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스페인 추리소설의 서사화의 가능성: 『최후의 증인』 vs 『남쪽바다』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김선이 ( Kim Seonyi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2

        한국과 스페인은 지리적으로는 먼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역사적으로 살펴보면 공통점이 많은 나라이다. 특히 현대사는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데, 물론 그 구체적인 시기의 차이는 있다고 할지라도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두 나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인 내전을 겪었고, 내전이 끝나고 1인 독재시대를 경험하였으며, 독재시대가 끝나면서 민주화 과정으로 인한 사회적 진통을 겪게 된다. 이 두 나라의 70년대는 `성장 통`을 겪는 시기였으며, 특히 이 시기에 두 나라에서 `추리소설`이 성행하게 되는데, 이 시기의 추리소설들은 그 구조적 특성을 잘 이용하며 이러한 두 나라의 변화하고 있는 사회를 잘 반영해주고 있다. 흔히 추리소설은 명쾌한 탐정의 논리로 살인사건이 해결되며 독자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카타르시스를 제공해주면서 그 대중성을 확보해 왔지만, 이러한 추리소설은 `탐정-살인사건-문제해결`이라는 장르적 특징으로 인해 곧 한계에 부딪치게 되었고, 똑같은 패턴이 반복되면서 서사적인 발전이 불가능한 흥미위주의 하위문학으로 치부되어 왔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두 나라의 70년대에 폭발적으로 등장한 추리소설은 사회소설의 경향을 보여주며 추리소설의 장르적 한계를 뛰어넘어 추리소설의 서사화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추리소설을 한국에서는 `변용추리소설`, 스페인에서는 `흑색소설`이라 칭하며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리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잘 살려 사회를 반영하고 있는 한국의 `변용추리소설`의 대표작인 김성종의 『최후의 증인』(1979) 과 스페인의 `흑색소설`의 대표작으로 마누엘 바스케스 몬탈반의 『남쪽바다』(1979)를 중심으로 두 나라의 추리소설 형식의 탄생 배경과 사회 반영 양상을 살펴볼 것이며, 이 두 소설이 어떻게 추리소설을 서사화 시키고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해 본다. 두 작품 모두 기본적인 추리소설의 장르적 특징에 주인공인 형사 혹은 탐정의 서사화를 통한 인간적인 고민과 번뇌, 그들이 직접 대면하는 사회의 민낯과 정치·사회적 이데올로기의 충돌 양상, 추리소설의 중심이 되는 사건의 해결 그러나 상황 개선의 여지가 없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 회의, 반성 등이 작품의 골자를 이루며 기존의 추리소설과는 차별화 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추리소설과는 다르게 인물의 서사화와 작품의 사회성을 담아내며 모순적 현대사에 대한 사유를 접합시켜 놓았다는 점에서 닮아있는 두 작품에 대한 연구는 추리소설의 또 다른 형태의 본격 소설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먼 나라인 한국과 스페인이라는 두 나라에서 비슷한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탄생하였다는 점에서 문학적·문화적 비교연구 또한 가능하게 할 것이다. Korea and Spain are countries that are geographically distant but have a lot in common in terms of culture and history. In particular, the contemporary history of the two countries is remarkably similar. Of course, even though the specific period is different, the two countries have experienced civil war, a big tragedy in the 20th century, and a dictatorship period after the civil war, resulting in a common social pain. These two countries in the 1970s were undergoing a period of “growing pain”, and in particular, the detective stories became popular in the two countries during this period, reflecting well the society of that moment utilizing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detective stories have secured their popularity providing a catharsis that comes from solving the murder case that provokes the reader`s curiosity. Usually the case is solved with the logic of a clever detective. This type of stories i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genre like “detective - murder case - solution of case”. It soon became confronted with limitations, and as the same patterns were repeated, it was regarded as an interest-oriented subordinate literature that could not be developed as a narrative. However, unexpectedly, the detective stories which appeared explosively in the 70s in both countries show the tendency of social novel and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beyond the limit of the genre. These are called “metamorphic detective novel” in Korea and “black novel” in Spain respectively.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look at the backgrounds of the birth of the detective stories from both countries and the reflection of the society focusing on Kim Sung-jong`s The Last Witness(1979), representative work of the Korean metamorphic detective novel, and Manuel Vazquez Mortalban`s Southern Seas(1979), representative work of the Spanish black novel. And I`ll also examine how these two novels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Both of these works are based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mystery genre. In addition to that, they show the problems of human anxiety and agony, the confrontation of the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and the society they meet face to face, the critical point of view and reflect the reality that there is no room for improvement of the situation. These are the main features that distinguish them from the conventional mystery novels. Unlike the conventional mystery novels, this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novels, containing the narrative of the characters, the sociality and the reason for the contradictory contemporary history,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as an another type of mystery novel. By extension, cultural and comparative studies will also be possible in that they are born with similar social backgrounds in two countries, Korea and Spain, which are geographically distant countries.

      • KCI등재

        에두아르도 멘도사의 추리소설 5부작에 나타난 네오바로크 미학 연구: 오마르 칼라브레세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선이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2019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2 No.2

        Baroque represents Spanish literature in the seventeenth century. It was the mainstream of European art at that time, and it was widely applied to different art forms, including architecture, music, costumes, and dance, in addition to literature. Baroque features are dynamic and exaggerated, characterized by disorder, grotesque and ambiguity. These are contrary to the features of the Renaissance, static, balance, order, solemnity, and humanity. The Baroque literature of Spain, which took place during the golden age, entered the twentieth century and leaded to the revival of Neobaroque, which was connected with the genealogy of the past with the 27 generations of Spain and the Modenismo movement of Latin America. However, Neobaroque aesthetics in Spain, with the avant-garde artist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emerged briefly in the field of poetry. If so, doesn't Neobaroque fiction exist in Spain, a baroque dominant country? The protagonist of Mendoza's Anonymous Detective Series is an ugly and unnamed detective of low status. Mendoza´s novels have many elements of Baroque aesthetics such as distortion, transformation, excess, perversion, proliferation, repetition, instability, unclearness. As Calabrese mentioned, if the term encompassing the common forms of expression in modern culture is referred to as Neobaroque aesthetics, these series also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a Neobaroque novel.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broaden the horizon of Mendoza's research, which is mainly dealt with in the literary and sociological context. Moreover, Spanish novels have been underestimated as Neobaroque literature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compared to Latin American novels. I also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reassess the value and status of Spanish novels as Neobaroque literature. 바로크는 17세기 스페인문학을 대표하며, 당시 유럽예술의 주류로서 문학 이외에도 건축, 음악, 의상, 춤 등 예술장르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던 문예사조이다. 바로크는 정적이며 균형, 질서, 엄숙함, 인간중심 등으로 요약되는 르네상스에 반하여 동적이고 과장되며, 무질서함, 그로테스크, 애매모호함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17세기 황금세기를 구가하던 스페인의 바로크 문학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스페인 ‘27세대’와 중남미의 모데르니스모 운동에 힘입어 과거의 계보를 잇는 네오바로크의 부활을 알렸다. 그러나 스페인의 네오바로크 미학은 20세기 초에 아방가르드 예술사조와 맞물려 시 분야를 중심으로 잠시 부각되었으나 20세기 중반부터는 주로 중남미 현대소설의 핵심적인 경향으로 간주되었다. 그렇다면 바로크의 종주국이었던 스페인에서는 네오바로크 소설이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멘도사의 추리소설 5부작시리즈는 비천한 신분의 못생긴 이름 없는 탐정을 주인공으로 하며 왜곡, 변형, 과잉, 도착, 증식, 반복, 불안정함, 불분명함 등의 바로크 미학의 요소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 칼라브레세가 언급한 것처럼 현대문화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표현양식을 포괄하는 용어를 네오바로크미학으로 지칭한다면, 이 시리즈 또한 네오바로크 소설이 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주로 문학・사회학적 맥락에서 다루어져 온 멘도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 더 나아가 이 연구가 20세기 중반 이후 중남미 소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네오바로크 문학으로써의 스페인 소설의 가치와 위상을 재평가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래본다.

      • KCI등재

        현대판 피카레스크 소설 『라사리요 데 또르메스』의 부활: 에두아르도 멘도사의 ‘이름 없는 탐정 시리즈 5부작’을 중심으로

        김선이 ( Kim Seonyi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8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1 No.2

        최초의 근대소설로 여겨지는 피카레스크 소설은 사실주의 소설의 효시이자 서양문학사에 있어서도 큰 획을 그은 하나의 소설 장르이다. 특히 피카레스크 소설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라사리요 데 또르메스』는 하층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배고픔에서 벗어나기 위해 피카로가 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당시 사회의 위선과 부조리, 종교비판의식을 보여주며 사회를 고발하는 사실주의적 전통을 탄생시킨다. 이후 100년간 서양에서 큰 인기를 누렸던 피카레스크 소설은 그 이후 사라지는 듯했지만 스페인문학의 저변에 흐르고 있던 피카레스크적 전통은 1970년대 후반 스페인에서 쏟아져 나왔던 사회적 사실주의 경향의 소설인 흑색소설에서 되살아난다. 스페인 흑색소설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에두아르도 멘도사의 ‘이름 없는 탐정 시리즈 5부작’은 현대판 『라사리요 데 또르메스』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작품의 주인공과 소설의 구조가 흡사하다고 평가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름 없는 탐정 시리즈 5부작’에서 부활한 『라사리요 데 또르메스』의 흔적을 찾아보기로 한다. The appearance of the picaresque novel,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modern novel, is a milestone in the history of realist novels and western literature. Especially the first picaresque novel, Lazarillo de Tormes creates a realistic tradition accusing society of hypocrisy, absurdity and religious criticism with Lazarillo, the main character of the lower classes, who is trying to escape from hunger. The picaresque novel, which had enjoyed great popularity in the West for the next 100 years after its release, seemed to disappear after that. However, the picaresque tradition that underlies Spanish literature revived in the Spanish black novel, a novel of the social realism pouring from Spain in the late '70s. Of that, Eduardo Mendoza’s Anonymous Detective Series,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Spanish black novel, is considered to be similar in structure and character- wise to Lazarillo de Tormes. So that it can be described as the modern version Lazarillo de Tormes, in this study, we will look for the traces of Lazarillo de Tormes within Anonymous Detective Series.

      • KCI등재

        21세기 스페인 현대사회에 대한 고발의 기록: 『야간 순찰대 Grupo de noche』를 중심으로

        김선이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2023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6 No.1

        Juan Madrid, a journalist-turned-writer, is a representative writer of Spanish black novel for the purpose of recording and accusing events of the time. He wrote novels based on many events that he covered when he was a journalist, so his novels are very realistic and accuse contemporary Spanish society of various and distinct themes in each work. Among them, the police appear in almost all of his works. Grupo de noche, the sixth work of Juan Madrid's Toni Romano series, deals with many incidents in contemporary Spanish society in relation to the corruption of the pol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 and the powerful at the time. The police either sell back confiscated goods from criminals, or take a second income in return for implied illegal transactions by criminals. It also accuses the gentrification taking place in Lavapiés, Madrid, and collusion between the police and real estate speculative capital. In addition, Grupo de noche shows a twist that this corrupt police organization was created by the main character Toni, reminding readers that Toni's personal memories can be manipulated and are incomplete since hesissuffering from Cavestani Syndrome. it serves as a device to remind us of another reality in Spanish society. Toni, a former police officer, is the only person in the work who realizes that all his past actions were wrong while facing his past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his lost memories. In this way, apart from showing the systematic corruption of the Spanish police, this work also shows that a person's memory can be manipulated and that individual memories can be forgotten, but collective memories cannot be forgotten. In this way, Grupo de noche effectively fulfills the social function as a Spanish black novel. It throws an important message to Spanish society, urging them not to repeat the same mistakes as Toni did. When a society is facing a crisis of memories, it becomes crucial to remember forgotten historical facts and acknowledge past errors. The novel serves as a reminder that collective memories should not be overlooked or manipulated, and that society should strive to learn from the past to shape a better future. 르포 기자 출신 작가 후안 마드리드는 당대에 일어나는 일을 기록하고 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흑색소설을 쓰는 대표적인 작가이다. 그는 그가 기자 시절 취재했던 많은 사건을 바탕으로 소설을 썼기에 그의 소설들은 매우 사실주의적이며 각각의 작품마다 다양하고 뚜렷한 주제로 스페인 현대사회를 고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경찰은 그의 모든 작품에 거의 빠짐없이 등장하고 있는데 후안 마드리드의 토 니 로마노 시리즈 중 여섯 번째 작품인 『야간 순찰대』는 경찰의 부패와 당시 경찰과 권력층과의 관계 속에서 스페인 현대사회의 많은 사건에 경찰이 개입하고 있음 을 보여준다. 경찰들이 범죄자들에게 압수한 물품을 뒤로 빼돌려 되팔거나 혹은 범죄자들의 불법 거래를 눈감아준 대신 대가를 받으면서 제2의 수입을 챙기는 것 외 에도 마드리드 라바피에스의 젠트리피케이션과 경찰과 부동산 투기 자본과의 결탁을 고발한다. 또한 『야간 순찰대』에서는 이렇게 부패한 경찰조직이 주인공 토니에 의해 탄생한 것임을 보여주는 반전을 보이는데 카베스타니 증후군을 앓고 있는 토니 개인의 기억이 조작될 수 있고 불완전하다는 것을 상기시키며 독자들에게 과거 를 망각하고 있는 스페인 사회의 또 다른 현실을 일깨워 주는 장치로 작용한다. 전 직 경찰 출신 토니는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는 과정에서 자신의 부정한 과거를 마주 하며 그의 과거의 모든 행동이 잘못되었음을 깨닫는 작품 속의 유일한 인물로 독자 들에게 그가 앞으로 바른길을 찾아갈 것이라는 희망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렇게 이 작품은 스페인 경찰의 조직적인 부정부패를 보여주는 것 이외에도 한 인간의 기억이 조작될 수 있으며 개인의 기억은 잊을 수 있지만, 집단적 기억은 잊혀질 수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집단적 기억을 통해 기억의 위기에 처해있는 스페인 사회가 잊고 있는 역사적 사실을 다시 기억하고 과거의 오류를 깨달아야 토니처럼 미래에 그러한 일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중요한 메시지도 스페인 사회에 던져 줌으로써 흑색소설의 사회적 기능을 잘 완수하고 있다.

      • KCI등재

        최근 한국과 스페인의 소설에 나타난 내전의 기억: 서사적 특징과 사회적 함의에 대한 비교연구

        임호준 ( Ho Joon Yim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1 No.-

        한국과 스페인은 20세기 초중반 내전 성격의 전쟁을 겪은 공통적 경험이 있다. 이 연구는 내전을 겪은 지 60-70년이 지난 시점에서 현재의 세대가 선조대의 전쟁을 어떻게 기억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 1990년대 말부터 출판된 각국의 소설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이전 시기의 소설에 대해서도 비교 검토해 보았는데, 종전 후 양국 모두 철저한 반공주의가 지배함으로써 작가들은 자신이 겪은 바, 느낀 바를 마음대로 쓸 수 없었던 시기를 거쳐야 했다. 상당한 시간이 지나서야 작가들은 이데올로기적 제약에서 벗어나 각자의 주관대로 전쟁을 서술할 수 있었다. 전쟁을 온전하게 체험한 1세대의 작가들에 비해, 전쟁 시기에 유아나 소년에 불과했던 2세대의 작가들은 전쟁에 대해 간접적이고 불완전한 지식을 갖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다보니 이들의 작품 역시 이데올로기적으로 왜곡되는 측면이 있었다. 이 연구가 살펴보는 1990년대 후반부터의 작품은 종전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태어난 3세대 작가들의 것으로서 탈냉전 시대 상황을 반영하듯 이전시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우선은 이데올로기적으로 자유롭다는 것인데, 전쟁의 당사자들이 품었던 이데올로기적 열정에 지극히 냉소적이다. 한국의 3세대 작가들은 전쟁은 물론 분단의 상황을 넌센스로보고 있으며 스페인 젊은 작가들 역시 스페인 내전을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작품에서 같은 국민 사이의 화해는 일반적인 경향이다. 다만 한국소설에서의 화해가 다소 추상적이고 이상화된 양상을 보인다면 스페인 소설에서의 화해는 더욱 구체적이고 상징적인 모양으로 등장한다. 이것은 분단이 지속되고 있는 한반도의 현실과 2000년대에 들어 역사기억법 제정을 둘러싸고 사회적 논란을 빚은 스페인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장차 남북한이 통일되면 6.25 동란에 대해 여러 면에서 사회적 논의가 벌어질 것이고 문학도 이를 반영하게 될 것인바, 이때 스페인의 문학은 한국에 중요한 참조가 될 것이다. South Korea and Spain share common experiences in terms of suffering from civil war in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This study delves into each nation``s novels that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end of the 90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way in which the present generation remembers and embraces older generations`` wars that took place 60-70 years ago. Keeping pace with the decline of ideological prevalence, the late 90``s novels by the new generation on which this study focuses reveal distinctive aspects that differ from literary works of the previous generations. Specifically, their aloofness from ideological engagement made them cynical toward the political passions with which their previous generations were deeply engulfed. Comparing Korean and Spanish Civil War novels, young Korean novelists perceive historical realities such as the Korean War and the following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something nonsensical, unintelligible and irrelevant to them while Spanish counterparts unhesitatingly argue for revisionist interpretations of the Civil war by claiming an objective, neutral, disinterested perspective. Therefore, instead of touching on scars, their novels prevailingly deal with the reconciliation among the citizens. The reconciliation in Korean novels is portrayed as more abstract and ideal than that of Spanish novels. The latter is represented in a more concrete and symbolic way. These different fictional portrayals respectively reflect the Korean peninsula``s division that lasts for more than 60 years, and the discordant controversy in Spanish society that has revolved around the "Ley de la Memoria historica" since the last decade. Because of the temporal pertinence and proximity to the contemporary issue of reconciliation, Spanish novels can serve as an important, albeit limited, reference for Koreans. Spanish novels can hint at the consequent literary exploration after the possible unification of Korea in the future. Indeed, they will provide a suggestive clue to the issue of reunification in our next generation through the literary world.

      • La narrativa de la novela social de preguerra en torno a las obras de Cé́sar M. Arconada

        박효영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13 국제문화연구 Vol.6 No.1

        스페인에서는 1930년대 접어들면서 급박한 정치 및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하여 현실 및 인간의 삶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문학 작품의 주된 내용으로 등장하는 참여문학이 성행한다. 이와 같은 변화는 특히 소설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당시의 다양한 사회적 모순과 문제점들 예를 들면 노동자의 생존 투쟁, 모로코 전쟁, 농지 분배, 지주와 소작농의 대립, 민중의 저항과 투쟁, 정부의 공권력을 동원한 무자비한 진압, 등이 소설의 주된 관심사로 주목받게 된다. 이러한 경향의 소설을 통상적으로 전전사회소설이라고 부르는데 쎄사르 무뇨스 아르코나다 역시 이러한 경향을 보여주는 3권의 소설을 출간한다. 먼저 제 2 공화국 전후를 배경으로 가난한 전통 시골 마을의 한 소작농과 네 아들의 비극적인 삶을 묘사한『빈자와 부자』(1933), 제 2 공화국 기간 동안 엑스트레마두라 지방에서 실제로 발생한 농민들의 농지 강점을 소설화한 『토지 분배』(1934) 그리고 스페인 내전의 발발과 함께 순박한 목동에서 파시즘에 대항하는 혁명전사로 변모하는 주인공의 삶을 묘사한 『타호 강』(1938)이다. 언급한 아르코나다의 세 작품을 서술 기법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를 수 있다. 먼저 작가의 가치판단, 독자에게 향하는 충고나 훈계 및 절박한 상황에서 토해내는 절규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작가의 개입니다. 독자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서고 싶은 열망의 표출로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사실주의 경향의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곳에서 드러나는 서정적인 요소이다. 아르코나다가 잠시 몸담았던 1920년대 아방가르드 문학의 한 흔적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로는 내적인 고뇌와 갈등을 가진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집단 및 계층에 공통적인 문제가 주인공을 통해 표출되는 집단적 인물의 개념이다. 또한 이러한 집단적 인물은 마니교적인 선악 악이라는 이분법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민중을 계몽하려는 목적 의식과 함께 보다 나은 사회에 대한 신념으로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비전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그의 작품이 지나치게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선전 수단으로 전락하고 문학적 가치가 결여되어 있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당시 스페인 사회가 갖고 있던 다양한 사회적 모순과 제문제점이 비판적 시각에 의해 소설화된 그의 작품들이 한 시대의 증인으로서 가지는 역사적 가치는 충분히 담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사랑, 죽음, 문학과 인간성 상실: 20세기 말 데카당스 추리소설의 출현 - 카르멘 포사다스(Carmen Posadas)의 『모두가 네스터를 죽이고 싶어 한다』를 중심으로 -

        김선이 ( Kim Seonyi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1 No.-

        카르멘 포사다스의 『모두가 네스터를 죽이고 싶어 한다』는 얼핏 보기에는 흑색소설처럼 보이지만 이 작품은 흑색소설이라고 칭하기에는 그동안의 흑색소설의 주제들과는 다른 사랑이야기를 주제로 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소설을 로맨스 소설이라고 볼 수 있을까? 이 소설은 낭만주의적인 사랑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퇴폐주의적이고 도덕적으로 타락한 인물들의 불륜과 근친, 당시 스페인사회에서 금기시 되었던 동성애를 이야기한다. 더 나아가 이 소설은 단지 사랑이야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죽음과 살인사건으로 연계되고 삶에 대한 비관주의적 시각과 죽음에 대한 차가운 관조, 그리고 인간성 상실이라는 작가의 비판적 시각을 보여준다. 이러한 주제들은 독자로 하여금 19세기 말의 데카당스적 요소들을 떠올리게 만든다. 작가는 흑색소설의 정치·사회비판적 기능을 도덕적 타락과 인간성상실에 대한 비판으로 전환시켜 20세기 말의 세기말적 현상을 보여주는 데카당스 추리소설을 완성한다. At first glance, Carmen Posadas’s Pequenas infamias looks like a black novel, but this work is based on a story of love that is different from the black ones. If so, could this be considered a romance novel? This novel is not about a romantic love story, but about the immorality and incest of the decadent and immoral characters and homosexuality, a taboo in Spanish society at the time. Furthermore, the novel does not end with just a love story, but is linked to death and murder, showing a pessimistic view of life, a cold contemplation of death, and a loss of humanity. These themes remind the reader of the elements of the Decadence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author transforms the political and social critical functions of the black novel into a critique of moral depravity and loss of humanity, completing the Decadance mystery novel that shows the end-of-the-century phenomenon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미겔 델리베스의 『마리오와의 다섯 시간』 서사 분석

        김미현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2022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5 No.2

        미겔 델리베스는 20세기 스페인을 대표하는 소설가이다. 전후 작가로 알려진 델 리베스의 작품들은 주로 내전 이후의 스페인 사회를 묘사하며 사회적 사실주의 소 설로 인식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기존 서사와 다르게 진행되는 『마리 오와의 다섯 시간』을 분석하려 한다. 이전 작품인 『쥐떼』의 검열을 계기로 델리베 스는 출판을 위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한다. 『마리오와의 다섯 시간』에서는 기존 소 설에서 주로 다루었던 유년기 주인공의 성장과 이를 중심으로 사건이 펼쳐지는 것과는 다른 서사 방식을 보여준다. 주인공 마리오의 죽음으로 시작되는 이야기와 장 례식이라는 설정을 통해 죽은 듯한 스페인 사회에서 수동적인 자세만 취하는 개인 과 사회의 모습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또한 소설 대부분을 차지하는 카르멘 의 독백은 죽은 남편을 향한 카르멘의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말하기를 비유적으로 나타낸다. 무력하게 누워있는 상대방을 향한 일방적인 말하기가 갖는 편협성과 폭 력성을 통해 프랑코 독재사회를 상징적으로 고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문학의 위기와 영화적 서사 - 스페인 아방가르드 소설의 경우 -

        김찬기 ( Kim Chan-kee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硏究 Vol.38 No.-

        20세기 초반 스페인 아방가르드 문학은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지 못해 문학의 위기를 초래한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재현 방식에 대한 반작용 현상이다. 스페인 서사 문학의 혁신을 주도한 아방가르드 작가들은 1925부터 1935년까지 활발한 창작 활동을 한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은 스페인 내전 (1936-1939)으로 인해 좌절되고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조금씩 문학사적으로 재조명되기 시작한다. 스페인 아방가르드 작가들은 리얼리즘의 미메시스 규범과 모더니즘의 엘리트주의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학을 정립하고자 노력한다. 본 연구는 스페인 아방가르드 소설이 문학적 수사를 과도하게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당대 사회의 근대적 욕망을 반영하고 있으며 서사적 관점에서 영화 기법을 차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예증하고 있다. 스페인 아방가르드 소설가들이 의탁하고 있는 영화 기법은 리얼리즘의 미메시스 미학을 전복시킨다. 즉 스토리 위주의 전통적인 서사를 과감히 탈피하고 이미지 중심의 서사로 전환한다. 결국 영화 기법은 아방가르드 미학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로 부상하여 아방가르드 소설의 실험적인 서사 기법에 유용하게 차용된다. The literature of Spanish avant-garde in the first third of the 20<sup>th</sup> century reacted against the literary forms of both Realism and Modernism, so conventional at that time, and caused literary crisis. The young avant-garde novelists initiated a renewal in the Spanish literature that reached their peak between 1925-1935. However, the Spanish Civil War (1936-1939) stopped the process of continuity of these changes which did not rise again until the 70s of the 20<sup>th</sup> century. The avant-garde writers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mimetic perspective of Realism and the elitist of Modernism while practicing their own avant-garde aesthetics. The current study aims to verify the narrative techniques in some Spanish avant-garde novels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avant-garde aesthetics was constructed with reflections of their society, with cinematographic techniques, as well as, with stylistic resources such as the use of metaphor. The cinematographic techniques used by avant-garde novelists respond to the subversion of the aesthetics of realistic mimicry by eliminating the classic element of the narrative plot and replacing it with cinematic images. Therefore, cinematography is one of the most used aesthetic resources in the experimental narrative techniques of the Spanish avant-garde of the first third of the 20<sup>th</sup> centu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