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기국과 스탈린의 권력 장악 문제-비판적 재검토, 1922-1927-

        노경덕 ( Roh Kyung Deok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0 No.-

        많은 학자들은 1920년대 스탈린의 권력 장악 원인을 그의 직위, 즉 그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의 서기장이었다는 사실에서 찾으려 했다. 그들에 의하면, 스탈린은 당내 인사 문제를 관할하는 서기국을 1922년에 장악한 이후, 이 관료제 조직을 이용해 중앙과 지방 당 간부들에 대한 인적 정보를 손에 쥐었다. 이 정보를 통해 스탈린은 당 간부들, 특히 당 대회에서 투표권이 있었던 지방 당 서기들을 조종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대회 현장에서 그들의 압도적 지지를 확보하며 권좌에 오를 수 있었다는 것이다. 동시대 스탈린의 정적들이 처음 제기했고, 그 후 일부 서양 학자들, 특히 다니엘스에 의해 정식화된 이 테제는 실상 몇 가지 현재까지도 실증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전제들에 기초하고 있다. 첫째, 스탈린이 서기장이 된 후, 서기국은 스탈린의 개인적 목적, 즉 권력 투쟁에서의 승리를 위해 그 과제, 목표와 기능이 급격히 달라졌다. 둘째, 스탈린은 서기국 체제를 통해 지방의 상황 및 인적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정보를 기초로 스탈린은 당 간부들, 특히 지방당 서기들을 움직일 수 있었으며, 이것이 여의치 않을 때는 자기 사람들로 교체할 수 있었다. 러시아 문서고에 소장된 당 중앙위원회 문서들과 일부 간행 문서들을 분석한 본고는 스탈린이 서기장이 되던 1922년부터 그가 이른 바 통합반대파를 몰아냈던 시기인 1927년까지 서기국의 지방당 관료 통제 시도와 그 결과들을 추적한다. 본고는 이 과정에서 위의 전제들을 흔들만한 몇몇 사실을 발견했다. 일부 지방 당 서기들에 대한 숙청, 노멘클라투라 체제 설치, 지방 분쟁에 대한 직접적 개입, 그리고 지방 시찰단 파견 등의 스탈린이 추진했던 일련의 정책들은 그가 서기장에 취임하기 이전부터 대다수의 당 지도부가 서기국에 요구했던 바를 실천 했던 것에 불과했으며, 그가 서기국 조직을 자신의 권력투쟁에 이용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는다. 더해서, 스탈린의 정책들은 중앙당에 의한 지방 당, 특히 당 서기 장악이라는 결과를 빚어내지 못했으며, 따라서 서기들은 특히 인사 문제에 관해서는 중앙에 대해 자율성을 견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당 대회 등에서 스탈린을 지지해야 할 외압을 느낄 이유가 없었다. Many scholars have directly linked the rise of Stalin in Soviet high politics in the 1920s to the power of Secretariat in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where he became “General Secretary” in 1922. According to them, Stalin, as the chief of Secretariat, was able to use its bureaucratic organizations and functions to his advantage in the power struggle with his rivals. As Secretariat was a main organ to deal with the personnel matters of the party members, he had under his thumb many of them, especially, provincial party secretaries, who had the right to vote in major political meetings like Party Congress where Stalin`s opponents were defeated and his power was virtually ratified. Such thesis, firstly advanced by Stalin`s contemporary rivals and elaborated by Western scholars like R. Daniels and T. H. Rigby, has been relying on several unwarranted assumptions. First, it believes that Secretariat had been drastically changed after Stalin became General Secretary in terms of its tasks, objectives and functions. Second, Secretariat had precise and concrete information on regional situations and party personnel. Finally, Secretariat was capable to control regional party member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if not, replace them with Stalin`s own people. This paper, based on unpublished Central Committee documents and other printed materials, tracks the policies that Stalin had pursued as General Secretary, namely, the partial purge of regional party secretaries, the installation of nomenklatura system, the direct intervention to regional squabbles, and the support for travelling inspectorates, and describes the results of those policies up to 1927 when he convincingly defeated the United Opposition. In doing so, the paper reveals critical findings: Stalin`s policies were just reactions to the general demands of the Bolshevik leaders at that time, and there is no evidence that Stalin used the apparatus of Secretariat for his own purpose in the power struggle; his policies had never made the situations where Stalin could control regional party members. Consequently, they remained “autonomous” from the center in the area of personnel matters, and felt no external pressure to support Stalin in party meetings at least until 1927.

      • KCI등재

        On Beijing Decision-Making to Participate in The Korean War

        Vorontsov A,V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6 역사문화연구 Vol.25 No.-

        이 논문은 한국전쟁의 판도를 변화시킨 중국의 참전 배경과 결정 과정에 대해 여러 논쟁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사실적 결론을 도출하려는 시도이다. 중국의 최종 참전결정은 1950년 10월에 이루어졌다. 미국의 인천상륙작전 이후 위기에 봉착한 북한은 1950년 9월 28일 소련과 중국의 직접적 군사개입을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북한의 지원요청에 대해서 스탈린은 소련의 지원은 언급을 피한 채 모택동에게 중국군 5-6개 사단의 투입을 요망하였다. 중국 참전의 배경은 1950년 10월 2일에 모택동이 스탈린에게 보낸 전문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러나 10월 2일 스탈린에게 보낸 전문은 상이한 내용을 담은 2가지 종류의 전문으로 작성되었다. 1987년 중국에서 공개된 모택동의 첫 번째 전문은 북한을 돕기로 결정했으며 이에 따른 미국의 중국공격 가능성과 중국의 손실 및 소련의 군사지원 요청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1950년 10월2일 주중 소련대사 N. 로신을 통해서 보내는 다른 내용의 전문은 몇 개의 사단으로 한국문제의 해결이 어렵고 확전의 가능성이 농후하기때문에 참전 준비를 하면서 때를 기다리는 것이 현명하며 또한 아직 확실한 결정을 내리지 못했기 때문에 스탈린의 조언을 구한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상이한 두 전문에 대해서 만수로프는 중국이 북한에 군사를 보내는 것을 원치 않았다고 판단하고 러시아국립문서보관소에 소장된 전문에 대해 중국 소장본보다 더 큰 신뢰감을 보여준 반면 심지화는 러시아측 보관 전문 뿐 아니라 중국측 보관 전문도 신빙성이 있으며 이 역시 스탈린에게 보내졌으리라고 주장한다. 즉, 1950년 10월 1일 자 스탈린의 전문에 대해 모택동은 즉시 대답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실상 10월 4-5일에 열린 정치국확대회의에서 결론을 내리고자 했으나 지도부의 반대에 부딪혔고 회의의 주요 분위기는 ‘확실히 필요해질 때까지 참전하지 않는 것이 더 낫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심지화는 이를 바탕으로 ‘모택동이 북한에 군대를 보낼 것이었으며 개인적으로 10월 1일 스탈린의 전문에 답할 전문의 자료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당 지도부의 인물들로부터 심각한 반대에 부딪혔고 준비한 전문을 보내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대신에 다른 전문(러시아국립문서보관소 소장본)를 보냈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결국, 1950년 10월 4-5일에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모택동은 사회주의 진영을 지켜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침으로써 참전에 대한 다른 지도자들의 동의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10월 1일의 스탈린의 전문에서는 확실히 소련의 지원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며 모택동은 ‘모호한 전술’을 사용하여 소련으로부터 전쟁 원조를 받아내고자 했다. 모택동이 작성한 상이한 내용을 담은 두 건의 전문 중 중국 소장본은 스탈린에게 전해지지 않았으며, 이러한 모택동의 모호한 행동은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의 원칙적 지지를 나타냈고 동시에 소련에 대한 압박으로 풀이되었다. 1949년 김일성은 스탈린에게 전쟁의 필요성을 역설했으나 스탈린은 전쟁을 반대했으며 지원 역시 거부했다. 그러면서 스탈린은 모택동의 동의를 받을 것을 요구했다. 만약 모택동이 전쟁을 반대했다면 개전은 연기되었겠지만 모택동은 필요할 경우 군사지원을 약속했다. 또한 군사행동을 통해서만 한반도의 통일이 가능함을 언급했으며 미국의 참전가능성을 낮게 평가했다. 그리고 중국은 소련의 방호 여부에 관계없이 1950년 10월 19일 한반도에 진입할 것이라는 결정을 내린 것이다. 스탈린은 중국과 소련만으로도 사회주의 진영은 존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으나 모택동은 이와 다르게 평양을 ‘포기’하지 않았다. 중국은 자국의 내전이 종결된 지 겨우 1년 밖에 지나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국가가 매우 피폐한 상황이었지만 전쟁 참전에 큰 두려움을 보이지 않았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some important aspects of Beijing taking a decision to participate in the war against the USA in Korea. One of the decisive events in the course of war in Korea was the involvement of communist China on October 19, 1950. The final decision of China to participate in the war was taken in October 1950, when the North Korean regiment faced the threat of a close collapse. Political bureau of the Korean Labor Party, on September 28, tool a decision to turn to the USSR and China for direct military help. In a telegram to Mao Zedong of October 01, Stalin urged China to right away move not less than 5-6 divisions to the 38th parallel, without mentioning what actions Moscow was going to take to assist the North Korea. This problem caused serious disputes among Chinese and foreign scientists, as some time ago, in the result of publicizing a number of new archive materials, two contradicting versions of Mao Zedong’s telegram to Stalin appeared, dated October 02, 1950. Mao was not able to give a firm answer to Stalin’s telegram of October 01 at that moment. Factually, even at the broader meeting of the Political bureau on October 4-5 the decision was not taken due to serious objections from the part of the majority of the leaders against sending troops to Korea. The major mood was “better not to participate in the war until it becomes absolutely necessary.” Using “elusive tactics” Mao Zedong tried to press Stalin in order to get Soviet guarantees on providing the whole volume of the necessary equipment and other military assistance, as well as providing air cover for Chinese forces in Korea and important centers on China’s territory, which were considered by Beijing as a sin qua non condition of its participation in the war. Both variants of Mao Zedong’s telegram to Stalin of October 02, 1950 are authentic, but the Chinese variant was not sent to Moscow due to tactical reasons. Elusive behavior of Mao Zedong spoke of changes not in the principle position of China on the issue of entering the Korean war, but tactics with which the Chinese leader tired to press Stalin to most urgently provide the Soviet military assistance and air defense on the maximally large scale. Beijing in the process of the dramatic discussions took the decision“not to give up” Pyongyang.

      • KCI등재

        스탈린주의로 읽는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과 연극 - ‘스탈린주의’의 소환과 <연대기: 전쟁 중 극장>

        전정옥 한국공연문화학회 2023 공연문화연구 Vol.- No.46

        In 2022 there was an armed provocation by Russia against Ukrainian territory. The war has been variously called “Operation Counterterrorism,” “Civil War in Ukraine,” “War in Donbas,” and “Military Operation Against Armed Aggression.”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destruction of culture and arts due to the Russian-Ukrainian War. We witness the emergence of Stalinism, which is being talked about again throughout the theater world. In order to pay attention to the recent situation of Russian theater, which has no choice but to recall the narrative of ‘Stalinism’ and ‘Stalinism’, Stalin's cultural policy article, <On Party Policie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Arts>, was published in 1925. First of all, the form and content of Stalinism, which was triggered in the course of the Cultural Revolution as a class struggle, were examined. I studied Stalinism, focusing on the mechanism of operation of ‘organization’, ‘ideology’, and ‘great purge’. Based on this, the aspect of Stalinism in the recalled Russian theater is traced. At the same time, attention was paid to the recent situation in the Russian theater world, which continues to resist cultural art as a record. 2022년 우크라이나 영토에 대한 러시아의 무력 도발은 ‘대테러 작전’ 대 ‘우크라이나 내전’, ‘돈바스 전쟁’ 대 ‘러시아 연방의 무력침략에 대한 군사작전’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며 국제관계의 복잡한 맥락 위에 놓여있다. 특별군사작전이라는 푸틴의 입장과는 달리 2차 세계대전 중에나 있었던 국가총동원령이 내려졌고, 육해공 할 것 없이 대규모 전면전이 벌어지고 있으며, 현재는 더티밤 등 전술핵무기 공격에 대한 우려까지 더해지고 있다. 정치 사회의 변화에 민감한 러시아문화계 전반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무력도발을 향해 분노를 쏟아내고 있고, 이에 대한 러시아정부의 억압과 검열이 심상찮다. 인간 존엄을 위한 투쟁을 게을리 하지 않았던 러시아연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무력도발이 인류가 공유했던 전쟁의 참혹상과 파시즘이 작동시킨 폭력을 망각하는 것이라 비판하며, 전쟁에 대한 입장 표명을 이어가는 중이다. 이글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문화예술 파괴 양상에 주목하며, 연극계 전반에서 다시 회자되고 있는 스탈린주의의 등장을 목도한다. 푸틴 집권 이후, 문화예술계에 있어 스탈린주의적인 것의 소환에 대한 우려는 항시 있었지만 그것은 예술에 대한 검열과 억압이라는 맥락 안에서 피상적으로 언급될 뿐이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스탈린주의’, ‘스탈린주의적인 것’의 내러티브를 다시 소환할 수밖에 없는 러시아연극의 최근 상황에 주목하기 위해, 1925년 발표된 스탈린의 문화정책 조항 <문학예술분야에 있어서 당 정책에 관하여>를 비롯하여, 계급투쟁으로서의 문화혁명 과정에서 촉발된 스탈린주의의 형식과 내용을 점검한다. 지면의 한계를 고려하며 스탈린주의를 ‘조직’, ‘이데올로기’, ‘대숙청’의 작동기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기반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다시 소환된 러시아연극에서의 스탈린주의의 양상을 추적한다. 이와 함께 억압과 폭력으로서의 스탈린주의가 소환된 한가운데서, 기록으로서의 저항을 이어가고 있는 러시아연극계의 최근 상황에 주목한다.

      • KCI등재

        정치국에서 크렘린 집무실까지: 소련의 공업화 정책과 스탈린

        조준배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3 동국사학 Vol.55 No.-

        The paper looks at the changing development of Stalin’s role and status in the course of Soviet industrialization from 1928 to 1937. Unlike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Stalin as an omniscient and omnipotent dictator throughout his reign, he showed an evolution of economic knowledge and practice in the long years of Soviet industrial progress. Five stages could be identified in those years. First, Stalin was very cautious and thus did not openly reveal his real attitude or position in the mid-1920s when a decision was made to carry out industrialization policy in near future. However, a serious conflict broke out between the Stalinist and the Bukharin group over the solution of grain procurement in the year of 1928 and Stalin began to change his position. He did not hesitate to articulate his view on the economic situation and attack the leaders and officials of the Right Deviation, leading to their purge and the end of NEP. With all the main opponents removed and industrialization launched in the late 1920s Stalin made full use of Bolshevik ideology to achieve economic targets which were planned unrealistically high. It was a groundless optimism that had been build up through the harsh years of 1917 revolution and Civil War. Yet in 1931 Stalin returned to a normal performance of Soviet economy as he came to realize the necessity of economic efficiency and reform. He became cautious again passing between the conflicting positions of economic advisors, but with a high level of political dictatorship. During the period of the second five-year plan Stalin established firm leadership over the economic planning and practice and thus was rarely counselled by his lieutenants. Though Stalin had started from almost scratch as an economic leader in the mid-1920s, he became a master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through weathering the storms of Soviet economic life. 본 논문은 1928년부터 1937년까지 진행된 소련의 공업화와 관련하여 스탈린의 역할과 위상의 변천을 조명하는 글이다. 통치기간 내내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했다는 전통적인 견해와는 달리 스탈린은 공업화 정책의 결정 및 추진과정에서 다양한 경제지식과 운영방식을 습득하며 진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스탈린의 입장과 태도의 변화 양상은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우선 공업화 정책의 결정이 이루어지는 1920년대 중반에는 매우 조심스러운 자세를 견지하며 자신의 실제 입장이나 태도를 공개적으로 드러내지 않았다. 그러나 1928년 곡물위기의 발발을 계기로 부하린 진영과 스탈린 그룹과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스탈린은 경제상황에 대한 견해를 적극적으로 밝히기 시작했으며 우파 지도자들을 서슴없이 공격하며 마침내 네프의 붕괴를 이끌어냈다. 1920년대 말과 30년대 초, 당내의 주요 반대파들이 모두 사라진 상황에서 스탈린은 혁명과 내전시기를 경험하며 획득한 볼셰비키 정서를 십분 활용하여 비현실적으로 높게 책정된 공업화의 목표들을 대담한 방식으로 달성해나갔다. 그러나 1932년, 스탈린은 경제의 효율과 개혁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면서 경제운영의 기조를 현실주의적인 노선으로 전환했고 이후 정치권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경제참모들의 상반된 조언들을 고루 활용하는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 제2차 5개년 계획이 출범하는 1930년대 중반부터는 이전시기보다 더욱 향상된 경제 전반에 대한 이해도와 장악력을 바탕으로 스탈린은 측근들의 자문을 최소화하며 독자적인 운영에 나섰다. 1920년대 중반 경제 분야의 문외한에 가까웠던 스탈린이 공업화의 험로를 통과하며 1930년대 중반 경제전문가로 변모한 것이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정치국에서 크렘린 집무실까지; 소련의 공업화 정책과 스탈린

        조준배 ( Jun Bae Jo )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5 No.-

        본 논문은 1928년부터 1937년까지 진행된 소련의 공업화와 관련하여 스탈린의 역할과 위상의 변천을 조명하는 글이다. 통치기간 내내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했다는 전통적인 견해와는 달리 스탈린은 공업화 정책의 결정 및 추진과정에서 다양한 경제지식과 운영방식을 습득하며 진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스탈린의 입장과 태도의 변화 양상은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우선 공업화 정책의 결정이 이루어지는 1920년대 중반에는 매우 조심스러운 자세를 견지하며 자신의 실제 입장이나 태도를 공개적으로 드러내지 않았다. 그러나 1928년 곡물위기의 발발을 계기로 부하린 진영과 스탈린 그룹과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스탈린은 경제상황에 대한 견해를 적극적으로 밝히기 시작했으며 우파 지도자들을 서슴없이 공격하며 마침내 네프의 붕괴를 이끌어냈다. 1920년대 말과 30년대 초, 당내의 주요 반대파들이 모두 사라진 상황에서 스탈린은 혁명과 내전시기를 경험하며 획득한 볼셰비키 정서를 십분 활용하여 비현실적으로 높게 책정된 공업화의 목표들을 대담한 방식으로 달성해나갔다. 그러나 1932년, 스탈린은 경제의 효율과 개혁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면서 경제운영의 기조를 현실주의적인 노선으로 전환했고 이후 정치권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경제참모들의 상반된 조언들을 고루 활용하는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 제2차 5개년 계획이 출범하는 1930년대 중반부터는 이전시기보다 더욱 향상된 경제 전반에 대한 이해도와 장악력을 바탕으로 스탈린은 측근들의 자문을 최소화하며 독자적인 운영에 나섰다. 1920년대 중반 경제 분야의 문외한에 가까웠던 스탈린이 공업화의 험로를 통과하며 1930년대 중반 경제전문가로 변모한 것이었다. The paper looks at the changing development of Stalin`s role and status in the course of Soviet industrialization from 1928 to 1937. Unlike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Stalin as an omniscient and omnipotent dictator throughout his reign, he showed an evolution of economic knowledge and practice in the long years of Soviet industrial progress. Five stages could be identified in those years. First, Stalin was very cautious and thus did not openly reveal his real attitude or position in the mid-1920s when a decision was made to carry out industrialization policy in near future. However, a serious conflict broke out between the Stalinist and the Bukharin group over the solution of grain procurement in the year of 1928 and Stalin began to change his position. He did not hesitate to articulate his view on the economic situation and attack the leaders and officials of the Right Deviation, leading to their purge and the end of NEP. With all the main opponents removed and industrialization launched in the late 1920s Stalin made full use of Bolshevik ideology to achieve economic targets which were planned unrealistically high. It was a groundless optimism that had been build up through the harsh years of 1917 revolution and Civil War. Yet in 1931 Stalin returned to a normal performance of Soviet economy as he came to realize the necessity of economic efficiency and reform. He became cautious again passing between the conflicting positions of economic advisors, but with a high level of political dictatorship. During the period of the second five-year plan Stalin established firm leadership over the economic planning and practice and thus was rarely counselled by his lieutenants. Though Stalin had started from almost scratch as an economic leader in the mid-1920s, he became a master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through weathering the storms of Soviet economic life.

      • KCI등재

        북한 정치체제에 드리워진 스탈린의 그림자

        이지수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5 중소연구 Vol.39 No.3

        In this paper, author argues that 1) The system building of North Korea could be characterized by not just North Korean adaptation of Soviet system(Koreanization), but Sovietization of North Korea, or even more can be interpreted as Stalinization of her. Stalin system can be summarized to dictatorship of Stalin, not of communist party, as North Korean system could be read in tyranny of Kim Ilsung. Though Stalin did not privatized his political power, Kim Ilsung did that by succession of power to his son. Some would be expected that the change of North Korea could begin from ending of political power Family succession.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될 때까지 북한의 제도, 체제(및 체제 이념) 등의 결정은 조선인들의 자발적인 선택의 결과라기보다는 소련에 의해 결정된 바가 압도적이었다. 무엇보다 당시 북한에 존재했던 여러 정치 지도자, 정치 집단들에게는 독자적인 결정권이 부여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둘째, 당시 소련체제는 소련공산당이 국내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배타적 독점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스탈린은 당의 정치권력을 독점적으로 사용했다. 이 점은 당시 소련 체제의 이념과 실정에 비추어 보면 지극히 자연스러운 귀결인데, 이러한 상황은 북한의 경우에도 반복되었다. 즉, 입법기관이나 행정기관이 아닌, 조선노동당이 북한 내의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배타적 독점권을 가졌고, 당의 최고지도자인 김일성에게로 당의 정치권력은 집중되어갔다. 셋째, 스탈린 리더십(아울러 스탈린 체제)의 특징은 지도자 개인의 자의성에 의존한 통치, 당(조직)보다 지도자(개인) 우선, 지도자에 대한 우상화, 외부세계에 대한 적대성 유지를 통한 체제내외의 긴장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북한의 체제 수립 3년의 기간에 스탈린 리더십과 스탈린 체제적 성격과 유사한 상황이 북한에서도 형성되었다. 넷째, 이러한 스탈린식 리더십의 특성 대부분은 북한에서는 이 시기를 거친 이후, 세습을 위하여, 한편으로는 세습의 결과로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나 당시 두 체제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시간적 경과를 따져 결과적으로 보면, 스탈린은 권력을 사유화하지 않은데 반해, 김일성은 권력을 사유화했다는 점에서 양자는 구별된다. 스탈린은 권력을 독점적으로 사용했을 뿐, 사유화 하지 않았던데 비해, 김일성은 권력의 독점적 점유에 더 나아가 권력의 사유화까지 수행했다. 이 점은 권력의 승계과정과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권력을 아들에게 상속함으로써 권력의 사유화가 완성되었다.

      • KCI등재

        플라토노프 작품 속 권력자와 스탈린의 형상 변화

        정보라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4

        플라토노프와 정치권력을 논할 때, 플라토노프에 대한 스탈린의 의견은 개인적 논평부터 정치적 압박까지 여러 측면에서 대단히 자세히 분석된 데 비해 플라토노프의 작품에서 스탈린 혹은 절대 권력을 가진 통치자가 어떠한 형상으로 묘사되는지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적은 편이다. 플라토노프의 초기 작품 중에서 “스탈린”이라는 이름이 실제로 분명하게 언급되는 작품은 찾기 힘들다. 그보다는 당대의 현실을 묘사하면서 통치자를 비판하거나 민속적인 혹은 신화화된 절대 권력자의 형상을 통하여 정치권력의 폭력성이나 부조리함을 폭로한다. 필화를 겪은 뒤로 플라토노프는 정권이 원하는 모습대로 스탈린의 형상을 작품 안에 집어넣으려 시도한다. 그러나 이런 정형화된 형상은 작품 안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지 못하는 경향이 있으며 스탈린 사망 뒤에는 시대적 변화로 인하여 작가가 의도한 원고가 다시 한 번 강제로 변화를 겪기도 한다. 여러 기록에 나타나듯이 스탈린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플라토노프와 그의 작품에 세세하게 관심을 가졌고 작가 인생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게다가 몇몇 작품들은 작가와 스탈린 양쪽 모두 사망한 뒤에도 작품 외적인 현실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플라토노프의 작품 속에서 스탈린의 형상, 혹은 전반적인 독재자나 절대 권력을 쥔 지도자의 형상이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 작가 중심적인 관점에서 재검토하는 것도 의미 있는 작업일 것이다.

      • KCI등재

        특집논문 : 역사인식 속에서의 냉전 -북한 역사학계의 러시아사 이해-

        조호연 ( Ho Yeon Cho ) 한국서양사학회 2015 西洋史論 Vol.0 No.127

        북한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점점 더 축적되고 있지만, 북한 역사학계가 러시아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그 동안 본격적인 연구가 시도되지 않았다. 그 대신 우리나라의 많은 학자들, 특히 한국사를 전공한 역사학자들은 주로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북한 역사학이 마르크스주의-레닌주의에 토대를 두고 성립되었다가 주체사관으로 전환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가 보기에, 북한 역사학의 토대가 마르크스주의-레닌주의라기보다는 정확히 말해 스탈린주의 역사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이 점은 북한 역사학이 표방하고 있는 ‘당성의 원칙’과 ‘역사주의의 원칙’에서 명확히 드러나 있다. 역사의 동력이라는 측면에서 전자는 주관적인 요인을 가리키는 것이고 후자는 객관적인 요인을 지칭하는 것이지만, 스탈린 시대에 스탈린이 역사해석의 권한을 독점했듯이 이 두 요소를 결합시킬 수 있는 권한은 주체사관의 핵심인 수령에게 있다. 따라서 북한 역사학은 스탈린주의 역사학에 그 근본을 두고 있고, 주체사관이 표방되고 있는 요즈음도 스탈린주의 역사학의 중요한 측면들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력사사전』과 몇 종의 고등중학교 세계사 교과서를 통하여 북한 역사학계가 소련사를 포함한 러시아역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본다면, 이 점은 명확히 확인된다. 그 내용을 러시아 혁명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보자면, 북한 역사학은 러시아 혁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주제나 인물에 대해서는 과거 스탈린시대처럼 민족주의적인 기준들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여 심지어 일부 차르들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서술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과 관련해서는 사회주의의 승리로서 기술되고 있으며, 특히 혁명 전후의 모든 사건들이나 인물들이 스탈린과의 관련성을 통하여 평가되고 있다. 현재 북한에서는 스탈린이 시도한 공업화와 농업집단화는 아주 긍정적으로 기술되고 있는 반면에, 흐루쇼프가 시도한 정책 혹은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개방은 강력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냉전 성립의 한 축이 스탈린주의라고 한다면, 세계사적 틀에서는 냉전이 종식되었지만 북한의 러시아사 인식 속에서는 여전히 냉전적 요소를 무시할 수 없다고 말할 수 있다. It has been supposed that the historiography of North Korea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Marxism-Leninism. And most historians think that after the stability of North Korean government in the middle of 1950’s the historiography of North Korea came under the strong influences of Juche Idea, that is, the official ideology of North Korea. However, to be more precise, the North Korean historiography in the initial stage did not derive from Marxism-Leninism, but from Stalinism. As J. V. Stalin had the absolute power in North Korea in the late 1940’s and in the beginning of 1950’s, the motto “Learn by the Soviet Union” means the imitation of Stalinism. Moreover, the foundations of the historiography in North Korea has retained its characteristics, which mean both the principle of party spirit(in Russian, партийность) and the principle of historicism.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ography of North Korea has been reflected in the perceptions of Russian history, which could be found in the school textbooks and historical dictionaries published in North Korea. First of all, the periodization of Russian history has been continuously understood through the social formation theory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 North Korean historians has highly estimated the Russian Revolution as the great socialist revolution. In North Korea, the policies of Stalin has been positively thought, while his political opponents like L. D. Trotsky have been written in the extremely negative ton. Nikita Khrushchov and Mikhail Gorbachev are called as the revisionists and the traitors to the socialist cause. Considering that Stalinism constituted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ld war, it might be concluded that the cold war is ongoing in the perceptions of historiography in North Korea.

      • KCI등재

        스탈린의 ‘태양’ 아래: 김일성 형상의 원형을 찾아서

        김진영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22 러시아연구 Vol.32 No.2

        Kim Il-sung, when first appeared in 1945, was a puzzle. Most of all, his personal appearance as a young, simple, cheerful man was out of chord from that of an old veteran warrior. Therefore proving him as a real, not fake, anti-Japanese hero became the first task for those who shaped the leader’s public imag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ne way of doing it was to consolidate his status as Stalin’s legitimate successor. As Stalin was considered Lenin’s embodiment, Kim Il-sung had to be Stalin’s embodiment, their respective image being in exact similitude. Given the situ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un-rhetoric as a linguistic device which heavily adorned and empowered both leaders’ personality cult. It traces how ‘Kim Il-sung the Sun’ figure, modeled on the formula and the logic of ‘Stalin the Su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way to justify Kim’s shaky identity, and at the same time, to express North Korea’s pro-Stalin/Soviet ideology. However, one should remember, the logic of legacy soon conceded its way to the logic of Juche, which acknowledged Kim Il-sung as one and only Sun for the people, making it shine not simply as a mythological trope but as an actual source of authority. 해방 후 군중 앞에 나타난 김일성은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무엇보다 젊고 단순하고 유쾌한 사람으로 비친 그의 실제 모습은 민중이 기대하던 백전노장과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김일성을 민족의 위대한 지도자로 형상화하는 작업의 첫 과제는 그가 가짜가 아닌 진짜 항일 영웅이라는 사실의 입증이어야 했고, 그 방법 중 하나가 스탈린과의 친연성을 강조함으로써 적법한 계승자 위상을 확립하는 것이었다. 스탈린이 곧 레닌이듯, 김일성은 곧 스탈린이어야 했다. 두 지도자의 형상 또한 동일 공식에 기초한 닮은꼴이어야 했다. 그 과정에서 ‘태양’의 수사법에 주목하게 된다. 이 글은 초기 ‘태양-김일성’ 형상이 어떤 공식과 논리로써 ‘태양-스탈린’의 원형에 덧입혀져 활용되었는가를 추적한다. ‘태양’ 수사는 ‘진짜냐 가짜냐’, ‘사실이냐 소문이냐’의 기로에서 출발한 김일성의 지도자 정체성을 정당화하는 전략으로, 동시에 해방기 친(親)스탈린·소련 이데올로기를 표출하는 수단으로 적극 활용되었다. 그러나 ‘계승의 논법’에 따라 강조되었던 김일성과 스탈린의 일체성은 스탈린 서거 후 차츰 희미해졌고, 결국 김일성은 ‘주체의 논법’을 통해 유일무이한 ‘민족의 태양’으로, 더 이상은 신화적 비유가 아닌 권위의 실체로서 빛을 발하게 된다.

      • 기획논문 : 끝나지 않은 전쟁 ; 스탈린과 한반도의 분단

        민경현 ( Kyounghyoun M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5 사총 Vol.86 No.-

        한국 분단이 없었으면 한국전쟁도 없었다. 한국전쟁처럼 한반도 분단도 한반도 주민의 의사와 관계없이 주변 강대국의 지정학적 판단과 전략적 이해관계 안에서 결정되었다. 한국전쟁의 전개과정처럼 한국 분단도 한반도를 둘러싼 제국들의 한반도 전략을 이해하지 않고는 그실체에 접근할 수 없을 것이다. 스탈린은 왜 트루만의 38선 안을 받아 들였을까?`우선 스탈린은 38선 이북을 소련이 단독으로 관할할 지역으로 이해했을 수 있다. 소련은 38선 이북을, 미국과 영국과 중국이 38선 이남을 관할한다면 소련에게 유리한 제안일 수 있다. 38선을 수용한 스탈린의 결정을 설명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근거는 미국의 핵무기이다. 일반명령1호가 스탈린에게 전달된 시기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폭이 투하된 직후이다. 근래 연구에 의하면 1943년에서 1953년까지 미국 군사력에 대한 소련의 첩보활동은 매우 성공적이었다는 사실이다. 비록 스탈린은 미국의 군사력의 실체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는 듯 행동함으로써 포츠담과 런던 회담에서 미국의 우월한 군사력이 실제적인 결과물을 얻어내지 못하도록 하는데 성공했지만, 미국의 핵독점이 만들어낸 힘의 불균형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기에 미국의 38선제안을 거부하는 것이 위험하다고 판단했다. 그럼에도 스탈린이 38선안을 받아들인 데에는 조건이 있었다. 일본의 쿠릴 열도에 속하는 모든 섬과 일본 본토의 후카이도 북부를 소련이 점령하는 일이다. 그러나 트루만은 일본 본토에 대한 소련의 개입을 용납할 수 없었다. 원자폭탄투하 이후 미국 행정부의 대소 외교는 전례 없이 강경해졌고 스탈린은 한반도 남부를 미국에게 양보할 수밖에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할 기회가 오는 데에는 5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다. If there had been no division of the peninsula, then there would have been no wa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was in the case of the Korean War, was decided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ic interests and the geopolitical calculations of the Great Powers that surrounded Korea with no consideration of the opinions of the Koreans themselves. It will therefore be difficult to approach the fundamental issues surround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thout understanding the Korea strategy of these Great Powers, as it is also the case with the Korean War. Why did Stalin accept the 38th parallel proposal? Stalin may have assumed that he would be able to control the north of the 38th parallel by himself. The proposal, if it meant that the Soviets would control the north while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China would share control of the south, would have been very attractive to Stalin. Another reason for explaining Stalin’s acceptance of the 38th parallel is American nuclear weapons. The period in which General Order No. 1 was sent to Stalin was just after the deployment of nuclear bombs in Hiroshima and Nagasaki. Recent research has revealed that Soviet intelligence activities concerning American military affairs from 1943 to 1953 was very successful. Even though Stalin had feigned ignorance of American military capabilities during the Potsdam and London conferences in order to prevent the Americans from using its state of military superiority to attain an advantageous result for the US, Stalin felt that it would be dangerous to reject America’s 38th parallel proposal when there was a serious imbalance of power owing to American nuclear dominance. Stalin had actually attached a condition for his agreement to the 38th parallel - the occupation of all Kuril Islands and the northern part of Hokkaido. However, Truman was not ready to accept the Soviet’s intervention in Japan. After the dropping of the atomic bomb, the US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on the Soviet Union became more rigid and forced Stalin to concede southern Korea. It would take another five years to resolve this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