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쟁명명의 정치학: "아시아ㆍ태평양전쟁"과 "6∙25전쟁"

        김명섭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9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0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politics of “war naming” which often leads to “naming wars,” by focusing on two military conflicts that involved Korea. First, the military conflict from 1931(or 1937 or 1941) to 1945(or 1952) in the Asia-Pacific area has been variously named as the Pacific War, the American- Japanese War, the Asia-Pacific War, or the Great East Asian War(Daitowa Senso). Second, the military conflict from 1950(or 1948) to 1953(or to the present) on the Korean peninsula has different names such as the 6•25 sabyon(incident), the 6•25 jeonjaeng(War), Hanguk jeonjaeng, or Kim Il- Sung’s War. In North Korea, it is formally called the Joguk haebang jeonjaeng(the War of Fatherland Liberation). In China, the conflict was officially known as “the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抗美援朝). Analyzing the politics of naming in these two cas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term of “the Asia-Pacific War” is the tempo-spatially most adequate and the term of “6•25 War in Korea” is politically most nonprejucial which can be used even after the Korean reunification. 이 논문은 명명의 전쟁으로 이어지곤 하는 전쟁명명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1931년(혹은 1937년이나 1941년)부터 1945년(혹은 1952년)까지 아시아ㆍ태평양지역의 집단적 무력분쟁에 관해서는 태평양전쟁, 대동아전쟁, 미-일전쟁, 그리고 아시아ㆍ태평양전쟁 등의 용어들이 혼재한다. 1950년(혹은 1945년이나 1948년)부터 1953년(혹은 현재)까지 한반도지역의 집단적 무력분쟁에 관해서는 6∙25사변(동란), 6∙25전쟁, 한국전쟁(동란), 조선전쟁, 조국해방전쟁, 항미원조전쟁, 그리고 김일성공란 등의 용어들이 혼재한다. 이 연구는 이들 용어들 중 아시아ㆍ태평양전쟁이라는 용어 가 전쟁의 시공간적 성격을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한반도) 6∙25전쟁이라는 용어가 적어도 남북한통일 이후에까지 가치중립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용어라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 전쟁이 미국 해병대의 발전에 미친 영향:상륙전 경험을 중심으로

        김명섭,최정준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08 국방연구 Vol.51 No.2

        This paper is analyzing the impace of the Asia-Pacific War on the development of U.S. Marines Corps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of amphibious operation during the war. After the First World War, U.S. had prepared War Plan Orange against the potential threat of Japan in the Pacific. Even though the U.S. Marine Corps developed the amphibious warfare doctrine and special equipments, U.S. was not well prepared to the amphibious war before the Asia-Pacific War. Through the Asia-Pacific War, the U.S. Marine Corps did 18 times of amphibious assaults to the shore occupied by Japanese. Every time when the U.S. Marine Corps had completed the amphibious operations, they tried to revise the amphibious assault's skill and know-how which they experienced. The results of Asia-Pacific War that influenced to the development of U.S. Marine Corps were as follow. Firstly, it promoted the development of amphibious warfare doctrine and special equipment such as amtrac, LCP, LVTs, LCVP, etc. Secondly, it changed the structure of U.S. Marine Corps that easily adaptable to perform amphibious warfare. Today's structure of U.S. Marine Corps is very similar to 50 years ago which can deploy swiftly and take action any time and any where. Thirdly, it affected to establish the substanti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the U.S. Marine Corps. During the war, the training facilities were improved and the recruits were trained various depots.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 system concurrently prompted the development of amphibious warfare doctrine. 이 논문은 아시아ㆍ태평양 전쟁에서의 상륙전 경험이 미국 해병대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우선 아시아ㆍ태평양 전쟁 이전 미국 해병대의 상륙전계획에 관해 살펴볼 것이다. 제 1차 세계대전이 종전된 이후 미국은 태평양 지역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일본과의 전쟁에 대비하여 오렌지 계획(War Plan Orange)을 수립했다. 전간기의 오렌지 계획을 통하여 미군은 상륙전의 효용성을 인식하고 교리와 장비, 무기체계의 개발 그리고 교육훈련 체계를 정립하여 나갔으나, 실제적으로 상륙전이 발전하게 된 것은 아시아ㆍ태평양 전쟁을 통해서였다. 이 전쟁 기간 동안 미군은 총 44회에 걸쳐 태평양 지역의 다양한 작전환경 속에서 상륙전을 시행하고 체득한 경험을 반영하여 상륙전 교리, 무기체계 그리고 부대구조를 변화시켰고, 교육훈련체계를 정립하였다. 아시아ㆍ태평양 전쟁에서 상륙전 경험은 미국 해병대의 발전에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첫째, 상륙전 교리와 상륙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기체계의 발전을 유도하였다. 둘째, 상륙전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부대구조를 변화시켰다. 셋째, 상륙전을 전문적으로 교육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훈련 체계가 정립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륙전이 발전하는데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미국 해병대가 안정적인 군종으로서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 <역사총합>의 침략전쟁(1931~1945) 관련 기술 검토

        전경선 한국역사교육학회 2024 역사교육연구 Vol.0 No.48

        이 연구는 2021년 4월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증을 통과한 교과서 역사총합 중 4종의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특히 1931년부터 1945년까지의 일본의 ‘침략전쟁’, 즉 만주사변과 만주국의 성립, 중일전쟁, 아시아・태평양전쟁 관련 서술을 집중 분석하였다. 2022년 4월부터 일본 고등학교 학생들은 신설 과목 「역사총합」을 필수로 이수하고 있다. 「역사총합」은 근현대 역사를 일본사와 세계사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시도로 집필한 과목이다. 또한 그 학습방식에서도 기존의 통사학습을 지양하고 주제학습, 과제해결학습으로의 전환을 지향한 과목이기도 하다. 이런 취지를 담고 있는 개정 교과서 역사총합 은 긍정적 평가를 받을 부분도 적지 않다. 그러나 교과서가 담고 있는 역사, 내용면에서는 현재 주변국가와의 역사인식의 간극을 좁히기에는 많은 한계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첫째, 본 과목이 지향하는 주제학습에 있어 자료가 가지는 중요성은 크지만, 그럼에도 일부 교과서에는 만주국이나 중일전쟁의 본질을 왜곡할 수 있는 포스터나 사진들이 실려 있다. 둘째, 중일전쟁,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잔학행위나 일본의 식민지・점령지에서의 전시 동원의 실상이 제대로 서술되고 있지 않다. 특히 ‘난징대학살’을 ‘난징사건’으로 명명하는 것은 그 잔학성과 폭력성을 은폐하는 것이다. 셋째, 일본인의 전쟁인식, 즉 전쟁의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라는 인식은 교과서의 서술에도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전쟁이 초래한 자국의 피해와 고통을 서술하는 데 집중하고 일본이 주변국에게 끼친 막대한 피해와 고통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근현대의 역사를 ‘근대화’, ‘대중화’, ‘글로벌화’라는 3개의 특정 개념으로 파악함으로써 발생한 문제점이다. 제1, 2차 세계대전이라는 전례 없는 대규모의 전쟁이 발생한 시기를 ‘대중화’라는 키워드로 묶어냄으로써 일본이 전쟁의 가해자임에도 전쟁에 대한 성찰을 제대로 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이번 개정 교과서는 체제, 학습방식 등의 방면에서 새로운 시도로 기대를 모았지만, 그 내용에서는 한중일 삼국의 역사인식의 간극을 좁히고 동아시아의 평화 안착에 기여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한계를 지닌다.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of four types of “General History” that were verifi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MEXT) in n April 2021. Descriptions of Japan’s war of aggression from 1931 to 1945, to be specific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Asia-Pacific War were intensively analyzed. This course was written as a new attempt to integrat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ith Japanese history and world history. In addition, in terms of its learning method, it is also a subject that aims to shift from traditional complete history learning to topic learning and problem-solving learning. In this respect, there are many aspects that can be evaluated positively. However, it currently has many limitations in terms of history, that is to say content in narrowing the gap in historical awarenes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First, some textbooks contain posters or photos that may distort the nature of Manchukuo or the Sino-Japanese War. Second, the atrocities committed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Asia-Pacific War, as well as the reality of wartime mobilization in Japan's colonies and occupied territories, are not properly described. Third, Japan's perception of war as a victim rather than a perpetrator of war is also reflected in textbook descriptions. Lastly,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understood through three specific concepts: ‘modernization,’ ‘popularization,’ and globalization.’ By bundling the period when unprecedented large-scale wars such as World Wars I and II occurred under the keyword ‘popularization’,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flect on the war of aggression brought about by Japa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영천의 독립전쟁 전통과 군사시설

        김윤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6

        이 글은 영천의 근대사를 전쟁과 군사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립을 향한 전통은 독립운동사의 관점을 넘어 군사사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독립전쟁의 전통이라 할 것이다. 전근대에서 근대로,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외부의 군사강점에 맞서 싸운 군사활동은 국군의 역사차원에서 포괄적인 운동사의 관점보다 의병전쟁에서 독립전쟁으로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전쟁은 다양한 군사시설을 포함한 군사흔적을 해당 지역에 남기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경북 영천에 주목했다. 본문에서는 먼저 영천의 의병전쟁과 독립운동의 전개를 살펴보았다. 경북의 여타 지역과 교통망이 연결되어 있던 영천은 다른 지역과 연대하여 을미의병과 정미의병을 일으켰다. 일본의 침략을 막고자 일으킨 의병전쟁은 이후 3‧1독립운동, 일본·만주·중국 등 국내외 독립전쟁으로 이어졌다. 다음으로 한반도에서 일본군의 군사활동을 검토했다. 일본은 한국주차군 제14연대와 한국주차헌병대를 영천에 파견하여 의병의 활동을 막았고, 식민지가 된 한반도에 일본군 2개 사단을 상주시켰다. 대구에 본부를 둔 일본 육군 보병 제80연대의 영향 아래 있었던 영천은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 금호에 영천비행장을 건설하고 항공부대를 주둔시켰다. 영천의 주요 지점에는 고사포를 설치하고 부대를 편성했으며, 일본군이 주둔하고 지역의 치안을 담당하는 헌병대도 활동하고 있었다. 당시 군사시설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This article revisits the modern history of Yeongcheon from a war and military perspective. The tradition of independence is the tradition of the War of Independence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military history beyond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modern era to the present, military activities have expanded from the War of Militancy to the War of Independence, rather than a comprehensive movement history in terms of the history of the national army. In addition, wars leave military traces in the region, including various military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Yeongcheon, Gyeongbuk Provinc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mercenary war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Yeongcheon. Yeongcheon is connected to the rest of Gyeongbuk by a transportation network. Therefore, Yŏngcheon was able to join forces with other regions to launch the Eulmi's Disease and Jeongmi's Disease. This led to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Manchurian, and Chinese wars of independence at home and abroad. Next, we reviewed Japanese military activities on the Korean Peninsula. Japan dispatched garrisons and gendarmes to Yeongcheon to stop the activities of the samurai. Japan then stationed two divisions of the Japanese army on the Korean Peninsula. Yeongcheon ca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80th Japanese Army Infantry Regiment, headquartered in Daegu. During the Asia-Pacific War, Yeongcheon built Yeongcheon Airfield and stationed aviation units. High-powered artillery was installed at key points and troops were organized. Japanese troops were stationed and gendarmes were in charge of policing the area. The military facilities remain to this day.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조선의 위상 변동 - 인문사 편집부 편,『대동아전쟁과 반도』를 중심으로 -

        오태영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학연구 Vol.34 No.-

        The Asia-Pacific War in 1941 is also a war which Koreans suffered in modern times and caused a tremendous change to the topology of Korea at that time. The Greater East Asia War and the Korean Peninsula published in 1942 is an important book which discussed the topology of Colony Joseon in connection with this war shortly after the Asia-Pacific War broke out. The authors of this book were ideologues representative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atter part of Colony Joseon Era, who were Japanese intellectuals residing in Joseon and intellectuals from Colony Joseon. They understood the reshuffle of East Asia’s regional order caused by the Asia-Pacific War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y Joseon on the one hand, and attempted to reestablish the topology of Colony Joseon in the reshuffling process of East Asia’s regional order on the other hand. At that moment, Colony Joseon’s topology was transformed from logistics base for advance into the Continent after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to logistics base for building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 KCI등재

        주변부의 세계사 : 최인훈의 『태풍』과 원리로서의 아시아

        장문석 ( Jang Moon-seo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5 No.-

        이 글은 최인훈의 『태풍』(1973)을 제국과 식민지의 이항대립을 벗어나, 새로운 세계사의 원리를 탐색한 소설로 독해하고자 한다. 식민지의 경험과 지구적 냉전이 중층결정하여 구성된 동아시아냉전분단체제는 탈식민의 상상 또한 특정한 방향과 규정된 범위 안에 한정하였다. 1970년 초반의 데탕트를 통해 냉전의 사회적 분위기가 누그러질 무렵, 최인훈은 유년기 식민지 기억을 대면하면서, 식민자와 피식민자가 갈등 속에 공존했던 지역으로서 식민지의 형상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그의 유년기에 겹쳐진 '아시아태평양전쟁'을 떠올리면서, 아시아의 여러 민족이 경험한 식민지 경험의 다양성을 인식하게 된다. 『태풍』은 인도네시아를 배경으로, 식민지 민중의 삶에 근거한 '아시아주의'를 수행적으로 재구성한 소설이다. 이 소설을 창작하면서 최인훈은 베트남'을 직접 방문할 기회를 얻게 되는데, 그 경험을 통해 최인훈은 아시아를 실감하였고, '환경'이라는 조건에 유의하여 세계사를 재인식하게 된다. 주변부 지식인 최인훈은 선진과 후진이라는 서구적 원리와 구별되는 세계사 인식의 원리를 아시아 민중의 삶으로부터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최인훈이 '원리로서의 아시아'에 근거하여 제안한 세계사 인식을 '주변부의 세계사'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intends to read Choi In-hun's The Tempest(1973) as a novel that explores the principles of a new world history beyond the binary opposition of empire and colony. The East Asian Cold War Division System, which consisted under overdetermination of colonial experience and global Cold War, limited the imagination of the decolonization to a specific direction and a prescribed range. As the social climate of the Cold War softened through the detente of the early 1970s, Choi In-hun confronted colonial memories of his childhood and presented representation of colony as a region where colonists and colonists coexisted in conflict. At the same time, recalling the "Asia-Pacific War" that overlaps his childhood, he recognizes the diversity of coloni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Asian peoples. The Tempest, set in Indonesia under Asia-Pacific War, is a novel that reconstructs 'Asianism' based on the life of the colonial people. While writing this novel, Choi visited Vietnam and realized Asia. Based on this experience, he takes notice of the condition of 'environment' and re-recognizes world history. Choi, an intellectual in the periphery, tried to derive the principle of world history recognition from the life of Asian peopl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principle of advanced and underdeveloped. This article designate Choi's perception of world history based on 'Asia as a principle' as 'the world history in the periphery'.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한반도 내 항공기지 건설과 의미

        曺健 한국근현대사학회 202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4 No.-

        한반도 전역에는 일본군이 아시아태평양전쟁기에 건설했던 항공기지 유적이다수 남아 있다. 이 글에서는 일본 육군과 해군이 한반도 곳곳에 건설했던 항공기지의 건설 양상과 전체 현황, 그리고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한반도 주둔일본군이 한반도 내에 항공기지를 주로 건설한 때는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였다. 특히 남한지역에 더 많은 항공기지를 건설했는데 이는 미군의 공습과 상륙에 대비한 조처였다. 자료를 통해 확인한 한반도 내 일본군 항공기지는 총 47개소다. 이 중 남한지역이 31개소, 북한지역에는 16개소가 분포해 있으며, 육군항공기지는 38개소, 해군은 9개소가 확인된다. 미군의 상륙이 가시화되면서 일본군 항공기지는 점차 자살공격을 염두에 둔 특공기지로 변모했다. 이에 따라 일본군은 보유하고 있던 비행기 중 500기를 특공기로 편성하는 한편 이들을은닉하고 보호할 엄체 구축 계획을 추진한다. 당시 구축 계획에 따른 엄체는200기에 달했으며 이중 적지 않은 수가 실제 건설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지금도 남한지역 곳곳에는 일본군이 건설한 엄체가 다수 남아 있다. 이들 엄체는일제가 전쟁 말기 한반도와 식민지 조선인들을 침략전쟁의 볼모로 사로잡은채 희생을 강제했다는 것을 증거하는 상징적인 유적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There are many remains of air bases built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Asia-Pacific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construction patterns and overall status of air bases built by the Japanese Army and Navy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 role and meaning of the Japanese military air base at the end of the war were also considered. It was at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when the Japanese military mainly built air bas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more air bases were built in the South in preparation for U.S. air strikes and landings. There are a total of 47 Japanese air bases on the Korean Peninsula confirmed through the data. Among them, 31 are in South Korea and 16 are in North Korea. Of the 47 air bases, 38 air bases for the Army and 9 for the Navy are identified. As the landing of the U.S. military became visible, the Japanese air base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place with suicide attacks in mind. As a result, the Japanese military organized 500 of its planes into units for suicide attacks. It also implemented an aircraft shelter deployment plan to hide and protect them. At that time, there were 200 aircraft shelter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lan, and many of them were actually built. Even now, many aircraft shelters built by the Japanese military remain throughout the South. These aircraft shelters are important in that they are symbolic remains to prove that the Japanese forced sacrifices by capturing the Korean Peninsula and colonial Koreans as hostage to the war of aggression at the end of the war.

      • 논문 : 아시아-태평양 전쟁에 대한 일본의 자기중심적 반성

        쿠마가이나오코 ( Naoko Kumagai ) 한국정치평론학회 2011 정치와 평론 Vol.9 No.-

        자신들이 태평양전쟁에서의 피해자라는 일본의 감정은 일본의 주요 도시에 대한 공습들과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탄 등 자신들이 직접 겪었던 경험에 근거하여 전쟁을 반성하는 일본인들의 경향에 기인한다. 이런 식으로 일본이 침략하고 점령했던 아시아 지역에서 다른 아시아인들이 겪은 고통에 대해 반성할 여지는 거의 없다. 일본의 이 같은 자기중심적 반성은 일본 사회에 대해 두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갖는데, 하나는 일본의 전쟁책임에 대한 이해를 모호하게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일본인들이 갖는 평화에 대한 열망을 오직 전쟁에 대한 피로함으로 이해되게 하는 것이다. 전쟁 중에 일본이 다른 아시아인들에게 정확히 무슨 짓을 저질렀는가에 대한 일본의 객관적인 조사만이 이 두 가지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첫 번째 발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또 다른 이웃 국가들과 항구적이고도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주춧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이 과거사에 대해 객관적으로 조사하고 또 인정하더라도 그것이 일본인 전쟁 희생자에 대해 일본인들이 갖는 동정심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지는 않을 것이다. Japan`s sense of victimization in the Asia-Pacific War comes from Japanese people`s tendency to reflect upon the war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aerial raids on major cities in Japan and the atomic bombs dropped on Hiroshima and Nagasaki. There has been little room for the reflection of the sufferings of people in other parts of Asia where Japan invaded and occupied. Japan`s self-centered reflection has had two negative effects on Japanese society: making the war responsibility of Japan ambiguous on the one hand, and rendering Japanese people`s aspiration for peace only as war weariness on the other. Japan`s objective investigation of what Japan had exactly done to other Asians during the war would be a first step to overcome these two defects and serve as a building block to establish a durable and credible relationship with her neighboring countries. Such an investigation and acknowledgement would not mean any denial of Japanese people`s sympathy for the Japanese victims of the war.

      • KCI등재

        전북 서해안지역 아시아태평양전쟁유적의 현황과 활용 전망 - 고창, 군산 등지를 중심으로 -

        김민영 한국도서(섬)학회 2023 韓國島嶼硏究 Vol.35 No.2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였던 한반도에는 이른바 ‘결7호작전(決7號作戰)’가운데 전 지역이 전쟁기지로 되며 방어를 목적으로 수많은 동굴, 포진지, 건조물들이 만들어졌다. 특히 이는 서남해안 섬(도서)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즉 일제강점기 일본은 한반도를 군사 요새로 구축하며 미국과의 본토 결전을 대비하였는데 당시 미군과 치를 일전에 대비하여 요새, 땅굴, 포대, 방비대 등을 구축했다. 이후 그 흔적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진 채 방치되고 도시개발 과정 등에서 훼손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오히려 학계보다 먼저 시사다큐 전문가 등을 통해 한반도 일본군 전쟁기지 탐사 보고를 묶은 방송이나 단행본 등으로 출간된다. 이후 문화재청에서 착수한 일련의 보고서도 있어 큰 참고가 된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에 구축된 전쟁유적은 대표적으로 제주의 경우 송악산 둘레길의 동굴, 군산오름과 어승생악의 진지, 알뜨르 비행장 등은 새삼 1945년 한반도가 일제의 결전 기지였음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한편 2022년 5월 전북 군산대학교의 박물관팀이 교내의 ’미룡역사길’을 기획 준비하는 과정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동굴 6기와 옛 항공사진 자료를 통해 입구와 위치가 확인되는 추가 1기 등에 대한 사실이 언론에 공개되며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이는 일제강점기 말기 일본부대와 관련된 군사시설로 추정되며, 태평양전쟁과 6·25전쟁 관련 유적으로서 중요한 역사적 현장으로서, 향후 조사를 통해 정확한 사실 규명을 해야 할 것이다. 관련하여 다양한 학술조사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지역의 아시아태평양전쟁유적 현황과 활용에 대한 방향의 측면에서 먼저 제주, 부산, 광주전남, 인천 부평 등 조사 연구 등을 개관할 것이다. 나아가 전북 서해안지역의 태평양전쟁유적에 대해 기초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고창과 군산지역을 위시하여 부안 등 전북 서해안지역 태평양전쟁 유적의 기본현황에 대한 파악 가운데 향후 조사 연구의 과제와 그 활용 등에 대해 전망하고자 한다.

      • KCI등재

        포로의 귀환과 식민지 조선청년의 아이덴티티 수행

        허병식(Huh, Byung Shik)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아시아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일본 육군성은 조선인과 타이완인을 포로수용소 감시원으로 모집할 계획을 세웠다. 미영 포로들의 경계감시를 위해 조선인 및 타이완인 포로감시원을 모집한다는 광고가 신문에 대대적으로 실리자, 이에 호응하여 많은 수의 지원자가 몰려들었다. 이들 지원병들은 이후 남양으로 가서 포로감시원이 되었다가 종전후 전범으로 재판을 받게 된다. 조선인이 일본제국의 질서 하에서 다른 모든 개인과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개인으로 인정을 받으려면 그 제국 권력에 의해 구성된 국민의 아이덴티티를 자신의 것으로 삼는 수밖에 없었다. 문화적으로 일본인이 되기 위해 제국의 신민을 자임하는 것은 조선인의 욕망충족에 불가피한 아이덴티티의 수행(遂行)이었던 것이다. 이 수행이 불러온 대가는 일본인의 전쟁 책임을 조선의 지원병과 군속들이 함께 감당해야 했다는 것이다. 일본인으로부터 분리되려는 노력과 민주주의의 소양을 갖춘 근대인이 되기 위해서 계몽에 힘쓰는 모습은 종전을 맞이한 식민지의 청년이 선택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활로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선택에 숨어 있는 근대의 모순에 대해서도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지원이라는 이름 속에 강제로 전장으로 끌려온 식민지 청년들의 내면 속에 제국의 주체가 되기위한 욕망이 자리잡고 있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면, 비로소 일본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새로운 국민되기를 염원하는 청년들의 아포리아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After the outbreak of the Asia-Pacific War, The Army Ministry of Japan planned to recruit prisoner watchmen from among Joseon people and Taiwanese people. When lots of ads were put in the newspaper to recruit Joseon and Taiwanese people to keep a watch on American and British prisoners, a lot of people applied for that position. Joseon people had no choice but to have the Japanese identity to be acknowledged as ones who were as equal as other people during Japanese occupation. Imitating Japanese people and behaving in a manner to be more like Japanese than Japanese people themselves could be said as the performativity of identity, which was unavoidable for Joseon people who desired to be treated as Japanese people. And they had to pay for that by being responsible for the war with Japanese people together. It seemed natural for contemporary young people to choose to stay away from Japanese people and to enlighten themselves to become well-cultivated democratic modern people after the war. At this point of time, however, it"s necessary to shed light on the contradiction of modern times that were behind such a choice. If it couldn"t be denied that the young people of the colony who ostensibly went to war as volunteers but actually were forced to do that had an implicit desire to succeed in life, it"s now time to speak about the aporia of the young people who yearned to keep away from Japanese people to become part of a new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