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영상에서의 환유의 범-수사학적 중요성

        신양섭 한국영화학회 2019 영화연구 Vol.0 No.82

        자발적인 인터랙티브 소통에의 참여는 디지털 매체의 특징 중 하나이며. 이 과정은 종종 예술적으로도 흡족한 완성도를 보여주곤 한다. 본고는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사학적 기제가 환유라는 입장으로부터 출발한다. 일반적으로 예술적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타자에서 유사성을 발견하는 은유적 상상력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현대 수사학의 선구자 중 한 사람인 로만 야콥슨은 ‘인접’이라는 일상적인 연상 작용을 활성화하는 환유적 방식으로도 충분히 시의 운문성은 해명 가능하다고 말한다. 디지털 예술과 아날로그 예술의 미학적 관계를 포스트 디지털적인 인식론의의미망으로 조망함으로써, 스티븐 맴버는 야콥슨의 환유론과 적지 않은 이론적상동성을 보여주는 서사 매핑론을 제시한다. 네 가지 목적들을 제시하는 맴버의 유형론은 오늘날의 동영상 문화의 맥락에서 야콥슨의 환유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맴버의유형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사 매핑론에서 추구하는 재현은 구체와 추상의 양방향으로 인식론의몸꼴을 확장한다. 야콥슨의 환유 또한 구체성과 추상성이라는 폭넓은 스펙트럼의인접성으로 디지털 영상 사용자의 인터랙티브한 반응을 지속적으로 유도한다. 둘째, 서사 매핑론의 두 번째 목적인 분석은 그의 인식론의 과정 자체를 추상적으로 체계화하고자 한다. 야콥슨의 환유는 디지털 영상에서의 담론화의 과정으로 구체화된다. 사용자들은 공적인 의사 결정 과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는것이다. 셋째, 서사 매핑론은 또한 정보 공간을 성공적으로 마련하길 원한다. 이를 통한 실증적 차원에서의 명쾌함은 야콥슨의 환유가 종종 보여주는 지표성과 논리적 맥락이 같다. 인접성의 논리는 비록 거기에 수사학적 실체가 없더라도 활발한매체적 기능만으로 사용자에게 인터랙티브한 문화적 기쁨을 선사할 수 있다. 넷째, 서사 매핑론은 재현과 분석 그리고 정보 공간이 궁극적으로 원(原)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기능하기를 바란다. 이러한 현상은 앞의 세 가지유형들이 조화로운 앙상블을 이룰 때 자연스럽게 성취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야콥슨의 환유에서 그것은 자발적으로 사용자가 환유를 통한 인터랙티브한 인식 과정에 참여하는 ‘견인’의 계기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interactive communication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in digital media, whose process often shows artistically satisfactory perfection. This study starts from the assumption that ‘metonymy’ is the rhetorical mechanism for it. It was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artistic composition is made up in the metaphorical imagination, in which we find similarity in the Other. However, one of the pioneers of modern rhetoric, Roman Jacobson insists that it is sufficient to clarify poeticity in a metonymic way that activates the mundane association, namely the ‘contiguity’. Viewing the aesthetic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art and analog art against the grid of the post-digital epistemology, Stephen Mamber suggests the narrative mapping theory showing a considerable homology with Jacobson’s theory of metonymy. Aiming at four purposes, Mamber’s typology at the same time gives more concrete comprehension on Jacobson’s theory of metonymy in the context of the contemporary video culture. The four purposes of Mamber’s typology are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on pursued in the narrative mapping extends the epistemological corpus both in concrete and abstract directions. Jacobson’s metonymy also induces interactive responses from the users of digital moving images over a wide spectrum of contiguity of concrete and abstract. Second, the second purpose of narrative mapping theory abstractly systematizes the process of epistemology itself. Jacobson’s metonymy is embodied as the process of discourse in digital images. The users voluntarily partake in that of the public decision making. Third, the narrative mapping theory also succeeds to offer information space; the clarity, at the positivistic level, has the same logical context as the indexicality that Jacobson’s metonymy often shows. The logic of contiguity can provide the interactive cultural joy to users through the active media functions, even if there doesn’t remain any rhetorical substance. Fourth, in the narrative mapping theory, representation, analysis and information space are expected to ultimately function as a user-interface for the proto-text.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to be naturally achieved when the three types from the above make a harmonious ensemble. In Jacobson’s metonymy it is thought to be the moment for the ‘attraction’ where users voluntarily partake in the interactive process of the recognition through metonymy.

      • KCI등재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활용한 유니버설사인디자인 의미작용 분석

        노만섭(Roh, Man Sub),남호정(Nam, Ho J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본 연구는 성공적 사인커뮤니케이션 성립에 필요한 유니버설 사인디자인 조건설정을 위해 시각요소의 의미작용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은 야콥슨이 제시한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와 시각요소의 수평적 관계설정을 분석지표로 활용하여 유니버설사인디자인 4원리 설정과 이에 대한 조건 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문헌고찰과 현장실측, 선호도 설문조사와 평가, 의미작용 해석과 유니버설사인디자인 조건 제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의미작용의 분석은 설문통계에 의해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광역시 청사별 선호도 순위가 가장 높은 시각요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각요소의 의미작용 분석은 로만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모형(Model)을 수평적 모형으로 전환하여 분석지표로 활용하였다. 설문항목은 신뢰도 계수산출과 검증을 거쳐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통계분석 실시결과 ‘문자(유도사인)-광주, 픽토그램(유도사인)-부산, 레이아웃(유도사인)-서울, 색채(안내사인)-서울’의 선호도 값이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시각요소에 대하여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분석지표로 설정하여 의미작용 현상을 분석한 결과, ‘맥락-색채, 메시지(언어/서체)-문자, 접촉-레이아웃, 코드-픽토그램’간 의미작용에 따른 유사성을 확인함으로써 4가지의 시각요소가 수평적 관계설정에 의한 사인의 최소 시각요소임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사인을 구성하는 시각요소가 유니버설 사인디자인의 4원리 조건으로 충족되기 위해서 색채라는 시각요소는 ‘색채성(Color)’을, 문자는 ‘언어성(Language)’을, 레이아웃은 ‘도형성(Type)’을, 픽토그램의 시각요소는 ‘상징성(Symbol)’을 갖추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signification phenomenons of visual elements were analyzed for setting conditions of universal sign design required for establishing successful sign communication. The research, for analyzing such, aimed for setting four principles of universal sign design and suggesting conditions of such with the application of communication constituents and horizontal relation setting suggested by Jakobson as an analysis index. Research methods can be divided into literature consideration, field survey, preference survey and evaluation, interpretation of signification, and suggestion of conditions of universal sign design. The analysis on communication signification targeted visual elements highly preferred by each government office on the basis of data secured from survey statistics. In case of signification analysis on visual elements, Communication Model of Jakobson was converted into a horizontal model and used as an analysis index. In case of survey ite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program after calculating and verifying reliability coefficients, ‘letter (induction sign) - Gwangju, pictograms (induction sign) - Busan, layout (induction sign) - Seoul, and color (guidance sign) - Seoul’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val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signification after setting Jakobson"s Communication Model as an analysis index on the same visual elements, similarities according to signification between ‘context - color, message (language/font) - letter, contact - layout, code - pictograms’ were confirmed and, therefore, four kinds of visual element were verified to be the initial visual elements of sign according to the horizontal relation setting. Therefore, It was known, for satisfying visual elements consisting sign with four principles of universal sign design, that visual element of color needed to have ‘coloric specificity(Color)’, that of letter needed to have ‘linguistic specificity(Language)’, that of layout needed to have ‘figurative specificity(Type)’, and that of pictograms needed to have ‘symbolic specificity(Symbol)’.

      • KCI등재

        로만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이론을 중심으로 한 한국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 광고표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기능별 특성을 중심으로

        박영원 ( Park Young-won ),유재상 ( You Jae-sang )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2 No.-

        한국적 이미지는 총체적인 것으로 다양한 층위에서의 이미지 결합으로 형성된다. 국가 이미지는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경제를 비롯한 국가발전에 중요하다. 이에 한국적 이미지가 광고를 비롯한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영역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는지 로만 야콥슨 커뮤니케이션 기능이론에 근거하여 논의하였다. 현실의 기호해석을 미래지향적 창의성과 연결하고 있다는 점이 현대적 미디어의 맥락에서 볼 때 새로운 효용 가치가 있다. 로만 야콥슨의 이론은 송신자, 수신자, 메시지, 맥락, 접촉, 코드의 여섯 요소에 부합해서 감정 표현적 기능, 행동 촉구적 기능, 시적 기능, 지시적 기능, 교감적 기능, 상위 언어적 기능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을 송신자의 감정, 수신자에의 영향, 메시지가 작동하는 맥락, 메시지 그 자체, 메시지가 전달되는 접촉의 상황, 소통 가능성의 사회문화적 배경의 각기 다른 층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점은 디자인의 생산과 분석의 관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2019년의 실제 광고사례 중에 야콥슨 이론을 근거로 커뮤니케이션 기능별로 한국적 이미지를 논의하였다. 한국적 이미지는 국내외에서, 과거에서 현재로, 현재에서 미래로,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발현된다. 효과적인 광고표현을 위하여 창작하는 한국적 이미지는 보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하여 의도한 바대로 기호작용 하여야 한다. 광고표현에 나타나는 한국적 이미지는 여섯 기능 중 어느 한 기능만으로 독립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계층적 순서에 의한 다양성에 의해서 발현한다. 커뮤니케이션의 여섯 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동하지만, 그중 한 가지 기능으로 한국적 이미지가 주로 발현되면서 전체적인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orean images are holistic, formed by combining images on various layers. National image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countries including economy in the age of internationalization. This discussion was based on the Roman Jakobson’s theory because only Korean images were implemented in advertising and other communication design areas in whatever manner. Jakobson’s theory has a new utility value in the context of modern media in that it connects the interpretation of the real symbology with future-oriented creativity. Jakobson’s theory states that these six elements of the communication factors, such as addresser, addressee, message, context, contact, and code are supposed to express the emotive function, conative function, poetic function, referential function, phatic function, and metalingual function. Jakobson’s theory makes the analyses about the realities of communication design possible on the different layers of the addresser’s emotional situation, the impact on the addressee, the context in which the message operates, the message itself, the context of the message being delivered, and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communication possibilities. In this sense, Jakobson’s theory is very useful for the production and analysis of designs. In the actual advertising case in 2019, the Korean images are discussed with each communication functions based on Jakobson’s theory. Korean images are deliberately or unintentionally expressed at home and abroa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from the present to the future. Korean images created for effective advertising expression must act as intended symbols through a wider variety of media. Korean images emerged in the advertisement expression is not generated independently by only one of the six functions, but is expressed by various combinations of 6 functions in hierarchical orders. And a certain major function from the six functions can lead to the overall atmosphere centering on Korean image.

      • KCI등재

        롤랑 바르트의 이론과 로만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한 광고의 의미작용 분석

        박영원(Young-Wo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3

        삼성전자의 기업광고 ‘훈이네 가족이야기’는 소비자들이 직접 참여해 가족에 대한 생각을 서로 나누고, 이를 바탕으로 광고를 완성하려 한 것은 인터랙션이 중요한 현대 미디어시대에 효과적인 캠페인이다. 기업의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이 아니고, 소비자들의 공감을 유도하고 적극적인 수용자로 다가오게 하여, 광고를 통해 진정한 ‘또 하나의 가족’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삼성전자의 의지를 성공적으로 의미작용하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성전자 기업광고 ‘훈이네 가족이야기’편을 광고표현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기호학적 시각으로 논의하였다. 즉, 롤랑 바르트의 의미작용 이론을 바탕으로 광고표현요소를 시각적 이미지와 언어적 메시지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리고 로만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적용하여 커뮤니케이션 기능별로 분석하여 논의함으로써 광고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들에게 분석 및 생산 매트릭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Hoon's family story' is worth analysing because it is appreciated one of excellent advertising campaigns made success of gaining social sympathy and inducing interaction on media. And advertisements expressions have been regarded as the text that we should analyze by semiotic methods. This paper provides possibilities of the advertisement analysis matrix for analysing significations of this campaign based on theories of Roland Barthes and Roman Jakobson for advertising planners and designers.

      • KCI등재

        시각적 이미지의 재미에 관한 연구 -로만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이론을 중심으로

        박영원 ( Young Won Park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3 No.-

        개인적인 즐거움, 광고를 비롯한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의 아이디어, 그리고 국가나 사회 경제 성장을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의 모티브로서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시각적 이미지의 재미에 관한 연구는 의미가 있다. 시각적 이미지에서의 재미는 일반인에게 즐거움과 행복감을 주고, 디자이너에게 재미요소는 창의적인 디자인행위의 기본이 된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디자인에 나타나는 시각적 이미지의 재미생산에 있어서 로만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이론은 매우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송신자, 수신자, 맥락, 메시지, 접촉, 코드로 구분한 각각의 커뮤니케이션 요소별로 감정표현적(emotive) 기능, 행동촉구적(conative) 기능, 지시적(referential) 기능, 시적(poetic)기능, 교감적(phatic) 기능, 상위 언어적(metalingual) 기능이 작동한다는 논리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만 야콥슨 이론은 각각의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중심으로 각각의 기능을 보다 역동적이고 입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로만 야콥슨 이론을 활용하여 실제 디자인사례에 나타난 재미 요소를 분석하여, 향후 디자인목적과 매체별로 재미를 방법적 접근으로 생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실용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It``s very meaningful to research about Fun in Visual Images for personal enjoyment, communication design ideas, and the motive of communication design ideas including advertising for national and social economic growth. Fun in visual images provide common peoples enjoyment and happiness. And fun elements should be the basics of creative design activities for designers. Roman Jakobson``s Communicative function theory should be applicable very effectively for production of fun of visual images in design field through the various medium. Because Roman Jakobson``s Communicative function theory is based on theory, which each communication functions work related to each communication factors. So emotive function, conative function, referential function, poetic function, phatic function, metalingual function works depending on communication factors, such as addressor, addressee,message, context, contact and code. It``s possible to analyse and explain each communication functions based on each communication factors more dynamically and dimensionally with Roman Jakobson``s Communicative function theory. So I suggest the practical analysis example for production of Fun suitable to design purpose and various medium with the method approach by analysing real design works using Roman Jakobson``s Communicative function theory.

      • KCI등재SCOPUS
      • 오월문학과 실어증

        김형중(Kim, Hyung-jung)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동서인문학 Vol.0 No.45

        The uprisin in Gwang-ju in May 1980 induced a kind of aphasia into the Korean literature of that era. This article analyzes the aphasic aspects of May literature. We demonstrate that the aphasia of May literature occurred in the encounter with ‘event’ as A. Badiou said. Badiou indicated that literary event must be distinguished from a political event. They belong to perfectly different ‘procedure of truth’. However existing studies on May literature do not distinguish these two procedures. When we understand May literature as corresponding to literary event, Korean literature in 1980s is related to ‘partage of the sensible’. In Korean literature in 1980s, existing system of literature was collapsed and various experimentations were tried such as mook movement, disjointing genres, and group writings. This article presents a new point of view from which to study Korean literature from the 1980s.

      • KCI등재

        아르네 야콥슨과 유르헨 베이의 의자 제품군 형성방법

        김진우 ( Kim Jinw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는 의자디자인에 대한 고찰이다. 의자디자인의 경우, 단순한 형태에 다양한 변수를 적용한 제품들이 시리즈물로 등장하곤 하는데, 이러한 제품의 군집을 제품군 개념이 적용된 디자인이라고 한다. 연구자는 제품군이라는 하나의 틀 안에서 대두되는 새롭고 다양한 변수와 그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현상에 주목했고 이를 의자디자인의 사례를 통해 고찰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 및 분석으로 진행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2장에서 제품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했으며, 3장에서는 디자인 분야에 나타난 제품군을 유형별로 서술했고, 4장과 5장에서 사례로 선정한 두 작가와 작품에 대해 언급한 후 6장에서 두 의자를 비교분석해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자는 제품군이라는 동일한 개념 속에서 변화와 차이를 보이고 있는 의자를 비교분석하고자 했으므로, 연구의 사례로 아르네 야콥슨(Arne Jacobsen, 1902-1971)의 세븐 체어(7 chair)와 유르헨 베이(Jurgen Bey, 1965- )의 코콘 체어(Kokon chair)를 선택했다. 제품군이라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바라봤지만 그 속에서 두 개의 의자가 보여주고 있는 특징은 차별화됐으며, 이 두 사례 분석을 통해 의자디자인에 나타나는 제품군 형성방법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ir design which forms product family. In case of chair design, a series of product family in which various variables are applied to diverse forms would appear. A concept of product family was adopted in this kind of product group.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new diverse variables which have emerged within a single frame titled `product family` and social phenomena which influence these variables. In addition, they were analyzed based on chair design cases. For thi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 analysis were conducted.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In chapter 2, a theoretical review on product family was performed. In chapter 3, types of product family in design were described. In chapters 4 and 5, two artists and their chairs were explained. In chapter 6, two chai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conclusion was given.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atively analyze chairs which revealed changes and differences even under the same concept of `product family`. For a case study, therefore, `7 Chair` by Arne Jacobsen (1902-1971) and `Kokon Chair` by Jurgen Bey were selected. Even though they were analyzed from the same perspective as `product family`, the characteristics of two chairs were differentiated. As a result, the product family formation method in chair design was compared trough analysis on the two cases.

      • Poetry and Linguistics

        최문수(Choi Moon soo)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硏究 Vol.23 No.-

        일반적 통념과 달리 야콥슨은 시학이 언어학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문법적 대응 즉 문법적 요소들 또는 문법적 연계들이 형성하는 유사성의 패턴은 시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의 기능을 한다. 문법적 체계는 텍스트에 필연적이고, 그 자체로 의미를 형성할 뿐 아니라, 어휘의 체계 등 다른 체계들이 낳는 모든 의미가 수렴되는 틀로서 가장 기본적인 체계라는 것이다. 하지만 시는 이러한 일방적이고 단선적인 관계로 설명되는 고정되고 자족적인 구조가 아니라, 여러 시스템들의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역동적 구조이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해석과정의 독자의 반응 속에서 실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Jakobson, poetics belongs to linguistics. In his conception, grammatical parallelism, the pattern of equivalence in the relations between grammatical units or grammatical relations can be representative of the structure of the poem. Being the obligatory basis for overall semantic function, grammatical parallelism can be justified as the poetic characteristics of a given poem. But poetry is not a static and autonomous system. It requires the interaction of different systems that are actualized in the response of the reader, through which the sociocultural context can be introduced in the interpretation process as an integral part of the meaning of the text.

      • KCI등재

        로만 야콥슨의 유표성 이론 연구

        유승만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06 러시아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polysemous notion of markedness and its related terms explicitly.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Jakobson's markedness theory, and examples of its application to poetics and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as well as subfields of linguistics. Among many facets of the notion of markedness, the study focused on the conceptual change of the unmarked value through Jakobson's writings. In his early writings, R. Jakobson proposed exclusive correlation of the opposition between marked and unmarked value. That is, a correl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some feature and its absence (≪a vs. not a≫). However, in his later writings, Jakobson found the correlation inclusive, and he introduced a new term ≪signalization of a vs. non signalization of a≫. Later, he developed his markedness theory more precisely by using the notion of 'zero sign'. However, as the concepts of ≪a vs. not a≫ and ≪signalization of a vs. non-signalization of a≫ were used synonymously with the terms 'marked' and 'unmarked', the notion of markedness and its related terms became blurred and ambiguous. Therefore, researchers who want to adopt markedness theory as their tools of analysis should first define the notion of markedness explicitly. In addition, the notion of markedness in linguistic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at of markedness in non-linguistic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