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할 삼각형을 활용한 연극치료 사례

        이효원 ( Hyo Won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3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3

        역할 삼각형(role triangle)은 역할 접근법이 건강함의 기준으로 제시하는 역할 양면성(role ambivalence)을 연극치료에 최적화하기 위해 연구자가 제안하는 극적 구조다. 역할 접근법을 주창한 로버트 랜디는 그동안 역할 프로파일, 역할 점검표, 이야기하기 등 진단평가 도구의 형식으로써 참여자의 역할 체계를 점검하고 역할 양면성에 근접할 수 있도록 돕는 구조를 개발해왔다. 그러나 그 도구들은 자기보고식의 언어적 투사 검사이거나 초점이 결여된 극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역할을 중심으로 한 진단평가 도구로서의 한계를 노정한다. 뿐 아니라 역할 분류의 결과를 집약하여 극화하기 좋도록 주인공 서사를 모방한 현재의 나-미래의 나-방해자-조력자의 구조는 역할양면성을 위한 역할-반대역할-안내자의 삼각 구도와 잘 접합되지 않는다. 그래서 역할 삼각형은 역할-반대역할-안내자를 피해자-가해자-안내자로 집약하고, 그것을 다시 동물 은유를 빌어 ‘가장 약하고 보잘 것 없는 동물’과 ‘가장 힘세고 사나운 동물’로 제시한 다음 참여자가 선택한 동물을 연기하게 한다. 이후 작업에서는 피해자와 가해자를 중심으로 그와 관련된 감정과 신념을 탐험하고 그 두 역할이 공유하는 욕망/주제를 찾는다. 그리고 피해자와 가해자 한 쌍의 또 다른 반대 역할로 상정되는 안내자는 그 욕망/주제의 근본적인 무용함과 불가함에 바탕 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조율함과 동시에 피해자로서의 힘과 가해자로서의 힘을 모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끈다. 요컨대 역할 삼각형은 역할 양면성을 성취하기 위한 순차적인 작업의 구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역할 삼각형을 활용한 단기 연극치료 사례를 기술한다. 참여자 A는 피해자로 머릿니를, 가해자로 독수리를 선택하였다. 각 동물로서 살면서 그와 관련된 감정과 신념을 살핌과 동시에 피해자와 가해자를 모두 자기 것으로 수용하도록 촉진하였다. 그리고 ‘시선의 권력에 대한 욕망’을 피해자와 가해자의 공통된 뿌리로 보고 그 대척점에 있는 ‘경험 자체를 즐기는 사람’으로서 안내자 역할을 찾았다. 끝으로 세 역할의 역동을 조각상의 형식으로 탐험함으로써 마음의 지도를 완성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new dramatic structure, ``role triangle`` for accomplishing role ambivalence the goal of role method. Robert Landy said the role ambivalence can be approached through role-counter role-guide. To locate those roles he developed several tools, Role profile, Role checklist and TAS and extracted heroic narrative structure from the result, ``i am this``, ``i want to be this``, ``this is obstructor``,``this is helper``. Role profile and Role checklist are both linguistic projective self reporting tools and the results can``t go beyond participant``s self-recognition. TAS is too opened structure to assess one``s role system especially role-counter role-guide. Most of all, the limit of existing tools is that they don``t focus their effort to grasp the dynamic of role-counter role-guide. Role triangle is developed on these understanding. It abridges role-counter role-guide to victim-perpetrator-guide under-standing all psychological disorder can be a variation of PTSD. The victim implies a wound. It can be a receptive capacity. The perpetrator implies power, and it can be expressed to self-assertiveness. The second constituent element of it is animal metaphor. Animal is very powerful archtype, and it makes much easier select and express roles for different participants. And Role triangle is a sequential structure. On diagnostic phase, it figure out two roles,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That is leading to exploration of each role and their common desire/theme. And based on this, it choose the third role guide and carry out an experiment of their possible and desirable dynamic. Role triangle is also dramatic structure engages embodiment and role compared existing tools. I, researcher used this role triangle to dramatherapy with the disabled children``s mothers, and described participant A``s case. Her victim(the weakest and worthless) was a head lice and her perpetrator(the strongest and violent) was an eagle. Living as a head lice gave her an opportunity to encounter her deep anxiety and guilty, and through a perpetrator role(an eagle) she could rehearse and strengthen her self-assertiveness. Her victim and perpetrator share the desire of power of gaze, so the third role guide need to be relaxed one free from that value judgemental serious world. It was an squirrel for her. Finally she made her mind map composed of three roles, and I, researcher helped her accept the victim instead of rejection, redirect the perpetrator toward outside, and relate the guide with the other roles.

      • KCI등재

        마지 피어시의『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에 대한 여성주의적 독법: 유토피아 문학에서의 방문자 : 안내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지은(Kim, Jieu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1

        유토피아 문학은 현실사회와는 다른 이상사회의 특징을 단순히 백과사전식으로 나열하는 관광 안내문이나 개인적 경험을 담아내는 여행기가 아니라, 유토피아 사회(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안내 관광’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문학 장르이다. 유토피아 문학에서 방문자와 안내자가 주고받는 대화는 상호작용하면서 변증법적으로 유토피아 사회(상)을 검토하는 산파술적 ‘소크라테스식 대화’로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유토피아 문학작품 속에서 유토피아를 방문하는 자가 누구이며, 이 외부의 방문자에게 유토피아의 내부를 안내하는 자가 누구인지, 또한 방문자와 안내자로서 이들은 어떤 관계를 맺게 되는지 파악하는 것은 작품을 읽어내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분석틀이다. 이 글은 마지 피어시의 『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에서 여성 방문자 코니와 여성 안내자 루시엔테가 맺는 관계를 기존 남성 작가의 유토피아 문학에서 남성 방문자와 남성 안내자가 맺는 관계와 비교하고, 그 특징으로 필연성과 미종결성 그리고 실천성으로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코니와 루시엔테의 만남과 접속이 첫째, 우연이 아닌 필연이고 둘째, 일회성으로 종결되는 것이 아닌 복수적 접속으로 진행되며, 셋째, 적극적인 개입과 저항을 요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피어시의 작품에서 상상되고 추동되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상)은 기존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만듦으로써 여성 억압의 현실을 변화시키는 대안적 가치이자 저항적 실천 그리고 연대의 가능성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살펴본다. Utopian literature is not just a travel guidebook that encyclopedically lists the characteristics of ideal society different from the real society, or a travel essay that describes the personal experience. Instead, utopian literature is the genre that strategically takes the form of ‘travel guide’ for a critical review on the utopian social aspects. In utopian literature, visitor and guide exchange an interactive conversation composed of the maieutic ‘Socratic dialogue’ which deeply examines the utopian social aspect in a dialectical method. Therefore, identifying who visits the utopia, who guides the visitor throughout the utopia,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form as visitor and guide in utopian literature are crucial analytical tools in interpreting utopian literature.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emale visitor named Connie and a female guide Luciente, and the time which enables this relationship in the Woman on the Edge of Time by Marge Piercy. In this fiction, the feministic utopia imagined and driven by Connie and Luciente is suggested as the alternative value, resistant practice, and possibility of solidarity that ultimately changes the reality of suppression on female by causing a crack on the existing ruling ideology.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의 수업비평 방법과 안내자 역할

        김현미(Hyun-mi Kim),권귀염(Kyee-yum Kwon)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2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과 수업비평을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 적절한 수업비평 실천 방법과 안내자 역할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9년 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약 12개월 동안 안내자 1인과 유아 교사 3인의 수업비평 모임이 총 12회 이루어졌으며 수업비평 토론 기록, 작성된 수업비평문, 참여교사들과의 면담, 안내자의 반성적 저널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비평의 방법은 수업 관찰하기-토의를 통한 분석하기-비평문 작성하기-비평문 공유 및 종합하기의 네 단계를 기본 토대로 하되, 참여자들의 성장이나 모임의 맥락에 따른 몇 가지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업비평 안내자는 전체와 부분을 조율하고, 공감과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사고의 확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참여 교사들의 성장에 따라 안내자 역할의 조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appropriate methods of class critique and roles of guid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through the process of practicing class critique with teachers. From February 2019 to January 2020, about a year, 12 times of class critique meetings with a guide and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record of meetings, class critique papers,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of the guide.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The four steps of class critique, observation of class activities-analysis through discussion-writing critique paper-sharing and synthesizing the critique paper, were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rowth and context of the meetings, however, adjustment of specific parts of the steps were needed. The roles of the guide of class critique were coordinating whole flow and details of the meetings, making comfortable atmosphere, and facilitating the participants’ thoughts.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modify the guide’s roles depending on the participants’ growth.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관광목적지 경험에서 안내자의 설명이 관광객만족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진재수,조선배,최현준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9 호텔경영학연구 Vol.2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ravel guide’s explanations on tourist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the travel destination experience, and to suggest implications related to Korean domestic tourism. This study used two factors (eg, tourist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Korean tourists who experienced domestic tourism within the last three months from September 01, 2018 to November 30, 2018. A total of 330 copies were distributed to tourists and were given an explanation of the purpose of the questionnaire, and use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287 (87%)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when there was no tour guide explanation, the effect on the tourist (eg, tourist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when there was a guide’s explanation in the travel destination experience. Second, tourist satisfaction in the travel destin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the tour guide’s explanations in the travel destination experience can be confirmed. Implication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이 연구의 의도는 관광목적저 경험에서 안내자의 설명이 관광객만족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탐색적으로 접근하고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표본은 2018년 09월 01일부터 11월 31 일까지 국내 주요 관광지를 다년온 내국인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방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응답으로, 안내자 설명 유무, 관광객만족, 추천의도, 표본특성 등이 포함되었다. 측정척도의안내자 설명유무, 관광객만족, 추천의도 등 세 변수를 중심으로 7점 리커트 척도(양극단의 예: 1=매우 그렇지 않다, 4=보통이다, 7=매우 그렇다)로 접근하였다. 분석표본은 총330부 가운데 유효표본287(87%)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통계프로그램 SPSS V.25를 이용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으로 접근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관광목적지 경험에서 안내자의 설명이 있을 때가 없을 때 보다 관광객만족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목적지 경험에서 안내자의 설명이 있을 때가 없을 때보다 추천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관광목적지경험에서 안내자의 설명에 만족한 관광객은 다른 사람들에게 관광목적지 방문을 권유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관련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안내자의 조력이 여행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진재수,조환기,김광용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9 호텔경영학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guide’s explanations on the travel consumer’s satisfaction in Korean societ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rom September to October of 2018, with people living in Seoul and Chungbuk Cheongju City. A total of twelve people, aged from teens, 20s, 30s, 40s, 50s, and 60s, 20th, 30th, 40th with one male and female from each age group,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d four steps of analyse-proceeding methods called, Step 1: recognition stage, Step 2: construction stage, Step 3: integration stage, and Step 4: factors stage, respectab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rived to eight topics, that are as follows. Topic 1 is an “attraction”, is a lovely, enjoyable, and captivating experience. Topic 2 is a “mystic”, that are like a never before seen experience and first time experience. Topic 3 is a “historic”, that are naturale site and artificial historical sites. Topic 4 is an “entertainment”, that are visual, aesthetic, and experience. Topic 5 is an “escape from everyday lives”, that are an escape from work, and from human relations. Topic 6 is a “reliability”, that are specialist, and authenticity of guide. Topic 7 is an “empathy”, that are care and pay attention. Lastly, Topic 8 is a “responsiveness”, that are timely and kind answers. Implications of this article provide theoretical and insightful contributions and also practical suggestions are discussed. 이 연구의 주 의도는 안내자의 조력이 여행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접근하여 그 해를 구하고, 관련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은 서울과 충북청주에 거주하는 10부터 60까지 각 연령별로 남녀 각1명으로, 응답자 총 12명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여행경험관련 경험진술을 바탕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통해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였다. 심 층면접을 통한 응답자 진술 자료는 4단계 분석과정(1단계: 인지화, 2단계: 의미화, 3단계: 통합화, 4 단계: 요인화 순)을 통해 총 8주제로 분석되었으며)을 통해 총 8주제로 분석되었으며, 각 최종 요인 명은 “매력성”, “신기성”, “역사성”, “오락성”, “일상탈출성”, “신뢰성”, “공감성”, “응성” 등으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력성은 마음을 사로잡는 경험과 호감이 가는 멋진 경험으로,. 둘 째, 신기성은 새로운 경험과 신기한 경험으로, 셋째, 역사성은 자연자원의 역사와 문화・예술・인문 자원의 역사로, 넷째, 오락성은 시각적 흥미와 심미적 흥미 및 체험적 흥미로, 다섯째, 일상탈출은 업 무로부터 해방과, 관계로부터 도피로, 여섯째, 신뢰성은 안내자의 전문성과 전문성으로, 일곱째, 공감 성은 안내자의 배려와 관심으로, 여덟째, 응성은 신속하고 친절한 답변 등으로 요약되었다. 분석결 과를 통해 도출된 결과와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관광경험과 학습의 관계 : 활동이론적 접근

        전주형 대한산업경영학회 2021 산업융합연구 Vol.19 No.1

        관광자는 타지역을 이동하면서 자신의 생각과 충돌하는 수많은 사실과 만난다. 이때 새로운 것을 알게 되고 삶에 대처하는 자신의 견해를 바꾼다. 이런 면에서 관광은 현장 적응적인 학습 방법의 하나다. 이 연구에서는 활동이론을 적용 하여 관광지에서 겪는 경험과 학습의 관계를 분석했다. 활동이론의 분석단위는 관광활동의 주체, 목표, 공동체, 역할, 방법 과 규칙, 성과물, 공동체와 관련성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광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해설사·안내자와 심층면 접을 진행하여 관광자의 학습과정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관광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경험은 해설사·안내자의 해설과 안내 의 활동체계 단위는 물론이고 단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일어나고 있었다. 이 상호작용이 관광경험 활동체계의 변화를 유도하여 관광자의 학습을 가능하게 만든다. 학습 내용은 안내자와 해설사의 역할이 커질수록 학습 가치도 올라간다는 점, 관광경험이 사회적․문화적 차원의 학습 효과에 포함된다는 점, 활동체계 내 혹은 활동체계 간에는 상호작용하면서 이때 발생되는 모순의 해결과정을 관광자가 스스로 찾는다는 점, 관광경험은 고립된 단위가 아니라 계층 구조와 네트워크 교차점에 존재하기 때문에 공동체의 활동과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다. As tourists travel to other regions, they encounter numerous facts that conflict with their views. At that time, we change our view of coping with life. In this respect, tourism is a new way of learning. As a new learning method, tourism experience research is a new approach.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learning experienced in tourist destinations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activity theory. The analysis units applied in the activity theory were set as subjects, goals, communities, roles, methods and rules, outcomes, and relevance to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ommentators and guides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ourism experience to analyze the learning process of touris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iences of tourists during the tour were interactive in various forms within the unit as well as the unit of the activity system of the commentator and guide. This interaction induces changes in the tourism experience activity system, enabling tourists to learn. The content is that the value of learning increases as the role of guide and commentator increases,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 of tourism experience is included in the learning effect, and the contradictions that arise from interactions within or between activity systems. The fact that they find the solution process themselves, and that tourism activity is not an isolated unit, but exists at the intersection of hierarchies and networks, is affected by the activities and environments of others.

      • KCI등재
      • KCI등재

        프레네의 교사론

        정훈(Jung Ho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2

        본 연구의 목적은 프레네의 여러 저작들과 현재 그의 교육론을 따르는 교사들의 모습을 기준점 삼아 우리가 그려보고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는 교사 존재의 특성과 역할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레네는 권위주의적이고, 아동의 자연적 성향 대신 그들을 조작과 길들임의 대상으로 보고, 언어적 설명에 의존하고, 통계적ㆍ과학적 방법에 의존하던 당시의 전통적 교사 모습에 비판적이었다. 둘째, 이에 프레네 교사는 비권위주의적이고, 아동의 자연적 성향에 귀를 기울이고, 삶의 경험과 행위를 중시하고, 마을 현자들의 양식과 지혜에 주목했다. 셋째, 프레네 교사의 주된 역할은 학생과 동료교사, 학부모들을 포함한 지역공동체 구성원들과의 다각적 협력구조를 형성하는 협력의 조직자로서의 역할, 교사들을 교육운동의 주체로 세우는 교육환경 구축과 교육자료 개발자로서의 역할, 권위주의적 교사상에서 벗어나면서도 그들을 방임하지 않는 안내자로서의 역할, 교사의 역할을 교실 안으로 한정하지 않고 아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치적 조건에 관심을 갖는 사회적 활동가로서의 역할, 자신의 실천을 이론으로 정립해가고 동료들과의 자발적 연구모임을 실천하는 연구자로서의 역할이다. 넷째, 이러한 프레네 교사의 다섯 가지 역할은 오늘날의 교육 시장화 정책 아래서 간과될 수 있는 주된 교사 역할이 무엇일 수 있고, 그 역할이 갖는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In these days, the application of market principle to education has led to academic achievement-based school climate, standards-based tests, and it has influence on reason of being of teacher and teacher's role. For that reason, by examining the works of Freinet, I hope to show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eacher that are worthy of notice. The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einet raised objections to the tendencies of traditional(or conventional) teachers based on authoritarianism, tameness, verbal explanation, statistical method and so on. Second, today's Freinet teachers therefore aim for an image of teacher based on antiauthoritarianism, child's natural tendency,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living, good sense of sage. Third, we can categorize the major roles of Freinet teacher as organizer of cooperation, inventor of educational materials, guide, activist, researcher. Fourth, the school designed to prepare students for standards-based tests has led to neglect roles of teacher in relation to organizing of cooperation, activist. We therefore ar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five teacher's roles that were suggested by Freinet.

      • KCI등재
      • KCI등재

        하브루타 기반 일본어과 학습자중심 수업 연구

        정희영(Jeong Hee-Young) 대한일어일문학회 2021 일어일문학 Vol.92 No.-

        본 연구는 일본어 전공 교과 가운데서도 지식 정보 중심 교과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 변화에 초점을 두고 적극적 학습자 활동을 위하여 ‘일본 문화’와 ‘일본어 문법 I’ 두 강좌의 한 학기 온라인 수업 전체에 각각 하브루타를 도입하였다. 즉, 학습자와 교수자의 역할 변화의 필요성 및 목적인 듣기만 하는 학습자가 아닌 적극적, 능동적 학습자로의 변화를 함께 요구하고 있기에 안내자, 촉진자로서의 교수자의 변화 이상으로 질문하고 토의·토론을 통해 깊이 이해하는 성장 지향적 학습자로의 변화를 함께 목표로 하였다. 그 결과 하브루타 기반 일본어과 학습자중심 수업은 특히, S대학교 1학년 일본문화 수업에서 t값 –5,260, 유의확률 .000으로 학습자들은 하브루타 기반 학습자중심 수업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 하브루타 기반 수업에서 (1) 발표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 것은 수업전 개인 사전 조사 활동(학습지)으로 나타났다. (2) 하브루타 기반 수업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은 짝토론 & 모두토론으로 학습자들은 하브루타 모형에 의한 토의·토론을 좋아했다. (3)하브루타 기반 수업에서 가자 어려웠던 부분으로 수업전 개인 사전 조사 활동(학습지)를 들고 있는데 이는 하브루타 활동을 위한 사전 준비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는 결과로 분석된다. (4) 학습자들은 하브루타의 6가지 원리 가운데 경청 재확인, 반문을 가장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하브루타 수업은 2학년 학습자들에게 있어 자기 생각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능동적 학습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6) 하브루타수업모형에서 가장 유용했던 모형은 질문중심, 침구가르치기, 문제만들기 모형이었다. This study introduces Havruta into the two courses of ‘Japanese Culture’ and ‘Japanese Grammar I’ through online classes for active learner activities, focusing on the change in the role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he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subject. In other words, since the necessity of the changing role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requires that learners are to be a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how to change students into a growth-oriented learners who ask questions and understand deeply through discussion beyond guide instructor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learners of learner-centered classes in the Habruta-based Japanese language department were particularly satisfied with the Habruta-based learner-centered classes, with at value of -5,260 and a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0 in Japanese culture class of the first grade at S University. Through Habruta-based classes, (1)it was found that personal pre-class research activities (worksheets) helped improve presentation skills. (2)The best part of the Haveruta-based class was the paired and all-to-one discussion, and the learners liked the discussion based on the Habruta model. (3)The difficult part of the Habruta-based class is the individual pre-study activity (worksheet) before class. (4)It was analyzed that learners most frequently used listening reaffirmation and counter-question among the six principles of Havruta. (5)Havruta classes are working effectively to make students become active learners who can express their thoughts well for second-grade learners. (6)The most useful models in the Havruta class model were question-oriented, friend teaching, and problem-making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