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복지수와 라틴아메리카의 행복

        이상현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2018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1 No.1

        Latin American countries show relatively high level of happiness in spite of low income level as well as weak social indicators. This study aims as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relatively high level of happiness in Latin America. To do so, the most cited happiness indexes were examined in terms of Latin American context. After examining existing happiness indexes, this paper concludes that Latin American countries recorded high scores on indexes which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vely high level of happiness in Latin America stems from its high satisfaction of family as well as social relationships. In addition, based on data on level of trust and family relationship, this study states that family practices of closeness as well as mutual support stand out as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s of relatively high level of happiness in Latin America.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과 사회 수준에도 불구하고 높은 행복 수준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라틴아메리카의 높은 행복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의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는 대표적인 행복지수들에서 라틴아메리카의 행복수준을 다른 지역 및 국가들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행복지수들을 중심으로 볼 때,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투입을 중심으로 행복을 측정하는 행복지수보다 주관적 안녕에 기반을 두고 행복을 측정하는 지수에서 높은 행복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본 연구는 라틴아메리카 행복 관련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족과 사회적 관계를 라틴아메리카의 행복을 결정하는 가능성이 높은 요인들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신뢰 수준 및 가족 관계 데이터를 근거로 가족 간의 친밀성과 상호 부조를 라틴아메리카인들이 보여주는 높은 수준의 주관적 행복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스페인어 복합어의 운율 체계

        이수열 ( Soo Yeol Lee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스페인어 복합어에서 나타나는 운율 구조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복합어의 제2강세 규칙을 도출하여 복합어에서 나타나는 리듬 특징을 살펴본다. 스페인어의 경우 비합성어의 운율 구조가 복합어 형성 시 그대로 유지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하지만 일부 복합어에서는 복합어의 내부 구조에 의해 비합성어의 운율 구조가 변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복합어를 구성하고 있는 비합성어들의 결합 음절수에 따라 복합어에서 운율 구조의 변화가 일어난다. 3음절 이상의 어휘와 2음절의 어휘가 결합하여 복합어를 형성하는 경우 두 번째 구성 요소에서 대부분 변화가 일어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스페인어 비합성어에서 나타나는 운율 구조, 즉 제2강세 구조를 분석해 본다. 스페인어 비파생어에서 제2강세 구조는 제1강세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제1강세 왼쪽으로 강약음보를 구성하면서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힌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비합성어의 운율 구조, 즉 제2강세 구조가 합성어에서는 어떤 형태로 실현되는지를 자세히 분석하면서 스페인어 비합성어의 제2강세 규칙이 복합어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사실을 밝힌다. 스페인어에서 제2강세 규칙은 제1강세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이음절의 음보를 구성하면서 이 음보의 왼쪽 요소에 제2강세를 부여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e the prosodic structure of the Spanish compound words and propose the second stress rules of theses compound words based on a look a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panish prosodic rhyme. In the case of Spanish the rhyme structure of a non-compound words remain in the compound words. However, some of the compound show that the metrical structure of a non-compound word is changed b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mpound, due to the number of syllables of the compound word component, or the position of the primary word stress. If three or more syllables vocabulary words joints with the two syllable word, most changes occur in the second component. By analyzing these changes I reveal that the rule of Spanish second stress of the non-compound word is applied in the compound words. The second stress in a Spanish compound words will be given a second strong element on the left of the bisyllabic foo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rimary stress.

      • KCI등재

        바스크어 유입에 따른 스페인어의 운율 변화 현상

        이수열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2020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3 No.2

        This study examines the prosodic structure of the Basque vocabularies borrowed into Spanish and analyzes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these vocabularies in the process of borrowing them into Spanish. When one language borrows a vocabulary from another language, it tends to maintain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language, and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word's vocabulary are lost or undergo changes according to the prosodic constraints of the borrowed language. Among the various phonological change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Spanish borrowing vocabulary from the Basque language, a change in the syllable structure occurs, resulting in a change in the prosodic structure, such as a shift in stress.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sodic structure of Spanish, and analyzes the changes in the prosodic structure that may appear according to the process of Basque borrowings. Through this analysis, we will find out whether there is a phonology of borrowed words that can be applied to borrowed words in Spanish. 본 연구는 스페인어에 차용된 바스크어 어휘들의 제반적 운율 특징을 분석하고 이들 차용된 어휘들이 스페인어와의 충돌 과정에서 일어나는 운율적 제약 현상을 음절, 강세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파악해본다. 바스크어가 스페인어로 차용되는 과정에서 바스크어의 운율적 특징을 유지하려는 경향과 스페인어의 운율적 제약에 따라 바스크어의 어휘가 지닌 운율적 특징들이 상실되는 현상들을 겪게 된다. 바스크어 어휘들이 스페인어로 차용되는 과정에서는 여러 음운론적 현상들이 가운데에는 음절 구조의 변화로 인한 강세 이동 현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페인어의 음절, 강제 구조 특징을 분석하고 바스크어 어휘들이 스페인어로 차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운율적 변화 현상들을 분석해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스페인어에 차용된 어휘들과 관련된 차용어 음음부가 바스크어 차용어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밝혀보고 이미 스페인어에서 귀화어로 사용되고 있는 어휘들의 운율적 구조 변화 현상들을 아직은 외국어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외래 바스크 어휘들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밝힌다.

      • KCI등재

        스페인어권 디지털인문학 교육 및 연구 동향

        정혜윤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2023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스페인 및 라틴아메리카에서 디지털인문학(DH)에 대한 교육 및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디지털인문학은 영미권에 확고한 뿌리를 두고 태동하였지 만, 스페인어권에서 디지털인문학은 지역 학문 전통, 문화적 맥락 및 기술 인프라에 의해 영향을 받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며 성장해왔다. 스페인은 디지털인문학 연구 과 교육이 대학, 연구소, 도서관 등 고등 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제도적인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면, 라틴아메리카는 개인적인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범분야 파트너 십 및 지역 컨소시엄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지역 모두 디 지털인문학 관련 재정적 지원 유치, 인프라 및 방법론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 다. 본 연구는, 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의 디지털인문학의 짧은 역사 및 현황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국내 디지털인문학 관련 교육계와 학계에 시사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한국과 스페인어권 간 언어권을 초월한 학문적 교류의 가능성을 제안해본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lore the evolving landscape of Digital Humanities(DH) in Spain and Latin America in both research and educational realms. Although DH has firmly rooted in anglophone countries, its adoption and evolution in the Spanish-speaking world may reveal unique characteristics influenced by regional academic cultural contexts, and technological infrastructures. Spain has seen the rise of structured institutional efforts promoting DH studies and integration into higher education, while Latin America boasts a diverse array of cross-disciplinary partnerships, and regional consortium. Despite these efforts, however, both regions face challenges in funding, infrastructure, and methodological adaptation. This study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DH in Spain and Latin America and postulates future trajectories,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across the Atlantic and even with Korean digital humanists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한국인 스페인어 학습자의 발화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p, t, k/ 및 /b, d, g/를 중심으로

        문정 ( Jeong Mun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8 No.2

        본 논문은 한국인 스페인어 학습자(이하 KS 학습자)에 의한 스페인어 파열음소가 어떻게 실현되는지, 원어민의 발화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스페인어를 배우는 한국인 대학생들이 발화한 스페인어 무성 파열음소 /p, t,k/와 유성 파열음소 /b, d, g/의 변이음을 녹음한 후, 음성분석프로그램인 프라트(Praat)를 사용하여 폐쇄구간, 개방구간, 유성음화 비율, 접근음화 비율 등을 측정하여 발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KS 학습자가 스페인어의 [p, t, k]를 발화시에는 약기음화, 강경음화 현상이 일어났다. 한국어에 경음이 존재하기 때문에 KS 학습자가 스페인어의 경음을 강하게 발화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원어민의 경우 무성 파열음의 무성성과 유성 파열음의 유성성에 충실하였으나 KS 학습자의 경우 무성 파열음의 무성성과 유성 파열음의 유성성에 상대적으로 충실하지 못하였다. 또한, KS 학습자는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은 스페인어의 접근음에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lege(1995)가 주장한 바와 마찬가지로 L2의 접근음이 한국어에 존재하지는 않지만 음성적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L1의 음성범주에 동화되어 스페인어 접근음의 습득이 어려웠던 것이다. KS 학습자의 스페인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학적 변인으로는 총 공부기간, 거주 경험, 거주기간임이 나타났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KS 학습자의 발화에 관하여 음향음성학적으로 실험한 논문으로 앞으로 스페인어 발음 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Spanish phonemes /p, t, k, b, d, g/ are produced by Koreans and what is the difference compared to Spanish native group. After recording allophones produc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it uses a speech analysis program Praat to analyze the closure duration, release burst duration, rate of sonorization, and rate of approximantiz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native Koreans who are learning Spanish language (hereinafter, ``KS learners``) pronounce the Spanish [p, t, k], ``weak aspiration`` and ``strong fortisation`` phenomenon can occur. As Korean language has its own fortis, Korean participants tend to pronounce the tense sounds of the Spanish language strongly. The pronunciation of voiced and voiceless plosives by native Spanish speakers is faithful to the voiced-voiceless distinction. However, the Koreans are relatively less faithful to the voiced-voiceless distin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language. In addition, they have difficulty acquiring approximants [β, δ, y] that do not exist in the Korean language. As argued by Flege (1995), the L2-approximants that do not exist in the Korean language are assimilated to the phonetic category of L1 due to phonetical closeness. Lastly, linguistic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arning of Spanish language by KS leaners are: total learning period, stay experience in Spanish-speaking countries, and period of stay. This article conducts an analysis of acoustic-phonetic characteristics of KS leaners, an uncharted field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Spanish language.

      • KCI등재

        교양 스페인어 수업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모형 제안 -말하기 중심으로 진행되는 전북대학교 교양 스페인어 수업의 사례-

        정동섭 ( Dong Sup Jung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8 No.1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의 주도권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대학 강의 방식은 교수자 주도의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이 주를 이루어 있다. 이러한 수업 환경에서는 학습자가 수동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밖에 없고, 이것은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인재를 요구하는 시대적 상황과는 거리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에 어떠한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있어왔다. 현재처럼 교수자 주도의 강의식 수업을 바꾸거나 혁신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플립드 러닝이다. 플립드 러닝이란 기존의 전통적 강의 방식을 뒤집은(flipped) 학습 방식을 의미한다. 전통적 강의가 먼저 교실에서 강의를 듣고 강의 후 교실 밖에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었다면, 플립드 러닝은 이러한 과정을 뒤집어서 거꾸로 한다. 즉, 교실 밖에서 디지털 매체를 통해 강의를 듣거나 미리 주어진 읽기 자료를 읽고, 교실 안의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기존의 강의 대신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토론이나 프로젝트, 실험, 실습을 수행하는 교수 학습 방법이다.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 스페인어 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기존의 강의 방식이 아닌 플립드 러닝을 도입한 수업모형을 개발한 것이다. 외국어 교육의 목표가 상황에 맞는 자유로운 언어구사라면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의 전통적인 교실 수업을 통해서는 이러한 목표 도달에 큰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플립드 러닝 방식을 스페인어 수업에 도입하게 되면 수강자는 온라인으로 미리 기본적인 사항들을 학습한 후, 교수자와의 면대면 수업에서 연습을 통해 상황에 어울리는 언어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드 수업모형 개발을 위해 Hamdan, McKnight, McKnight & Arfstrom이 말한 플립드 러닝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 4가지를 염두에 두었고, 이후 ADDIE 모형을 참고로 하여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2014년 2학기에 전북대학교의 교양 스페인어 강의에 플립드 러닝을 적용해 보았다. 전통적인 대학 강의에서는 예습을 기대하기 어려웠지만, 플립드 러닝 수업에서는 학습자들이 선행학습을 통해 수업을 준비한 상태이기 때문에 수업참여도 또한 높게 되었다. 학습자들이 플립드 러닝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or more effective learning, it is important for us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and to have the initiative of learning. Existing teaching methods of university lecture is mainly traditional instructor-led training. In such a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cannot help but to be passive and this is so far from the contemporary situation that requires talents who are creative and enterprising. Accordingly, some have requested that there should be changes in the teaching method in traditional class. Flipped learning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way to innovate the instructor-led classes. It means a leaning method that flips the existing traditional lecture approach. In the traditional learning, students first listen to a lecturer in the classroom and then perform tasks outside of the classroom. However, this process is inverted in Flipped learning. In other words, students listen to lectures via digital media or read given reading material outside the classroom, then they take the initiative in the learning of discussions, projects, and experiments in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flipped leaning rather than traditional learning method for more effective liberal Spanish education. The goal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speak fluently in various situat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ent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There is some limit through the traditional class. However, if the flipped learning is introduced to the Spanish class, student attending Spanish classes after learning the basics in advance online can foster language skill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through face-to-face lessons. In this study, a Flipped instructional model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ADDIE Model, considering 4 factors proposed by Hamdan, McKnight, McKnight & Arfstrom for Flipped learning. In addition, this study applied the Flipped learning model to the lecture of liberal Spanish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 2014 second semester. There was high learn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which would not be expected in a traditional class. Learning satisfaction of learners was also high.

      • KCI등재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남미문화교육

        서경석 ( Kyung Suk Suh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09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2 No.-

        Ultimamente se habla muchas veces de la metodologia de la ensenanza por multimedia en varias areas, sobre todo en la ensenanza de las culturas y hasta en el estudio de las lenguas. Las peliculas pueden ser medios muy eficaces para ensenar la cultura o la civilizacion de America Latina. Como se sabe, los jovenes estudiantes de hoy son de una generacion sensible a la imagen, por lo tanto, las peliculas pueden ser apropiadas para motivar el acercamiento a las nuevas culturas. Ensenar la cultura de America Latina no significa meramente ofrecer los datos historicos inmensos. Para conocer la cultura que nos enfrenta ahora tenemos que entender los diversos contextos socio-culturales e historicos. En este articulo observamos como es la tendencia de la ensenanza por medio de multimedia y hablaremos sobre la ensenanza de la cultura hispanoamericana que he podido dar en estos dos anos. No es tan simple aplicar las peliculas en las clases. Pero si los estudiantes se quedan contentos con este tipo de clase, sera un intento muy exitoso para entender lo que la America Latina nos puede dar.

      • KCI등재

        자동사와 함께 출현한 스페인어 대명사 se에 관한 소고

        정원석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2020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3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ccurrence of the Spanish pronoun se with intransitive verbs. I argue that considering se as merely an aspectual marker, just like in the case of transitive verbs with telic interpretation manifested in se, cannot account for the genuine semantic difference between intransitive verbs with or without the pronoun se. I suggest that in contexts where the pronoun se appears regardless of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verb, it is a PF-realization of abstract formal features encoded in a functional head in between TP and VP, and that such kinds of formal features are related to either the ‘naturalness’ of the process denoted by the verb or the ‘willingness’ of the subject which realizes the action expressed by the verb. In conclusion, the pronoun se appearing with intransitive verbs should be analyzed in the light of the syntactic structures that provide the relevant semantic interpretations, similar to the case of transitive verbs with se. 이 논문에서는 자동사 구문에 출현한 스페인어 대명사 se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여타 타동사와 함께 나타나 종결 해석과 관련 있는 se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se를 상적표지로 간주하는 것은 자동사 구문에서 대명사 se의 출현 유무에 따른 진정한 의미적 차이를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자동사 구문에 동사의 논항구조와 상관없이 출현한 대명사 se는 통사구조에서 TP와 VP 사이에 투사된 기능구의 핵이 가진 추상적인 형식자질들이 음성부에서 실현된 형태로 나타나며 이와 같은 형식자질들은 동사 진행과정의 “자연스러움” 또는 동사의 행위를 실현하는 주어의 “자발적 의지”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자동사와 함께 출현하는 대명사 se는 타동사 구문의 se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의미적 해석을 제공하는 통사 구조적 측면에서 분석되어야 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돈 후안 신화: 『돈 후안 테노리오』 vs. 영화 ≪스캔들≫ 비교를 중심으로

        김선이 ( Kim Seonyi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6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페인 문학의 신화적 인물인 `돈 후안`의 탄생부터 신화가 되어 한국 영화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의 주인공 조원으로 재탄생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본다. 그동안 서구문화권을 중심으로 문학작품에서 끊임없이 재창조되었으며, 특히 낭만주의 시대에 출현한 스페인 작가 소리야의 『돈 후안 테노리오』와 프랑스 작가 라클로의 『위험한 관계』는 오늘날의 `돈 후안`캐릭터를 공고히 하고 영화화 하는데 일조하였다. 한국에서도 2003년 이재용 감독의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가 개봉하였는데, 이 영화는 동양권에서는 처음으로 돈 후안 신화의 각색 작품이 영화화 된 것이었다. 따라서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돈 후안 신화의 요소가 녹아들었는지 살펴보고 오늘날에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계속되는 돈 후안 신화를 목격해본다. 『Don Juan』, one of the masterpieces of Spanish literature of the Golden Age is so well known throughout the world as to have many different versions, such as Mozart`s “Don Giovanni”, as well as many movies adapted from this story. As there were many works similar to Don Juan in different countries in Europe, always existed discussions about their origins. But in the literary world of Spain El burlador de Sevilla y convidado de piedra of Tirso de Molina is considered as its beginning. Since then many adaptations have continued to portray the character of `Don Juan` creating a fertile modern myth. Especially, Don Juan Tenorio written by Jose Zorrilla in Spain and The Dangerous Relations written by Choderlos de Laclos in France continue the tradition of 『Don Juan』. In particular, this French work was also filmed several times, among them the South Korean film ≪Untold Scandal≫ is recognized as a perfect adaptation of Laclo`s work. Through this movie, we can look into how this European myth could be moved to the 18<sup>th</sup> century Joseon Dynasty setting and how the Don Juan myth worked into ≪Untold Scandal≫, providing the basis for an interesting study.

      • KCI등재

        라틴아메리카의 탈식민적 전회(De-colonial Turn)와 트랜스모더니티(Trans-modernity): 유럽의 비판이론과 해방철학을 중심으로

        김은중 ( Eun-joong Kim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6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9 No.1

        칸트의 비판적 방법은 이중적이다. 칸트의 초월적 비판은 우선적으로 이성과 지식 체계에 초점을 맞추지만 계몽의 권고를 반대로 읽을 수 있는 비판의 가능성 도 제시한다. ``과감하게 알라``는 계몽의 권고는 ``과감할 줄 알라``는 의미이기도 하 다. 다수자 칸트가 초월적 질서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면 소수자 칸트는 이 성의 명령과 권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푸코는 소수자 칸트를 따라서 근대성을 권력 관계, 즉 지배와 저항, 주권과 해방을 위한 투쟁의 관계를 이해한다. 유럽 의 비판이론과 라틴아메리카 해방철학은 저항과 해방에 대해 상보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계몽과 근대성에 대한 유럽의 비판이론은 유럽의 인간 개념에 토대를 둔 인간과 인간성의 계몽과 근대성을 말할 뿐 유럽 외부의 사람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해방철학이 부정적 물질성을 수용하고 공동체적 상호주체성을 포괄하는 점에서 비판이론에 동의하지만, 희생자의 공동체의 합의로부터 출발하는 외부 성과 비판적 담론성을 긍정한다는 점에서 비판이론을 넘어선다. 세계화의 기치아래 서구 근대성은 헤게모니를 잡은 북부와 피지배의 남부를 대립시킴으로써 총체 성을 확보하려고 한다. 해방철학은 주변부의 철학이지만 전 지구적 차원의 열망을 갖는다. 해방의 기획은 반근대도 아니고 전근대도 아니며 탈근대도 아니라 트랜스 모던이다. 트랜스모더니티는 새로운 보편성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탈식민적이고 복수의 세계를 제시한다. Kant’s critical method is double. Kant’s transcendental critique is focused primarily on the system of reason and knowledge, but his critique open the possibility of reading the Enlightenment injunction against the grain. “Dare to know” means at the same time “know how to dare.” Whereas the major Kant provides the tools for stabilizing the transcendental ordering, the minor Kant presents an alternative to the command and authority of reason. When Foucault argues that modernity must be understood as a power relation, that is, domination and resistance, sovereignty and struggles for liberation, he carries forward the banner of the minor Kant who not only dares to know but also knows how to dare. European critical theory and Latin American philosophy of liberation provide complementary perspectives on resistance and liberation. Missing in European critical theory’s celebration of the Enlightenment and modernity was the fact that its concept of Man and humanity was based on the European concept of Man, and not on those that populated the world beyond the heart of Europe. The philosophy of liberation not only takes aim (with critical theory) to retain negative materiality and includes communitary intersubjectivity, but also (against and beyond critical theory) affirms exteriority and critical discurvity, which emerges from the consensus of the commnunity of the victims. Under the aegis of globalization, the totalizing ambitions of Western modernity are reveled in the opposition between the hegemonic North and the dominated South. The philosophy of liberation is a philosophy born in the periphery but with global aspirations. The project of liberation is neither anti- nor pre- nor post-modern, but is trans-modern. Transmodernity presents itself as a decolonial and pluriversal option, instead of offering itself as a new universal mission.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