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가배수를 활용한 가치주 및 앵커링 효과의 재조명

        신희정(Hee-Jeong Shin),고재민(Jaimin Goh) 한국증권학회 2018 한국증권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보여준 개별 기업의 52주 최고가에 대한 앵커링(anchoring) 효과가 가치주효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제기에서 출발하여, 52주 최고가 대신 횡단면적 관점에서 산업평균 주가배수에 대한 앵커링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익공시 후 비기대이익에 대한 시장의 지연반응인 주가잔류현상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비기대이익에 대한 주가잔류현상은 산업 평균 대비 관심기업의 주가배수 수준에 비례하여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주가배수 수준이 주가잔류현상에 미치는 영향이 가치주 효과로 인해 나타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관심기업의 주가배수가 산업 평균보다 높고 낮은 구간으로 나누어 재분석하였다. 만약 본 연구의 결과가 가치주 효과로 인해 발생했다면, 산업 평균 대비 관심기업의 주가배수가 높은 경우 투자자들은 가치주 관점에서 고평가로 판단하고 이익 정보에 과소반응기 때문에 주가잔류현상이 더 커질 것이다. 분석 결과, 관심기업의 주가배수가 산업 평균보다 낮은 구간에서만 주가잔류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치주 효과와 관련된 개별 주가배수를 통제한 후에는 보다 강건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발견한 주가잔류현상이 개별기업의 주가배수에 근거한 가치투자전략의 효과가 아니라, 산업 평균 주가배수에 대한 앵커링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앵커링 효과를 개별 기업의 시계열 특성 관점에서 보고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산업의 횡단면적 측면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앵커링 효과가 가치주 효과와는 독립된 현상임을 명시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서 공헌도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기업의 가치 평가가 산업 평균 주가배수 외에 업종 대표기업 주가배수와의 비교를 통해서도 결정된다는 점을 추가로 보여줌으로써, 정보이전효과를 간접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investors’ anchoring on industry-average priceto-earnings ratio (P/E) leads to post-earnings announcement drift (PEAD). Posing that the evidence documented by George et al. (2015) that PEAD is larger when stock price on earnings announcement is closer to 52-week high price may result from the value investment effect, we revisit the anchoring effect from the relative P/E to cross-sectional level of industry P/E. We find that PEAD is positively related to firm’s relative P/E. Moreover, the positive rel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firms with negative relative P/E to that of industry. These findings show our results do not come from the value investment effect. It is because PEAD would be remarkable when the firm’s P/E is higher than industry-average level, if investors, in terms of value investment strategy, realize that firms with positive relative level of P/E are overpriced and underreact to earnings information. In addition, our results hold even after directly controlling for the value investment effect.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lative P/E plays a role of anchor in valuing firms. By showing that market does not fully take advantage of earnings information by anchoring on firm’s relative P/E in comparison with the industry level, we shed new light on anchoring effect in Korea stock market.

      • KCI등재

        소비자의 자기도출 사고가 광고에 대한 설득지식 인지에 미치는 영향

        오만덕(Oh, Mandeok),나준희(Na, June-Hee)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6

        본 연구는 광고효과의 설득지식 인지에 있어서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와 프라이밍 효과(priming effect)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광고주장이 소비자의 판단 단서가 된다는 측면에서 앵커링 효과와 프라이밍 효과는 모두 의미가 있다. 그렇지만 앵커링 효과와 프라이밍 효과는 실행 메커니즘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앵커링 효과의 경우, 소비자의 의식적인 자기도출 사고(self-generated thinking)를 하게 하는 반면에 프라이밍 효과는 무의식적으로(unconscious) 일치하는 판단을 하게 하는 동화과정(assimilation process) 또는 과도한 조정을 하는 대조과정 (contrast process)이 나타난다. 그리고 본 연구는 인지적 동기수준, 광고 메시지의 구체성 정도, 광고 예시의 극단성 정도에 의해 조절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3개의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1은 광고에 대한 인지적 동기수준을 조절하는 실험이며, 실험 2는 광고 메시지의 구체성 정도에 의한 실험이다. 그리고 실험 3은 광고 예시의 극단성 정도를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실험 1 결과, 자기도출 사고를 한 집단(앵커링 효과 집단)의 경우에는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인지적 동기가 높을수록 설득지식은 감소하였다. 반면에 자기도출 사고를 하지 않은 집단(프라이밍 효과 집단)의 경우에는 인지적 동기에 의해 대조효과에 의한 설득지식이 증가하였다. 실험 2 결과, 자기도출 사고를 한 집단에서는 광고 메시지가 구체적일수록 설득지식이 감소하였으나 자기도출 사고를 하지 않은 집단의 경우에는 설득지식이 증가하였다. 실험 3 결과, 자기도출 사고를 한 집단에서는 광고 예시가 극단적일수록 설득지식이 감소하였다. 그렇지만 자기도출 사고를 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설득지식이 증가하였다. Advertising is a useful tool for brand awareness and for image positioning. Consumers are likely to take product information and, to be stimulated to purchase by advertisements. But, they are also likely to be vigilant against the commercial sources. What shall marketers do for this persuasion knowledge? This research explored the advertising effect in respective of the anchoring and the priming. The prior is related with consciously self-generated thinking,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related with unconscious assimilation. If consumers take their unconscious prime, they are likely to overcorrect the priming effect, that is, contrast effect. So, consumers' elaboration could disturb the assimilation effect of priming. This may cause the heihtened persuasion knowledge. The anchoring effect, however, is based on the self-generated thinking of consumers. So, more elaboration, less persuasion knowledge possibl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cognitivemotivation (Ex. 1), concreteness of advertising (Ex. 2), and extremeness of exemplar (Ex. 3) on the persuasion knowledge. Ex. 1 said higher motivation, less PK in anchoring and more PK in priming. Ex. 2 said when concrete exemplar, less PK in anchoring andmore PK in priming. Ex. 3 said if extreme exemplar, ess PK in anchoring andmore PK in priming. Conclu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if marketers want to reduce PK, they are need to confer consumers opportunity for self-generated thinking. This perspective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ior that had stressed to distract consumers' cognitive resource through time pressure or scarcity effect.

      • KCI등재

        앵커링효과를 활용한 친환경 제품 추가지불정도에 관한 연구

        임하은 ( Ha-eun Im ),서인주 ( Injoo Seo )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친환경 소비 행동 유도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행동경제학적 이론 중 하나인 앵커링 효과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친환경 소비 행동 유도방안을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소비 행동을 친환경 제품구매 시 추가지불 정도로 정의하고, 연구의 주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사대상을 앵커링 없이 친환경 제품의 추가지불 정도를 선택하는 대조군과 60% 앵커링을 제시한 집단, 20% 앵커링을 제시한 집단으로 나누어 앵커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사, 친환경 제품에 대한 추가지불 정도를 살펴본 결과 친환경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사는 높게 나타난 반면 친환경 제품에 대한 추가지불 정도는 이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친환경 제품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은 가지고 있지만, 일반제품보다 비싼 친환경 제품 가격에는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앵커링 제시 방법에 따른 추가지불 정도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과 앵커링 20%의 실험군에 비하여 60%의 앵커링을 제시한 실험군이 추가지불 정도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친환경 제품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이 높은 가격을 지불했음을 암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제품 추가지불 정도에 60% 앵커링, 친환경 행동, 소비자효과성은 정적영향을 지각된 위험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친환경 소비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이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데 높은 가격을 지불했음을 암시하고 개인의 친환경 소비 행동이 환경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effective ways for inducing an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adopting the anchoring effect. An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were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willingness of additional payment when buying eco-friendly products. In order to adopting the anchoring effect, three groups were analyzed with the anchoring information: 1) a control group without any anchoring information, 2) a 60% group with 60% of additional payment information, and 3) a 20% group with 20% of additional payment informat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ttitude for eco-friendly produc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were high while the willingness of additional payment was relatively low. It interpreted that people had positive attitude and perception for eco-friendly products, but felt uncomfortable to pay more when buying them (eco-friendly products). Second, results from analyzing the willingness of additional payment among three groups, a 60% group was willing to pay more significantly than other groups (a control and 20% group). It can be confirmed that higher payment information of other people was effective to induce expensive eco-friendly products. Finally, th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60% anchoring information, eco-friendly behavior, and consumer effectiveness increased the willingness of additional payment while “perceived risk” decreased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with two aspects. Information about other people’s higher payment for eco-friendly products induced the willingness of additional payment. Also, it was important to provide a perceptions of which individual’s helpful behaviors could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

        KOSPI200 시장베이시스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서경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KOSPI200 market basis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KOSPI200 spot index and KOSPI200 futures. The database consists of daily observations on spot index, the nearest and the second nearest futures contract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7. Arbitrage factor, Psychological factors, short sale ban, futures and spot trading volumes are considered as potential determinants of market basis. Arbitrage factor which is derived from the cost of carry model is the difference between risk-free rate and dividend yield times the days to maturity. The arbitrage factor is derived by taking natural log to both sides of the cost of carry model in which the actual futures price is substituted into the theoretical futures price. The subsequent result, which is ln(futures price) minus ln(spot price), is defined to be futures/cash basis and is entered into the regression model as the dependent variable.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the arbitrage factor exerts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market basis. Among psychological factors, anchoring bias, disposition effect and momentum effect enter the regression equation as explanatory variables in explaining the market basi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nchoring bia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he futures/cash basis, implying that the anchoring bias persists, and that past 60 days cumulative return's momentum effect exerts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the market basis, implying that the past 60 days cumulative return's momentum effect over-weighs the disposition effect. Empirical results for the effect of short sale bans on the market basis are mixed. The first short sale ban's effect on the market basis is significant and positive whereas the second short sale ban's effect is significant and negative. Follow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August, 2008 triggered by subprime mortgage crisis in U.S., KRX banned short sale for the entire stocks traded in KRX in an attempt to stop stock prices to decline. The first short sale ban was activated in the first day of October, 2008 and lasted for 8 months, and the second short sale ban was activated in the 10th of August, 2011. Dummy variables are used to captures the effect of short sale ban on the market basis. In the regression model, both the nearest futures and the second nearest futures are analyzed separately and the results are similar each other. GMM(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is adopted to circumvent the problem of measurement error in explanatory variables. In addition, using Newey-West, heteroskedasticity and autocorrelation are adjusted for calculating standard error. 본 논문은 KOSPI200 선물과 KOSPI200 현물의 차이인 KOSPI200 시장베이시스의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2004년 1월초부터 2017년 12월말 까지 14년간이며 최근월물과 차근월물을 분석하였다. 시장베이시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차익거래요인, 앵커링편의, 처분성향과 모멘텀효과, 주식공매도의 제한 및 선물과현물의 거래량을 고려하였다. 차익거래원칙에 기초한 보유기간모형으로부터 무위험이자율과 배당수익률의 차이와 만기일까지의 일수의곱이 시장베이시스를 로그변환한 선 현물베이시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유도하고 종속변수를선 현물베이시스로 하여 연구모형에 사용하였으며 실증결과는 차익거래요인은 선 현물베이시스에 양(+)의영향을 주며 고려된 변수 중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요인으로서 앵커링편의 변수와 처분성향효과 및 모멘텀 변수를 유도하여 시장베이시스의 설명변수로사용하였다. 이 앵커링편의가 지속되면 선 현물베이시스에 양(+)영향을 줄 것이라는 예측하였으며 실증결과는예측한 바와 같이 앵커링편의가 선 현물베이시스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고 있어 선물가격에는 과거 현물가격에 앵커링하는 앵커링편의가 존재하며 이 편의가 지속된다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현물의 피드백투자자의 영향력과 처분성향효과 및 순수한 모멘텀효과를 구분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유도하였으며 과거 60거래일간 누적현물수익률을 사용할 경우 순수한 모멘텀효과는 처분성향효과와 선물가격의현물가격에 대한 상대적 민감도를 압도하여 선 현물베이시스에 유의한 음(-)의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공매도금지효과는 1차 주식공매도금지의 경우 선 현물베이시스에 유의한 양(+)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나타나 기대와는 반대로 선물가격의 하락에 대비하여 주가의 하락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공매도 금지의효과가 의문시되었으며 2차 주식공매도의 경우에는 1차 주식공매도와는 달리 선 현물베이시스에 유의한 음(-) 의 영향력을 보여 1차와 2차의 효과가 반대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매도금지효과는 제한적이라고 해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방위력개선사업의 일정판단에서의 앵커링 효과에 관한 연구

        석순복,문성암 한국방위산업학회 2015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방위력개선사업의 일정판단에서의 앵커링 효과와 영향관계를 실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간 의사결정의 합리성, 휴리스틱과 바이어스, 앵커링 효과 선행연구 및 방위력개선사업에서의 일정판단과 일정계획전략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06년 방위사업청 개청 이후 실시된 선행연구단계의 일정판단 실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일정판단에서의 앵커링 효과, 가용기간과 일정판단의 상관관계 및 일정판단 결과가 전력화시기 지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학문적·실무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nchoring effects an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in the advanced research stage scheduling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 To achieve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on the rationality of decision-making, heuristics and biases, anchoring effects and defense acquisition program decision-making was implemented. Additionally, Field data from the advanced research stage scheduling after the establishment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in 2006 were collected to verify if an anchoring effect was seen and its influ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lanned deployment time is anchored to the required deployment time, and the project period is anchored to planned deployment time. Available time and the administrative period between requirement decision and establishment of basic defense acquisition promotion plan, and overall administrative period and available time were highly correlated, but the administrative period between establishment of basic defense acquisition promotion plan and project start and available time did not correlate much. Thus, extra time within available time was used in the administrative period between requirement decision and establishment of basic defense acquisition promotion plan.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overall administrative period and overall business period on the delay of deployment time showed that the longer the overall administrative period takes, the greater the delay of deployment time occured.

      • KCI등재

        숫자의 앵커링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온라인 뉴스의 감지된 정서성, 뉴스평가 및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왕설영(Xueying Wang),박성복(SungBok Park)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1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Predicting that the numbers provided in the online news interface can play a key role in generating users emotional respons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the numbers in the online news environment generate the anchoring effect that induces the emotional difference of users in the process of consuming content. Specifically, using LIWC program, the effects of numerical cues revealed in online news interfaces on the emotionality of news content, news evalu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felt by news user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direct effect of the size of the numerical anchor on the evaluation of news content and behavioral intention, but no direct effect on emotional response.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number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and use of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a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role of numerical cues with various meanings on the interpretation of users’ information in the online space.

      • KCI등재

        온라인 정보해석 단서로서의 숫자의 앵커링 효과에 관한 연구: 인지된 현저성과 뉴스평가를 중심으로

        왕설영(Xueying Wang),박성복(SungBok Park)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1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numerical cues in online news sites on interpreting online news information by applying the anchoring effect as a major concep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effect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anchor size in research question 1 were significant, and the participants had a higher recognition of salience in the high anchor than in the low anchor. In the analysis of the news value evaluation of research question 2, the main effect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anchor size were significant, and the participants showed a higher news value evaluation in the high anchor than in the low anchor. This means that numeric anchors are transferred to news value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eric anchor can make the news issue salient and important, and made the users give weight to the news ra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effect of online numeric clues on users’ interpreting information and user psychology.

      • KCI등재

        가치산정과정의 감정평가사 행태 분석 -매매사례의 앵커링 실험분석-

        오현식 ( Hyun Shik Oh ),장희순 ( Hee Soon Jang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0 감정평가학논집 Vol.9 No.2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heoretical principles and the actual practice of real estate appraisers in the value estimating process, thereby establishing the code of behavior and finding appropriate solutions. Research methods are mainly by real estate behavior research and real estate decision making theory. Especially,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theory is the core that it is related to the cognitive psychology. Prior study cases in real estate behavior research and appraiser`s behavior materials in this paper are analyzed. The study finds that the Biases can arise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comparable sales in the value estimating process of real estate appraisals. It is a example of Biases that result from Uncertainty in value estimating process. This paper finds the reason of Biases for Heuristics and Uncertainty as it is analyzed in the principles. In order to overcome such Biases, the appraisers` efforts to debias, the improvement of appraisal environment, and the comprehension of the appraisal estimating process are necessary. The Limits of this paper is that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appraisal`s behavior. Real estate behavior research is few in Korea in spite of importance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uman being. As behavior research is a part that could widen more and more theoretical system of Real Estate Science and that could make interdisciplinary study lively, the part henceforth is considered to be a way to make more firmly international exchanges of Korea`s Real Estate Science and to understand meaning of human being in Real Estate Science.

      • KCI등재

        행동경제학적 접근방법을 통한 친환경행동 활성화 잠재성 검토: 행동경제학, 인구사회학, 환경심리학 변수의 비교

        김태형,천승환,김수,김주리,이지원 한국환경정책학회 2018 環境政策 Vol.26 No.2

        Behavioral economics studies human behavior and motiv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limited and bounded rationality and is thus garnering attention in various fields. However, little has been studied regarding environmental policy corresponsive to this trend. This study therefore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behavioral economics to rational decision-making and the performance of environmental policy using psychological concepts. The validity of the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has also been improved by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y conducting a survey of graduate students, this study found that behavioral economics concepts, such as sunk cost bias and diminishing sensitivity, are significant. Multiple regression models on willingness to pay and political acceptability showed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beforehand, the “anchor,” has a strong effect on the adjusted responses of the responde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environmental policy. 제한적이고 유한한 합리성을 인식하고 인간의 행동과 동기를 연구하는 행동경제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받고 있으나, 환경정책 분야에서는 이에 상응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심리학적 개념을 사용하여 환경정책과 관련된 합리적 의사결정 및 이행을 위한 행동경제학적 개념의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그 영향력을 평가할 때 인구사회학적 변수 및 내적 특성을 통제하여 보다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의 실험에서는 매몰비용 편의, 민감성 체감등 행동경제학 개념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혼잡통행료 및 탄소배출권 지불용의액과 수용가능성에 관한다중회귀분석은 사전에 제공한 기준점인 앵커링이 조절된 예측치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 이로부터 행동경제학 개념이 가지는 환경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52주 고가와 주가 모멘텀 투자전략

        정대성(Daesung Jung),류호영(Hoyoung Ryu)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4

        본 연구는 JT모멘텀전략, GH모멘텀전략 및 RR모멘텀전략의 유용성을 국내 주식시장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모멘텀전략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투자유예기간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모멘텀전략의 성과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기존의 JT모멘텀전략보다 52주 고가를 사용하는 GH모멘텀전략과 RR모멘텀전략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을 조정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투자유예기간 없이 1개월 투자할 때 RR모멘텀전략이 JT모멘텀전략과 GH모멘텀전략보다 효과적인 모멘텀 투자전략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RR모멘텀전략은 투자유예기간이 없이 투자하는 것이 가장 높은 성과를 보였다. 넷째, 투자유예기간은 모멘텀전략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투자유예기간을 고려할 때 GH모멘텀전략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52주 고가를 이용한 모멘텀전략이 기존의 JT모멘텀전략보다 유용하다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Novy-Marx(2012)와 같이 투자유예기간의 시차가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the JT momentum strategy, the GH momentum strategy, and the RR momentum strategy in the Korean stock market. In addition, we considered various skip periods that could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momentum strategi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GH momentum strategy and the RR momentum strategy, which use a 52-week high price, were more useful than the JT momentum strategy, and the risk-adjusted results were the same. Second, we showed that the RR momentum strategy was a more effective than the JT momentum strategy and the GH momentum strategy when investing for one month without the skip period. Third, we found that the GH momentum strategy was the highest performance when considering the skip period, and the GH momentum strategy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when held for 1 month after 6 months of the skip period. Fourth, we found that the RR momentum strategy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when investing without the skip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mentum strategy using the 52-week high price is more useful than the existing JT momentum strategy. In addition, as in Novy-Marx(2012), we demonstrate empirically that the time lag of the skip period affects portfolio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