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호남과 근기 실학자의 ‘사이’와 ‘거리’

        이선아 동양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3 No.-

        Hwang Yoon-seok, a Noron scholar from Jeolla-do, and Ahn Jung-bok, a Namin scholar from Gyeonggi-do, were recognized as a well-informed and professional scholar, and were given a chance to get into office through the Tangpyeong policy promoted by King Yeongjo. Though Hwang Yun-seok and Ahn Jung-bok had never met each other in their lives, they were similar in office after becoming bureaucrats. However, Hwang Yun-seok was appointed to the Jangneung Chambong, and he met Jeong Sul-jo, the vice governor of Yeongwol, and listened to Ahn Jung-bok's story in detail. Jeong Sul-jo introduced 『Dongsagangmok』written by Ahn Jung-bok, saying he was close to Ahn Jung-bok. After that, Hwang Yoon-seok worked as the head of the central department and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project of 『Moonheonbigo』. At that time, a Namin scholar, Shin Kyung-joon took charge of the historical geography of 『Moonheonbigo』, summarizing the views of Namin, including Ahn Jung-bok. Hwang Yun-seok and Ahn Jung-bok went through a similar route in the government office, and in 1779, Hwang Yun-seok was promoted to the rank of Mokcheon governor after Ahn Jung-bok. Hwang Yoon-seok, who was appointed as the head of Mokcheon, obtained and read 『Daerokji』 compiled by Ahn Jung-bok. Daerok was the old name of Mokcheon. Hwang Yoon-seok, who had looked through 『Daerokji』, said Ahn Jung-bok described it in great detail. Ahn Jung-bok, as the magistrate of Mokcheon, thought of it as an opportunity to research the practical knowledge and tried to establish the ethics of the village. The compilation of 『Daerokji』 was part of such efforts. Hwang Yoon-seok praised Ahn Jung-bok's efforts, but pointed out the limitations, saying that he ruled too loosely.However, Hwang Yoon-seok also fail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hn Jung-bok and was pushed him out of office by the lower management of Mokcheon. In short, This situation was not their limitations at that time, but a social evil of local administration. 전라도 흥덕 출신의 노론 황윤석과 광주군 출신의 근기 남인 안정복은 博學多識한 학자로 영조가 추진한 탕평정책으로 관직에 나갈 기회를 얻었다. 그들은 일생 동안 만난 적은 없었지만 출사한 이후 官路에서 몇 차례 교차하였다. 특히 황윤석은 장릉 참봉에 임명되어 영월 부사 정술조를 만나 안정복에 대해 ‘구체적으로’ 들을 수 있었다. 정술조는 자신과 안정복이 竹馬交友였다고 하면서 ‘安書’- 東史綱目 을 소개하였던 것이다. 황윤석은 장릉 참봉을 거쳐 중앙 관서에서 근무하면서 안정복 등 남인의 학문을 접하였다. 황윤석은 종부시 직장으로 근무하면서 文獻備考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남인 신경준이 맡고 있는 「輿地考」에 관심이 많았다. 신경준은 안정복 등 남인의 견해를 수용하여 「여지고」를 편찬하였고, 황윤석은 문헌비고 를 편찬하는 과정에 남인의 학문을 직,간접적으로 접하였다. 이후 황윤석과 안정복은 비슷한 관로를 거쳤는데, 황윤석은 정조 3년(1779)에 안정복의 후임으로 목천 현감에 임명되었다. 목천현에 임명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황윤석은 목천현에 대한 정보와 자료를 모았고, 안정복이 편찬한 大麓誌 를 열람하였다. 대록지 를 검토한 황윤석은 발문을 짓는 등 그 내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두었다. 목천현감으로 부임한 안정복은 평소 ‘下學’의 학문을 실천할 기회로 생각하고 향촌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洞契를 회복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 읍지의 편찬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정복의 노력에 비해 ‘악습’은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안정복의 후임으로 부임한 황윤석은 ‘백성을 지나치게 사랑한’ 안정복의 행정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다. 그는 전임 현감 안정복의 ‘흔적’과 경쟁하며 지방관으로 치적을 남기려다가 오히려 파직되는 불운을 겪게 되었다. 안정복과 황윤석은 근기 남인과 호남 노론이라는 지역과 당색으로 인한 거리에도 불구하고 그 경계에 갇히지 않고 박학과 전문을 추구하며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는 삶을 살았다. 특히 황윤석은 호남 노론이라는 정체성에 매몰되지 않고 안정복 등 남인의 학문을 수용하며 자신의 시대를 인내하였다.

      • KCI등재

        목천현감(木川縣監) 안정복(安鼎福)의 수령 통치와 그 성격

        이광우 역사실학회 2022 역사와실학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ake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ruling by a head of locality by a Silhak(實學) scholar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Sunam An Jeong-bok who served as the Mokcheon-hyeongam during 1776~1779. An Jeong-bok established Iri-dongyak(二里洞約) for operating the ideal local community from the early days and published 『Limgwanjeongyo』. The position of Mokcheon-hyeongam was the opportunity for him to experiment the ruling by the head of locality that he had contemplated. Therefore, immediately upon his arrival,An Jeong-bok found out the ill-effect of the town and popular sentiment of Mokcheon-hyeon. And, he declared his intent to have the hyoyumun to place priority on edification and justification in his ruling. The edification of An Jeong-bok had the focal point in strengthening of status identity. Because of the foregoing, the hyoyumun had the emphasis on responsibility for each social status. He emphasized that the noble class to regain its authority and Hyang-ri to carry out the positions with its consciousness following the given tasks on hand. For farmers, he instructed to focus on their own works. With respect to the edification policy of An Jeong-bok, what attracts the attention is the implementation of Dong-yak. Unlike the Juhyeonhyangyak(州縣鄕約) led by the head of locality in generally was established for Myeon-ri(面里) unit, An Jeong-bok had ‘Dong(洞)’, the living sphere for the noble class, as the unit to recommend implementation of Dong-yak and he emphasized active role of noble class and others within Dong-yak. On the basis of such edification, An Jeong-bok implemented political administration for the common people. First of all, in order to respond to the soemaga (charges for having the horse related services), the Bangyeokso (office for duty service during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The point to pay attention in the Bangyeokso operation is that the organizations of Hyang-ri, Myeon-ri would be excluded, and the organizations of Dong-yak would operate the Bangyeokjeon directly in a way of attracting the noble class to participate in the town administration. Furthermore, An Jeong-bok attempted to stabilize the public through immediate establishment of civil complaints and rendering decisions as he had contemplated earlier. As such, An Jeong-bok enthusiastically practiced his principle of ruling by the local governance that was contemplated in the local town and it had its share of limitations. During his governance, a large-scale misuse or misappropriation occurred by the local forces which was the typical limitation of the time. Such a case demonstrates the limitations of regional governance in the later part of Joseon where a sole head of regional government had full political affairs even under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실학자 순암(順庵) 안정복(安鼎福)이 1776~1779년 사이 목천현감(木川縣監)으로 재임하면서 보여주었던 수령 통치의 성격을 살펴본 것이다. 안정복은 일찍이 이상적인 향촌사회를 운영하기 위해 이리동약(二里洞約)을 제정하고 『임관정요(臨官政要)』를 찬술한 적이 있었다. 목천현감 부임은 자신이 구상했던 수령 통치를 실험할 수 있는 기회였다. 이에 안정복은 부임 직후 완고했던 목천현의 민심과 고을의 병폐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효유문을 내려 통치에 있어 교화와 명분을 우선시하겠다는 뜻을 천명하였다. 안정복의 교화는 신분적 명분 강화에 방점을 두었다. 그런 까닭에 효유문에는 신분별로 책임이 강조되어 있다. 사대부는 스스로 권위를 되찾아야 함을 강조하였고, 향리에게는 본분에 따라 양심껏 직책을 수행하라고 당부하였다. 농민에게는 본업에 힘쓸 것을 지시했다. 안정복의 교화 정책에 있어 주목되는 것은 동약(洞約)의 시행이다. 일반적인 수령 주도의 주현향약(州縣鄕約)이 면리(面里) 단위로 제정된 것과 달리, 안정복은 사대부의 생활 반경인 ‘동(洞)’을 단위로 동약 시행을 권장하였으며, 동약 내에서 사대부 층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였다. 안정복은 이러한 교화책을 바탕으로 민생을 위한 정사를 펼쳤다. 우선 쇄마가(刷馬價)를 대응하기 위해 방역소(防役所)를 설치하였다. 방역소 운영에서 주목할 점은 향리나 면리 조직을 배제하고, 동약 조직이 방역전(防役錢)을 직접 운영하게 함으로써, 고을 행정에 있어서 사대부 층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안정복은 평소 구상했던 것처럼 즉각적인 민원 수렴과 판결을 통해 민심을 안정시키려 했다. 이렇듯 안정복은 향촌에서 구상했던 수령 통치를 적극적으로 실천하였으나, 한계도 적지 않았다. 재임 중 향리 세력에 의해 대규모 포흠(逋欠)이 발생한 것이 대표적인 한계이다. 이러한 대목은 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도 수령 1인에게 모든 정사를 집중시켰던 조선 후기 지방 통치의 한계를 잘 보여준다.

      • KCI등재

        순암 안정복의 기록에 나타난 조선 천주교의 초기 상황- 문집, 일기, 고문서를 중심으로

        조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장서각 Vol.- No.48

        한국 천주교 역사 연구는 좀 더 역사적 기록에 토대를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새로운 역사적 기록의 발굴과 분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의 하나로서 안정복 관련 자료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안정복의 기록을 통하여 한국 천주교 설립 초기의 동향에 관하여 기초적인 사실 몇 가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것은 대략 세 가지로 추릴 수 있다. 첫째, 1784년 갑진년에 한양에서 처음으로 천주교 세례를 받은 사람들이 모여서 공동체를 결성한 일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인물들은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돌아온 이승훈, 이승훈에게 대세를 받은 뒤 천주교 공동체 결성을 주도하였던 이벽, 그리고 이벽의 설득으로 천주교 세례를 받고 교리를 공부하던 정약전, 정약용, 권일신 등이었다. 이들은 뜻을 모아 1784년 한양에서 천주교 공동체를 만들게 되었다. 본고는 그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탐구하였다. 둘째, 1785년 을사년 봄에 형조의 관헌이 명례방의 김범우 집을 덮쳐서 천주교 신자들을 적발한 사건이 있었다. 그러나 그 사건이 구체적으로 언제 있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안정복의 자료에는 사위 권일신의 행보와 관련하여 중요한 단서가 남아 있다. 이를 통해서 이른바 을사년의 형조 적발 사건이 언제 벌어진 일이었는지를 해명하였다. 셋째, 1791년 신해년에 진산사건이 벌어져서 윤지충과 권상연이 처형되었다. 그 여파로 권일신 역시 목숨을 잃었다. 형조에 붙들려 가서 신문을 당한 뒤에 유배형을 선고받고 감옥에서는 풀려났다. 하지만 고문의 후유증으로 사망하고 말았다. 본고는 권일신이 사망한 구체적인 날짜가언제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 역시 안정복의 자료에 그 단서가 남아 있다. 물론 안정복은 사위 권일신이 죽기 반년 전에 먼저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안정복의 손자 안철중이 조부의 일기를 이어서 적었기 때문에 이 자료에 권일신의 죽음에 관한 정보가 들어 있다. 이런 역사적 사실들을 문헌 기록을 통해 해명하는 작업은 한국 천주교 역사 연구에서 가장 기초적인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작업의 정확성과 엄밀성이야말로 교회사학의 학문성을 심화하는 첩경이라고 본다. 본고는 안정복 자료, 특히 안정복 가문에서 전해오다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기탁되어 연구자료로 학계에 보급된 광주안씨 고문서,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안정복 일기, 아울러 ‘순암 안정복 선생 기념 사업회’가 주도하여 번역 간행한 안정복의 문집 등을 활용하여 초기 천주교 신자들의 동향과 관련한 몇 가지 기초적 사실들을 규명하였다

      • KCI등재

        안정복(安鼎福, 1712~1791)의 가례 관념과 실천

        김정운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5

        The study examines Ahn Jeongbok (1712-1791)'s thoughts on family rites and practices in everyday life. Ahn was an intellectual from Joseon in the 18th century. He achieved intellectual growth by understanding humans and society based on his predecessors' studies, and his full-fledged research activities began with learning the writings of Zhu Xi (1130-1200). Rite of adulthood, rite of weddings, sacrificial rites, and funerary rites, Ahn's thoughts were based on the old rites and "Family Rites" of Zhu Xi, and organized and practiced in his own way by applying the writings of Yi Ik and the common world. Rite of adulthood must be enforced, sections were brought from the old rites and "Family Rites", and items used wer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social status and economic circumstances. The rites of the wedding brought important procedures from the old rites and actively accepted our traditional method based on the "Family Rites." Each procedure was recorded in writing to ensur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ritual. The roles of men and women in the rite of the wedding were distinguished, and the existence and role of women were carefully recorded and left in writing. Ahn's principles were the same for the sacrificial rite and the funerary rite. Item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family. Sacrificial rite and the funerary rite shared a role with inheritance. Inheritance is the process of distributing obligations and rights among members in the family, and when inherited, it is allowed to play a certain role in the ritual. Ahn was rooted in traditional studies and critically accepted new studies and organized them into his own. Ahn started from the old rites and organized the procedure of family rites according to his circumstances by including "Family Rites" and the customs together. Ahn accepted both the old rites and "Family Rites", and the way it was used in ordinary lives as well. Here, the self-consciousness of Joseon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can be found.The important point in the principle and practice of the ritual that Ahn thought was not to unconditionally follow the "Family Rites" of China or Zhu Xi, but to respect the traditions and laws of Joseon and practice them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family. 본 연구는 안정복(安鼎福, 1712~1791)의 가례(家禮) 대한 관념과 일상생활에서 실천을 검토한 것이다. 안정복은 18세기 조선의 지식인이다. 선대의 학문을 토대로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면서 성장하였고, 본격적인 연구 활동은 주희(朱熹, 1130~1200) 저술을 학습하는 데서 시작하였다. 안정복이 가례에 대한 원칙과 실천의 방식은 어떠하였나. 관례와 혼례, 제사와 상례에서 안정복은 고례와 주희의 가례 를 기반으로 하고, 이익(李瀷, 1681~1763)의 저술과 세속의 방식을 적용하여 자신만의 방식으로 정리하고 실천하였다. 관례는 반드시 시행하고, 고례와 가례 에서 필요한 절목을 가져왔으며,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사정을 고려하여 사용하는 물품을 마련하였다. 혼례는 고례에서 중요한 절차를 가져오고, 가례 를 기본으로 하면서, 신부의 집에서 혼례를 하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관습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리고 각 절차는 문서로 기록하여 의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혼례에서 여성의 존재와 역할을 주의 깊게 기록하고 문서로 남겼다. 상례와 제사도 원칙은 같았다. 집안의 형편에 맞게 물품을 준비하고, 자손은 역할을 분담하였다. 상속은 집안에서 구성원들 사이에 의무와 권리를 분배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상속을 받으면 제사에 역할을 분담하게 하였다. 안정복은 전통 학문에 뿌리를 두고 새로운 학문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자신의 것으로 정리하였다. 안정복은 고례에서 출발해서 가례 와 시속을 함께 담아 자신의 형편에 맞게 가례의 절차를 정리하였다. 안정복은 고례도 가례 도 시중에서 통용되는 방식도 모두 수용하였다. 여기서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자의식을 볼 수 있다. 안정복은 가례에서 중국의 고례나 주희의 가례 를 무조건 따를 것이 아니고, 조선의 전통과 법제를 존중하고 자신의 형편에 맞게 실천하였다.

      • KCI등재

        순암 안정복의 북방 인식

        박인호 ( Park In-ho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2

        이 연구는 한반도에게 가장 논란이 되는 공간이고 또한 그 공간에 대한 해석에 따라 상고사를 보는 시각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북방 지역의 공간에 대한 안정복의 인식을 살펴본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북방 영역에서의 문명의 흐름을 안정복이 어떻게 생각하였는가를 정리하였다. 안정복은 삼한정통론의 입장에 섰기 때문에 오해를 받고 있지만 오히려 북방 공간에서의 문명의 흐름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안정복은 고조선에서 당대에 이르는 공간의 행방에 주목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북방강토의 행방에 대한 안정복의 관심은 『동사강목』 지리고 에 잘 드러나고 있다. 『동사강목』의 강역도는 안정복의 북방 지역에 대한 인식관을 시각적으로 확인해 주고 있다. 『동사강목』에서 우리나라와 연결하는데 고심하는 태도를 보였던 부여나 발해 등 열국에 대한 안정복의 공간적 입장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강역도에서 현재 우리의 영토를 압록강과 두만강 선으로 확정한 위에 역사적 변동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러한 영역관은 오랑캐의 침입에 대한 위기의식과 결합되어 있다. 안정복이 대명의리의식 속에서 북쪽의 오랑캐에 대한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이 서북 지역에 대한 방비론으로 나타났다. 서북지역을 중심으로 변경을 지키고 침략에 대비하려는 대책으로 국경에 성책을 쌓거나 수레 사용에 대비해야 한다는 현실의식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역사 기술에서도 침구의 사실만 적는 것이 아니라 풍속, 기후, 연대, 사실의 측면에서 종합적인 배경을 확인하여 대비해야 한다고 적고 있다. 이 연구는 안정복의 북방 지역에서 전개된 문명의 흐름과 현실에 대한 인식이 『동사강목』 내의 우리나라 역사와 지리에 대한 기술과 연결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접근한 것으로 실학자들의 역사서 편찬에 대한 학문적 기초를 해명할 수 있는 한 사례를 보여주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thoughts of An Jeong-bok on the space in the northern region which is the most controversial to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depending on the idea of who occupied this area, the difference in the view of ancient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is evident. In this paper, I summarized how An Jeong-bok thought about the history of the northern region. An Jeong-bok had the idea that h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whereabouts of the northern region from Gojoseon to the present age, and also he had the position that he should study the area in detail historically. Therefore, the interest in who and when the Northen boundary occupied is well revealed in the Tongsagangmok compiled by An Jeong-bok. The map of the territory in the Tongsagangmok visually confirms the idea of the northern region that An Jeong-bok had. This map shows the territory that An Jeong-bok is thinking about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the Buyeo dynasty and the Balhae dynasty which were vaguely explained in Jirigo of the Tongsagangmok. This map presents the changes in history in the Liaodong frontier, Pyeongando and Hamgyeongdo areas, while confirming our territory as the south of the ablok and Tuman rivers. This idea is combined with the crisis consciousness of the invasion of the Manchus. This paper aims to show a case that can explain the academic foundation of An Jeong-bok's compilation of history books through the flow of history about the northern region and the idea of the northern border line.

      • KCI등재

        이익과 안정복의 고려 말 역사 서술에 대한 논의와 『동사강목』

        신항수 진단학회 2013 진단학보 Vol.- No.117

        Ahn Jeongbok is known as one of Yi Ik's faithful disciple who followed his master on compiling Tongsagangmok(東史綱目), one of the most famous work of history in 18th century. Most of their academic descendants and modern scholars have been acknowledged their academical relationship. But in some points, Ahn did not accept his master's idea, especially on historiography of the end of Goryeo dynasty. Ahn wanted to honor confucian scholars who were loyal to Goryeo dynasty, but the official history, Goryeosa, criticized them because they obeyed wrong king ‘Sin Wu(辛禑)' or ‘Wu Wang(禑王)’, known as not a real son of Kongminwang(恭愍王). Even Yi Ik's objection, Ahn tried to prove that Wu Wang was the authentic heir of Kongminwang and this work helped him honor many Confucianists loyal to Goryeo dynasty such as Jeong Mongju, Kil Jae, Yi Saek and Won Cheonsok, pioneers of Korean confucianism. Ahn ended Tongsagangmok on describing Confucianists who hided in Tumundong from new dynasty. On this point, one of most important Ahn's purpose in writing Tongsagangmok was restoration the honor of great masters of Confucianism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안정복은 『동사강목』을 통해 이익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정복은 『동사강목』을 편찬하면서 이익의 생각을 많이 수용하여, 뒷날의 학자들은 대부분 이익이 『동사강목』의 의례를 제시하고, 안정복은 이에 따랐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안정복은 이익의 의견을 모두 받아들이지는 않았으며, 이익은 이에 대하여 불만을 갖기도 하였다. 안정복이 수용하지 않은 이익의 의견은 고려 말의 역사상에 대한 평가였다. 안정복은 고려 말 절의를 지킨 정몽주 등의 ‘제현’을 추숭하고자 하였으나, 이들에게는 우왕과 창왕 아래에서 벼슬하였다는 약점이 있었다. 안정복은 『동사강목』의 저술 동기를 밝히며 『고려사』에 은일전 등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즉 고려 말 ‘제현’의 추숭은 『동사강목』 서술의 매우 중요한 동기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정복은 우왕이 공민왕의 정통을 이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익과의 갈등도 있었고, 조선 왕조 아래에서 그대로 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우려도 있었다. 하지만 안정복은 『동사강목』을 서술하면서 우왕에 대해 철저하게 정통의 필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안정복은 정몽주 등 고려 말 제현에 대하여 아무런 혐의 없이 추숭할 수 있었으며, 『동사강목』은 고려에 의리를 지키며 은거한 인사들에 대한 서술로 마무리되게 된다.

      • KCI등재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6) - 성호 이익과 순암 안정복을 중심으로 -

        전수연(全修延),김민재(金珉在),김용재(金容載)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0

        본 연구의 목적은, 성리학의 새로운 연구 경향을 보여준 실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사상가 성호 이익과 그의 제자 순암 안정복의 양명학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있다. 시기에 따라 비판의 수준에 차이는 있으나 퇴계 이황의 「전습록논변」이후 양명학은 꾸준히 배척당했고, 하곡 정제두가 양명학을 연구했지만 17세기에도 양명학은 이단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배척당했다. 이러한 사상사적 흐름 속에서 등장한 이익의 실학에는, 정주 성리학만을 답습하는 학풍의 문제와 사회적 혼란을 ‘경전의 본지를 현실에 실현하는 치용(致用)’으로서 개선하고자한 유학자의 의지가 담겨있다. 이 같은 이익의 의지는, 그가 존숭하던 이황과 주자의 성리설을 기준으로 삼고 의심[懷疑]과 방증(傍證)을 통해 경전의 본지를 자득(自得)하는 학문 방법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같은 방식으로 양명학에 접근했고, 이로 인해 기존 연구에서 살펴본 조선 성리학자들과 달리, 양가적(兩價的)인 관점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순암 안정복은 이익의 학통을 이어받았고 스승과 마찬가지로 이황과 주자를 도통으로 인정했으며, 이를 근거로 벽이단을 주장했다. 안정복의 벽이단은 당시 정치ㆍ사회ㆍ학술과 맞물려 발생하는 문제로부터 문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방책이었는데, 양명학도 대상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안정복이 이단으로 지목한 양명학이었지만, 자신이 이해한 바를 토대로 옳다고 여겨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익과 안정복의 유학으로서의 양명학에 대한 인식은 이단으로 배척했던 과거 정주 성리학자들의 견해와 같다. 그러나 경세적인 영역에서는 왕수인의 주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다른 조선의 정주 성리학자들과 다른 양상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를 근거로, 조선후기 실학을 개척한 학자들에게서 양명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생겼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ilhak(實學) perception of the thinker Seongho(星湖) Yi Ik(李瀷), and his student Sunam(順菴) An Jeong-bok(安鼎福) who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formation of Silhak that showed a new trend in Neo-Confucian studie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intensity depending on the period, Yang-Ming Studies were the subject of criticism after Toegye(退溪) Yi Hwang(李滉)’s “Chuanxilu(傳習錄論辯)” and Hagok(霞谷) Jeung Je-du(鄭齊斗) studied Yang-Ming Studies, but it was still heresy in the 17th century. The Silhak of Yi Ik, which emerged in this flow of thought history, contains the will of Confucianism philosopher to improve the lives of the people by ‘Zhiyong(致用)’ that realizes the meaning of Confucian classics(經典) in reality, the problem caused by the inability of Confucianism to solve social problems. Yi-ik’s willingness as a Confucian scholar is revealed to explore the main point of the scripture in a way that he ‘self-satisfied(自得)’ through ‘doubts(懷疑)’ and ‘evidence(傍證)’ based on the theories of Yi-Hwang and Zhu-zi(朱子) he admired. As a result of this approach to Yang-Ming Studies, he had a double-sided view, unlike the Joseon Neo-Confucianists who had seen in previous studies. An Jung-bok took over Yi Ik’s studies and, like his teacher, he recognized Yi-Hwang and Zhu-zi as the established theory, and based on this, he claimed the Exclusion Heresy(闢異端). Ahn Jung-bok’s Excelusion Hresy was a measure to protect colleagues from problems that arose in conjunction with politics, society, and academics at that time, and Yang-Ming Studies were also included in the list. However, Yang-Ming Studies, who was pointed out as heresy, showed critical acceptance of what was considered right based on his understanding. Yi Ik and An Jung-bok’s perception of Yang-Ming Studies is the same as those of past Neo-Confucian scholars who rejected it as heresy. However, Wang Su-In, who was judged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ing Theory, showed some positive views, and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that he was able to confirm that Yang-Ming Studies has changed its perception.

      • 順菴 西學認識의 계승과 확장, 黃德壹의 <三家略>

        조지형(趙志衡)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6

        본고는 공백당(拱白堂) 황덕일(黃德壹)의 저술 <삼가략(三家略)>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서학 인식의 형성 과정과 그에 대한 비판과 대응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황덕일은 동생 하려(下廬) 황덕길(黃德吉)과 더불어 안정복(安鼎福)의 학문과 사상을 전수한 수제자로서, ‘이익 → 안정복 → 황덕일・황덕길’로 이어지는 학통을 형성한 인물이다. 그는 안정복 문하에서 주자학을 근간으로 한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자연스레 스승이 지니고 있었던 서학의 확산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였다. 이에 황덕일은 스승인 안정복에게 편지를 보내 성호 이익의 저술 가운데 서학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 서적들을 간행하기를 청하는 한편, 문답을 통해 서학의 폐해를 성토하기도 하였다. 안정복 사후에도 황덕일은 주변 인사들에게 서학의 확산을 막기 위한 협조를 구하기도 하고, 서학에 발을 들여놓은 동류들에게는 유학의 가르침으로 복귀할 것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황덕일의 <삼가략>은 도가・불교와 함께 서학을 이단으로 지목하여 비판한 저술로 그의 서학 인식을 집약하고 있다. 황덕일은 주자학을 현정(顯正)하기 위한 방편으로 <삼가략>을 저술하여 도・불・서 삼가에 대한 이단성을 파헤치고 있으며, 이를 우선적으로 가문 내의 자제들과 자신의 문하에 있는 제자들에게 전수하고자 하였다. <삼가략> 서학 부분에서는 당시 유행하고 있던 주요 서학서적의 논점에 대해 비판을 가한다. 그리고 비판의 논설은 성호 이익과 순암 안정복의 견해를 가져와 활용하고 있다. <삼가략>에 나타난 서학에 대한 비판적 관점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서학은 노・불의 주장을 합하고 유가의 상제를 가탁한 것이라는 점. 둘째, 유・불・도 삼교의 학설을 차용하고서도 오히려 삼교를 온전히 배척한다는 점. 셋째, 실제로 서학은 노・불의 하승(下乘)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 넷째, 장차 서학이 제멋대로 사설을 행하도록 내버려 둔다면 그 해로움은 과거 노・불보다 더 심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강력한 배격의 의지로서 결말을 맺고 있다. 이러한 황덕일의 서학과 서양 인식은 오히려 이익과 안정복의 사례보다 더욱 비판적이고 배타적이었을 가능성도 크다. 本稿的目的是通过分析拱白堂黄德壹的著述<三家略>查明他的西学认识的形成过程及对他的批判和对应的样态。 黄德壹与弟弟下庐黃德吉是传授安鼎福的学问和思想的大弟子, 是形成由‘李瀷→安鼎福→黄德壹・黃德吉’承传的学统的人物。 他在安鼎福门下掌握了以朱子学为基础的学问, 在该过程中自然而然地与老师的西学扩散的问题意识形成了共识。 对此, 黄德壹向安鼎福请求刊行李瀷的著述中坚持对西学的批判立场的书籍。 通过问答声讨了西学的弊端。 此外, 还为了防止西学向周围的人士扩散请求了协助, 并向步入西学的同一流派呼吁恢复儒学的教导。 黄德壹的<三家略>是与道家・佛敎一起指责和批判西学为异端的著述, 集成了他的西学认识。 黄德壹为了恢复朱子学, 一边著述<三家略>, 一边揭露道・佛・西三家的异端性。 对此, 他要首先向家门内的弟子们传授。 <三家略>中出现的批判观点指出, 西学的学说认为儒・佛・道三家的主要内容存在假借的虚构性。 此外, 他还主张若对西学肆意散布邪说置之不顾, 其危害将比道・佛更严重。 因此, 通过强力的排击西学的意志了结。

      • KCI등재

        안정복의 조선학인(朝鮮學人) 유문(遺文) 수습 -『잡동산이』 제22책을 중심으로-

        김대중 ( Kim Dae-joong )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5

        본 논문은 安鼎福(1712∼1791) 집안에 전하는 문헌 집적물 『잡동산이』에 대한 기초 조사이다. 『잡동산이』는 총 42책 결본으로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본 논문은 제22책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거기에 수습된 朝鮮學人 遺文의 목록을 정리하고 그 수습 양상을 다각도로 분석한 뒤에 그 수습 작업이 안정복 당시에 어떤 의의를 갖는지를 가늠한다. 자료적 제약 속에서 안정복이 다양한 문헌을 섭렵하면서 李滉, 李彦迪 등의 유문을 꾸준히 수습했다는 것, 문집 뿐 아니라 『萬竹山房集帖』 같은 서첩도 문헌 입수 경로가 되었다는 것, 안정복의 문헌 수습이 비록 단편적일 수밖에 없었지만 문집에 누락된 부분을 보충하기에 충분한 수준이었다는 것 등이 본 논문을 통해 확인된다. This paper is a basic survey on Japdongsani(雜同散異), the collection of various kinds of documents that has been passed on to An Chongpok(安鼎福, 1712∼1791)’s family. Japdongsani consists of 42 books(some books are missing) and is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Limiting the scope of the discussion to the 22nd book, I compile a list of the articles left by the Confucian scholars of the Choson Dynast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ng the articles in various aspects, and then reveal the meaning of the collection at the time of An Chongpok. An Chongpok took various literary documents and steadily collected the writings left by major Confucian scholars such as I Hwang(李滉) and I Onchok(李彦迪). He studied not only the writing collection but also the calligraphy collection such as Manjuksanbangjipch'op(萬竹山房集帖). Although the collecting by An Chongpok was fragmentary, it was sufficient to complement the missing parts of the writing collection of the Confucian scholars of the Choson Dynasty.

      • KCI등재

        순암 안정복의 『周易』 인식과 象數義理論

        엄연석(Eom, Yeon-Se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상수(象數)와 의리(義理)를 조화와 균형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순암 안정복의 『주역』에 관한 인식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안정복은 象數를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호체괘와 효변설 같은 방법적 기준을 중시하였으며, 義理를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卦名과 함께 卦爻 사이의 比應 관계와 같은 기준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안정복은 『주역』은 象數와 義理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理는 占에 의지하고 占 또한 理를 벗어난 것이 아니라는 견지에 『주역』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그의 시각은 기본적으로는 상수와 의리를 조화와 균형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안정복은 ‘괘명’을 중시하고, 괘효사 사이의 호응관계에 따라 『주역』 괘효사를 해석하거나, 도덕적 의리 실천의 관점에서 괘효사를 이해함으로써 의리역학적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도덕적 지향과 실천 여부로 인격을 구별하는 君子와 小人의 개념을 통하여 괘효사를 의리역학적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다른 한편 그는 「河圖洛書」의 자연의 法象이 드러내는 수리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互體卦(互卦)를 이용한 『주역』의 괘효사 해석 사례, 「잡괘전」이해 등을 통하여 상수역학적 해석방법에 의거하여 『주역』을 이해하고 있다. 象數와 義理의 조화를 지향하는 안정복의 『주역』에 대한 인식은 기본적으로 『주역』을 미래를 예측하는 점서로서의 기능과 함께 특정한 실천 상황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해야 할 것인가 하는 의리적 목표를 함께 통섭하는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인간이 실현하고자 하는 보편적 의리와 함께 구체적이고 특수한 상황의 특성[吉凶]에 대한 객관적평가를 함께 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상수와 의리를 조화와 균형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안정복의 『주역』인식은 경세론이나 역사사상과 관련하여 특수한 시대적 상황에 대한 구체적 인식의 중요성과 같은 측면을 중시하는 것과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바로 안정복의 상수와 의리의 조화를 추구하는 『주역』에 대한 인식이 그의 경세론과 주체적 의리적 역사관에 철학적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thesis intended to examine a characteristic of Sun-am An Jeong-bok’s perception of the Book of Changes, who grasps the symbol-number and rational principle in equal and harmonious point of view. An Jeong-bok valued such as hexagram of relative linking [互體卦] and the theory of lines-change[爻變說] in favor of symbol-number, and attaches importance to the name of hexagram [卦名] and relative response between two lines with relate to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However, a characteristic of An Jeong-bok’s understanding of the I Ching lied in the thought that the symbol-number is connected with the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organically, and the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relies on divination and the divination doesn’t deviate from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His outlook as this is that he understands symbol-number and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in harmonious and equal point of view. An Jeong-bok manifested the support of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theory by valuing name of hexagram and interpreting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of the I Ching in accordance with relationship of the relative response between them, and viewing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in relation with moral practice. He interpreted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morally by discriminating a superior man from inferior one. On the other hand, he understood the I Ching according to the interpreting methodology of the symbol-number theory of the I Ching through perception of the mathematical principle which natural model and symbol of Hado-Lakseo exposes, and the interpreting example of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availed of hexagram of relative linking and comprehension of Commentary of Mixed Hexagram[雜卦傳] etc. Basically, An Jeong-bok’ perception of the I Ching, who aimed at a harmony between symbol-number and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has the meaning that he integrates organically function of divination forecasting future and the moral act of man through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