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북해(北海)’ 해역권의 형성과 월경적 협력체제의 구축

        우양호(Woo, Yang-Ho),이원일(Lee, Won-Il)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7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7

        최근 유럽연합에서는 기존의 육역(陸域)공간 뿐만 아니라, 해역(海域) 사이의 초국경 교류와 월경협력을 장려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북해(北海) 지역의 사례는 근래에 들어 환경과 경제의 측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오래 전부터 북해 해역권에는 영국과 독일 북부가 포함되어, 유럽에서도 초기 산업화가 시작된 지역이었다. 그러나 연안의 추운 기후와 발전상의 지역격차 등으로 인해 스스로 가진 성장의 잠재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어왔던 지역인 것도 사실이었다. 그러나 북해에서는 오랜 기간에 걸친 민족 및 물자의 이동과 언어상의 공유, 문화적 소통이 이루어져왔으며, 지금은 유럽연합의 핵심인 독일, 프랑스, 영국 사이에 위치하여 그 지정학적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는 북해지역에서의 초국경 협력체제와 월경네트워크의 형성사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배경과 과정, 특성, 운영논리를 이해하고자 한다. 전반적으로 북해의 경우, 1980년대까지는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한 연안국과 지역들 사이의 다자간 협약체제가 형성되었다. 북해의 심각한 오염문제가 초국경 협력을 자극하여 본(Bonn) 협정, 오슬로(Oslo) 협약, 파리(Paris) 협약 등이 순차적으로 체결되었으며, 이는 협력체제의 시작이자 근간이 되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199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형성에 따른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라, 북해지역은 유럽연합의 새로운 관심과 지원을 받게 된다. 그것은 인터렉(Interreg)에 의한 초국경 협력프로그램(North Sea Region Programme)을 비롯하여 북해지역프로그램 2020, 북해지역위원회(North Sea Commission)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새로운 제도와 프로그램은 유럽의 다른 월경지역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늦게 출발한 북해 연안의 협력과 네트워킹을 공고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즉 북해의 해역을 둘러싼 연안에서의 월경활동과 그 성과들이 아직 현재진행형이고 앞으로 많은 과제들이 산적해 있기는 하나, 전반적인 양과 질의 측면에서 협력은 성공궤도에 오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불리한 자연적, 지리적 조건 및 상호 침략과 앙금의 역사를 극복하고 새롭게 나타난 북해의 초국경적 협력사례가 아시아에서 함께 살아가는 우리나라 및 인접 연안지역의 미래 청사진에도 일말의 시사점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The north sea region refers to European countries and regions bordering the North Sea. The north sea region belongs to the most prosperous parts of the European Union. The north sea region has the potential to act as an engine for growth in Europe and as a centre of excellence for wider EU issues through developing existing cooperation efforts, cross border networks, improving policy efficiency and value for public money. However, there are notable differences concerning economic performance and employment between the areas in the north sea region. Although not a formally established entity, in political terms the north sea region is consolidated throug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the North Sea Commission(NSC) and transnational co-operation programmes like the north sea region Programme(NSRP) of the European Union. The NSC and NSRP regards the north sea region as a territorial cooperation area. The partnership of the NSC consists of most municipalities in Norwegian, Sweden, Danish, Germany, Netherlands, England and Scotland. Currently, the socioeconomic structure of the regions bordering the North Sea is undergoing considerable changes. The north sea region Programme(2014-2020) supports transnational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long four priorities(building on our capacity for innovation, promot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environment,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places, promoting sustainable and competitive communities in the north sea region). Its strategic focus is on the major challenges and common characteristics where there is added value in transnational action and collaboration. So,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features of north sea region are mainly determined by regional institution building in cross-border activity, such as many cross-border agreements, conven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provides some useful implications for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ross-border network and territorial cooperation in Asia.

      • KCI등재
      • KCI등재

        동북아 해항도시의 역사적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우양호(Woo Yang-Ho) 부산경남사학회 2010 역사와 경계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at the urban growth determinants which have leaded the growth of sea port cities in Northeast Asia(South Korea, Japan, Chin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four important aspects of urban growth theory. The main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the features of urban growth of sea port cities are mainly determined by the influences of growth factors originating from urban economic theory, urban ecological theory, administrative theory and physical environment theory. The major sea port cities in Northeast Asia(Busan, Incheon, Fukuoka, Sanghai) were selected for historical survey because of their growing importance in national land development in terms of strategic location and exchange ro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ing applied to the relevant data of the 4 sea port cities in Northeast Asia from 1989 to 2008,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the rapid growth of sea port cities seems to have been resulted from the compounding effect of diverse urban growth determinants. Second, it can be said that 4 sea port cities in Northeast Asia can be explained by the interaction of the four sets of determinants identified in this study. As a consequence, most urban growth phenomena of sea port cities in Northeast Asia can be explained by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se urban growth determinants. Based on these significant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해항도시(海港都市) 부산의 도시성장 특성에 관한 연구

        우양호(Woo,Yang 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0 지방정부연구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해항도시 부산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내륙도시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되는 성장의 특성과 요인을 분석하여 이해하고 향후 성장관리에 관한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도시성장은 인구성장과 경제성장의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고, 지금까지 이에 대한 주요 가설로는 생태적 가설, 경제적 가설, 사회적 가설, 물리적 가설, 정치.행정적 가설이 논의되고 있다. 연구방법은 부산의 직할시 승격 이후부터의 43년 간의 도시패널자료(1965-2007년)를 이용했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각각의 성장요인을 선정하되, 대상기간 중의 현황분석을 통해 도시성장의 세부적인 특성과 유형도 파악하였다. 자료의 분서결과, 부산의 인구와 경제성장에 있어서 생태적 차원에서는 대학생 수, 전.출입 인구수 등이 영향을 미쳐 왔고, 경제적 차원에서는 서비스 산업과 항만물동량 변수가 중요했다. 사회적 차원에서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거의 없었으며, 물리적 관점에서 행정구역과 항만시설의 규모가 성장의 주요 원인이었다, 정치.행정적 관점에서 지방자치와 공공투자사업비가 성장의 주요 원동력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단 어느 한 도시의 성장관리 뿐만 아니라 부산과 지리적으로 비슷하거나 동일한 처지에 놓인 우리나라의 다른 도시들에게도 간접적인 시사점을 주고 있었다. Busan metropolitan city is the largest sea port city in South Korea. Busan has a population of 3.65 million and is South Korea's second largest metroplis, after Seoul. Busan is currently the fifth busiest seaport in the world, with transportation and shipping among the most high profile aspects of the local economy. The study is aimed at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rowth of Busan as the largest sea port city in South Korea. The main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the features of growth of Busan was mainly determined by the influences of growth factors originating from urban growth theory(ecological factors, economic factors, social factors, political factors, administrative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the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urban population and economic growth in Busan from 1965 to 2007. According to the panel data analysis, the rapid growth of Busan seems to have been resulted from the compounding effect of diverse urban growth determinants. In general, urban growth phenomena of Busan can be explained by the interaction of the these sets of determinants(ecological, economic, social, political, administrative, environmental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significant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해역네트워크와 개방형 지역주의의 결합 : ‘태평양동맹(PA)’의 사례

        우양호(Woo, Yang-Ho)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1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5

        본 연구의 목적은 해역네트워크와 개방형 지역주의의 결합 및 그 의미를 ‘태평양동맹(Pacific Alliance, PA)’을 사례로 고찰해보는 것이다. 지난 2012년에 출범한 ‘태평양동맹’은 중남미의 중견국가인 멕시코, 페루, 콜롬비아, 칠레 4개국의 신생 지역경제연합이다. 태평양동맹(PA)은 이론적으로 “21세기 해역네트워크와 개방형 지역주의가 결합한 참신한 형태의 국가단위의 연합기구”로 정의된다. 최근 태평양 동맹의 사례는 ‘경제적 협력을 위한 해역공동체(economic union)’의 형성이 육지보다는 바다의 정체성을 찾는 쪽으로 가고 있음을 말해준다. ‘태평양’이라는 “대양(大洋) 중심의 해역네트워크”와 “개방형 글로벌 지역주의”의 적절한 결합은 새로운 공동체를 결성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태평양동맹의 결성과 확대는 국제사회에서 개별국가보다 집단으로 결속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다시 말해주고 있다. 태평양동맹 사례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와 동아시아 연안국들에게도 충분한 교훈을 제공한다. 현재 중남미에서 경제적 리더로 부상하고 있는 4개 신흥국가들이 주도하는 차세대 네트워크이며, 기존 ‘남미공동시장(MERCOSUR)’과 선의의 경쟁 및 협력도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중심의 남미공동시장이 ‘대서양의 정체성’을 전혀 표방하지 않는 반면, 태평양동맹은 태평양 연안 전체의 글로벌 경제와 문화협력 기반을 마련하는 창립목적을 가졌다는 점이 우리에게 가장 큰 의미를 갖는다.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는 우리나라와 교역 수준도 높으며, 오래된 외교적 우방이다. 향후 우리나라는 태평양동맹의 주요 현안인 자원안보, 해양문제, 정보통신기술, 문화교류, 지식공유, 인재개발 등에서 다양한 협력방안을 만들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미국과 태평양동맹, 중국과 남미공동시장의 역학적 관계를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우리는 국익을 위해 앞으로 태평양동맹과 긴밀한 참여와 질 높은 협력을 진행해야 하고, 미국과 중국을 고려한 전략적 연계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bination of maritime network and open regionalism through the case of ‘Pacific Alliance(PA)’. The Pacific Alliance is an initiative of regional integration comprised by Chile, Colombia, Mexico and Peru, officially established on 2012. Its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Build in a participatory and consensual way an area of deep integration to move progressively towards the free mobility of goods, services, resources and people. Second, Drive further growth,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of the economies of its members, focused on achieving greater well-being, overcoming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promote the social inclusion of its inhabitants. Third, Become a platform of political articulation, economic and commercial integration and projection to the world, with emphasis on the Asia-Pacific region. The example of the Pacific Alliance suggests that the formation of a global economic community is shifting toward the identity of the sea rather than the identity of the land. In addition, through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the Pacific Alliance,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is an effective way to unite as a group rather than as an individual countr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uth Korea has active trade and investment in Chile, Colombia, Mexico and Peru, and has long been close diplomatic relations. Therefore, South Korea should engage in the Pacific Allianc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in the future, and pursue a strategic approach in consideration of the U.S. and China.

      • 도시와 국가의 길항관계 및 협력의 논거에 관한 소고

        우양호(Woo, Yang-Ho)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0 해양도시문화교섭학 Vol.-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t out a future research agenda on central-local relations which recognizes how the spread of new arrangements has changed those relations and how insights from the literature can shed light on those relations. In order to attain this goal, This study discuss three types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various issues that impact this working relationship. Define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ts refer to federalism into actions which mean that them political, social, administration and programatic relations between the national government and the other kinds of government like the urban and local government. So, the theorec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is formulated from intergovernmental relation theory in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the role of central government is still important, however, there needs a cooperation among interest group of stakeholders includi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Also, this study stresses the need to understand central-local relations within the context of a wide range of factors, and how those relations have changed as intergovernmental arrangements have grown in significance. Finally, there is no doubt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ill play a stronger role in our society in the years ahead. In order to establish the decentralized cooperative relationship,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one way control system from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 and the interdependent horizontal relationship is needed.

      • KCI등재

        선원직업 선택 동기의 성별 비교연구 : 남녀 해기사 교육생을 중심으로

        우양호(Woo, Yang-Ho)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2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7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해기사 교육생을 대상으로 ‘선원’이라는 직업을 선택한 동기에 대해 성별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 비교해 보는 것이다. 연구의 핵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기사와 선원의 직업 선택 동기에 있어서 여성과 남성은 얼마나 자발적, 적극적인가? 둘째, 해기사 교육생으로서 선원의 직업 선택과 동기에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가? 셋째, 여성과 남성의 성별 관점에서 해기사와 선원의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적 요인은 과연 무엇인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원직업 선택에 대해서 여성이 해기 전공에 대한 만족감이나 직업적 기대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선원직업 선택의 동기 요인에도 확연한 성별 차이가 있었으며, 해기교육과 선원직업에 대해 여성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셋째, 남녀 집단을 구분하여 선원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을 인과관계분석으로 비교한 결과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남녀 공통의 동기는 ‘취업의 수월성이었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경제적 수익성, 개인적 흥미와 선호, 자의식과 자기효능감 등이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남성은 부모와 주변의 권유, 전문경력의 개발을 위해 선원직업을 선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선원 직업에 대한 남녀의 생각이 다르다는 점은 시론적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직업적 성차는 향후 우리나라 해운업계, 해기교육 및 선원양성 분야에 여러 가지 시사점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compare the motive of choosing the seafarer job based on the survey of Trainees of Maritime Affairs from a gender perspective. The key questions in this study are: First, how active are men and women in seafarer job choices and motivations? Second,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eafarer job choices and motivations. Third, what is the motivational factor that affects the choice of a seafarer job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women were high for seafarers. Second, there were also gender differences in motivations for choosing seafarer jobs, and women had active thought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otiv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seafarer jobs by dividing the male and female groups by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The common motivation of men and women was easy employment of seafarers. For women, however, economic returns, personal interests and preferences, self-consciousness and self-efficacy affected their job choices. The man chose the job because of recommendations from parents and people around him and professional career development. In conclusion, gender differences on seafarer job motivation have given various implications to the Korean shipping industry and seafarer educ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우리나라 도시 및 지방의 내향적 국제화 수준과 그 영향요인: 거주외국인과의 "접촉과 화합"을 위한 과제

        우양호 ( Yang Ho Woo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1

        이 연구는 목적은 우리나라 각 도시와 지역단위에서 외향적 국제화와 내향적 국제화 양자 사이의 균형과 조화가 그동안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인식하고,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내향적 국제화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내향적 국제화란, 거주외국인들에 대한 적응을 돕고 지원하는 ``안으로부터의 국제화``이자, ``외국인 친화적인 지역사회 건설을 위한 내부적 역량과 대응``을 뜻한다. 지금 이 개념이 시의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우리가 서구 선진국만큼 다른 인종과 문화의 이해와 수용에 개방적이지 못하며, 미래의 다문화 사회에서 사람과 문화들 간의 ``접촉과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 때문이다. 내향적 국제화는 거주외국인과 이문화에 대한 내국인과 전통문화의 충돌을 방지하고, 이주민에서 시민으로의 ``통합``과 다문화 사회의 진정한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 먼저 내향적 국제화의 주요 현황분석 결과에서 거주외국인 규모의 가파른 증가속도, 국적과 신분 및 체류목적의 다양화, 불법체류자의 감소로 인한 합법거주 외국인의 상대적 증가, 지방별 거주편차의 존재, 미흡한 제도적 수준, 각종 시설과 단체의 부족과 영세성 등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국 도시와 지역의 내향적 국제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부차원, 시민차원, 외국인차원으로 구분한 다양한 변수들로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추정된 향후 내향적 국제화의 성공조건으로는 정부차원의 인력과 재정 확보, 제도와 정책체계의 보완, 시민단체의 역량 강화, 거주외국인의 높은 비중과 이들에 대한 조직화 및 네트워킹의 장려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와 지역의 내향적 국제화 문제에 대한 사회 전반적 이해를 높이고, 지역단위의 내향적 국제화 발전 전략에 많은 시사점을 주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determining factors and recommendations for inward internation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Foreign residents in Korea have increased rapidly during 2005~2011. In 2012, the proportion of foreign residents are about 3.0% of total population(more than 1.4 million people). But, all the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strengthened their efforts to accelerate their outward internationalization with those in foreign countries for their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started to resolve a research question, which caused imbalance between inward internationalization and outward internationalization among most local governments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 is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hypothesis and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was that the features of inward internation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are mainly determined by many factors, such as human/financial resources, institution and policy system(government), capacity of local civil society(citizenship), self-organization or networking(foreign residents). The policy implications were largely derived from this results which may improve quantity and quality of inward internationalization for successful multi-cultural society in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동북아시아 해항도시의 초국경 교류와 협력방향 구상

        우양호(Yang Ho Woo),홍미영(Hong Mee Young) 21세기정치학회 2012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2 No.3

        The Oresund Region consists of Southern Sweden and Eastern Denmark. The Oresund Region is a transnational region in northern Europe, centred on the cities of Copenhagen and Malmo. The two sides of the Region are connected by a fixed link between Copenhagen and Malmo, the Oresund Bridge. As the importance of national borders continues to decline in the new borderless Europe, the Oresund Region is an important hub for economic activity and example of an transnational region that reflects the modern age in Northern Europe.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features of Oresund Region are mainly determined by many factors in cross-border activity, such as political negotiation, economic and historical background. As a consequence, this study provides some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nternational exchanges of major sea port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in North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