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통과 매체로 보는 사학사

        김기봉(Kim Gi-b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40 No.-

        현재와 과거의 대화로서 역사는 기본적으로 소통으로 성립한다. 소통을 위해서는 매체가 필요하다. "매체가 메시지다"라는 맥루한 말대로, 현재와 과거의 대화로서 역사의 소통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매체다. Historiai를 쓴 헤로도토스가 역사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듯이, 역사는 문자역사로 출발했다. 하지만 구텐베르크 시대의 종말과 전기매체시대(electric age)의 등장으로 문자역사로서 역사학은 위기에 처해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으로 본 논문은 종래 문자역사의 관점으로만 본 사학사의 프레임에서 탈피하여 매체사적인 맥락에서 사학사를 반성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인류 역사에서는 각 시대마다 지배적 매체가 있었다. 인류 문명사는 인간이 지식을 생산하고 전달하여 활용하는 매체 진화의 역사로 전개됐다. 맥루한은 매체의 발달이 촉발하는 소통관계의 변화에 따라 인류 역사를 원시부족시대→문자시대→인쇄술시대→전기매체시대의 4 단계로 나누었다. 이 같은 매체사적인 시대구분에 따라 사학사도 구술사→문자역사→인쇄역사→영상역사로 시대구분 할 수 있다. 현재와 과거의 대화로서 역사란 엄밀히 말해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꿈의 대화다. 직접 대면하여 오감으로 소통하는 구술사가 '신화적' 역사를 말로 전승했다면, 문자역사는 신화에서 탈피하여 합리적으로 소통 가능한 과거만을 탐구하여 역사로 서술했다. 구텐베르크 시대에서의 인쇄역사는 책의 소통력이 형성한 소통관계를 토대로 역사를 과학화했다. 그 결과 꿈의 대화의 길로 접어들게 하는 역사적 상상력은 역사소설과 같은 문학의 영역으로 추방되고, 현실의 역사만이 연구 성과로 인정받는 역사학 체계가 정립됐다. 하지만 전기 매체시대에서 문자역사는 쇠퇴하고 영상역사가 등장함에 따라 '꿈꾸는 역사'로서 사극은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오늘날 역사학은 기로에 서 있다. 역사학이 죽느냐 사느냐는 결국 '매체적 전환'이라는 시대적 조건에 맞춰 문자역사로서의 역사학 정체성을 변화시키느냐에 달려 있다. 오늘의 역사가들이 영상역사를 더 이상 거부하지 않고 '현실 역사'의 결핍을 보상하는 '꿈꾸는 역사'로 수용하는 자세를 보일 때, 역사학은 보호학문이나 잉여학문으로 전락하지 않는 학문적인 진화를 할 수 있다. 결국 역사학이 "변하지 않기 위해서는 변해야 한다." As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history is basically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eds media. Media are decisive to historical communication as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just like Marshall McLuhan said that "media are message." Since Herodotos, the author of Historia and the father of history, history began as literal history. With the end of Gutenberg's era and the emergence of electric age, history as literal history faces a crisis. Taking this as a departure point, this paper steps out of a framework focused upon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of literal history and reflects on historiography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media. In human history, every age has its own dominant media.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has been a evolutionary history of media, with human beings producing, delivering and using knowledge. Following the change in communicational relationship in line with media's development, McLuhan classified human history into archaic tribal age, literal age, printing age and electric age. Following the same media-historical periodization, history of historiography can also be divided into narrative history, literal history, printing history, visual history. History as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is, strictly speaking, unrealistic dialogue of dream. Whereas oral history based upon face-to-face communication using senses had delivered 'mythical' history through verbal words, literal history delivered written history based on research of the rationally communicable past, not the myth. Printing history in the age of Gutenberg converted history into science based upon literary-communicational relationship. In result, historical imagination enabling dialogue of dream was banished to the field of literature like historical novel, and only history of reality was acknowledged to be the object of serious historical scholarship. However, in electric age, literal history steps down and historical drama as dreaming history flourishes with the rise of visual history. At present, history stands at the crossroads. History's survival hinges on wether history could change its identity as literal history in accordance with the epochal condition of 'turn of media.' History can evolve in academic sense, without degrading to a discipline which needs protection or is redundant, only when historians are ready not to reject visual history, but to accommodate it as 'dreaming history' compensating the deficiency of 'history of reality.' After all, history "should change, in order not to change."

      • 매체 문식력(Media Literacy)을 통한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 연구

        이미향 시학과언어학회 2012 시학과 언어학 Vol.0 No.23

        이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의 능동적 쓰기 활동을 위해 매체문식력을 적용한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을 논하는 것이다. 복합언어양식으로 의사소통하는 다매체 시대에는 매체 문식력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게다가 한국어 학습자는 문화 간 의사소통으로 한국어를 이해하므로, 의사소통 훈련에 문화 간 의사소통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매체 문식력을 통한 문화 간 의사소통을 한국어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한다면, 한국어 학습자는 이해한 바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의사소통에서의 매체 문식력,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이해와 표현이 연계된 쓰기 활동 이 세 가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보이기 위해, 먼저 다매체 시대의 언어 행위, 매체언어, 그리고 매체언어의 교육적 효용을 논함으로써 다매체 시대 매체 문식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에서 매체언어를 접목하고 있는 현실을 확인하고, 매체 문식력을 적용한 한국어 쓰기교수·학습의 절차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학습자는 수용 1단계에서 복합양식을 매체 문식력으로 해독하고, 수용 2단계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으로써 메시지를 이해한다. 다음으로 적용 단계에서 언어생활 자료에서 매체 문식력을 경험하고 그 경험을 교수자 및 학습 동료와 나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표현 활동은 소극적 생산을 포함한 적극적 생산에 더욱 용이하게 도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미 다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육이 교실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교수 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적합한 교수·학습의 틀은 수업의 실제에서 다양한 교육 자료와 교육 설계를 산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매체(Social Media)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 증감에 미치는 영향 : 정보교환양의 매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기호(Park Kiho)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1 경영과 사례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매체(실시간 대화앱과 생활공유서비스) 시대에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와 정보교환량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동기 및 의문점으로는 첫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정보교환의 양에 영향을 줄 것인가? 둘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정보교환의 양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보교환의 양이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인가? 라는 의문점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단계는 탐색적으로 의사소통 실태에 대해 정성조사 기법인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고, 2단계는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 조사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경로 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정보교환의 양은 증가하였다. 또한,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온라인 의사소통은 증가하였으나 오프라인 의사소통과는 무관하였다. 사회적 매체의 정보교환양은 사용빈도와 온라인 의사소통 간에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보였다. 사회적 매체 사용빈도가 정보교환양 변수보다 온라인 의사소통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매체의 사용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음으로 사회적 매체의 등장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부정적 혹은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긴 어렵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affects quantity of communic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information interchange in the age of social media.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terchange was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increased. Also, as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increased, communication activities were increased, but it was not related to offline communica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interchange in social media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frequency of use and communication increase.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had a greater impact on online communication than information interchange. In this study, the use of social media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offline communication, so it is hard to think that social media had a negative or positive effect on offline communicat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academia and industry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ge.

      • KCI등재

        매체, 언어, 매체언어 개념의 국어교육학적 분석

        신호철(Shin Ho-cheol)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60 No.-

        본고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때 고등학교 선택 과목으로 설정되었다 사라졌던 ‘매체 언어’ 과목이 2015년 차기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다시 고등학교 선택과목 ‘언어와 매체’로 부활하는 기회를 맞이하여 ‘매체언어’에 대하여 그 기본 개념에 대한 국어교육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매체언어’란 용어는 단순히 ‘매체’와 ‘언어’의 결합형으로 인식되기 쉽지만, 그렇게 단순한 의미의 결합체가 아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매체’, ‘언어’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그 범주의 외연에 대한 논의에 치중하였다. 결과적으로 ‘언어’의 범주를 확장하였음에 비해 ‘매체’의 외연적 범주는 축소하였다. 그 이유는 국어교육이라는 분야에서 한국어라는 언어가 주요 대상이기 때문이다. 자칫 매체의 범주를 확장하여 매체가 언어를 포괄하는 대범주로 설정한다면 ‘매체언어’는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대상 자격을 의심받을 수 있는 논란의 여지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매체’는 의사소통 수단이나 도구라는 의미의 협의의 범주로 설정하였다. 곧 매체를 신문, 광고, 음악, 영화와 같은 전달의 도구나 수단으로 보았다. 그리고 ‘언어’는 전통적인 언어 체계의 분류 방식에 변화를 모색해 보았다. 이는 시대적 요구에 순응하는 것으로 언어는 역사적으로 소통 매체의 변화와 발전에 따라 변화해 왔음에 주목한 것이다. 그래서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 체계뿐 아니라 시청각적 기호를 통한 의사소통 체계도 편입하여 매체언어를 통한 의사소통 체계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매체언어는 단순히 ‘매체’와 ‘언어’의 의미가 결합된 복합어적인 성격의 것이 아니다. 매체를 통하여 소통되는 언어와 다양한 시청각적 기호들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특정한 의미를 구성하는 데에 일정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들을 ‘매체언어’라 부르고, 이 매체언어를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내용으로서의 대상으로 삼았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oncepts of media, language, and media language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ontemporary culture. The term media was defined to include any means or tools that aimed to facilitate communication. In this context, as we aim to investigate how language facilitates Korean language education, media includes newspapers, advertising, music, and film. In this information communication era, changes in language systems must also be discussed outside of traditional linguistic classifications. Communication systems not only convey meaning through language, but also include visual symbols. As a result, when the definition of language is expanded, the number of available mediums is reduc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ims to target the language of Koreans. Media language does not simply refer to a combination of media and language. Visual symbols are provided to perform a function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specific meaning. For this reason, we incorporated visual symbols into media language. Therefore, media language can be targeted as a learning too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후보

        매체언어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

        윤여탁,최미숙,김정자,정현선,송여주,손예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7 국어교육연구 Vol.19 No.-

        현대 사회 발전에 따른 소통 개념의 변화는 초·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교육에서 매체 교육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라는 언어와 문화, 리터러시와 소통을 바라보는 근본적인 관점의 전환을 요청하고 있다. 또한, 매체 교육의 국어교육적 수용은 현실적으로는 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매체에 관한 지식과 소양, 의사소통 능력을 재고하는 문제 역시 중요하게 제기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논제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탐구를 하였다. 국어교육 내에서 매체언어 교육은 매체의 의미 작용, 소통 원리에 대한 교육이다. 또한, 매체언어 교육의 성격은 언어와 매체를 바라보는 관점, 소통론의 확장에 따라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매체언어 교육의 목표는 소통과 문화 능력 신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은 매체의 수용과 생산(창작), 매체 간 변환, 저작권 및 윤리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새로운 매체 시대에 교사는 가르치는 자보다는 함께 배우는 자나 교육을 촉진시키는 촉매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개선이나 변화를 강요한다거나 훈계로 흐르는, 보호주의적 관점의 교사상을 벗어나야 한다. 그럴 때야 비로소 학생들의 비판적 자주성 또한 길러질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media education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is necessary that a viewpoint on language and culture as well as literacy and communication should convert. Also in actuality of receiving media education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matter related to reconsidering knowledge, literac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instructor is raised as an important point of issue. Related to this,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is subject systematically and synthetically. Media education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n education for understanding meaning action and communicative principles of media. And the features of media education can be examined according to a point of view about language and media, and extension of communication theory. Likewise, it leads the goal of media education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eveloping communicative and cultural competence. Thus this paper organizes receiving, producing(creating), translation between media, copyright and morals as contents for media education.

      • KCI등재

        소통상황에 따른 정보매체별 우회이용률 분석

        최윤혁,최기주,고한검 대한교통학회 2010 大韓交通學會誌 Vol.28 No.1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pattern of behavior of drivers which result from the provision of traffic information, there have been few detailed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message, method for message expression, timing of provision, point of provision, media for provision, changes by traffic condition, etc.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n insight into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by analyzing how the patterns of information utilization change depending on the traffic condition and reclassifying such patter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adopted the traffic condition, using rate of information media,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label as the basis for information media classification, and categorized them into passive utilization media, active utilization media, and past experience in order to ensure the statistical reasonability. The categorized using rate of information media and traffic condi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ravel speed in the case of passive utilization media during both consecutive holidays(Korea’s traditional Thanksgiving day) and weekends, bu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utilization media and past experience. The rate of decision to take a detour based on the past experience was high at the condition of congestion or slow during both consecutive holidays and weekends, but the rate of decision to take a detour through passive utilization media was high in a smooth traffic. In other words, if the traffic condition worsens, using rate of passive utilization media would be low while the diversion rate would be high which uses the active utilization media and past experience. Therefore, it should be established to suit the traffic condition and media characteristics for strategies of traffic distribution through drivers' diversion behavior on weekends and consecutive holidays. 교통정보제공에 따른 운전자의 반응행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메시지의 구성과 표현방법, 제공시기, 제공지점, 제공매체, 소통상황에 따른 변화 등 세부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통상황에 따라 정보매체의 이용패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고, 매체의 특성에 따라 이를 재분류하여 각 소통상황에 따른 정보매체별 우회이용률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와는 달리 정보매체의 분류기준으로 소통상황과 정보매체 이용률간의 상관계수 부호를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타당성을 갖도록 수동이용매체, 능동이용매체, 과거경험으로 군집하였다. 군집한 매체별 이용률과 소통상황 간의 상관분석 결과, 수동이용매체의 경우 통행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능동이용매체와 과거경험의 경우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주말과 추석연휴 모두 동일하였다. 정체와 서행상황에서는 과거경험에 의한 우회결정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원활상황에서는 수동이용매체를 이용한 우회결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혼잡이 심화될수록 수동이용매체의 이용률은 감소되는 반면, 능동이용매체와 과거경험을 이용하는 우회율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주말과 추석연휴 시 우회를 통한 교통량 분산전략을 수립할 경우, 소통상황과 매체특성에 맞는 전략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목표에 관한 고찰

        정현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7 국어교육연구 Vol.19 No.-

        “Media language education” is an operational term that is used in the context of incorporating media literacy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dia language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an extension of language education in that it deals with reading and writing different types of texts, i.e., media texts. However, its approach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ays of reading and writing: rather than solely focusing on oral and written languages, the language of the media includes visual signs and moving images. Media language education also emphasizes developing new skill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media as channels of transmitting messages, in terms of how these channels might be related to the ways in which the producers and receivers of the messages might interact.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relatively unfamiliar with these two aspects. However, they are important language abilities in the present age of digital media when ordinary people can become producers and distributors of their own texts through the Internet. In this article, I propose five principles of approaching media language education not only as an extension of language education but also as a par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is article also examines how the new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might reflect media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five principles proposed. 매체언어교육은 기존의 읽기와 쓰기를 매체 텍스트에 확대한 ‘언어’ 교육이라는 익숙한 측면도 지니고 있지만, ‘매체 특성’을 고려한 읽기와 쓰기라는 점에서 기존의 국어교육에서 낯선 측면도 지니고 있다.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는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지식 분야에서 ‘매체 특성’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매체가 달라지면 메시지를 표현하는 언어와 기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같은 텍스트라도 어떤 매체에 실려 전달되고 유통되는가에 따라 그 의미의 파급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생산한 텍스트를 소통의 목적과 파급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미디어를 통해 유통시킬 수 있는 능력까지도 국어교육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경우 미디어 텍스트를 쓴다는 것은 텍스트의 생산 뿐 아니라 유통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 된 것임을 말해준다. 이처럼 매체언어를 통한 소통 능력이 텍스트의 이해(수용)와 표현(생산) 뿐 아니라 유통 능력까지도 포함하게 된 것은 이와 같은 미디어 자체의 변화와 관련된다. 따라서 매체언어교육은 언어를 기호로 확장해 이해하는 관점 뿐 아니라 기호의 의미 작용에 있어 매체가 작용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소통적 관점 역시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국어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을 수용하기 위해 이와 같은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을 바탕으로 매체언어교육의 목표를 다음의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매체언어를 바라보는 기호적 관점을 이해하는 것, 둘째 영상언어의 의미작용을 이해하는 것, 셋째 비판적 언어 인식을 바탕으로 미디어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생산할 수 있는 능력, 넷째 심미적 미디어 텍스트를 문화적 관점에서 수용, 향유, 생산할 수 있는 능력, 마지막으로 새로운 소통 기술에 대해 성찰적으로 이해하고 사회적 소통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고에서는 여전히 국어교육에서 다소 낯설게 여겨지는 매체언어교육이 국어교육의 영역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이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국어 교육에서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매체 교육 내용 연구

        김향연 ( Kim Hyangyeon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3

        ‘매체’가 교육현장에 잘 반영되기 위해서는 매체에 이미 ‘익숙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인 만큼 학습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내용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여 그들의 매체 문화를 엿볼 수 있는 SNS를 중심으로 학습자 특성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매체에 유도된 표현 양상이 이미 습관화 되어 있었고, 매체를 통해 감정을 표출하고 교류하는 것이 일상적인 의사소통의 일부였다. 또한 친밀감을 중시하는 청소년들의 특성이 매체 문화 속에서 강화되어 인간관계의 문제가 24시간 온라인 상태로 존재하는 특수한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매체 교육은 매체에 대한 교육이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매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성찰 중심의 미디어리터러시를 제안하는 것은 이와 같은 이유에서이다. 학습자들은 이미 매체를 사용하고 있기에, 이로 인해 나타난 새로운 문화, 의미 소통 양상 등을 성찰할 수 있도록 이끌 필요가 있다. 또한 매체로 정보를 구성하고 유통하는 양상,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매체 자료를 생산하는 것, 매체 언어의 창의적 표현 방법 향유 등을 구체적 내용으로 하되 의사소통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매체가 의사소통의 도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사소통의 핵심에 ‘공감’이 자리해야 한다. 이것이 좀더, 적절하게 매체를 사용하는 학습자를 길러내는 하나의 교육적 방향이기 때문이다. When carrying out media education, it is an important task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when educating learners that are already accustomed to media. This study analyses the learners’ social media usage as it is the media that learners use the most extensively. It was discovered that using expressions within this media have become habituated and using the media to express emotions have become the usual mode of communication. Also the characteristic of teenagers that prioritise friendships have become strengthened in media culture so that the issue of relationships exist online 24 hours a day. Educ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such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needs to teach both the media itself as well as consider how to make use of the media. In particular, because the learners already make use of the media, the learners need to be led to examine the newly created culture, meaning, and modes of communication. Also, when creating media content, the focus needs to be on communication and the learners should be educated on how to make use of the creative expressions used in media language. This is because media is a tool in communication. Also, empathy needs to be at the centre of such communication. This is the way to educate learners to use media appropriately.

      • KCI등재

        학부모-교사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루만의 체계이론 관점에서

        정영주 ( Young Ju Je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루만의 체계이론 관점에서 학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을 분석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학부모의 의사소통과정에서 기대구조의 차이, 의사소통의 어려움, 소통의 매체, 소통의 성공매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학부모와 교사 각각 7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교육활동에서 학부모의 협력이 필요한 경우 소통이 활발해진다고 보았고, 학부모는 아동의 문제 행동이 있을 때 소통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학부모와 교사는 의사소통 기대구조의 차이로 소통의 어려움이 있음에도 교육적 기능을 갖는 사회적 체계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생활통지표와 가정통신문, 학교신문, 학교 홈페이지, 가정통신문과 같은 공식적인 소통 매체가 형식화 되어 가고 있다. 교사와 학부모의 의사소통에서도 심리체계와 사회체계를 위한 보편 매체이며 일반매체인 의미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앞으로 학부모와 교사는 사회적 체계의 작동으로서 소통의 교육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상호이해의 형식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 theory of Luhmann. It focused on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structure of the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dia, communication evaluate the success of the media. In order to explore these problems, this study drew on interviews with each seven parents and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were considered active if communication is needed the cooperation of the parents, the parents were and communication takes place when there is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can work together to find out is that the social system to communicate with an educational function despite th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and the structure. The communication medium such as Family Letter, score card, school newspaper, school website of elementary school is being typed. The universal medium of meaning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became important. Lastly,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ents and teachers aware of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s a social system works, it is necessary to try to make themselves a form of mutual understanding.

      • KCI등재

        ‘원형 매체(Urmedium)’로서의 말하기: 의사소통매체의 근간은 무엇인가?

        김은하 한국하이데거학회 2015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9

        Diese Arbeit ist nicht auf die Vorstellung des Mechanismus des den Menschen in die Welt bringenden Mediums fokusiert, wie anders er in jedem Fach ist. Vielmehr betrachte ich in dieser Arbeit, was die gemeinsame Vorausussetzung der verschiedenen Medientheorien ist, die auf unterschiedliche Weise einen kommunikativen Ansatz versuchen und frage nach der ursprünglichen Form: Was ist der ursprünglichen Ausgangspunkt des Mediums, das den Menschen in die Welt bringt? Seit der Homo sapiens sapiens in die Gegenwart und Zukunkt geht der Vorgang der anthropologisch kullturellen Veränderung des Mediums weit. Der Übergang des digitalen Mediums wurde beispielsweise aus dem Druckmedium hergestellt, dennoch war der Übergang des mündlichen Mediums zum schriftlichen bereits in der alten griechischen Zeit (im ca. 700-500 Jahren v. Chr.) vorhanden. An dieser Stelle haben Walter Ong und A. J. Asmmnann, die den Schwerpunkt kullturell historisch auf das Schriftmedium gelegt haben, eine klare Linie gezogen, worin die verbale Kommunikationsfähigkeit des Menschen sowohl von der urwüchsigen Art der Kommunikation als der primitiven zu unterscheiden sei, aber ist es schwierig, die orale Sprache durchdie Brille des als ein bloß kulltrelles Ergebnis betrachtet werdenen Mediums zu sehen, insofern wir uns gegenseitig in der lebendigen Sprache intersubjektiv verstehen. Wie der Veränderungsverlauf des digital werdenden Analogmediens bedeutet das alte Schriftmedium nur ein neues Auftritt des Mediums gegen das mündliche. Im Grunde liegt das Wichtigste in Vielfalt und unterschiedlichen Funktionen der Medien darauf, was ihre konstitutive Bedeutung ist. Das Reden auf der Stufe der Medienentwicklung von der nicht schriftlichen Kultur zur schriftlichen Kulltur zeigt den wesentlichen Charakter der mündlichen Sprache, welche man nach den Umständen unmittelbar den Klang hört und etwas in den Mund spricht. Anders gesagt bedetet das Reden, dass es als das auch ohne Gramatik lernbare intersubjektive Sprechen interpretiert werden soll, als dass es von der Arbitarität des Wortes abhängt oder ein solzial konventionelles Produkt ist. In der Sprache gibt es vor allem die Funktionen, welche der Sprecher einen im Gegenstand enthaltenen Sinn mit seinen Willen vermittelt. Im Sprechen sind die transzendenten Funktionen, die passiv Informationen nicht tragen, sondern gemäß der gegebenen Situation eine Bedeutung neu liefern, also versteckt Gerade in diesem Gesichtspunkt kann man bewerten, dass Jäger den Horizont des Verständnis für das kommunikative Zeichen erweitert hat. Für ihn ist die Sprachfähigkeit den Entwicklungsvorgang umfasst, worin die verbalen Zeichen mit dem biologischen Entwicklungsgang verbunden werden. Heutzutage ist die Kommunikationsfähigkeit des Menschen bwz. die Sprachbildung durch die audio-visuelle Zeichen, als Ergebnis der phylogenetischen Evolution, schon vor langer Zeit in der Zeichenfähigkeit verwurzelt, die etwa vor 40,000 Jahren in Bezug auf die Geschichte der Arten der Gattung von Homo sapiens sapiensabgeschlossen war. Im Vergleich zu allen anderen Medientypen eben fungiert das mündliche Sprechen als das den Horizont des Ausdrucks des Menschen implizierende Ur-Medium. 본 논문은 인간을 세상으로 이어주는 매체의 메커니즘이 분야마다 어떻게 다른지를 소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다. 오히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상이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다양한 매체이론들의 공통 전제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매체의 원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묻는다. 인간을 세계로 이어주는 매체의근원적 출발점은 무엇인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이래로 현재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매체의 인류·문화적 변화과정은 계속되고 있다. 예컨대 디지털 매체로의 이행은 인쇄 매체에서 온 것이지만,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고대 그리스 시대(기원전 700~500년) 에 이미 구두 매체로부터 문자 매체로의 이행과정이 존재했다. 문화·역사적으로 문자 매체에 방점을 찍은 발터 옹과 얀-알라이다 아스만은 이 지점에서 인간의 구두적 의사소통능력이 야생적이고도 원시적인 의사소통방식과 구분된다고분명한 선을 그었지만, 우리가 살아있는 언어 속에서 서로를 상호주관적으로이해하는 한, 구두 언어를 단순 문화적 결과 매체라는 안경을 쓰고 보기는 어렵다. 아날로그가 디지털화되는 매체의 변화과정처럼 고대 문자 매체는 ‘옛’ 구두 매체에 대한 ‘새로운’ 도래를 의미할 뿐이다. 매체의 다양성과 서로 다른 기능에 기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그 구성적 의미가 무엇인가에 있다. 비문자 문화에서 문자문화로의 매체 발전단계에서 말하기는 소리를 듣고 상황에 맞게 직접 입으로 이야기하는 구두 언어의 근본적 특징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말하기는 단어의 임의성에 좌우되거나 사회 관습적 산물이라기보다 문법 없이도 배울 수 있는 상호주관적 말하기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말에는 무엇보다 화자의 의사와 함께 대상에 담긴 뜻을 전달하는기능이 있다. 피동적 정보전달 기능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 맞게 의미를 새롭게 만들어 전달하는 초월적 기능이 말하기에는 숨어 있다.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예거의 매체이론은 의사소통 기호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혔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에게 언어능력이란 구두적 기호가 생물학적 진화과정으로까지 이어지는 발전과정을 포괄한다. 오늘날 시청각 기호를 통한 인간의 의사소통 능력 및 인간의 언어형성은 계통학적 진화의 결과로써 호모 사피엔스사피엔스 종의 역사와 관련하여, 이미 오래전, 약 40.000년 전에 종결된 기호능력에 근간을 둔다. 구두적 말하기는 어떤 다른 매체 유형보다도 인간의 잠재적 표현 지평을 함축하는 원형 매체로서 자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