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해기사의 해상진출을 위한 국제기구의 역량강화 연구

        조소현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춘계

        전 세계 1내지 2 퍼센트에 해당하는 여성선원 중 상선에 종사하는 여성해기사는 그 중 6 퍼센트에 해당한다. 해운 산업의 구성 인력 중 소수라고 할 수 있으나 여성의 원활한 해상 진출을 위해 국제해사기구를 비롯하여 정부, 교육단체, 노조 및 해운선사들의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그 동안 국제해사기구를 비롯하여 여성해기사를 위한 현존 지원 정책을 살펴 보고, 향후 여성해기사의 역량강화 및 해상진출을 위한 제도적, 정책적 요소들을 식별하였다.

      • KCI등재

        하이퐁에서의 여성 해기사에 대한 고찰

        도황친 ( Do Hoang-chien ),윤대근 ( Yoon Daegwu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8 해운물류연구 Vol.34 No.1

        21세기의 국제무역 및 국제경기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에 따른 해운 및 해사기술 발전이 급속도록 전 지구상의 육상 및 해상에 전개되고 있다. 아시아의 떠오르는 경제개발국가인 베트남에서도 이러한 환경변화가 육상뿐만 아니라 해상분야에서도 산업계, 학계, 국가, 지자체 전반에 확산해 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고 기술 및 경제개발에 적극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베트남 하이퐁에 있는 해양대학과 해운분야, 산업계, 고등학교 등을 대상으로 여성 해기사에 대한 진출과 진출에 따른 여러 가지 대두되고 있는 어려운 문제점을 파악해보고, 분석을 하였다. 여성 사회 인력 및 사회 전반에 대한 여성 해기사에 대한 인식의 결여 및 부족, 여성 차별, 해운 환경의 불확실성이 주요 고려점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 하이퐁에서의 향후 여성해기사들이 해기 사로써 진출할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With 360,000,000 ㎢ of saline water on the earth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shipping and maritime industry. In this field, sea transpor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volution as well as the satisfaction the demanding of human. However, the problem I want to mention in my writing is the fact that when talking about shipping almost people think about male sailors. This situation is appearing in various countries in the world. The main reasons for this case are from the lack of awareness, gender discrimination, the fear from sea and the unacceptable of shipping company. This problem appeared in Hai Phong from older generation and becomes the thinking of citizen so that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must be created the seminar, vocational guidance as well as provide more information for people in Hai Phong about working on board and shipping.

      • KCI등재

        선원직업 선택 동기의 성별 비교연구 : 남녀 해기사 교육생을 중심으로

        우양호(Woo, Yang-Ho)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2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7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해기사 교육생을 대상으로 ‘선원’이라는 직업을 선택한 동기에 대해 성별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 비교해 보는 것이다. 연구의 핵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기사와 선원의 직업 선택 동기에 있어서 여성과 남성은 얼마나 자발적, 적극적인가? 둘째, 해기사 교육생으로서 선원의 직업 선택과 동기에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가? 셋째, 여성과 남성의 성별 관점에서 해기사와 선원의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적 요인은 과연 무엇인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원직업 선택에 대해서 여성이 해기 전공에 대한 만족감이나 직업적 기대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선원직업 선택의 동기 요인에도 확연한 성별 차이가 있었으며, 해기교육과 선원직업에 대해 여성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셋째, 남녀 집단을 구분하여 선원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을 인과관계분석으로 비교한 결과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남녀 공통의 동기는 ‘취업의 수월성이었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경제적 수익성, 개인적 흥미와 선호, 자의식과 자기효능감 등이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남성은 부모와 주변의 권유, 전문경력의 개발을 위해 선원직업을 선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선원 직업에 대한 남녀의 생각이 다르다는 점은 시론적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직업적 성차는 향후 우리나라 해운업계, 해기교육 및 선원양성 분야에 여러 가지 시사점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compare the motive of choosing the seafarer job based on the survey of Trainees of Maritime Affairs from a gender perspective. The key questions in this study are: First, how active are men and women in seafarer job choices and motivations? Second,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eafarer job choices and motivations. Third, what is the motivational factor that affects the choice of a seafarer job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women were high for seafarers. Second, there were also gender differences in motivations for choosing seafarer jobs, and women had active thought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otiv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seafarer jobs by dividing the male and female groups by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The common motivation of men and women was easy employment of seafarers. For women, however, economic returns, personal interests and preferences, self-consciousness and self-efficacy affected their job choices. The man chose the job because of recommendations from parents and people around him and professional career development. In conclusion, gender differences on seafarer job motivation have given various implications to the Korean shipping industry and seafarer educ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해기교육・훈련의 성비 불균형의 현황과 문제 : 한국해양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최은순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3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8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he main barrier to fostering female marine officers lies in the recruitment of shipping companies and the imbalance of gender ratios in education and training of marine officer training institutions. In the maritime industry, gender imbalance is rooted in a long-standing stereotype of gender roles. Moreover, from a legal point of view, gender imbalance in recruitment and promotion is interpreted as ambiguous indirect discrimination, so social awareness as well as legal measures remain in place. In the case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considering the student recruitment ratio, practice T.O., and employment ratio of shipping companies, female students design different careers from male students, which adversely affects future career development. Problems such as the absence of female role models, differences in academic attitude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representation of minority female students should be improved through hybridization. In particular, the leading subject for hybridization should be the shipping companies in that the gender imbalance of the shipping companies leads to that of train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t the practical level, a step-by-step long-term goal is needed to enable a mixed job with more than 30% of women in the marine officer job. Marine officer job is benign, not male, and hybridization will be the minimum starting point for ‘just marine officers’. Now, the competenc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aiming to become marine officers depends not on the gender difference but on their ability. Marine officer training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cultivate excellent human resources without discrimination and establish a suitable selection system together with shipping companies. 본 연구는 여성 해기사 양성의 주요 장벽을 선사의 모집・채용과 해기사 양성기관의 교육・훈련의 성비 불균형의 문제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해사산업에서 성비 불균형은 성 역할에 대한 오랜 고정관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 한국해양대학교의 경우 학생 모집 비율, 선사 실습 티오, 선사 취업비율 등을 고려할 때 여학생은 남학생과 다른 진로를 설계하게 되며, 이후 진로 과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교육・훈련 과정에서 여성 롤 모델의 부재, 남녀 학생의 학업 태도 차이, 소수 여학생의 대표성 등의 현황과 문제에 주목하였다. 특히 해운선사의 성비 불균형이 곧 학교의 성비 불균형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혼성화를 주도하는 주체는 선사가 되어야 한다. 실천적 차원에서, 해기사 직업군이 여성 30% 이상인 혼성직종이 가능하도록 단계적인 개선을 위한 장기 목표가 필요하다. 해기사 직업은 남성이 아닌 양성이며, 혼성화가 ‘그냥 해기사’의 최소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해기사를 목표로 하는 남녀 학생들의 역량은 성별 차이가 아니라 능력에 달려 있다. 해기사 양성 교육기관은 우수한 인재를 차별 없이 양성하고 선사와 함께 적합한 선발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선원’ 직업은 남성의 전유물인가? -현직 해기인력의 성불평등 실태와 인식 연구-

        우양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2 해양정책연구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gender inequality problems exist in regard to ship officers and the marine workforce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mbining research of seafarers in the maritime field, studies surrounding gender in the labor sector, as well as research surrounding gender equality and women's policies. Specifically, the level of gender inequality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profession were empirically identified through surveys of ship officers and the marine workforc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auses of gender inequality are: lack of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workforce, gender division of labor, gender prejudice and stereotypes, women-friendliness, justice and equity, personnel practices and gender equality polici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level of gender inequality perceived by ship officers was high. Differences in gender, position, task of the individual, and size of the company were also identified.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seafarer jobs are still dominated by men, and that women are minorities. 우리나라에서 선원이란 직업은 여전히 특별하고 생소하다. 육지에서 일상생활을 하는 국민들에게 선원의 직업적 특성은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과거 수출 성장기에 외항 선원은 고소득 직종이었고, 외화를 획득하며 해외에서 국위를 선양하는 국제적인 전문직업의 하나로 인식이 되었다. 하지만 선원은 바다에서 오랫동안 격리된 생활을 자주 해야 하고, 원양항해의 경우에는 대양(大洋) 특유의 각종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선원은 육체적으로 강인한 남성 위주의 대표적 직종이었고, 남성적 직업이란 이미지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배를 다루고 바다를 항해하는 것은 남성의 일로만 여겨져 왔다. 물론 선원이란 직종에 여성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최초의 여성해기사가 지난 1990년에 배출되었고, 1995년부터는 여성들이 처음 원양상선에 선원으로 근무하기 시작했다. 2000년에는 국내 최초의 여성 일등항해사, 여성 일등기관사가 탄생하였다. 2019년에는 당시 우리나라 국적선사인 현대상선(지금의 HMM)에서 처음으로 여성 선장이 나오기도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