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공수자,이은희 한국여성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1 No.1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G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270명의 여자대학생들을 설문조사하여, 극단치로 추정되는 8명을 제외시킨 262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공변량 구조분석 결과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과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이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즉 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여자 대학생들이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면 우울증상이 떨어지는 반면에,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우울증이 증가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여자 대학생들이 생활스트레스에 직면할 때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과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을 다 사용하지만 생활스트레스와 관련된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보다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의 과도한 사용은 그 개인에게 부가적 정서적 문제들을 야기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생활스트레스, 우울 및 대처방식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스트레스 상담 개입전략에 대한 일반적 틀과 대처방식에 대한 향후 연구방향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요인에 관한 연구 : 에니어그램성격유형 및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최연택,박신영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4 에니어그램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학생상담에 활용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 있다. 모든 사람은 일상생활을 하면서 끊임없이 스트레스 를 받으며 산다. 스트레스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몇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방식, 문제해결 중심 대처방식, 회피 중심 대처방식 으로 구분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장유형, 가슴유형, 머리유형)과 자기효능감(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선호)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하였으며, 개인특성으로 성별, 학과, 출신지역을 다루었다.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대한 차이분석결과 평균점수가 보통이상으로 나타나 스트레스 대처 방식 을 선택함에 있어서 긍정적인 방식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향력 분석결과 성격유형, 자 기효능감, 학과, 성별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 성 중 출신지역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을 상담함에 있어서 학생의 성격유형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기본 지식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영어학과 학생들의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윤성규,최연택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7 에니어그램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충청지역 소재 S대학 영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1학년, 2학년, 3·4학년으로 구분하 여 학년별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를 분석하고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ANOVA분석을 실시하여 스트레스대처방식 하위 3유형과 스 마트폰사용중독 하위 4유형의 학년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하위유 형별로 스트레스대처방식 변수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스트레스대처방식 하위 3유형과 개인 특성변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스마트폰 중독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정도는 일반사용자 군에 속하며, 스마트폰 중독을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대한 차이분석결과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 면,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차이분석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스트레스대처방식 하위유형과 개 인특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결과 문제해결중심대처방식은 모든 하위 유형에서 부(-)적 영향을 미쳤다. 회피중심대처방식은 내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다른 하위유형에서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년은 일상생활장애, 금단, 내성에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즉, 스트레스가 발생했을 경우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에 직접적으로 부딪쳐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는 스트레스원인을 회피하는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스마트폰 중독도가 높아지며, 학년의 경우 저 학년일수록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이 높아졌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y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English major students of S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It also attempts to analyze the impact of stress coping strategy on smartphone addiction. In order to test this, it was distinguished by the school year; first year, second year, third year and forth year respectively.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3 sub-types of stress coping strategy and the 4 sub-types of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students’grade level.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tress coping strategy variables on the sub-types of smartphone addi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3 sub-types of stress coping strategy and individual personality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martphone addi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degree of the smartphone addiction of students belonged to general user group and it was shown that smartphone addiction was not a concer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the stress coping strategy by the grade level, whereas the difference analysi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showed meaningful results.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tress coping strategy sub-typ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smartphone addiction showed that problem solving-centered coping strategy had a negative(-) effect on all subtypes. The avoidance-centered coping strategy had no effect on the tolerance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subtypes. The grade level has a negative(-) effect on daily living disability, withdrawal, and tolerance. In other words, when stress occurs, the possibility of smartphone addiction increases when students avoid the stress cause rather than directly addressing the cause of the stress and solving the problem. The lower the grade level,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smartphone addiction becomes.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멘탈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윤영,김혜연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멘탈력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내 대학생 43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4.0 프로그램으로 기술 통계, t-test, ANOVA 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은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멘탈력에 차이를 가져왔는데 각 하위 요소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은 스트레스 대처방식보다 멘탈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이 많았다. 셋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멘탈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멘탈력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극적 대처방식보다 적 극적 대처방식이 더 높은 상관성을 보였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그에 대한 반응적이고 심리적인 특성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앞으로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 와 멘탈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 stress coping style and mental toughnes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38 university students on Jeju Isl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ess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brought a difference in the stress coping style and mental toughness of university students, which were different for each subfactor.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ess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had more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d an influence on mental toughness than the stress coping styl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coping style and the mental toughness of university students, we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ntal toughness and the stress coping style. In particular, the active coping style showed a higher correlation than the passive coping styl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n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stress and the reac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can be used for education and research to manage stress and to improve the mental toughness of university students.

      •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도명애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210개 기관의 유치원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을 밝히면서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교사 모두에게 평균이상으로 높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유아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1) 교사의 배경 변인별 직무스트레스에 있어서, 연령변인은 교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종교변인은 종교가 있는 교사보다 종교가 없는 교사에게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약간 높다. 교육경력 변인에서 유치원 교사는 5~10년 경력에서 가장 높고, 연수경험 변인은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에게서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 2) 유아의 배경 변인별 및 교육 환경에서는 유아의 발달정도가 경도, 유아수가 3명, 학급유형은 통합학급교사 모두에게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높게 나타났고, 통합학급 교사에게 교사내적 갈등, 학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증상에서 유발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교사 모두에게 높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소망적사고 추구, 정서 완화적 지지 추구,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완화적 대처 순으로 나타났다. 1) 교사의 배경 변인별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연령변인은 40대에서 정서 완화적 대처이고, 20대에서 문제중심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다. 종교변인은 종교가 없는 교사 모두에게 문제 중심적 대처이고, 종교가 있는 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와 소망적사고 추구가 높게 나타났다. 경력변인에 있어서 교사는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특수교육관련 연수경험에서는 연수에 참여한 교사 모두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2) 유아의 배경 변인별 및 교육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발달지체 중도인 유아에게 교사는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발달지체를 가진 영유아수 3명 이상의 통합학급 교사에게서 정서 완화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학급유형에서는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하위영역에 있어서, 문제 중심적 대처에서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 추구에서는 신체적 증상, 정서 완화적 대처 및 소망적사고 추구에서는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대한 기준은 유치원에서 실행하기 위한 기준 항목중심으로, 교사를 위해 실천사항을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적 향상위한 포괄적인 정보가 될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취업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및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유계숙,신동우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6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on academic burnout and employment stres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427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ten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Based on recommendation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measurements consisted of the stress coping style scales, academic burnout scale, and employment stress scal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ndergraduate students most often used problem-solving coping style, followed by self-comfort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yles. On the contrary, they employed emotional and avoidant coping styles less frequentl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using emotional coping style according to students' sex and university group. Thir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re often students use avoidant coping style, the higher their levels of academic stress. Finally, anoth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re often students use emotional coping style, the higher their levels of employment stress. However, the frequency of using self-comfort coping style negatively predicted levels of students' employment stres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업․취업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대처방식이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과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시소재 4년제 10개 사립대에 재학 중인 427명(남 213명, 여 21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추구, 문제해결중심, 자기위로능력, 회피중심 대처, 정서중심 대처 등 다섯 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과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업․취업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름의 대처방식을 사용하며, 주로 문제해결중심 대처, 자기위로 및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정서중심 대처나 회피중심 대처방식은 상대적으로 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서는 사회적 지지추구와 정서중심 대처방식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문제해결중심 대처와 자기위로 대처방식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된 학교집단에 따라서는 비상위권 대학보다 상위권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이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을, 상위권 대학보다 비상위권 대학 재학생들이 회피중심 대처와 정서중심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 스트레스의 수준에서 상위권 대학 학생보다 비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피중심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학생은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수준이 높고, 넷째, 자기위로를 많이 하는 학생은 취업 스트레스가 낮은 반면, 정서중심 대처를 많이 하는 학생은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취업 스트레스를 각기 독립적인 스트레스로 보고, 대학생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측정도구를 적용하여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및 취업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을 위한 학업․취업 스트레스 상담 및 교육에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조사무엘(Jo Samuel),고동우(Dong Woo Ko),이지연(Ji-yeon Lee)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8 경영과 사례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모두 부(-)적 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 중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사회적지지추구 대처방식, 소망적사고 대처방식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정서중심적 대처 방식은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추가적으로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상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중심적 대처는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문제중심적 대처는 정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문제중심적 대처, 직무스트레스, 정서중심적 대처 순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office workers.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llected from office workers of Seoul, I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and the total of 253 data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nalyzed.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sub-scal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except emotion focused coping strategies, which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job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 factor of stress coping method that additionally explains psychological well-being had the variable of 19%. Also job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ut problem focused coping had a positive influence, and explaine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of problem focused coping, job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 KCI등재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이경숙,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silience, stress-coping strategies, and self-integration in the elderly and to clarify whether the stress-coping strategi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integration. For the research, Self-Integration Scale(Jeon Jeong-A, 2006) which Kim Jeong-Soon (1988) had developed and Jeon Jeong-A had modified, Adaptation Flexibility(Im Seong-Suk, Kim Jin-Suk, 2009), Scale about Individual Coping Style, and Stress-Coping Strategies Scale(Yoon Hyeon-Hee, 1994) based on Scale of Kim Myeong-Ja(1991) were conducted on 198 people with their ages over 65 in two community welfare center of K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integration. Also,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stress-coping strategies and self-integration. Especially, supportive relationship and positive attitude which are the sub-variances of self-resilienc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elf-integration. Also, passive evasion, problem reestablishment, and coping strategies of emotional expression which are sub-variances of stress-coping strategies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self-integration. However, there was not any correlation between religious tendency and self-integr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ve effect of stress-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integration. The passive evasion, the problem reestablishment,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emotional expression were identified as having mediative effect on the part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integration, but dependency on one's religion had no mediative effect. In conclusion,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among self-resilience, stress-coping strategies, and self-integration. The stress-coping strategies could be seen as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integrat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to improve self-integration, education and consultive intervention are needed. These measures will improve self-resilience of the seniors and change self-coping strategies in better way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그리고 자아통합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소재 복지관에서 65세 이상 노인 198명에게, 자아통합감 척도와, 자아탄력성 척도,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자아통합감 간에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지지적 관계와 긍정적 태도는 자아통합감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인 수동적 회피 대처방식, 문제재정립 대처방식, 감정표출의 대처방식은 자아통합감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종교적 성향과 자아통합감은 서로 관련이 없었다. 둘째,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다. 문제재정립 대처방식, 감정표출 대처방식, 수동적 회피 대처방식은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사이에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신앙에 의지 대처방식은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사이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그리고 자아통합감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자아통합감을 높이기 위해 노인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교육이나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이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

        박창식,이형수,조병모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1 재활복지 Vol.15 No.4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충청도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2개 통합교육 대학에 재학 중인 191명(장애학생 73명, 비장애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전체 자기효능감은 장애대학생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적 대처 방식과 사회적지지 대처 방식에서 장애대학생 보다 비장애대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대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정서중심적 대처 방식, 소망적사고 대처 방식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 자기효능감은 정서중심적 대처 방식, 소망적사고 대처 방식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장애대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유형 중 정서중심적 대처 방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비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적지지 대처 방식과 소망적 대처 방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대처 전략으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장애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stress-coping method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by inclusive education. Questionnaires that contain data of approved cases of people with foot disabilities wearing orthopedic shoes from march 1, 2010 to june 30, 2010, were collecte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191(73 disabilities students and 118 nondisabilities stud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at 2 colleges in Gyeonggi-do and Chung cheong-do. Data then were analyzed by using Window SPSS/PC+12.0 version, also by conducting descriptive analyses, t -test,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n independent t -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sabilities students and nondisabilities students on the mean difference of self-efficacy, stress-coping methods. The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stress-coping methods has revealed that both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emotion-centered coping methods. Also,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stress-coping methods has revealed that disabilitis students had statistically-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emotion-centered coping methods and nondisabilities stude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ed coping methods. Accordingly, it has been revealed that self-efficacy is effective in stress-coping methods.

      • KCI등재후보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왕만(Man Wang),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완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다. 셋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아지면 사회적지지 수준이 낮아졌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아지면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낮아졌다,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아지면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아졌다. 넷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때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때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리적 안녕감을 높지 않은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성향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어떻게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는지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Between of 40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14 at B University of A city, a total of 330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Spss 20.0 and AMOS 20.0 conducted to text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ess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Proactive coping strategy posi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ssive coping strategy nega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is, proactive coping strategy used as a way of adapting to stress improves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passive stress coping strategy lowers it. Finally,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mplied that higher social support help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stress coping strategy affect social support. Proactive coping strategy positively affected social support, while passive coping strategy have not an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had a mediated effect. The result showe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means that those who used proactive coping strategy become more capable of recognizing social support that is available around them through emotional reinforcement and they are also more capable of utilizing them. Howeve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passive coping strateg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hoed that social suppor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that could help stress coping strategy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which will greatly help Chinese students in Korea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adjust to their college life be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