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도소 수용자에 대한 성 교차 관리(cross-gender supervision): 쟁점과 가능성

        윤옥경 한국교정학회 2019 矯正硏究 Vol.29 No.2

        The proportion of female officers in corrections is the lowest among the criminal justice agencies in Korea. While more women enter into the police, prosecution, and courts,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women who enter into the corrections have remained unchanged over time. The reason is that the corrections preserve the principle of “same-gender” supervision. In contrast, many other countries already adapted cross-gender supervision in managing prison inmates. In principle, the meaning of “cross-gender” supervision is that prison inmates are supervised by guards of the opposite gender, but under the context in which most of prisoners and prison officers are male, the term is used for the case where female staffs supervise male prisoners. Several issues have emerged with regard to the cross-gender supervision: safety and order in the prison, work competency of female staff, and privacy of male inmates. Many academic research have proved the positive effects of supervising male inmates by female officers. In addition to this, courts’ decisions favoring equal employment in correctional field have influenced to attract more women into the prisons. This study is aimed at igniting discussions on the possibilities of cross-gender supervision in the Korean prison setting. First, it examines many issues concerning to cross-gender supervision, specifically focusing on court decisions in the United States. Second, it reviews the crucial findings of many studies about gender differences in work competency, attitudes about ‘cross-gender’ supervision among prison officers, the issue of privacy of male inmates. Third, using data from Korean male inmates, it analyses how male inmates think about the presence of female staff in the living units etc. Fourth, this study finds out the attitudes of prison officers, both male and female, on cross-gender supervision using prison data. Finally, it shows the results of deep interview about cross-gender supervision from 20 prison offic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ot only males inmates but also male and female prison staffs think positively about introducing cross-gender supervision and therefore that it is the time to begin with the discussion on ‘cross-gender supervision’ in the Korean prisons. 형사사법기관 중에서도 여성 직원의 비율이 가장 낮은 기관이 교정영역이다. 경찰이나 검찰, 그리고 법원까지 여성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교도소의 여성비율은 거의 변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사동 관리에 있어서 ‘같은 성의 직원에 의한 같은 성의 수용자 관리(same-gender supervision)’라는 원칙이 고수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해외 국가들은 사동 관리와 감독에 있어서도 반대 성의 직원에 의한 감시와 관리, 즉 성 교차관리(cross-gender supervision)를 시행하고 있다. 남성이 다수인 교도소 상황에서 성 교차관리란 주로 여성 직원에 의한 남자수용자 관리를 의미한다. 미국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성 교차 관리와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쟁점들이 논의되어 왔으며 이러한 쟁점들에 대해 학문적 검증과 고용에 있어서의 양성평등을 지지하는 법원의 판결이 영향을 미쳐서 여성들의 교정계 진입이 확대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성 교차 관리와 관련한 쟁점은 교도소의 안전과 질서유지, 여자교도관의 직무능력, 그리고 남성 수용자의 프라이버시 문제로 요약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교정에 있어서도 성 교차 관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성 교차관리와 관련된 쟁점들을 살펴보고,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요약한 후 이러한 이슈들에 대한 한국의 남자수용자와 교도관들의 생각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남자수용자들은 여자 교도관의 관리감독에 대해 큰 반대나 저항을 보이지 않았으며, 교도관들의 생각은 구체적 쟁점들에 관한 견해는 다양했으나 남자 교도관은 직무배치의 효율성과 인사의 공정성의 측면에서, 여자 교도관들은 직무수행능력의 측면에서 성 교차관리에 대한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성 교차관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용자 일시수용의 개선방안

        송문호,김옥기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4 동북아법연구 Vol.8 No.2

        형집행법 제125조에서의 일시수용의 범위에 관한 구체적인 입법미비로 인하여 교정시설이 아닌 민간병원에서 입원중인 형(구속) 집행 정지자에게도 동 제125조의 일시수용규정을 적용해야 하는지 여부가 문제가 된다. 외부병원 입원중인 자에게도 이 규정을 적용하여 일시수용자로 본다면 그 보호 관리의 법적 성질은 무엇이며 그 수용자에 대한 보호 관리의 범위는 어느 정도로 해야 되는가의 문제를 다룬다. 형기종료, 권한이 있는 자의 명령에 의한 석방 결정이 있을 때 피석방자 본인의 사정에 의하여 교정기관의 관리 하에 있을 때의 관리범위는 일반수용자와 같을 수는 없다. 이런 수용자관리의 법적 성질에 관하여는 석방자신분과 사실상 수용상태가 겹치는 중간 영역으로, 이에 관하여는 공법상의 사무관리에 준하여 보호 의무를 이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현재 실무상 외부병원 입원중인 형(구속) 집행 정지자에게까지 계호의 대상인 수용자로 간주하여 교도관 인력을 고정 배치함으로써 교도소 업무를 현저히 가중시키고 있다. 석방결정 되었음에도 수용자 자신의 사정상 출소할 수 없는 경우의 관리책임은 공법상의 사무관리라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형(구속) 집행 정지자에 대하여 병원 측과 긴밀한 연결을 갖고 보호기관에 인도할 때까지는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면 교정기관의 보호의무 수행은 충족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형 집행 정지자에 대한 교도관인력을 배치함으로써 교정기관의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Due to the poor legalization of Administration and Treatment of correctional institution inmates Act in which Article 125 stipulates the range of temporary confinement of Released persons, it is questionable to apply the same article to those inmates who are not in a correctional institution but in a private hospital and for whom the execution of sentence (arrest) has been suspended. If this stipulation is also applied to those housed in an outside hospital as temporary inmates, what is the nature of protecting and managing them? Moreover, what is the range of protecting and managing them?The range of protecting and managing those whose prison term has been completed, whose release the relevant authority has decided, or who are released but still managed under a correctional institution due to their own conditions, must not be the same as the range for general inmates. It seems reasonable that the legal status of such inmates is in fact midway between the status of discharged ones and that they should be managed and/or protected according to administrative management procedures of a public law. In practice, the business of correctional institution is excessively heavy since even those who are housed in an outside hospital and whose execution of sentence is suspended need be placed in safe custody by prison officers. It appears that those inmates whose release has been decided but cannot be discharged due to their own circumstances should be managed according to administrative management procedures of a public law. Therefore, as long as those who are housed in an outside hospital and whose execution of the sentence is suspended maintain close communications with the hospital and can be properly treated till they are led to a protective institution, the duties of a correctional institution to protect and/or manage them are appropriately accomplished. Consequently, it is not necessary for a correctional institution to deploy prison officers even to those whose execution of sentence is suspended, as are present practices based on current laws.

      • KCI등재

        수용자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신연희,전영실,김영식 한국교정학회 2008 矯正硏究 Vol.- No.40

        This study aims to find the factors related to prisoners' family strength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56 male and female inmates incarcerated in pris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tructure factors(the stability of marriage, the extent of family contact), family quality factor(family relation), and social demographic factors(sex,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condition), punishment factors(experience of incarceration, period of incarceration) are analyse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family strengths of inmates are related to sex, education, economic condition, incarceration experience and duration mostly. The main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female prisoners, the lower educated prisoners, the poor families, incarceration experience, and the longer separation from family shows negative to the family strengths. Second, according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family strengths, the specific approach based on sex should be developed. Third,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for prisoners and their families who are in lower socio-economic conditions to enforce family strengths. Finally, the strengths of prisoners' families will be effective to enforce the family quality rather than family structure. 본 연구는 수용자 교화 및 관리에서 가족건강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 연구로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용자 가족건강성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혼 남녀수형자 556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용자의 가족건강성을 가족의 구조(혼인관계 안정성, 가족과 접촉정도)와 가족의 질적인 면(가족관계)으로 정의하였으며, 가족건강성이 수용자의 사회인구학적(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및 형관련 특성(입소경력, 복역기간)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질적인 면에서 모두 수용자의 성별,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입소경력, 복역기간 등과 대부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견사항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에 비하여 혼인관계가 안정적이지만 가족과의 접촉 및 가족관계에서 더 부정적이며, 수용자의 교육수준이 낮거나 가족이 빈곤한 경우, 그리고 입소경력이 있거나 시설 수용으로 가족과 분리된 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족건강성의 구조적·질적인 면 모두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에 있어 남성과 여성간의 차이가 많아 가족건강성 강화정책은 수용자의 성적인 특수성에 기반하여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셋째,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수용자와 그 가족이 가족건강성에 관한 우선적인 정책 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넷째,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인 면보다는 가족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강화하는데 보다 비중을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집 2 : 2006년 춘계학술대회 ; 21세기 행형법의 과제와 전망 : 행형법상 수용과 처우에 대한 일반적 검토 -행형법 개정안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신양균 ( Yang Kyun Shin ) 한국형사정책학회 2006 刑事政策 Vol.18 No.1

        2004년 법무부는 교정관련 법령의 전면개정방침을 세우고, 그 결과 2차에 걸친 Task Force 운영과 외부용역 그리고 사회 각층의 의견수렴절차를 통해 지난 2005년 12월 행형법 개정안을 마련하였다. 이 개정안은 공청회 및 법무부 정책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일부 수정된 후 2006년 4월 18일 국무회의를 통과하여 국회에 제출되었다. 이번 개정안은 교정관계 법령이 인권존중의 시대적 요구에 미흡하다는 비판이 각계에서 제기됨에 따라, 수형자·미결수용자 등 교정시설 수용자에 대한 차별금지 사유의 확대, 여성·노인·장애인 수용자에 대한 배려, 미결수용자에 대한 처우 개선, 서신검열의 원칙적인 폐지 등으로 수용자의 기본적인 인권 및 외부교통권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수용자별 처우계획의 수립, 수용장비의 과학화, 보호장비의 개선, 징벌종류의 다양화 등으로 수용관리의 효율과 수용자의 사회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그 밖에 청원제도 등 현행 제도의 미비점을 개선하여 수용자의 인권 신장과 수용관리의 과학화·효율화 및 교정행정의 선진화를 이루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행형의 목표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해보면 이번 개정안은 행형의 실질적 과제를 온전히 담아내는 데 여전히 미흡한 측면이 없지 않다. 수용자의 인권보장을 내세우면서 수용관리의 효율성을 함께 추구하려는 강한 의지가 드러나 있다. 그 결과 용역안의 새로운 내용 가운데 실무에서 필요하거나 수용가능한 내용들은 받아들이면서 나머지 개선안들은 현재의 개선된 행형현실을 법률에 반영하는 수준에서 마무리하는 인상마저 주고 있다. 국회의 논의과정을 통해 수형자의 마그나 카르타로서 행형법의 전향적인 개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is report is concentrated on reviewing reception and treatment of persons under custody, which are provided by the reform bill 2006 on Imprisonment Act. This bill is established to improve many problems in current Imprisonment Act 1999, considering opinions of academic circle, NGO and existing rules by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This bill aim especially at promoting human rights of persons in custody, rationalizing imprisonment management including intensification of individual treatment of prisoners, scientific improvement of correction, strengthening transparent correctional administration and modernizing correctional reality. Though du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ill and relatively appropriate goal setting, details of this bill didn`t indicate sufficiently an image of the future of imprisonment in our country. While putting emphasis on guarantee of human rights of prisoners, this bill have a strong will of efficiency of imprisonment management concurrently. And important problems by which the correction is confronted, is said to be legislation, socialization and globalization, but these problems didn`t be solved not substantially by the existing bill. As a consequence this bill left some gap with a bill drafted by civil service team, which gave emphasis to human rights and individual treatment of prisoners. It seems for us to need more time to possess the Imprisonment Act, which can play a role as outrider, which can change imprisonment reality positively.

      • KCI등재

        교정시설내 수용자 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적 방안 모색

        남재성 한국교정학회 2009 矯正硏究 Vol.- No.44

        Despite increase of prisoners' suicide at correctional institutions these days, correctional authorities failed to give fundamental and comprehensive measures that were enough to be proportional to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carefully examined causes and actual conditions of suicide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to find out political measures that could prevent prisoners from committing suicide.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prevent prisoners from committing suicide. The findings were : Firstly, facilities, security equipment and articles supplied are demanded to improve their quality. Secondly, security service shall be supplied throughly, for which number of correctional service officials shall increase to do a variety of security management strictly. Thirdly, the ones who are likely to commit suicide shall be discovered earlier, and medical treatment system shall be established, and the ones who have attempted to commit suicide shall be given first-aid treatment,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shall be improved. Fourthly, prisoners shall be given interview opportunity flexibly to let them control suicidal impulse by themselves, for instance, more opportunity to meet family at facilities such as "a house to meet family", and social contact and training opportunity, etc so that they can strengthen relation with family and the society. 최근 교정시설내의 수용자 자살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교정당국에서는 문제의 심각성에 비례할 수 있는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정시설내 자살의 원인과 실태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수용자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정시설내의 수용자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시설과 보안장비, 그리고 지급물품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보안근무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는바, 이에 대한 선결조건으로서 교정공무원의 인원확충과 더불어 다양한 보안관리 업무가 엄격히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자살위험자에 대한 조기발견 및 치료 시스템 구축과 자살시도자에 대한 응급치료 시스템 등 심리, 보건․의료처우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수용자 스스로 자살충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접견기회를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가족만남의 집’ 등 가족접촉기회를 확대함과 더불어 사회접촉 및 훈련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수용자가 가족이나 사회와의 유대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정공무원의 스트레스: 유발 요인과 해소방안

        윤옥경(Yoon Ok Kyu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0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5 No.-

        이 논문은 최근 우리나라 교정공무원들에게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공식자료와 선행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스트레스를 줄일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교정공무원의 스트레스 원인은 조직관련 스트레스, 직무관련 스트레스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는데, 조직관련 스트레스란 불충분한 인력의 문제, 시간외 초과근무의 문제, 현행 교대근무제로 인한 문제, 그리고 승진의 문제를 포함한 조직차원의 스트레스로 개별적인 차원의 노력으로 개선될 수 없는 요인을 말한다. 직무관련 스트레스는 교정공무원들이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수용자와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것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최근에 와서 수용자인권에 대한 일반사회와 수용자 자신들의 관심이 커짐에 따라 교정공무원들은 상대적인 권위의 약화를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용자로 부터의 폭력에 대한 두려움, 실제적인 신체적 폭력피해, 그리고 지나친 진정과 민원제기로 고통을 받고 있어 스트레스 원인이 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스트레스 유발요인으로 인해 교정공무원들은 유사직종과 비교해 볼 때 높은 질병사망율을 보이며, 탈진감으로 인해 직무수행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는 결국 교정행정의 효율적인 수행과 수용자 교정교화에 악영향을 주므로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즉 조직적, 구조적 차원의 정책 제안과 직무관련 스트레스 관리방안과 함께 사회적으로 범죄자 교정에 대한 관심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various sources and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correctional officers’ stress. The sources of the stress are analyz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work-related aspects. First, the organizational sources of correctional officers’ stress come from under-staffing, overtime, rotation of shifts, and the lack of career advancement. Second, the work-related stress results primarily from their routine contacts with inmates: the fear and anxiety of inmate violence, actual violence, excessive demands and manipulation by inmates. As a result, correctional officers suffer from physical diseases, sometimes leading to death, high rate of burnout. To prevent these detrimental consequences, policy makers must have the initiatives to fight against the stress issues in corrections. The author suggests stress-reduction strategies in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etal level.

      • KCI등재

        21세기 디지털 콘텐츠 영역의 불교문화 콘텐츠 개선 방안 -청소년 대상 포교 전략을 중심과 불교교육을 시사점을 중심으로-

        정경식 한국종교교육학회 2021 宗敎敎育學硏究 Vol.65 No.-

        청소년들의 디지털 매체 소비는 너무 과도하여 문제다. 게임, 선정적 영상, 폭력적 주제의 매체에 대해 상당한 청소년들이 중독의 수준을 넘고 있다. 그러나 양에 비해서 그 품질은 심각할 정도로 저급하다. 오로지 상업적으로 기획된 이들 매체의 맹목적 소비자이자 희생자인 청소년들을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소비자로 성장시키고, 그들의 도덕성을 지켜낼 방안이시급하게 요청된다. 이 논구의 목적은 불교문화 디지털 콘텐츠의 발전적 혁신을 통한 청소년 포교의 방향과 대안의 제시이다. 이에본연구는먼저불교문화콘텐츠가종교문화콘텐츠의기본정향(定向)인종교성, 공공성, 대중성을모두성취해야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소비와 관련하여, 청소년 소비행동 특성, 상호교환 작용의 활발성, 정서적 불안심리, 맹목적우상추종, 사회심리적지지필요등의배경을확인하였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서, 현재의 불교문화 디지털 콘텐츠가 청소년 특성을 일부 만족시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에 온전히 대응하기에는 아직 수준별 맞춤 콘텐츠 부재, 흥밋거리 반영 미흡, 콘텐츠 활용을 통한 관리 미흡 등의한계를 더 크게 확인하였다. 이들 한계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앞서 불교문화 디지털 콘텐츠 정향으로 제시한 종교성, 공공성, 대중성을증진할대안을제시하였다. 첫째, 종교성 개선을 위해서, 24시간 인터넷 오디오 서비스인 ‘공감’을 예로 삼아 다음 5개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청소년불자들을 위한 불교 명상음악을 초・중・고급의 수준에 따라 선곡함으로써 난이도에 따른 음악 제공하기, 청소년이 선호하는 팝, 가요 등에서 감정을 순화하는 부드러운 곡들을 선별적으로 제공하기, 청소년 전용 DJ를 두어 청소년에 최적화된 의사소통, 정신적멘토기능, 심리・사회적 지지를위한유용한어드바이스제공하기, 수준별 맞춤콘텐츠와청소년의흥미를반영하는콘텐츠제공하기, 그리고해당콘텐츠를활용한청소년에관한관리체계확보하기등이다. 둘째, 공공성 개선을 위해서는, ‘불교 크리에이터’를 예로 삼아 다음 4개 대안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흥미를 고려해 그들창작물을각종불교게임테마송등에적합히활용, 그범위를확장하기위한고심의필요성, 그과정에있어청소년캠프등다양한 이벤트 개최를 통한 친목도모, 더 나은 아이디어를 위해 활동비 지원, 당선된 청소년 간 친목도모 지원으로 더 지속가능한 이상적 창착물 기대, 아이디어 창출에 있어 디지털 환경에서 사회적 공익과 정의가 십분 반영되도록 다양한 멘토기능과코멘트제공을제안하였다. 셋째, 대중성개선을위해서는, 불교게임인 ‘아바로’의경우다음과같은 4개의개선된대안을제시하였다. 예컨대부처님도를 게임을 통해 전달함에 있어 실생활 인간관계에서 과연 관세음보살 42수주를 어떻게 적용할지 연결고리를 팝업창 등을 통해 제시할 것, 모험 중심 게임 스토리 전개에서 다양한 유명인 이미지 케릭터를 만나며 인간관계 갈등을 해결하는 식의 스토리 구성,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다양한 유저 간 의사소통 활성화, 차후 유저들의 실생활 문제를 제시, 채택하여 경품제공등진행, 온라인상에서발생하는다양한갈등을게임에적용, 이를불교적차원에서현명하게해결하는주인공모습을통해 온라인 상의 예절 교육, 주어진 콘텐츠를 건강한 방향으로 창작, 개선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의 게임화이다. 이 논문은결 ...

      • KCI등재

        교도소 수용자의 구강건강관리실태와 구강건강인식 및 실천 조사

        류다영 ( Da Young Ryu ),송귀숙 ( Kwui Sook Song ),한수연 ( Soo Yeon Han ) 한국치위생학회 2015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condition, recognition, and practice in prisoner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143 prisoners in three jails from April 7 to June 2, 2014.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5 questions including 5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4 questions of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5 questions of management of oral health care, 11 questions of oral health recognition, and 10 questions of oral health practice. The questionnaire was adopted and modified by Shon et al. and Cho & Choi and measured by Likert 5 scale. Cronbach’s alpha was 0.845 in recognition questions and Cronbach’s alpha was 0.826 in the practice ques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for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21.0% of prisoners answered that their perceived oral health condition was good. Those who received the dental treatment accounted for 42.0% and 12.6% of them took the oral health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al health and oral health recognition(p<0.05). The oral health recognition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oral health practice(p<0.001). Conclusions: In general, prisoners did not receive the proper care of oral health in jails.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we need to set up a oral health care system for prisoners.

      • KCI등재

        교정의 미래와 여성교도관의 역할 - 교정조직의 성고정관념 수준과 여성교도관의 역할확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김은영,윤옥경 한국교정학회 2015 矯正硏究 Vol.- No.6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evailed gender stereotyped perceptions against female correlational officers in correctional organizations. Women’s ability to perform as a professional correctional officers has been continuously questioned since the entrance of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to the correction business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male oriented organization. Yet, recent studies revealed the competence of female correctional officer in pris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even the overall concretional officers’ competence would not be differ, but the perceptions toward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performance would be differ. That is so called gender stereotyped perception against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Based on these hypothesis, this study examined male and female concretional officers’ perceptions of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performance and the potential of being introduced to male inmates prison facilities. The findings of this current study reveal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gender stereotyped perceptions between male and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This study, however,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regarding female officers’ involvement in male inmates prison facilities management and security duties. The result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in result and discussion of this paper. 이 연구는 남성중심의 교정조직에서 남녀교정직원들의 여성 교정직원에 대한 일반적 태도와 인식을 연구분석하였다. 특히, 남성교정직원들의 여성교정직원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해서 여성에 대한 성 고정관념적인 역할태도가 어떠한 영향을미쳤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성고정관념이 여성교정직원들 자신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대한민국 미래교정에서 여성교도관의 역할영역의 확대가 어디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전망과 분석을 위해서 남녀 교도관들의 여성교도관의 남성수용자 사동관리에 대한 태도와 의견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분석하고, 남녀교정직원들의 남성수용자 사동관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전국의 12개의 교도소에서 총 448명의 남녀교정직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다양한 경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남성교정직원들에게서 여성교정직원들에 대한 부분적 성고정관념적 인식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성고정관념적 인식은 여성교정공무원들에게서도 발견이 되었다. 그리고 남녀교도관 모두는 여성교정직원의 남성수용자 사동관리에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을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여기서 남녀교정직원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 공헌점, 그리고 제한점 등이 결과와 논의 부분에서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