대 자체를 바르게 아는 일이 다름 아닌 그것이다. 자본주의적 근대 자체에 대해 바르게 알고 있어야 어떤 식으로든 그것에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시인들이 보기에는 이처럼 참된 예술적 창조와는 전혀 무관하게 전개되어 가는 것이 부르주아 중심의 자본주의적 근대이다. 근대 초기의 부르조아들과는 달리 중기 이후 새롭게 부상해온 부르주아들에게 서정시의 입장에서 계속해서 시비와 딴지를 걸 수밖에 없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시인들이 보기에는 이들 부르주아들이 자본 이외의 것에 대해서는 도무지 관심이 없는 한갓 속물들일 따름이다. 많은 사람들이 시는 허구이고, 역사는 진실이라고 말하고 있다. 시가 창작문학 전체를 가리킬 때 이는 좀더 분명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창작문학 중에서도 소설을 가리켜 아예 허구하고 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허구가 하나의 심미적 장치라고 하면 그것의 적용범위가 소설에만 국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시(서정시) 역시 그와 크게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창작의 과정을 살펴보면 시 역시 항용허구로서의 장치를 응용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시를 가리켜 허구라고 해온 정의가 수정되어야 하듯이 역사를 가리켜 진실이라고 해온 정의도 수정되어야 마땅하다. 겉으로는 진실을 추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으로는 허구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 역사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본래 역사는 과거의 사실에 대한 재해석의 과정에 의미를 두기 마련이다. 학문으로서의 역사이든 교양으로서의 역사이든 역사가 과거의 사실에 대한 지속적인 가공과정에, 즉 허구화 과정에 되살아날 수밖에 없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이처럼 주체의 세계관에 의해 덧붙여지고 꾸며질 수밖에 없는 것이 역사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덧붙여지고 꾸며진 역사를 진실이라고 부르기에는 곤란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생각하면 허구라는 장치를 거치기는 하지만 시야말로 오히려 진실을 담는 언어형식이라고 해야 마땅하다. 심미적 언어를 매개로 하기는 하지만 시 역시 역사적 현재, 나날의 삶의 현실에 대한 해석의 한 형식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이러한 면에서도 시는 역사와 공통되는 영역을 갖는다. 산업화의 부산물인 생태환경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자연의 역사에 대한 시인들의 관심이 점차 증폭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시인들로서는 인간과 자연, 그리고 신이 상호부조하며 공동체를 이루던 세계를 미래의 사회, 즉 자본주의적 근대 이후의 사회로 옮겨오고 싶은 것이다. 좀더 성숙한 미래의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깨어 있는 의지가 아마도 시인으로 하여금 역사 일반에 대한 관심을 포기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리라.

      • 근대 전환기 한국 지식인의 진보적 시간의식 연구

        김명재 ( Kim Myung Jae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19 韓國史論 Vol.65 No.-

        개항 이후 1920년대 전반기에 이르는 시기는 한국사에서 시간의식의 ‘근대적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보적 시간의식과 근대 서구 진보 개념의 수용 여부는 비서구권에서 근대화의 척도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기존의 한국 사상사·제도사 연구에서도 근대 전환기 서구 진보 개념과 진보적 시간의식의 도입은 한국의 근대가 타자에 비해 ‘지체’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이자, 그 과정도 비교적 순탄한 것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개항 이후 1920년대 전반기에 이르는 시기에 서구의 직선적이고 진보적인 시간의식의 도입과정은 일방적이고 전격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었다. 18세기를 전후로 보편적 역사의 진보를 상정하는 ‘進步’ 개념이 형성된 서구와는 달리, 조선 후기 進步 용어는 주로 ‘개인의 도덕적·학문적 향상’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한편 진보적 시간의식의 수용과정에 개입하는 전통적 시간의식으로 정통론은 ‘동국’의 정체성과 기자 문화의 계승을 나타내는 ‘연속’의 측면에서, 순환론은 인간의 노력에 의해 역사와 시세가 전환(순환)하고 위기를 타개할 수 있다는 ‘변화’의 측면에서 시간의식을 담지하였다. 개항 이후 일본을 거친 서구의 근대적 ‘진보’ 개념이 수용되면서, 進步 용어는 개인 단위를 넘어 문명·국가로 확장되고 단계적 시간의식을 띤 ‘진보’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진보’ 개념은 1900년대 중반 전후 사회진화론과 국가 위기론 속에서 서구문명 및 민족국가를 목표로 하는 핵심 개념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지식인들은 ‘진보’를 舊에서 新으로의 변화이자, 우주 및 역사의 진화 법칙과 퇴보의 언설을 통해 시간의식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인식된 한국사의 전개는 서구의 직선적 진보와는 대비되는 과정으로 인식되었다. 한편 근대 역사학의 3시기 구분법과 사회진화론의 단계적 발전론은 한국의 진보적 시간의식 형성에 영향을 주었는데, 그 낙후된 현실과 진보의 부재를 인정하는 공통인식 상에서 ‘암흑기’를 설정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암흑기’는 특히 한국사를 고대 이후 현재까지 하강·쇠퇴의 구도로 설명하는 데 활용되었고, 이 과정에서 지식인들은 전통적인 시간의식으로 사회진화론의 ‘보편적 법칙’을 설명하여 쇠퇴 원인과 그 극복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식민주의 역사학의 ‘절대적 정체’처럼 제국주의적 세계질서에 순응 논리를 만들어 낼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대한제국 지식인의 ‘암흑기’는 ‘일시적이며 그 속에 주체적 진보의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의미를 가진 ‘制限的 停滯期’의 성격을 가졌고, 이 ‘정체기’를 인정하며 전통적인 시간의식과 결합한 한국의 진보적 시간의식, 즉 ‘螺旋的 進步’가 창출되었다. 이 ‘나선적 진보’는 한국의 ‘정체기’를 전통적인 순환론과 정통론적 사유에 기대어 진보의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 서구의 직선적 진보 및 식민주의 역사학의 ‘절대적 정체’와 구분되며 민족국가의 퇴보와 침체 속에서 한국사의 부흥과 재생을 상정하는 근대 시기 한국의 진보적 시간의식이었다. 이와 같은 ‘제한적 정체기’론과 진보적 시간의식은 1900년대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했지만, 민족 주체가 국망의 위기 상황 속에서도 부단한 실천과 독립의 방략을 모색하는 원천으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회진화론 기반의 ‘진보’ 개념은 1920년을 전후로 한 개조론 시기에 전환되었고, 主義·反動 등과 함께 쓰이면서 시간의 표상으로서의 성격을 한층 더 강하게 띠었다. 또한 ‘제한적 정체기’론은 여전히 성쇠를 역사 진보의 맥락 속에서 보는 인식이 강고하게 지속되었을 뿐 아니라, 문명 비판의 시대 사조에 힘입어 한국사 차원을 넘어 세계사의 굴곡진 전개를 설명하는 논리로 변화하여 양적으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진화론의 지배적인 위치 속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했던 ‘나선적 진보’는 서구와 전통적 사유를 경유한 ‘정체기’를 기반으로 개조론의 사상과 세계사의 전환 속에서 확고한 위치를 점하였다. 즉, ‘제한적 정체기’론의 확장과 진보적 시간의식의 공고화에는 근대 시기의 세계정세와 서구 사조뿐만 아니라 전통적 사유도 여전히 강하게 개입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제한적 정체기’를 바탕으로 한 진보적 시간의식은 3.1운동을 계기로 구체적인 실천과 방법론 차원에서 결합되었는데, 그 내적 논리에 따라 지식인들 간에 치열한 논쟁과 갈등이 일어났다. 「민족개조론」논쟁과 「물산장려논쟁」의 핵심 쟁점은 식민지 조선 지식인들의 진보적 시간의식과 그 내적 논리로서 역사 발전의 법칙성 및 이를 추동하는 인간의 주체성, 그리고 ‘제한적 정체기’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to a modern consciousness of time during the period from the opening up of the nation’s ports(開港, 1876) to the first half of the 1920s. With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concept of “progress” from the West via Japan following the opening up of Korea’s ports, “progress” transcended the level of individuals and extended to the nation and civilization itself. It morphed into a concept of “progress” encompassing a step-by-step time consciousness. Meanwhile, the three-age system of modern historiography and the theory of step-by-step development of social Darwinism affected linear time consciousness in Korea around the middle of the first decade of the twentieth century. Out of a shared perception acknowledging the nation's backward reality and apparent lack of progress, there arose a tendency to set out and identify a “dark age”(暗黑期). And, to intellectuals under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1897-1910), this “dark age” generally signified a “period of limited stagnation”(制限的 停滯期) that encompassed the possibility of self-reliant progress and was temporary. In addition, “spiral progress”, which acknowledged this “period of stagnation” combined with traditional time consciousness, was used also to relativize the logic of social Darwinism. Though these temporal constructions of a “period of limited stagnation” and “spiral progress” failed to find general favor in the first decade of the 1900s, they nevertheless functioned as sources for ethno-national subjects to search for stratagems for ceaseless praxis and independence, even amidst the crisis of national demise. Transformed into the theory of reformation(改造論) around 1920, the concept of “progress” came to establish itself as a representation of time through its use together with “-isms”(主義) and “reactions”(反動). The theory of a “period of limited stagnation” still existed so that approaches seeking to view the theory of cycles within the context of historical progress continued, and, furthermore, quantitative expansion that sought to explain both general history and world history by incorporating them into this theory of a period of stagnation arose. In addition, “spiral progress” came to be formalized based on the “period of stagnation”, which had expanded quantitatively. In other words, “spiral progress”, which presupposed the “period of stagnation” that had been demonstrated in world history since World War I, was consolidated among Korean intellectuals. Founded on this “period of limited stagnation”, “spiral progress” in turn combined with the former on the level of concrete praxis and methodology. In accordance with its internal logic, fierce debates and conflicts arose among Korean intellectuals. In sum, the crux of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theory of national reformation(民族改造論) and the Korean Product Promotion Movement(物産奬勵運動) was: how were colonial Korean intellectuals’ concept of “spiral progress”, the laws of historical development as the internal logic of this idea, humans’ self-reliance driving such progress, and the “period of limited stagnation” to be 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