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비판 - 『반일 종족주의』 비판 -

        김병기 국학연구소 2020 국학연구 Vol.24 No.-

        『반일 종족주의』라는 책은 일제의 식민사관을 再論하는 저술이다. 이 가 운데 ‘식민지근대화론’은 일제식민지 통치시기에 비로소 한국의 근대화가 촉진되었다는 것이다. 일제가 한국을 수탈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혜(施 惠)를 베풀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일제가 한국을 무력으로 불법 강 점한 사실과 민족말살정책을 부정하는 한편 그들의 식민통치를 통해 한국 은 후진성을 극복하고 ‘근대화의 길’로 나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식민지근대화론의 허구성은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1)한국사의 정체성론은 해방 후 남북한 학자들에 의해 ‘내재적 발전론’으로 극복되었다. 한국에서는 17~18세기에 이미 자생적 근대화의 싹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2)식민지근대화론자들은 조선시대까지 이루어진 경 제발전은 과소평가하고 일제에 의한 개발을 과도하게 평가하고 있다. 이는 통계에 대한 자의적 해석과 오독(誤讀)으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한국경 제를 비교해 보면 모든 통계는 식민지적 질곡에서 벗어나면서 비로소 근대 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수치로 말해주고 있다. 3)일제강점기 한국사회를 식민지근대화론자 주장처럼 경제논리로만 이해하는 것은 위험한 분석이다. 정치적 발전, 사회적 발전을 비롯하여 문화적 발전 등도 함께 검토해 보아 야 한다. 일제하 국민주권, 국민참정권 등이 철저히 제한되었고, 한국어 말 살정책, 역사 문화의 왜곡 말살을 통해 한국인들의 입지는 철저하게 제한 되었음을 함께 살펴야 할 것이다.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주장대로 일제시기가 좋았다는 식민지 미화론, 식 민지 시혜론이 난무한다면 상대적으로 국권회복을 위해 힘썼던 독립운동은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Anti-Japanese Ethnicism" is a book that re-examines Japanese colonial history. Among them,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is that modernization of Korea was promot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y say that the Japanese did not take away Korea, but rather gave benefits. This is a logic that denies the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annihilation policy, and that through colonial rule, Korea overcame backwardness and achieved "modernization". Many scholars have already criticized the fiction of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1) The theory of stagnation in Korean history was overcome by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with "internal development theory" after liberation. In Korea,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spontaneous modernization had already sprung. 2) Colonial modernizationists underestimat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hosun era” and overestimate the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t is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misreading of statistics. A statistical comparison of the Korean economy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shows that modernization took place only after it escaped from the colony. 3) As the colonial modernizationists argue, it is dangerous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only economic logic. Naturally,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must be reviewed together. 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s were thoroughly regulated due to restrictions on the suffrage, the erad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distortion of history. If “colonial beautification theory” and “colonial benefit theory” are insisted, as the colonial modernizationists have argue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tried to find the country will lose its place.

      • KCI등재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정책평가론의 시각: 탐색적 연구

        남기범 한국행정사학회 2019 韓國行政史學誌 Vol.47 No.-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criticizes that the ‘exploitation theory’ doesn't see objective facts based on the anti-colonial ideology and the ideology of nationalis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colonial period with objective statistical data, it is argued that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re was no exploitation and there was a transition to capitalism. Various criticisms have been made about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Various scholars also participate in the debates and criticisms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This effort helps to grasp the reality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It is time for discussions to begin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to analyze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theory, especially policy evalu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process evaluation and impact evaluation among the types of policy evaluation. In the case of process evaluation, it is an evaluation of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olicy. This study explored the case of evaluating the criteria based on the guideline for aid effectiveness, with a passive discussion of the exploitation(coerciveness) of the policy process. In the case of outcome evaluation, it was traditionally confirmed that there was an issue about the result of colonial modernization by colonial policy, and even if the result of development was acknowledged, counterfactual in the absence of colonial policy was proposed. 식민지 근대화론은 수탈론이 반식민사관과 민족주의의 이데올로기에 근거하여 객관적인 사실을 보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일제강점기의 경제활동을 객관적인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일제강점기에 조선은 수탈은 없었고, 자본주의로의 이행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해 다양한 비판이 이루어져왔다. 다양한 인접학문에서도 식민지근대화론의 논쟁과 비판에 참여하고 있는데, 이러한 노력은 식민지근대화론의 실재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행정사와 행정학 분야에서도 논의의 시작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정책평가론의 시각에서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탐색적인 분석을 통해 학문적 논쟁의 풍요로움을 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책이론, 특히 정책평가의 시각에서 식민지근대화론을 분석하는 노력을 시도하는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정책평가의 유형 중 과정평가와 결과평가의 유형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과정평가의 경우 정책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평가이다. 이는 정책과정의 수탈(강제성)의 측면의 소극적 논의와 더불어 적극적으로 원조효과성을 지향하기 위한 지침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경우를 탐색하였다. 결과평가의 경우는 전통적으로 식민지정책에 의한 식민지근대화의 결과에 대한 쟁점이 있음을 확인하고, 개발의 결과를 인정한다 해도 식민지 정책이 없었을 경우의 counterfactual을 분석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일제의 한국 지배에 대한 인식의 갈등과 그 지양

        정연태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3 No.-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을 둘러싼 갈등이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갈등은 정치적·사회적 갈등, 남북 대립, 그리고 한일 역사분쟁과 결합돼 소모적인 이념 대립으로 비화되고 있다. 그 상징적 양상은 최근에 벌어진 한국사 교과서 검정파동에서 나타났다. 한국학계 또한 이런 양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식민지 수탈론, 식민지 근대화론, 탈근대론 사이의 근대 역사관 논쟁이 학문 외적인 이념 대립과 연동돼 논쟁 자체가 변질되고 있다. 심지어 학계의 논쟁이 소모적 이념 대립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기는커녕 불필요한 갈등을 오히려 증폭시키는 데 이용되는 경향조차 있다. 본고는 한국 근대사 인식의 이러한 정치성을 특별히 주목하고 싶다.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을 둘러싸고 한국학계에서 전개되는 학술 논쟁이 정치 사회적 현실과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모적인 갈등을 지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주제어 : 식민지배, 역사분쟁, 교학사(敎學社) 한국사 교과서, 종북(從北) 좌편향 프레임, 식민지 수탈론, 식민지 근대화론, 탈근대론, 열린 민족주의 The recent conflicts over the recogni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are serious in the Korean society. These conflicts are connected with political and social antagonism, inter-Korean confrontation, and history disputes between Korea and Japan. For this reason, they are creating exhaustive conflicts of ideology. A symbolic development aspect of these conflicts is the recent controversy over the official certifica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academic world of Korea is not also free from these conflicts. The disputes on the view of the modern history of korea between the theory of colony exploitation, the theory of colony modernization, the theory of post-modernism are deteriorating in sync with the conflicts of ideology in Korean society. The disputes in the academic world didn’t contribute to settle these exhaustive conflicts. They even tend to be used to intensify unnecessary conflicts. In this paper, I would particularly like to pay attention to this kind of the politics of recognition of Korean modern history. And I want to examine how these disputes in the academic world are connected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ies in Korea today. Additionally, I would like to attempt to seek for solution to sublate this kind of exhaustive conflicts.

      • KCI등재

        조선공업화에서 식민지공업으로 : 식민지시기 공업 연구의 흐름과 과제

        배성준 역사학연구소 2018 역사연구 Vol.- No.35

        This paper aims to analysis the study of the industry in the colonial period from1930s to the present. The study of Korean modern industry was started in the studyon the “Joseon Industrialization(朝鮮工業化)” in 1930s. After Korea's liberation fromjapanese colonial rule, the critical thought on the ‘Joseon Industrialization’ wasdeepened in the program for self-supporting economic system. From 1960s to 1970s,the study on the national capital was vitalized and its complex social conditions wereexplored based on “the inherent developmental theory(內在的發展論)”. From 1980sto 1990s, the argum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brought out aquestion about the capitalistic development in the colonial period and the argumenton colonial modernization resulted in the systematic and structual study on theindustry in the colonial perio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eory of colonialmodernity from 2000s, the studies on the discourse analysis of economic statistics andregional industry and regional capitalists based on the study of everyday life and thelocal were carried out. After two rounds of arguments, the questions on the position and character of the Korean industry in the colonial period were posed and significant achivement in theeach types of industries has been made. But it is yet far from the investigation inthe capitalistic development, the system of the dispossession of excess profits andthe characteristic of the industry in the colonial period. For advancing the task, Iwant to give some opinions about the critical review on the concept of“dispossession” and the definition of “Colonial Industry(植民地工業)” and thecomparative studies on the colonial industry in East Asia. 본 연구는 193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는 식민지시기 공업 연구를 5개의 시기로구분하고 시기별 공업 연구의 맥락과 흐름을 검토한 것이다. 1930년대 조선공업화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한 식민지시기 공업 연구는 해방 직후 자립적 경제체제구축을 위한 방안 속에서 조선공업화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심화되었다. 1960-70년대에는 내재적 발전론에 기반하여 민족자본 연구가 활성화되고 민족자본이놓인 복합적 조건이 탐구되었으며, 1980-90년대 한국 사회성격 논쟁과 식민지근대화 논쟁을 거치면서 식민지 자본주의에 대한 문제제기와 더불어 식민지 공업에대한 계통적, 구조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2000년대 들어 식민지근대성론의 영향아래 경제통계에 대한 담론적 분석과 일상 및 로컬에 기반한 지역 공업 및 자본가 연구가 이루어졌다. 1980-90년대 두 차례 논쟁을 경과하면서 식민지시기 공업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문제제기가 이루어지고 분야별로 상당한 연구성과가 축적되었으나 식민지 자본주의의 발전과정 및 잉여수탈 구조, 식민지시기 공업의 성격에 대한 해명은 아직요원한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수탈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식민지 공업에대한 개념 규정, 동아시아에서 식민지시기 공업의 역사적 사례에 대한 비교 연구등을 제기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근대성’ 인식의 재검토 : 근대성 개념의 간학문적 논의를 중심으로

        김두진(Kim, Doo-J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4

        한국의 근대성에 관한 논의는 한국 사회에 적지 않은 정치적 함의를 던져 줄 만큼 무거운 역사적 쟁점이 되어 왔다.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은,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론’의 이분법적 인식론적 논쟁은 양측 모두 그동안 상당 부분 설득력과 의미 있는 학문적 성과를 가져왔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수탈」과 「식민지 근대화」간의 기존의 지적 논쟁을 간학문적(間學問的) 논의 -여타 사회과학의 인식의 맥락에서- 를 통해서 근대성 개념의 인식론적 접근의 지향점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전적(事前的) 작업으로 한국 식민지 근대성 논쟁을 둘러싼 기존 비판적 논의의 지적 계보 (혹은 흐름)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성’ 간의 논란을 진전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근대성’ 개념에 관한 해석을 복합적 시각과 분석의 맥락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근대성 논의의 시발을 ‘단수의 근대성’ 혹은 ‘일국(一國)의 근대성’의 이해를 넘어서 ‘다중 근대성’(multiple modernities)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식민지 근대화론과 관련하여, 식민지 근대성의 현상을 ‘단수’의 근대성을 넘어서 ‘전지구적 근대성’ 내지 ‘다양한 근대성’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것은 ‘일국적 근대성’(national modernity)을 넘어서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transnational histiory)의 관점에서 재검토해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역사서술은 ‘국민국가’ 혹은 ‘민족’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이 아니다.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는 하나의 ‘패러다임’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지향점’의 성격을 제시한다. ‘다중 근대성’의 성격은 종전의 서구학자의 전통적 근대성 개념을 거부하는 차별성을 드러낸다. 비서구의 다양한 근대성들(modernities)은 ‘통시적’(通時的), ‘동시적’(同時的) 및 ‘비동시적’(非同時的) 운동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런 맥락에서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성’ 간의 부단한 논란이 ‘근대성’ 개념의 다원적(plural) 시각과 분석의 맥락에서 다루어질 때, 이분법적 시각 간의 접점의 범위가 보다 넓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Discussing the question of whether Japanese rule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 is much likely to be problematic. Should the idea of modernization continue to possess heavy political implications ?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modernity as fixed, unified or universal progress, it is often suggested that we posit a multiplicity of kinds and fields of modernity, and attempt to discern features of modernization rather than defining the nature of progress on the basis of one or two criteria. The notion of ‘multiple modernities’ may denote a certain view of colonial modernization in Korean society similar to the actual developments in modernizing non-Western societies. In Korean humanities circle,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iscourse on ‘colonial modernity’ vs ‘exploitation theory’, thus lea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scholarly reinterpretations related to colonial modernity in the fields of Korean history. Korean nationalist historians presuppose an archetype of “Western modernity” on which colonial domination was based. The nationalist narratives remain prevalent in the colonial intellectual fashions they contest. By contrast, we argue that the varieties of modernity needs to be recognized in the contex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cluding transnational history perspective. The notion of ‘global modernity’ or ‘multiple modernities’ should be addressed to move away from the excessively value-laden use of the modernity. It is not sufficient to trace modernity as a linear movement of modern developments. Rather, recognition of modernities as the interplay of diachronic, synchronic and desynchronic actions should be carefully incorporated. We assume that the recognition of plural modernities allow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roversy on colonial modernization. The idea of global modernity enables both Korean historiography circles to redefine varieties of modernites that go beyond their conventional perception on colonial modernization.

      • KCI등재

        근대 일본 식민지 통치모델의 轉移와 그 의미 ― ‘臺灣모델’의 關東州ㆍ朝鮮에의 적용 시도와 변용 ―

        문명기 중국근현대사학회 2012 중국근현대사연구 Vol.53 No.-

        作为‘殖民帝国’日本的最初殖民地, 台湾算是近代日本殖民统治之典范。日本统治台湾过程所形成的重要特质如下: 1) 总督(府)体制 2) 政治上的排除与经济上的从属 3) 以彻底的旧惯调查为基础的旧惯温存政策 4) 为了各种文明化措施所需的雄厚的财政供应。这些特质之综合, 可以称呼‘台湾模式’。日俄战争的结果, 日本获得关东州, 台湾模式的奠基者儿玉源太郎跟后藤新平也尝试移植台湾模式到关东州, 但内外条件不太足够, 结果台湾模式的移植遭到挫败。1910年韩国合并之后, 朝鲜总督府也尝试台湾模式在朝鲜的再现。但是, 为了朝鲜统治所支出的实际统治经费远不如台湾, 结果朝鲜统治之‘统治效果’还比不上台湾统治, 还有把朝鲜社会处于长期低级开发的状态。本研究可能显示, 过度强调近代性在朝鲜之形成的殖民地近代化论跟殖民地近代性论的实际论据比我们想象会更薄弱。作者认为, 殖民地朝鲜社会的近代性, 可说是‘具体而微’。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행정관료의 식민지적 기원을 통해 본 발전국가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전제에 대한 검토: 1960년 중앙공무원에 대한 개괄 및 로짓분석과 성향점수매칭분석을 중심으로

        박선경 ( Sunkyoung Park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5 의정연구 Vol.21 No.2

        행정관료의 식민지적 기원은 권위주의 시기 한국경제성장을 설명하는 발전국가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중요한 전제이다.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행정관료의 식민지적 기원에 대한 상세한 분석은 많지 않다. 본 논문은 1960년 현재 중앙 부처 4급 이상 전체 고위관료 1,107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해방 전 경력과 인적사항을 정리하였다. 식민관료의 연속성에 대한 엄밀한 접근을 위해 다양한 기준으로 식민지관료경력을 분류하였고, 식민지관료출신자와 그렇지 않은 자들의 특성을 학력별, 부처별, 직급별로 비교했다. 또한 로짓(Logit) 분석과 성향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분석을 이용한 통계결과를 통해, 식민지관료출신자들이 그렇지 않은 관료들에 비해 반드시 더 높은 직급에 종사하지 않았음을 발견했다. 이는 식민관료출신자들의 뛰어난 인적 자원이 경제발전에 기여했다는 발전국가론 및 식민지 근대화론의 전제를 반박하는 발견이다. Despite its theoretical importance of colonial origins of bureaucrats to explain the state developmental theory and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there is little empirical evidence that traces how many bureaucratic agents had careers related to the colonial government and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these colonial holdovers had in common. To review the arguments, this paper first provides an detailed information on the pre-independence careers of all high-ranking public officers as of 1960. Summary statistics overviews the distribution of colonial holdovers across home province and departments. Logit analysi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dd more empirical evidences that colonial holdovers are not necessarily in a higher position than newcomers.

      • KCI등재

        행정관료의 식민지적 기원을 통해 본 발전국가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전제에 대한 검토:1960년 중앙공무원에 대한 개괄 및 로짓분석과 성향점수매칭분석을 중심으로

        박선경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5 의정연구 Vol.21 No.2

        Despite its theoretical importance of colonial origins of bureaucrats to explain the state developmental theory and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there is little empirical evidence that traces how many bureaucratic agents had careers related to the colonial government and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these colonial holdovers had in common. To review the arguments, this paper first provides an detailed information on the pre-independence careers of all high-ranking public officers as of 1960. Summary statistics overviews the distribution of colonial holdovers across home province and departments. Logit analysi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dd more empirical evidences that colonial holdovers are not necessarily in a higher position than newcomers. 행정관료의 식민지적 기원은 권위주의 시기 한국경제성장을 설명하는 발전국가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중요한 전제이다.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행정관료의식민지적 기원에 대한 상세한 분석은 많지 않다. 본 논문은 1960년 현재 중앙부처 4급 이상 전체 고위관료 1,107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해방 전 경력과 인적사항을 정리하였다. 식민관료의 연속성에 대한 엄밀한 접근을 위해 다양한 기준으로 식민지관료경력을 분류하였고, 식민지관료출신자와 그렇지 않은 자들의특성을 학력별, 부처별, 직급별로 비교했다. 또한 로짓(Logit) 분석과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분석을 이용한 통계결과를 통해, 식민지관료출신자들이 그렇지 않은 관료들에 비해 반드시 더 높은 직급에 종사하지 않았음을 발견했다. 이는 식민관료출신자들의 뛰어난 인적 자원이 경제발전에 기여했다는 발전국가론 및 식민지 근대화론의 전제를 반박하는 발견이다.

      • KCI등재

        스즈키 다케오(鈴木武雄)의 식민지조선근대화론

        박찬승(Park Chan Seung)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0

        스즈키 타케오는 1928년부터 경성제국대학에서 법문학부 교수로서 경제학을 가르치면서 총독부의 경제정책에도 깊숙이 간여한 인물이다. 그는 종전 후 일본에 돌아가 1946년 일본 대장성에서 비밀리에 수행한 『일본인의 해외활동에 관한 역사적 조사』라는 프로젝트의 조선, 만주, 대만편 가운데 조선편 집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스즈키 다케오는 이 프로젝트에서 「조선통치의 성격과 실적」이라는 글을 썼다. 이 글에서 그는 일본의 식민지 한국 지배정책을 미화하고, 일본의 지배에 의해 한국은 비로소 근대화될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1945년 이후 이른바 '식민지근대화론'의 출발점이 된 글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이 글의 내용을 분석하고 비판한 것이다. 스즈키 다케오는 "일본의 한국 영유는 본질적으로는 제국주의적, 그 가운데에서도 군국주의적 지배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였지만, 서양 여러 나라의 소위 식민지정책과는 달리 이상주의적인 통치 행태를 보였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당시 일본은 한국을 식민지로 간주하지 않았으며, 조선인을 식민지민으로 대하지 않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일본정부나 총독부의 '동화주의'나 '內地延長主義', 더 나아가 '內鮮一體' 정책이 그것을 잘 보여준다고 말하였다. 예를 들어 그는 일본이 한국에서 미곡 생산 중심의 산업구조를 만든 것이나, 전쟁 중에 인적ㆍ물적 자원을 동원한 것은 일본의 한국에 대한 산업정책이 근본적으로는 일본을 위한 것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인정하였다. 그러나 그는 일본의 한국 통치 기간을 통하여 한국의 산업경제가 그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는 그런 점에서 일본의 한국 지배정책을 제국주의적 식민정책이라고 간단히 말해버릴 수는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일본은 한국을 '一視同仁'의 입장에서 대하려 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그는 비록 일본의 한국 통치에 문제가 많았지만, 한국의 근대화가 이루어진 것은 일본의 통치에 의한 것이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일본의 통치 기간 동안 한국인들의 경제적, 문화적 생활수준도 크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특히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은 역사적 사실을 은폐, 왜곡, 호도하는 내용이었다. 일제의 한국 지배정책은 한국에서 인적ㆍ물적 자원을 수탈하고, 한국인들을 차별적으로 대우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스즈키 다케오의 '식민지조선 근대화론'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정책을 미화하고 합리화하기 위한 논리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akeo Suzuki (鈴木武雄) is the scholar who was deeply engaged in the economic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ile teaching economics as a professor of the Faculty of Law and Literature at K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from 1928. After World War II, when he went back to Japan, he leadingly took part in writing the Part of Korea out of the Parts of Korea, Manchuria and Taiwan in the Project of Historic Investigation on Japanese Overseas Activities, which was secretly conducted by Japanese Ministry of Finance (大蔵省) in 1946. Takeo Suzuki wrote,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of the Rule over Korea," in the project. In his writing, he glorified Japan's ruling policy of colonial Korea, and insisted Korea could be modernized by Japanese rule. Therefore, his writing can be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after 1945. This paper analyzed and criticized his writing. Takeo Suzuki asserted, "Japan's possession of Korea did not go beyond imperialistic, especially, militaristic ruling scope in essence, however, Japan showed an ideal type of ruling, unlike many Western countries' colonial policies." He said Japan did not regard Korea as a colony, and did not treat Korean people as colonial people those days. He insisted that the assimilation policy (policy to assimilate Koreans to Japanese), the mainland extension policy (Korea is the extension of Japan) and the policy of "Korea and Japan are One" by the Japanese government o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showed Japan's position. For example, he acknowledged Japan's building of rice production-centered industrial structure or mobiliza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during the war showed that Japan's industrial policy towards Korea was for Japan basically. He, however, stressed Korean industrial economy made a remarkable development, incomparable to the past during Japan's colonial period of Korea. In this context, he insisted Japan's ruling policy over Korea cannot be simply regarded as imperialistic colonial policy. Takeo Suzuki claimed Japan tried to treat Korea in the position of treating Japan and Korea equally. Although, there were many problems in Japan's ruling over Korea, he insisted Korea's modernization was conducted through Japan's rule over Korea. He especially emphasized Koreans' economic and cultural levels sharply improved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His claim, however, is actually to conceal, distort and mislead historic facts. The reason is that Japanese imperialistic ruling policy over Korea had such characteristics as exploit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Korea and treating Koreans in a discriminatory way. Takeo Suzuki's Modernization Theory of Colonial Korea can be rated as the logic to glorify and rationalize Japanese colonial ruling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