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명숙 ( Park Myungso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保健社會硏究 Vol.30 No.2

        최근 증가하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다문화가족 아동들의 심리 사회적 발달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가족의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가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의 학령기 아동 12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한 연구결과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조사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은 평균값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관계에 대한 문항에서도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가족관계와의 상관관계에서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아동이 인지한 가족관계는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설명하는 매개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 및 아동들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ildren`s lif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children`s self-esteem in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are formed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 study, 121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scores of respondents` self esteem are higher than medium scores and they are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family relationships. This study verified th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children`s self-esteem. Also, the variable of family relationship recognized by children identified as a mediation variable to explain the variables of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children`s self-esteem. Social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re sugges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시기 비교를 중심으로

        호효정,박용한,고한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자아존중감, 이중문화 수용성, 문화적응스트레스), 가정환경(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방임적 양육 태도), 학교환경(학습활동 적응, 교사 관계, 교우관계)을 탐색하고, 초등학교 4학년 시기와 중학교 1학년 시기의 한국어 능력 예측요인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APS)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아버지: 한국인, 어머니: 외국인)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4학년 시점(1차: 학생과 학부모 각 1,560명)과 중학교 1학년 시점(4차: 학생과 학부모 각 1,329명)에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에는 공통적으로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나타났으나, 초등학교 시기와 달리 중학교 시기에는 추가적으로 교우관계가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능력을 구어와 문어로 구분해서 분석했을 때 구어에서는 초등학교, 중학교 시기 모두 한국어능력 전체에서의 결과와 차이가 없었으나, 초등학교 시기의 문어에서는 학교환경 요인인 학습활동 적응이 영향을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의 개인적, 사회·문화적 환경 변인에 따른 국악능력의 특성 분석

        박형신,김정주,안정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개인적 변인과 사회·문화적 환경 변인에 따른 국악능력의 특성이 어떠하며, 제 변인의 영향력은 각각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유아의 국악능력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유아의 국악능력은 연령과 국악학습 기간, 가정의 국악환경과 어머니의 한국어 구사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 유아의 국악능력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은 가정의 국악환경, 국악학습 기간, 어머니의 한국어 구사능력, 유아의 연령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국악능력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포함한 부모의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가정 내 국악환경을 점진적으로 개선 해나갈 필요가 있으며, 국악학습의 질적인 향상 및 경험의 지속성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다문화가정 유아의 국악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머니의 한국어 구사능력의 발전을 동시에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musical abilities about Korean traditional from multicultural family according to personal and socio-cultural variables. It also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s musical abilitie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multicultural famil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perio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learning, home environment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other's Korean proficiency. Moreover,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children's musical 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orean traditional music was high in order of home environment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perio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learning,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child's age. Accordingly, in order to develop children's musical abilitie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necessary to improve home environment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gradually through changing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y including multicultural family parents such as mothers. It is also ne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learning and the continuity of experience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romote mother's Korean proficiency as a potential variable for influencing on their children's musical abilitie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 KCI등재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임정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1 다문화교육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mother’s Korean ability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self-esteem.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data of 1283 multicultural students born to a foreign mother and a Korean father were examin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Also,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by SPSS Process Macr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este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Korean ability i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Second, multicultural adolescents’ self-esteem has also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Lastly,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Korean ability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fully mediated by their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and political solutions to alleviate and prevent multicultural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problems.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외국인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를 둔 다문화 청소년 1,28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를 활용한 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학업성취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이 경험하는 학업 성취 문제를 완화하고 예방하는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린이집 경험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

        임양미 ( Yang Mi Lim ),박주희 ( Ju Hee Park ) 대한가정학회 201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0 No.8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others`` Korean fluency and children`s experiences in child-care centers influenced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were 600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enrolled in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their mothers, and 350 teachers caring for these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administrating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thers`` Korean fluency, number of years children had attended child-care centers, and language guidance provided by child-care center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ll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general and oral communicat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years that the children had attended child-care cente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written communication ability, but the mothers`` Korean fluency and language guidance provided by child-care center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written communication ability. Finally, the mothers`` Korean fluency moder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child-care experiences on their communication ability. Specifically, the more fluent the mothers`` Korean, the stronger the effects of children`s childcare experiences on their communication ability.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교우관계 간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고한나,호효정,박용한 한국교육심리학회 2023 敎育心理硏究 Vol.3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four variable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Korean proficiency, self-esteem,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peer relationship. To achieve this, the study tested the self-regression cross-delay model using data from the first year (2011) to the fifth year (2015)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 The primar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revious data stably predicted subsequent data in the Korean language ability, self-esteem,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the study confirm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causal relations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Korean proficiency and peer relationship as well as betwee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These relationships were found to grow together through reciprocal positive effects. Additionally, the study found that self-esteem indirectly affected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pecifically, self-esteem at the n time-point positively affected Korean ability at the n+2 time-point through the mediation of peer relationship at the n+1. Finally,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one-wa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indicated that the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t the previous time-point positively affected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t the next time-poi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d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Educational Impact and Implications : Since peer relationship plays a crucial role in promoting Korean language ability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educa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enhance peer awareness toward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build positive peer relationship. Considering that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lays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positive peer relationship, we should pay attention to foreign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which affects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systematic policy and support for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자녀 학교생활 중개인(broker)으로서의 다문화가정 어머니 역할에 대한 검토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학교생활 참여가 자녀 학습활동, 어머니 한국어능력, 어머니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유지애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가족복지학 Vol.6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how participation in children’s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mothers affects their children’s learning activities and mother’s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when they are mediated by mother’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s. To carry out this, the sixth survey data of the Youth Panel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children’s school lifes of multi-cultural mothers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learning activiti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of mothers. Third, the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mother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school life when they mediated the level of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Fifth, the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of mothers when mediating on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 Based on this, it proposed ways to improve the learning activities of multi-cultural youths and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ir m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